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97452A1 - 아기용 쿠션 - Google Patents

아기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97452A1
WO2018097452A1 PCT/KR2017/008216 KR2017008216W WO2018097452A1 WO 2018097452 A1 WO2018097452 A1 WO 2018097452A1 KR 2017008216 W KR2017008216 W KR 2017008216W WO 2018097452 A1 WO2018097452 A1 WO 20180974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shion
baby
pillow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2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서원
Original Assignee
손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서원 filed Critical 손서원
Publication of WO20180974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974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for a baby, and a pillow and a cushion part are formed to lean on the head and body part of the baby (infant / infant), so that the baby's body can be fixed without being overturned while sleeping, such as choking.
  • the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cushion part can be detachably applied to a user's situation, as well as to maintain a baby cushion that is easy to maintain.
  • the pillow is to support the neck of the user to make a good night's sleep.
  • infants are instinctively moving their hands or feet, and there wa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suffocation due to a blanket covering the face or lying on their own by this activity.
  • the infant pillow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377,121 provides only a head restraint and a neck rest to support the neck and head, so that the infant can sleep more comfortably and is turned upside down. There wa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cannot be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upled to detachable on both sides of the pillow portion to secure the baby's body, and the pillow unit can put the head of the baby (infant / infant)
  • the pair of cushioning portions allow the baby to be fixed without turning over while the baby is sleeping, thereby providing a baby cushion that can prevent an accident such as choking.
  •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to provide a baby cush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baby of various body shape by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cushion portion by the seat belt.
  • a ventilation groove i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that can be fixed to the baby's body (arm / leg) provides a baby cushion to prevent skin problems of the relatively weak baby and to control the temperature.
  • the cushion par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can be applied to a shape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the baby is sleeping, lying or lying down, and provides a baby cushion for easy maintenance such as washing and repairing.
  •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10 having a concave shape to allow the baby's head to be seated, and a pillow part filled with the cushion member 120 therein ( 100);
  • a pair of cushioning unit 20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illow unit 100 to be mutually symmetrical relative to the pillow unit, the cushion unit 200 has at least two seating portion 30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 the cushion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210 is further included in a portion coupled to the pillow unit 100 to be detachable.
  • the cushion unit 200 has a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 female, male velcro (231, 23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can adjust the gap of the cushion portion
  • Seat belt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 the cushion part 300 when the arm and leg portion of the baby's body is covered, to prevent the arm or leg from flowing down,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turned over during sleep, safety accidents, the cush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based on the body of (200).
  • the seating portion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ntilation groove 310 to allow the air to pass through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baby in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ow unit which can put the head of a baby (infant / infant), and a pair of cushioning units which are combi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illow unit to fix the baby's body while the baby sleeps.
  • This can be fixed without overturning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choking in advance.
  •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portion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cushion portion by the seat bel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baby.
  • the cushion portion can be attached to transform the shape suitable for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when sleeping, lying or lying d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sy maintenance, such as washing, repair.
  •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ow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ow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s 6 to 7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by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illow part 100, a cushion part 200, and a seating part 300.
  • the pillow part 100 is provided with a head part 110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the head of the baby can be seated, and the cushion member 120 is filled therein.
  • the head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by a seam to the edge portion to maintain a concave shape, it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llow portion (100).
  • the head part 110 serves to support the baby's head softly and comfortably, and at the same time, the larynx of the baby's head is naturally positioned to form a desirable skeleton of the head, and a good night's sleep in a comfortable position. Can be induced.
  • the cushion member 120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 cushioning body having elasticity such as urethane or latex rubber, and may be formed of a filling member such as cotton or millet.
  • the pillow part 100 since the pillow part 1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by's skin, it may be preferably made of a fabric material that is soft to the touch and does not cause skin troubles.
  • the cushion portion 2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illow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pair of cushioning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ymmetrically based on the pillow portion.
  • the cushion unit 200 is formed inside the cushion member 120, like the pillow unit 100.
