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26B1 -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 Google Patents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26B1
KR102664926B1 KR1020230043624A KR20230043624A KR102664926B1 KR 102664926 B1 KR102664926 B1 KR 102664926B1 KR 1020230043624 A KR1020230043624 A KR 1020230043624A KR 20230043624 A KR20230043624 A KR 20230043624A KR 102664926 B1 KR102664926 B1 KR 10266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pport
head
front suppor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순
Original Assignee
최봉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순 filed Critical 최봉순
Priority to KR102023004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26B1/ko
Priority to KR1020240035569A priority patent/KR2024014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고,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도 줄여주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팔 부위가 유아 전측 지지부에 눌려 야기되는 모로반사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켜주고,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체수용 개구공간의 크기가 가변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에게 인지발달 및 소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주는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유아의 옆 머리 부분이 놓여지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인 신체 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어, 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공간인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인 신체 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후측 지지부(300)와; 상기 헤드부(100),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300)에 충진되는 것으로, 외부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충진재(400);로 이루어진 유아지지용 본체(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Infant support device to prevent moro reflex}
본 발명은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고,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도 줄여주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팔 부위가 유아 전측 지지부에 눌려 야기되는 모로반사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켜주고,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해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시켜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가 벌어지는 것을 차단시켜주고,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체수용 개구공간의 크기가 가변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에게 인지발달 및 소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주는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의 용어 '유아'란 사전적 의미로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유아를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유아란 생후 1년 미만의 유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유아의 경우, 출생 직후의 1년간에는 생애 중 가장 급성장기를 갖게 되며, 이때에 체중은 출생 당시의 3배인 10kg 정도에 도달하게 되고 신장은 1.5배의 성장을 보이게 되며, 이후 체중의 증가는 급격히 둔화 되어 만 2세까지는 2kg 정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출생 직후 유아의 머리는 몸길이의 1/4 정도 되며 머리 둘레는 어깨 둘레와 같고, 다리의 길이는 신체의 3/8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유아의 발육양상은 인간의 생명유지에 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유아 머리의 크기는 키에 비해 먼저 발달하게 되고 상당히 빠른 속도로 성장하게 되어 약 4세경에는 성인의 80% 정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후부터는 거의 평탄한 선을 이루며 성장하게 된다.
특히, 갓 태어난 유아의 경우에는, 아직 머리의 골격을 이루는 뼈가 굳어있지 않고 말랑말랑한 상태에 있어 딱딱한 베개나 솜 베개 등은 사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직 근골격이 완성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인위적으로 베개의 상면부를 오목하게 한 유아용 베개(특허문헌1 참조)를 사용하여 유아 머리의 뒤통수의 모양이 동그스름한 형태로 골격이 잡혀 지게 유도한다.
한편, 유아가 태어나면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속싸개를 이용하여 유아의 몸을 감싸주는데, 속싸개로 유아의 신체를 감싸주게 되면 외부 소음에도 놀라지 않고 잠을 잘자며 하루 대부분을 수면 상태로 지내게 된다.
이 때문에, 속싸개에 감싸여진 유아는 수면 외 시간에 움직임으로 인해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속싸개가 풀리는 경우가 많아 보호자가 속싸개를 다시 감싸주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유아가 성장하면서 잠이 점점 줄어들고 움직임이 많아지면서 더욱더 자주 반복되기 때문에, 보호자가 유아의 속싸개를 풀어줄 경우 유아는 외부소음이나 외부자극으로 인하여 팔과 발을 벌리고 깜짝 놀라는 반사운동인 모로반사를 보이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유아는 문을 열 때 발생하는 소리, 방에 위치되는 장난감을 끌 때 발생하는 소리 등 작은 외부소음에도 놀라 반응하고, 심한 경우 자신의 팔을 번쩍 들어 올리는 경우에도 놀라 반응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팔이 바둥거리는 것을 자연스럽게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와 더불어,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도 줄여주는 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KR 10-1934041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는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도 줄여주는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는, 유아의 옆 머리 부분이 놓여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인 신체 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어, 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공간인 신체수용 개구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인 신체 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후측 지지부와; 상기 헤드부,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에 충진되는 것으로, 외부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충진재;로 이루어진 유아지지용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에는, 유아의 옆 머리가 안착 수용되는 공간인 두상안착공간이 요홈형성되어진다.
