KR20110002662U - 베개 책 - Google Patents

베개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662U
KR20110002662U KR2020090011858U KR20090011858U KR20110002662U KR 20110002662 U KR20110002662 U KR 20110002662U KR 2020090011858 U KR2020090011858 U KR 2020090011858U KR 20090011858 U KR20090011858 U KR 20090011858U KR 20110002662 U KR20110002662 U KR 201100026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over
sheets
book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코닉스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코닉스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코닉스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2020090011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662U/ko
Publication of KR20110002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0Book cov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 책을 제공한다. 베개 책은 책장(冊張)으로서 기능하는 복수매의 책장시트들과 책장시트들의 표지(表紙) 및 베개로서 기능하는 베개부재를 포함한다. 베개부재는 책장시트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베갯속 및 베개커버를 포함한다. 베갯속은 베개커버 내에 위치하며, 베개커버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베개, 책

Description

베개 책{A PILLOW BOOK}
본 고안은 베개 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갯속의 분리가 가능한 베개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敎育)은 인간에게 다양한 지식 및 문화를 가르치고 학습시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성을 길러줌과 동시에 고도한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지능의 발달을 가속시켜 보다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교육은 태교, 영아·유아교육, 초·중등교육, 고등학교교육, 그리고 대학교육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중 인간의 성품 및 인성, 사회성, 도덕의식, 인격형성 등을 결정짓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교육은 영아 또는 유소년 시절에 이루어지는 교육일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인격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유아·아동 교육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교육의 일환으로 놀이방 및 유치원 등과 같은 기관 들이 다양하게 설립되고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한 영상 및 청취 테이프, 상상력과 창의성을 길러주는 각종 완구(玩具) 및 책 등과 같은 교육용 매체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용 매체들 중 책은 문자와 그림, 기호의 매체로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사상·문학·예술 및 기술 등을 전달하여 창의성 개발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각각의 개성을 지닌 어린이들의 지능발달과 인격형성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인격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책을 유아기 또는 아동기 시절부터 가까이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은 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으므로 책에 대한 안전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베개기능과 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베개 책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베개 책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세탁이 용이한 베개 책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베개 책을 제공한다. 베개 책은 책장(冊張)으로서 기능하는 복수매의 책장시트들; 상기 책장시트들의 표지(表紙) 및 베개로서 기능 하며, 상기 책장시트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그리고 상기 책장시트들과 결합되는 베개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베개부재는 출입구가 형성된 베개커버; 상기 베개커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 및 분리가능한 베갯속을 포함한다.
상기 베개커버는 외측 커버;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책장시트들 사이에 위치하며, 모서리부가 상기 외측커버의 모서리부와 봉합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구는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가 봉합되는 모서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된다.
상기 베개부재는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책장시트들은 각각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 내에 삽입되는 지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보다 견고하다.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은 천이고,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부직포이다.
일단이 어느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베개 책의 닫힘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다른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와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나란하게 제공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된다.
복수의 시트들을 구비하는 베개 책에 있어서, 상기 시트들 중 일부는 베개로서 제공되고, 상기 시트들 중 다른 일부는 책장(冊張)으로서 제공되되, 베개로서 제공되는 상기 시트들은 베개커버; 및 상기 베개커버와 분리가능하며, 상기 베개커버 내에 삽입되는 베갯속을 포함한다.
책장으로 제공되는 상기 시트들은 각각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 내세 삽입되는 지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보다 견고하다.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은 천이고,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부직포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책장으로 기능하는 책장시트들과 베개로서 기능하는 베개부재가 함께 제공되므로, 베개기능과 책 기능이 함께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책장시트들과 베개부재의 재질이 천으로 제공되므로,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갯속 분리가 가능하여 세탁으로 인한 솜 뭉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베개 책의 세탁이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펼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개 책(1)은 베개부재(10), 결합부재(40), 그리고 책장시트(50)를 포함한다. 베개부재(10)는 베개 책(1)의 표지기능을 하며, 결합부재(40)는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책장시트(50)들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베개부재(10)들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책장시트(50)는 책장(冊張)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개부재(10)는 책장시트(leaf sheet, 50)들의 표지 및 베개(pillow)로서의 기능을 한다. 베개부재(10)는 책장시트(50)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후술하는 책장시트(50)들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베개부재(10)는 책장시트(50)들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베개(20)와 책장시트(50)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베개(30)를 포함한다. 제1베개(20)와 제2베개(30)는 서로 연결된다.