  • the cushion 200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210 is further included in the portion coupled to the pillow unit 100 to be detachable.
  • the fastening member 210 is preferably a zipper (zipper) form or is formed of a dot button, which will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arious forms.
  • the fastening member 210 allows the pillow unit 100 and the cushion unit 200 to be detachabl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hapes such as a state of holding or lying a baby.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 the cushion part when feeding or sleeping the baby while the baby's mother is lying down, by operating in a state in which only one of the cushion parts 200 is fastened, the cushion part may be in a lying state together with the baby in the non-fastened state. It can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t it down again after holding it up or sleeping.
  • the cushion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 safety belt 230 is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o adjust the gap of the cushion portion.
  • the connec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 the safety belt 23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male velcro (231, 232) so that it can be attach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ing shape.
  • connecting portion 220 is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6 to 9, the first block 221 and the second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block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 222).
  • connection part 220 may mean to fix and open the seat belt 230 by binding and separating the first block 221 and the second block 222.
  •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222 may be opened based on a rotation axis (hinge), and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may be formed to be bent so as to be easily opened by a user. Can be.
  • the user may fix the seat belt by closing the seat belt 230 above the first block 221 and then rotating the second block 222 to close the seat belt 230.
  • the first block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is disposed o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223 and the first inner side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lock 222.
  • the first packing 224 is formed in the second block 222, the second inner surface 225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block 221 Packing 226 is formed.
  • first packing 224 and the second packing 226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 the first packing 224 and the second packing 226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ck 221 and the second block 222 so that the seat belt 230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ackings. It may be fixed in a st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may be more firmly fixed by an elastic material.
  •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packing 224 becomes thicker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lock 222 is coupled to the first block 221,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acking 226 is the second.
  • the block 2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thicker toward the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first block 221.
  • the first packing 224 and the second packing 226 has a gradi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rotating and fixing the second block 22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fter the user posts the seat belt.
  • the structure allows for a stronger clamping force.
  • the first packing 22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22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first packing 224 includes a through hole 227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228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o support the first packing.
  • the fixed shaft 229 of the support 228 is used as a reference.
  • the first packing is formed to allow a predetermined rotational motion.
  • the through hole 227 extends along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first packing 224, and the first packing moves left and right about the support 228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his is characterized by possible.
  • the baby may have a comfortable fit without the cushion portion 200 being too tight. You can do it.
  • the second packing 226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acking 224, but in conside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e second packing 226 is on the second inner side (235) It is preferred to be placed directly at.
  • the cushion portion 200 is preferably at least two seating portion 3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ating portion 300 is to allow the arms and legs of the baby's body to be placed, to prevent the baby's arms or legs from flowing down, and to prevent the body from overturning during sleep.
  • the seating portion 300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based on the body of the cushion portion 200, as shown in Figure 4,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groove 310 is further included on the inside.
  • the seating part 300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to serve to comfortably rest the arms and legs on the baby's body structure.
  • the ventilation groove 310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one inside the seating portion, even when the baby's arm or leg is placed so that the air can pass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of the baby even in the hot summer
  • the body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skin troubles such as sweat and eczema.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ow unit which can put the head of a baby (infant / infant), and a pair of cushioning units which are combi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illow unit to fix the baby's body while the baby sleeps.
  • This can be fixed without overturning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choking in advance.
  •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portion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cushion portion by the seat bel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baby.
  • the cushion portion can be attached to transform the shape suitable for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when sleeping, lying or lying d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sy maintenance, such as washing, rep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아기(영/유아)의 머리와 신체부분을 기대어 잘 수 있도록 베개부와 쿠션부가 형성되어 자는 동안 아기의 몸이 뒤집히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대해 알맞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아기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기용 쿠션
본 발명은 아기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아기(영/유아)의 머리와 신체부분을 기대어 잘 수 있도록 베개부와 쿠션부가 형성되어 자는 동안 아기의 몸이 뒤집히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대해 알맞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아기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베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영)유아들이 보다 편안하게 잠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드는 베개가 필요했다.