상기 헤드부에는, 유아의 얼굴라인이 상기 헤드부를 이루는 면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시켜주는 안면이격용 라인을 상기 헤드부에 박음질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도록,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 중 일부 양측을 박음질 하되, 그 박음질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충진재의 충진을 차단시켜,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지 않은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의 하측에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확보하는 공간인 유아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유도하여 준다.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전측돌조부가 돌출되고,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후측돌조부가 돌출되어진다.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상기 헤드부가 내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 삽입부의 하부 일측에 연통되어,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가 내입되는 전측지지 삽입부 및 상기 헤드 삽입부의 하부 타측에 연통되어,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가 내입되는 후측지지 삽입부로 이루어진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의 전측지지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체수용 개구공간에 놓여진 유아에 접촉되는 전측고정날개와; 상기 커버체의 후측지지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측고정날개에 포개어지는 후측고정날개와; 포개어진 상기 전측고정날개과 상기 후측고정날개 간을 고정시켜주는 날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의 신체수용 개구공간의 크기가 유지하도록 상기 전측지지 삽입부 및 상기 후측지지 삽입부를 고정시켜 주되,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신체수용 개구공간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크기조절용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체의 헤드부에는, 유아가 만질 수 있는 위치에 감촉이 부드러운 벨보아 원단재질로 이루어진 손접촉 영역이 박음질되어 구비되어진다.
본 발명은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도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팔 부위가 유아 전측 지지부에 눌려 야기되는 모로반사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해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시켜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가 벌어지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체수용 개구공간의 크기가 가변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에게 인지발달 및 소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이루는 구성 중 유아지지용 본체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를 이루는 구성 중 유아지지용 본체에 유아가 고정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 유아가 고정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도록,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는 크게, 유아지지용 본체(A) 및 커버체(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유아지지용 본체(A)는 속싸개를 대신하여 잠을 자거나 놀고 있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여 주어 모로반사나 불안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도록 옆으로 누운 유아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아지지용 본체(A)에는 헤드부(100), 유아 전측 지지부(200), 유아 후측 지지부(300) 및 충진재(400)가 구비되어진다.
이중, 헤드부(100)는 유아의 옆 머리 부분이 놓여지는 부재로서, 유아가 사두증이나 단두증과 같은 두상 변형을 방지하도록, 헤드부(100)에는 유아의 옆 머리가 안착 수용되는 공간인 두상안착공간(110)이 요홈형성되어진다.
또한, 유아가 옆으로 누워 있을 시 야기되는 질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되도록, 헤드부(100)에는, 유아의 얼굴라인이 헤드부(100)를 이루는 면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시켜주는 안면이격용 라인(120)을 헤드부(100)에 박음질하여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부(100)는 면이나 기모와 같은 플렉서블한 천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는 헤드부(100)의 하부 일측에 연통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인 신체 전측을 지지하여 주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는 헤드부(100)와 동일한 재질로서, 면이나 기모와 같은 플렉서블한 천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300)는 헤드부(100)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어, 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공간인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인 신체 후측을 지지하여 주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아 후측 지지부(300)는 헤드부(100)와 동일한 재질로서, 면이나 기모와 같은 플렉서블한 천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헤드부(100)의 하부 일측 및 하추 타측에 각각 연결된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하부가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커지는 신체 크기에 맞춰 헤드부(100)에 각각 연결된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를 조절함으로써,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의 크기를 유아의 신장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충진재(40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인 외부충격이 유아에게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시켜주고, 우수한 쿠션감을 통해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에게 압박 정도를 완화시켜 주는 부재로서, 헤드부(100),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에 충진되어 제공되어진다.
이를 위해, 헤드부(100)에는 개폐가 가능한 헤드측 지퍼(130)헤드측 지퍼(130)고,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헤드부(100),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간에는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충진재(400)의 재질은 적은 밀도를 가지면서 부드러운 쿠션력을 가지는 솜이나 스폰지 재질 또는 저탄성 메모리폼(memory form) 재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직물, 공기함유형 튜브, 다공성 수지, 복수개로 구성되는 연성알갱이, 발포형 폼과 같은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솜으로 특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팔 부위가 유아 전측 지지부(200)에 눌려 야기되는 모로반사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도록, 유아 전측 지지부(200) 중 일부 양측을 박음질 하되, 그 박음질되는 내부 공간에 충진재(400)의 충진을 차단시켜, 충진재(400)가 충진되지 않은 유아 전측 지지부(200)의 하측에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확보하는 공간인 유아손 수용공간(201)이 형성되게 한다.
이를 통해, 유아는 자신의 팔 부위가 유아 전측 지지부(200)에 눌려지지 않아 신체의 불편함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편하고 안정되게 지지되어진다.
여기서, 유아 전측 지지부(200)는 유아손 수용공간(201)의 형성으로 인해 헤드부(100)와의 연통구조가 차단되어진다. 이 때문에, 충진재(400)를 별도로 충진할 수 있도록, 유아 전측 지지부(200)에 개폐가 가능한 별도의 지지측 지퍼(220)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전측돌조부(210)가 돌출되고,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유아 후측 지지부(300)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후측돌조부(310)가 돌출되어진다.
