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477Y1 - 다기능 쿠션 패드 - Google Patents

다기능 쿠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477Y1
KR200235477Y1 KR20010007230U KR20010007230U KR200235477Y1 KR 200235477 Y1 KR200235477 Y1 KR 200235477Y1 KR 20010007230 U KR20010007230 U KR 20010007230U KR 20010007230 U KR20010007230 U KR 20010007230U KR 200235477 Y1 KR200235477 Y1 KR 200235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ad
sleep
connecting member
cush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07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 중 강
Original Assignee
도 중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 중 강 filed Critical 도 중 강
Priority to KR20010007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자리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팔이나 다리 등의 겹쳐짐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함과 더불어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하고, 잠이 든 후에도 잠자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쿠션 패드를 제공한다.
이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연결부재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쿠션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상기 쿠션의 측면 소정 부위 또는 아래쪽 소정부위와 연결부재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통상적인 요 또는 패드의 기능을 행하도록 구성됨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쿠션 패드{MULTI FUNCTIONAL CUSHION PAD}
본 고안은 다기능 쿠션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시에 신체일부의 압박감을 덜어주어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수면을 유도함과 아울러, 유아들의 수면시 잠자리의 이동이나 뒤척임 등을 방지하도록 한 다기능 쿠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시에 좀 더 편안하고 쾌적한 수면을 유도하도록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게 된다.
그런데, 수면시 잠자리의 뒤척임 등에 의하여 옆으로 돌아눕는 경우에 팔이나 다리 등에 압박감을 주게 되어 혈액순환이 올바르게 되지 않게 됨으로써 팔이나 다리 등에 결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에는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경우 자칫 배에 심한 압박감을 주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자리 뒤척임이 심한 사람인 경우에는 옆에서 수면을 취하고 있는 사람의 신체 위에 팔이나 다리를 얹어 압박하게 됨으로써 옆사람의 수면까지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자신은 물론 옆사람의 수면까지 방해하게 되어 편안하고 쾌적한 수면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수면시 잠자리의 이동과 뒤척임이 빈번한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대된다.
즉, 어른들과 같이 수면을 취하는 경우 유아나 어린아이가 잠자리를 이동하여 어른의 주변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어른의 잠자리 뒤척임에 의해 팔이나 다리 등에 깔리게 되어 호흡 곤란 등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잠자리의 뒤척임시에 팔이나 다리 등의 겹쳐짐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하도록 하고, 또한 유아나 어린 아이 또는 어른들의 수면시에 잠자리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쿠션을 출원한바 있다(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10263호).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쿠션(100,110)이 연결부재(120)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서, 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 2를 보면 사람이 쿠션(100,110)을 팔이나 허리 또는 다리 위치의 양옆에 각각 두고 연결부재(120)의 위에 눕게 되면, 연결부재(120)에 의해 쿠션(100,110)이 취침자의 위치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면시 뒤척일 때 다리나 팔을 좌측 또는 우측의 쿠션(100,110)위에 얹을 수 있어 좀 더 안락해지고 또한 팔다리가 겹쳐 압박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유아나 어린아이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쿠션(100,110)을 양옆에 놓고 연결부재(120)위에 눕게 함으로써 수면 중에 잠자리의 이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 다기능 쿠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로써, 한쌍의 쿠션(100,110)중 어느 하나의 쿠션을 머리에 베고, 다른 쪽의 쿠션에는 다리를 올려놓음으로써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편안한 수면과 함께 다리의 피로를 풀 수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하나의 쿠션을 베개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쿠션은 다리의 피로를 풀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이러한 자세는 잠들기 전에는 유지할 수 있으나, 잠이 든 후에는 뒤척임 등에 의하여 옆으로 돌아눕는 등 그 자세가 유지되기 어려워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옆으로의 잠자리 이탈이 발생할 수 있어 옆사람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며, 옆에 어린아이가 자고 있는 경우 어린아이가 성인의 다리나 팔 등에 깔리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잠자리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팔이나 다리 등의 겹쳐짐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함과 더불어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하고, 잠이 든 후에도 잠자리의 이탈을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쿠션 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기능 쿠션을 나타낸 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대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쿠션 패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패드 12,13,14,22,23,24 : 쿠션
21 : 요 15,16,17,25,26,27 : 결합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쿠션 패드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연결부재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쿠션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상기 쿠션의 측면 소정 부위 또는 아래쪽 소정부위와 연결부재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통상적인 요 또는 패드의 기능을 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쿠션 패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로서,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패드(11)의 3면(좌우측과 하측)의 소정부위의 가장자리나 단부에 쿠션(12,13,14)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패드(1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드러운 천이나 담요 또는 천에 솜이나 패딩 등을 얇게 누빈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패드(11)의 길이와 폭은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쿠션(12,13,14)은 부드러운 천이나 담요, 누빈 원단(천)으로 된 커버에 스폰지나 솜 또는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원적외선 방출소재 등이 내장된 것으로, 여름철에는 대나무 망(일명 죽부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반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11)와 쿠션(12,13,14)은 박음질 등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결합부재(15,16,17)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15,16,17)는 지퍼나 버튼(단추, 스냅) 또는 매직 파스너(일명 찍찍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16,17)는 쿠션(12,13,14)의 측면 또는 아래쪽 소정부위와 상기 쿠션(12,13,14)이 결합될 패드(11)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쿠션(12,13,14)과 패드(11)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다기능 쿠션 패드의 사용 상태를 일 예를 들어 보인도로서, 도 5는 패드(11)의 3면에 구성된 쿠션(12,13,14)중 하측에 구성된 쿠션(14)에 다리를 올려놓음으로써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편안한 수면과 함께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패드(11)의 좌우측에 구비된 쿠션(12,13)에 의해 잠자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옆으로 누워 패드(11)의 좌우측에 구비된 쿠션(12,13)에 무릎이나 다리 등을 걸치게 되면 좀 더 편안하고 안락해지고 또한 팔다리가 겹쳐 압박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어린아이나 유아들의 경우, 쿠션(14)이 위치한 방향으로 다리가 향하도록 하여 쿠션(12,13) 사이의 패드(11)에 눕히게 되면 수면 중에 잠자리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요(Mattress)(21)의 3면의 소정부위의 가장자리나 단부에 쿠션(22,23,24)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요(21)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요의 크기로 하여 별도의 요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며, 그 재질 역시 담요나 누빈 원단과 같이 통상적으로 요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면 되며, 그 길이와 폭은 용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쿠션(22,23,24)은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부드러운 천이나 담요, 누빈 원단(천)으로 된 커버에 스폰지나 솜 또는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원적외선 방출소재 등이 내장된 것으로, 여름철에는 대나무 망(일명 죽부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반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 요(21)와 쿠션(22,23,24)은 상기 실시 예와 같이, 박음질 등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결합부재(25,26,27)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25,26,27)는 지퍼나 버튼(단추, 스냅) 또는 매직 파스너(일명 찍찍이)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결합부재(25,26,27)의 기타 사항은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약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는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나, 요(21)를 사용하므로 별도의 요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 들의 변형 예로서 요(21)의 4면(상하좌우)의 끝(단부나 가장자리)에 쿠션을 부착한 형태를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로 누우면 머리와 다리를 받칠 수 있고, 옆으로 누우면 무릎이나 다리를 걸칠 수 있어 보다 안락하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드나 요의 3면 또는 4면의 가장자리나 단부에 쿠션을 구비함으로써 잠자리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팔이나 다리 등의 겹쳐짐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함과 더불어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어 보다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잠이 든 후에도 잠자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유아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옆사람의 수면방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연결부재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쿠션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상기 쿠션의 측면 소정 부위 또는 아래쪽 소정부위와 연결부재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통상적인 요 또는 패드의 기능을 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쿠션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지퍼 또는 버튼 또는 스냅 또는 매직 파스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쿠션 패드.
KR20010007230U 2001-03-16 2001-03-16 다기능 쿠션 패드 KR200235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7230U KR200235477Y1 (ko) 2001-03-16 2001-03-16 다기능 쿠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7230U KR200235477Y1 (ko) 2001-03-16 2001-03-16 다기능 쿠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477Y1 true KR200235477Y1 (ko) 2001-10-08