제1베개(2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1베게(20)는 제2베개(30)의 모서리부와 연결되는 제1모서리부(20a), 제1모서리부(20a)와 나란하게 제공되는 제2모서리부(20b), 제1모서리부(20a)와 제2모서리부(20b)를 연결하는 제3모서리부(20c), 그리고 제3모서리부(20c)와 나란하게 제공되는 제4모서리부(20d)를 가진다. 후술하는 내측커버(21a)의 모서리부와 외측커버(21b)의 모서리부는 제1 내지 4모서리부(20a 내지 20d)에서 봉합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게(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갯속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갯속(23)이 베개커버로(21)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베개(20)는 베개커버(21), 베갯속(23), 그리고 개폐부재(26)를 포함한다.
베개커버(21)는 베갯속(23)을 감싸도록 제공된다. 베개커버(21)의 재질로는 천(cloth)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개커버(21)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다우다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베개커버(21)는 내측커버(21a)와 외측커버(21b)를 포함한다. 내측커버(21a)는 외측커버(21b)와 책장시트(50)들 사이에 위치한다. 내측커버(21a)의 모서리부는 외측커버(21b)의 모서리부와 봉합되며, 이에 의하여 베갯속(2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내측커버(21a) 또는 외측커버(21b)에는 캐릭터, 문자, 도형등이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베개커버(21)에는 베갯속(23)이 출입하는 출입구(24)가 형성된다. 출입구(24)는 베개커버(21)의 내측커버(21a)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출입구(24)는 외측커버(21b)의 모서리부와 봉합되는 내측커버(21a)의 모서리부로부터 이격하여 내측커버(21a)에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구(24)는 제1베개(20)의 제4모서리부(20d)로부터 이격하여 제4모서리부(20d)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출입구(24)는 후술하는 개폐부재(25)에 의해 개폐된다.
선택적으로, 출입구(24)는 외측커버(21b)의 모서리부와 내측커버(21a)의 모서리부가 봉합되는 라인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2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차단부재(25)를 덮는 덮개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덮개부는 천으로 제공되며, 출입구(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덮개부는 일단이 출입구(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커버(21a)와 결합하며, 타단은 차단부재(25)의 일측으로 제공된다. 덮개부는 차단부재(25)를 덮어 차단부재(2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갯속(23)은 베개커버(21)의 내부에 위치한다. 베갯속(23)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제공된다. 완충재로는 솜털이 사용될 수 있다. 완충재는 외피에 의해 감싸진다. 외피의 재질로는 천(cloth)이 사용될 수 있다. 베갯속(23)에는 외피내에서 솜털이 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재부(23a)가 제공된다.(도 2b 참조) 봉재부(23a)는 외피의 일면과 타면을 봉재하여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봉재부는 베갯속의 두 군데에 제공된다.
베갯속(23)은 베개커버(21)에 형성된 출입구(24)를 통하여 베개커버(21)에 삽입 및 분리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베개커버(21)로부터 베갯속(23)을 분리하여 베개 책(1)을 세탁 및 건조시킬 수 있다. 베갯속(23)은 세탁시 내부에 제공된 솜털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베갯속(23)이 베개커버(21)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베갯속(23)을 분리하여 솜털의 뭉침현상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개폐부재(25)는 베개커버(21)에 형성된 출입구(24)를 개폐한다. 개폐부재(25)로는 지퍼(zipper)가 사용될 수 있다. 지퍼(25)는 출입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출입구(24)를 개폐한다. 선택적으로 개폐부재(25)로는 밸크로, 똑딱 단추, 훅(hook) 단추, 그리고 루프(loop)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베개(30)는 책장시트(50)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베개(20)의 제1모서리부(20a)와 연결된다. 제2베개(30)는 제1베개(2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2베개(30)의 외측커버(31b)의 재질로는 소프트 보아가 사용될 수 있다.
책장시트(50)들은 책장(冊張)으로서 기능을 하며, 베개부재(10)들 사이에 복수매 제공된다. 책장시트(50)들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체로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된다. 책장시트(50)들은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가 베개부재(1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책장시트(50)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는 제1베개(20)와 제2베개(30)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베개부재(10)와 연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장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책장시트(50)들은 각각 시트커버(51)와 지지시트(54)를 포 함한다.
시트커버(51)는 지지시트(54)를 감싼다. 시트커버(51)는 지지시트(54)보다 유연한 재질의 소재가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천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커버(51)에는 캐릭터, 문자, 도형등이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커버(51)는 제1시트(52)와 제2시트(53)를 포함한다. 제1시트(52)의 모서리부와 제2시트(53)의 모서리부는 서로 봉합되며, 이에 의하여 지지시트(54)가 삽입되는 공간이 시트커버(51) 내부에 형성된다.