이를 통해, 유아 전측 지지부(200)의 가압지지용 전측돌조부(210)가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 부분을 가압 접촉되게 지지하고, 유아 후측 지지부(300)의 가압지지용 후측돌조부(310)가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 부분을 가압 접촉되게 지지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지지용 본체(A)가 오염되지 않게 유아지지용 본체(A)에 씌워지는 커버체(500)가 더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체(500)의 세부구성은 헤드부(100),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가 내삽되되, 헤드부(100),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내삽시켜주는 것으로, 헤드부(100)가 내입되는 헤드 삽입부(510), 헤드 삽입부(510)의 하부 일측에 연통되어, 유아 전측 지지부(200)가 내입되는 전측지지 삽입부(520) 및 헤드 삽입부(510)의 하부 타측에 연통되어, 유아 후측 지지부(300)가 내입되는 후측지지 삽입부(530)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해 유아의 배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시켜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가 벌어지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삭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커버체(500)의 전측지지 삽입부(520)에 연결되어,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에 놓여진 유아에 접촉되는 전측고정날개(521), 커버체(500)의 후측지지 삽입부(530)에 연결되어, 전측고정날개(521)에 포개어지는 후측고정날개(531) 및 포개어진 전측고정날개(521)과 후측고정날개(531) 간을 고정시켜주는 날개 고정부재(540)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날개 고정부재(54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암수의 벨크로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암수의 벨크로테이프와 같이 단계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암수의 후크나 단추 및 고리 등 다양한 고정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 전측 지지부 및 유아 후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의 크기가 가변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의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의 크기가 유지하도록 전측지지 삽입부(520) 및 후측지지 삽입부(530)를 고정시켜 주되,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크기조절용 고정부재(55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크기조절용 고정부재(550)의 세부구성은 전측지지 삽입부(520)에 구비되는 길이조절용 끈(551a)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버클() 및 후측지지 삽입부(530)에 구비되는 고정끈(552a)에 연결되는 숫버클(552)숫버클(552)진다.
한편, 크기조절용 고정부재(550)는 암수의 벨크로테이프로 대체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서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에게 인지발달 및 소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에는 커버체(500)의 헤드부(100)에 유아가 만질 수 있는 위치에 감촉이 부드러운 벨보아 원단재질로 이루어진 손접촉 영역(511)이 박음질되어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유아 후측 지지부(300) 사이에 지지되는 유아가 자연스럽게 손접촉 영역(511)을 만지는 행위를 통해, 인지발달이나 소근육 발달을 촉진시켜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A : 유아지지용 본체
100 : 헤드부
200 : 유아 전측지지부
300 : 유아 후측지지부
400 : 충진재
500 : 커버체

Claims (8)

  1. 유아의 옆 머리 부분이 놓여지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인 신체 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전측 지지부(200)와;
    상기 헤드부(100)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어, 유아의 신체가 놓여지는 공간인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인 신체 후측을 지지하여 주는 유아 후측 지지부(300)와;
    상기 헤드부(100),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 및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300)에 충진되는 것으로, 외부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충진재(400);로 이루어진 유아지지용 본체(A)를 포함하고,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도록,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 중 일부 양측을 박음질 하되, 그 박음질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충진재(400)의 충진을 차단시켜, 상기 충진재(400)가 충진되지 않은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의 하측에 옆으로 누운 유아의 양팔 중 바닥에 접촉되는 팔이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확보하는 공간인 유아손 수용공간(201)이 형성되게 유도하여 주며,
    상기 헤드부(100)가 내입되는 헤드 삽입부(510), 상기 헤드 삽입부(510)의 하부 일측에 연통되어,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가 내입되는 전측지지 삽입부(520) 및 상기 헤드 삽입부(510)의 하부 타측에 연통되어,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300)가 내입되는 후측지지 삽입부(530)로 이루어진 커버체(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500)의 전측지지 삽입부(520)에 연결되어, 상기 신체수용 개구공간(301)에 놓여진 유아에 접촉되는 전측고정날개(521)와;
    상기 커버체(500)의 후측지지 삽입부(530)에 연결되어, 상기 전측고정날개(521)에 포개어지는 후측고정날개(531)와;
    포개어진 상기 전측고정날개(521)과 상기 후측고정날개(531) 간을 고정시켜주는 날개 고정부재(5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00)에는, 유아의 옆 머리가 안착 수용되는 공간인 두상안착공간(110)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00)에는, 유아의 얼굴라인이 상기 헤드부(100)를 이루는 면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시켜주는 안면이격용 라인(120)을 상기 헤드부(100)에 박음질하여 형성하며,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상기 유아 전측 지지부(200)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배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전측돌조부(210)가 돌출되고,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접촉지지되는 상기 유아 후측 지지부(300)의 일측에는, 유아의 신체부위 중 등 부위에 가압지지되는 가압지지용 후측돌조부(310)가 돌출되며,