Family

ID=6259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7230U KR200235477Y1 (ko) 2001-03-16 2001-03-16 다기능 쿠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4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121A (ko) 2015-06-17 2016-12-27 신유진 수면 쿠션
KR101748317B1 (ko) * 2016-11-24 2017-06-16 손서원 아기용 쿠션
KR200487965Y1 (ko) * 2018-03-09 2018-11-28 베드메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아용 침구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121A (ko) 2015-06-17 2016-12-27 신유진 수면 쿠션
KR101748317B1 (ko) * 2016-11-24 2017-06-16 손서원 아기용 쿠션
WO2018097452A1 (ko) * 2016-11-24 2018-05-31 손서원 아기용 쿠션
KR200487965Y1 (ko) * 2018-03-09 2018-11-28 베드메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아용 침구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886A (en) Baby blanket
US7584515B2 (en) Snuggle pockets
US9924812B1 (en) Infant safety mattress pad
US10051969B2 (en) Bed sheet with an integrated body positioner
US10448746B2 (en) Bed sheet with an integrated body positioner
US20100043147A1 (en) Tubular pillows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ends and related methods
WO2004062340A2 (en) Easily changeable absorbent panel for bed clothing
KR102240073B1 (ko) 유아용 속싸개
AU2005336940A1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5208925A (en) Sheet for inclined infant mattress
US20100115700A1 (en) Sweet dreams blanket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KR20200009787A (ko) 아기 침대
KR200271294Y1 (ko) 다기능 쿠션
KR102127677B1 (ko) 유아용 다기능 침구
KR200235477Y1 (ko) 다기능 쿠션 패드
US2014025940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oiling of bedclothing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AU772185B2 (en) Bedding assembly
US20100059068A1 (en) Fixation Wrap System for a Human or Animal Body
JP2000279301A (ja)
KR20230043265A (ko)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CN215015579U (zh) 一种孩童睡姿矫正垫
KR20130009107A (ko) 육아용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