또한, 유아가 보다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도록 유아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유아를 보호하면서도 가슴부분에 무게를 주어 안정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또한, 영유아의 경우 본능적으로 손이나 발을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활동에 의해 이불이 안면을 덮거나 또는 스스로 엎드린 상태가 되어 질식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7,121호에 개시되어 있는 영유아용 베개는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를 제공하여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기술만 개시하고 있을 뿐이어서 유아가 보다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고, 뒤집혀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영/유아)의 머리를 놓일 수 있는 베개부와, 아기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개부의 양측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부에 의해 아기가 자는 동안 몸이 뒤집히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기용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쿠션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가 마련되어 안전띠에 의해 쿠션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체형의 아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용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아기의 신체(팔/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의 내측에 통풍홈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연약한 아기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용 쿠션을 제공한다.
아울러, 쿠션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아기를 재울 때, 안거나 또는 눕힌 상태 등 다양한 상황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세탁, 수선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아기용 쿠션을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은 아기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부(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쿠션부재(120)가 충진된 베개부(100)와; 상기 베개부(100)의 양측 단부에 베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200)는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쿠션부(20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개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체결부재(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부착되도록 외주면에 암, 수 벨크로(231,232)가 형성되어 쿠션부의 간격 조절을 할 수 있는 안전띠(2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300)는 아기의 신체 중 팔과 다리 부분이 걸쳐지는 경우, 팔이나 다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면 중에 몸이 뒤집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쿠션부(200)의 몸체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300)는 내측에는 공기가 통과하여 아기의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통풍홈(31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기(영/유아)의 머리를 놓일 수 있는 베개부와, 아기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개부의 양측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부에 의해 아기가 자는 동안 몸이 뒤집히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가 마련되어 안전띠에 의해 쿠션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체형의 아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신체(팔/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의 내측에 통풍홈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연약한 아기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쿠션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아기를 재울 때, 안거나 또는 눕힌 상태 등 다양한 상황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세탁, 수선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부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사시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부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의 사시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쿠션은 바람직하게는 베개부(100)와, 쿠션부(200)와, 안착부(3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베개부(100)는 아기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부(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쿠션부재(120)가 충진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10)는 오목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테두리 부분을 재봉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베개부(100)의 중앙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10)는 아기의 머리 부분을 부드럽고 포근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아기의 머리 부분 중 후두부가 자연스럽게 위치하도록 하여 바람직한 두상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또는 라텍스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쿠션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솜이나 좁쌀 등의 충진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개부(100)는 아기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촉감이 부드럽고 피부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는 직물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베개부(100)의 양측 단부에 베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결합되도록 한 쌍의 쿠션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쿠션부(200)는 베개부(10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쿠션부재(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200)는 바람직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개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체결부재(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10)는 바람직하게는 지퍼(zipper)형태이거나 또는 도트단추로 형성되며, 이는 당업자라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재(210)는 베개부(100)와 쿠션부(20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아기를 안거나 또는 눕힌 상태 등 다양한 상황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세탁, 수선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아기의 엄마가 누운 상태에서 아기에게 수유를 하거나 재울 때, 쿠션부(200)의 어느 한쪽만을 체결한 상태로 조작하여 쿠션부가 체결되지 않은 쪽에서 아기와 함께 누운상태로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안거나 업고서 재운 후 다시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어 쿠션부의 간격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띠(2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2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전띠(230)는 외주면에 암, 수 벨크로(231,232)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 형태의 연결부를 관통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블록(221)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되어 