지지시트(54)는 시트커버(51) 내부에 삽입되며, 시트커버(51)를 지지한다. 지지시트(54)의 재질은 시트커버(51)의 재질보다 견고한 재질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시트커버(51)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다우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시트(54)의 재질로는 부직포(non-woven fabric)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시트(54)의 재질이 시트커버(51)의 재질보다 견고한 재질로 제공되므로, 책장시트(50)들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5a를 참조하면, 결합부재(40)는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베개부재(10)들을 결합시킨다. 결합부재(40)의 재질로는 천이 사용된다. 결합부재(40)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베개부재(20)에 결합되며, 타단이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베개부재(30)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재(40)는 밴드(band, 41) 형태로 제공되며, 일단이 제1베개(20)의 제2모서리부(20b)에 결합한 다. 밴드(41)는 제1베개(20)의 제2모서리부(20b)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 제공된다. 밴드(41)의 타단은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제2베개(30)에 결합한다. 밴드(41)의 타단에는 부착부재(42)가 제공된다. 부착부재(42)는 밸크로, 똑딱 단추, 및 훅(hook) 단추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결합부재(40)는 제2베개(30)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제2베개(30)에 제공되는 결합부재(44)는 일단이 제1베개(20)의 제2모서리부(20b)에 대응되는 제2베개(30)의 모서리부(30b)에 결합되며, 모서리부(30b)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제공된다. 제1베개(20)에 제공된 결합부재(41)와 제2베개(30)에 제공된 결합부재(44)는 서로 연결가능하며,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연결되어 베개부재(10)들을 결합시킨다. 제2베개(30)의 결합부재(40)의 타단에는 부착부재(미도시)가 제공된다. 부착부재는 제1베개(20)에 제공되는 부착부재(42) 형태에 따라 이와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결합부재(40)로는 루프(loop)가 사용될 수 있다. 루프는 제1베개(20)의 모서리부와 제2베개(30)의 모서리부 각각에 제공된다. 제1베개(20)의 모서리부에 제공된 루프와 제2베개(30)의 모서리부에 제공된 루프를 연결함으로써, 베개 책(1)의 닫힘상태에서 베개부재(10)들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결합부재(44)는 제2베개(30)의 모서리부(30b)를 따라 복수개 제공되며, 일측이 제2베개(30)에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4)의 타측은 베개 책의 닫힘상태에서 제1베개(20)에 부착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재(44)에는 부착부재(44a)가 제공되며, 부착부재(44a)는 베개 책의 닫힘상태에서 제1베개(20)의 내측커버(21a)에 부착된다. 부착부재(44a)로는 밸크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베개(20)의 내측커버(21a)로는 밸크로(44a)와 탈부착가능한 재질의 천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커버(21a)의 재질로는 라이렉스(lylex)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개 책(1)이 대체로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베개 책(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베개 책(1)은 베개부재(10), 결합부재(40), 그리고 책장시트(50)의 재질이 천으로 제공되므로, 영아 또는 유아 아동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개 책(1)은 복수의 시트들(10)을 구비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시트들(10)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된다. 복수의 시트들(10) 중 일부는 베개(20, pillow)로서 제공되고, 다른 일부는 책장(30, 冊張)으로 제공된다. 베개로서 제공되는 시트들(20)은 책장으로 제공되는 시트들(30)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개로서 제공되는 시트(20)는 책장으로 제공되는 시트들(3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베개로서 제공되는 시트들(20)은 베개커버(21)와 베갯속(23)을 포함한다. 베 갯속(23)은 베개커버(21)의 내부에 위치하며, 베개커버(21)에 형성된 출입구(24)를 통하여 베개커버(21)에 삽입 및 분리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베개커버(21)와 베갯속(2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베갯속 및 베개커버와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책장으로 제공되는 시트들(30)은 시트커버(도 4의 51)와 지지시트(도 4의 54)를 포함한다. 시트커버(51)는 지지시트(54)를 감싼다. 시트커버(51)는 지시시트보다 유연한 재질의 소재가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천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커버(51)에는 캐릭터, 문자, 도형등이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지지시트(54)는 시트커버(51) 내부에 삽입되며, 시트커버(51)를 지지한다. 시트커버(51)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시트(54)의 재질은 시트커버(51)의 재질보다 견고한 재질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시트커버(51)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다우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시트(54)의 재질로는 부직포(non-woven fabric)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개부재(10)는 제1베개(20), 제2베개(30), 그리고 책등부(40)를 포함한다. 제1베개(20)와 제2베개(30)는 책장시트(50)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책장시트(50)들의 표지 및 베개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1베개(20)와 제2베개(30)는 책등부(40)에 의해 연결된다. 책등부(40)는 제1베개(20)의 일 모서리부 및 이와 인접하여 나란하게 제공되는 제2베개(30)의 일 모서리부를 연결한다. 책등부(40)는 베개책의 닫힘상태에서 제1베개(20)와 제2베개(30) 사이에 책장 시트(50)들이 제공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제1베개(20)와 제2베개(30) 사이를 이격시킨다. 복수매의 책장시트(50)들이 제공되는 경우, 책장시트(50)들의 두께에 의해 제1베개(20)와 제2베개(30)가 연결된 모서리부의 타측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부재(10)에 책등부(40)가 제공되어 제1베개(20)와 제2베개(30) 사이에 책장시트(50)들이 제공되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펼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갯속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갯속이 베개커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장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 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9)