    상기 가압지지용 전측돌조부(210)의 위치는 상기 가압지지용 후측돌조부(310)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43624A 2023-04-03 2023-04-03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KR10266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624A KR102664926B1 (ko) 2023-04-03 2023-04-03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KR1020240035569A KR20240148260A (ko) 2023-04-03 2024-03-14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624A KR102664926B1 (ko) 2023-04-03 2023-04-03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569A Division KR20240148260A (ko) 2023-04-03 2024-03-14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926B1 true KR102664926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24A KR102664926B1 (ko) 2023-04-03 2023-04-03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KR1020240035569A KR20240148260A (ko) 2023-04-03 2024-03-14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569A KR20240148260A (ko) 2023-04-03 2024-03-14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492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934B1 (en) * 2003-08-14 2004-07-13 Jamie S. Leach Symmetrically contoured support pillow
US20050066443A1 (en) * 2003-07-17 2005-03-31 Deborah Rivera-Wienhold Shaped body pillows and pillowcases
KR20110002662U (ko) * 2009-09-09 2011-03-16 주식회사아이코닉스엔터테인먼트 베개 책
KR200470931Y1 (ko) * 2013-10-20 2014-01-17 주식회사 홈파워 쿠션베개 및 쿠션베개 결합체
US9021635B1 (en) * 2009-06-10 2015-05-05 Jamie S. Leach Body pillow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20170318865A1 (en) * 2016-05-03 2017-11-09 Swapna Karnati Infant wrap and carrier
KR101934041B1 (ko) 2017-04-06 2018-12-3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영유아용 기능성 베개
KR200493969Y1 (ko) * 2020-06-10 2021-07-08 조은님 슬립서포터
KR200494646Y1 (ko) * 2020-11-27 2021-11-22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30030183A (ko) * 2021-08-25 2023-03-06 백인환 두상 교정 기능을 갖는 영유아용 베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6443A1 (en) * 2003-07-17 2005-03-31 Deborah Rivera-Wienhold Shaped body pillows and pillowcases
US6760934B1 (en) * 2003-08-14 2004-07-13 Jamie S. Leach Symmetrically contoured support pillow
US9021635B1 (en) * 2009-06-10 2015-05-05 Jamie S. Leach Body pillow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KR20110002662U (ko) * 2009-09-09 2011-03-16 주식회사아이코닉스엔터테인먼트 베개 책
KR200470931Y1 (ko) * 2013-10-20 2014-01-17 주식회사 홈파워 쿠션베개 및 쿠션베개 결합체
US20170318865A1 (en) * 2016-05-03 2017-11-09 Swapna Karnati Infant wrap and carrier
KR101934041B1 (ko) 2017-04-06 2018-12-3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영유아용 기능성 베개
KR200493969Y1 (ko) * 2020-06-10 2021-07-08 조은님 슬립서포터
KR200494646Y1 (ko) * 2020-11-27 2021-11-22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30030183A (ko) * 2021-08-25 2023-03-06 백인환 두상 교정 기능을 갖는 영유아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8260A (ko) 202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1134A (en) Infant support pillow
US9883751B1 (en) Multifunction infant bed
US5499418A (en) Body support for a baby
US5450640A (en) Infant sleep support
US20240023640A1 (en) Infant swaddle sack with harness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KR200493969Y1 (ko) 슬립서포터
US10897666B2 (en) Sound-attenu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30146723A1 (en) Head supporting apparatus
KR20200009787A (ko) 아기 침대
KR102664926B1 (ko) 모로반사 방지용 유아지지기구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US6029295A (en) Annular pillow with metal mesh material cover
ES2241617T3 (es) Colchon para soportar un bebe.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KR100897481B1 (ko) 영유아의 질식사 및 자세성 머리변형 예방을 위한자세유지기
KR101635775B1 (ko) 유아 숙면 보조용 기능성 매트
CN220024634U (zh) 一种能调节的组装式婴儿体位管理垫
KR101886795B1 (ko) 다기능 유아용 침구
WO2000038611A2 (ko) Multi-function cushion
KR200235477Y1 (ko) 다기능 쿠션 패드
CN216603204U (zh) 早产儿减音防光专用保护垫
EP3482655A1 (en) Infant bed
KR20120055899A (ko) 팔베개
CN211433856U (zh) 一种多功能护理鸟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