  1. 책장(冊張)으로서 기능하는 복수매의 책장시트들;
    상기 책장시트들의 표지(表紙) 및 베개로서 기능 하며, 상기 책장시트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그리고 상기 책장시트들과 결합되는 베개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베개부재는
    출입구가 형성된 베개커버;
    상기 베개커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 및 분리가능한 베갯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커버는
    외측 커버;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책장시트들 사이에 위치하며, 모서리부가 상기 외측커버의 모서리부와 봉합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구는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가 봉합되는 모서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부재는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시트들은 각각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 내에 삽입되는 지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보다 견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은 천이고,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6.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어느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베개 책의 닫힘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다른 하나의 상기 베개부재와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나란하게 제공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7. 복수의 시트들을 구비하는 베개 책에 있어서,
    상기 시트들 중 일부는 베개로서 제공되고,
    상기 시트들 중 다른 일부는 책장(冊張)으로서 제공되되,
    베개로서 제공되는 상기 시트들은
    베개커버; 및
    상기 베개커버와 분리가능하며, 상기 베개커버 내에 삽입되는 베갯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8. 제 7 항에 있어서,
    책장으로 제공되는 상기 시트들은 각각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커버 내에 삽입되는 지지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보다 견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의 재질은 천이고,
    상기 지지시트의 재질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책.
KR2020090011858U 2009-09-09 2009-09-09 베개 책 KR201100026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58U KR20110002662U (ko) 2009-09-09 2009-09-09 베개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58U KR20110002662U (ko) 2009-09-09 2009-09-09 베개 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62U true KR20110002662U (ko) 2011-03-16

Family

ID=4420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858U KR20110002662U (ko) 2009-09-09 2009-09-09 베개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66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32Y1 (ko) * 2019-05-27 2020-07-22 방우영 교체가 편리한 침구용 조립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구
US20220225800A1 (en) * 2021-01-15 2022-07-21 CRISTINA E. DeFURIA Storybook storage system
KR20230083590A (ko) 2021-12-03 2023-06-12 박무건 북커버
KR102664926B1 (ko) * 2023-04-03 2024-05-10 최봉순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32Y1 (ko) * 2019-05-27 2020-07-22 방우영 교체가 편리한 침구용 조립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구
US20220225800A1 (en) * 2021-01-15 2022-07-21 CRISTINA E. DeFURIA Storybook storage system
KR20230083590A (ko) 2021-12-03 2023-06-12 박무건 북커버
KR102664926B1 (ko) * 2023-04-03 2024-05-10 최봉순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9149A (en) Stuffed animal with book enclosure apparatus
US6199230B1 (en) Children's foldable portable indoor/outdoor play mat/corral
KR20110002662U (ko) 베개 책
US4508515A (en) Book with puppet
US20130067660A1 (en) Graphic Swaddling Bedding Set
US4608024A (en) Book with puppet
US5746637A (en) Children's book construction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US3546788A (en) Teaching system for children
US11472215B2 (en) Book and toy combination
US8903303B1 (en) Book with padded covers and pages
KR101032326B1 (ko) 접이식 휴대용 책상 칸막이
US20030049587A1 (en) Multi-book
US20080242187A1 (en) Stimulating and comforting security item for children
US20200187684A1 (en) Interactive pillowcase
KR101443895B1 (ko) 유아용 서적
KR101732013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US20050106548A1 (en) Interactive book to aid in recognizing and developing various emotional states
KR200466379Y1 (ko) 상황그림판을 이용한 연상학습판
JP3244954U (ja) 教育に基づいた子供向けパズル玩具
JPH057256U (ja) 組立て式遊具マツト
KR200194251Y1 (ko) 교습용 책
Bowen et al. Addressing sensitive issues through picture books
KR20230087747A (ko)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유아용 메모리 게임 보드
KR200272639Y1 (ko) 어린이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