일측을 회전축으로 타측이 회전 가능한 제2블록(2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부(220)는 제1블록(221) 및 제2블록(222)의 결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안전띠(230)를 고정 및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결부(220)를 통해 안전띠(230)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블록(222)의 일측에 회전축(힌지)을 기준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제2블록의 일측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안전띠(230)를 상기 제1블록(221)의 위에 위치한 후, 제2블록(222)을 회전시켜 폐쇄함으로서, 안전띠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띠(23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연결부(220)의 제1블록(221)은 상기 제2블록(222)과 접촉되는 제1내측면(223) 및 상기 제1내측면 상에 배치된 제1패킹(2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222)은 상기 제1블록(221)과 접촉되는 제2내측면(225) 및 상기 제2내측면 상에 배치된 제2패킹(2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패킹(224) 및 제2패킹(226)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방법에서 상기 제1블록(221)과 제2블록(222)의 사이에 제1패킹(224) 및 제2패킹(226)이 배치되어 안전띠(230)가 상기 제1,2패킹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 소재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킹(224)의 단면은 상기 제2블록(222)이 상기 제1블록(221)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고, 상기 제2패킹(226)의 단면은 상기 제2블록(222)이 상기 제1블록(221)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패킹(224) 및 제2패킹(226)은 사용자가 안전띠를 게재한 후, 제2블록(222)을 제1블록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배를 갖는 구조를 통해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패킹(224)은 상기 제1내측면(22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패킹(224)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27)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패킹을 지지하는 지지대(228)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패킹(224)이 제1블록(221)의 제1내측면(223)과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지지대(228)의 고정축(229)를 기준으로 제1패킹이 소정의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27)은 상기 제1패킹(224)의 너비(W)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패킹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지지대(228)를 중심으로 좌,우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패킹(224)의 지지대(228)에 의한 회전 운동 및 관통홀(227)에 의한 좌,우 운동에 따라 아기로 하여금 쿠션부(200)가 너무 꽉 조이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패킹(226)은 상기 제1패킹(224)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부(220)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제2패킹(226)은 제2내측면(235)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쿠션부(200)는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착부(3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300)는 아기의 신체 중 팔과 다리 부분이 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의 팔이나 다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면 중에 몸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3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200)의 몸체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통풍홈(31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안착부(300)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아기의 신체 구조상 팔, 다리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통풍홈(310)은 바람직하게는 안착부의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아기의 팔이나 다리가 놓여진 상태에서도 통풍홈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운 여름철에도 아기의 체온조절이 가능하여 땀띠, 습진 등의 피부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기(영/유아)의 머리를 놓일 수 있는 베개부와, 아기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개부의 양측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부에 의해 아기가 자는 동안 몸이 뒤집히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가 마련되어 안전띠에 의해 쿠션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체형의 아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신체(팔/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의 내측에 통풍홈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연약한 아기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쿠션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아기를 재울 때, 안거나 또는 눕힌 상태 등 다양한 상황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세탁, 수선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아기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부(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쿠션부재(120)가 충진된 베개부(100)와;
    상기 베개부(100)의 양측 단부에 베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200)는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20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개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체결부재(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부착되도록 외주면에 암, 수 벨크로(231,232)가 형성되어 쿠션부의 간격 조절을 할 수 있는 안전띠(2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쿠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00)는
    아기의 신체 중 팔과 다리 부분이 걸쳐지는 경우, 팔이나 다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면 중에 몸이 뒤집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쿠션부(200)의 몸체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쿠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00)는
    내측에는 공기가 통과하여 아기의 체온조절을 할 수 있도록 통풍홈(31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쿠션.
PCT/KR2017/008216 2016-11-24 2017-07-31 아기용 쿠션 WO20180974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59 2016-11-24
KR1020160157759A KR101748317B1 (ko) 2016-11-24 2016-11-24 아기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52A1 true WO2018097452A1 (ko) 2018-05-31

Family

ID=5927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216 WO2018097452A1 (ko) 2016-11-24 2017-07-31 아기용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317B1 (ko)
WO (1) WO2018097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663B1 (ko) * 2021-08-25 2023-03-30 백인환 두상 교정 기능을 갖는 영유아용 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77Y1 (ko) * 2001-03-16 2001-10-08 도 중 강 다기능 쿠션 패드
JP3149141U (ja) * 2008-12-26 2009-03-12 株式会社サンデシカ 汎用クッション
KR101147606B1 (ko) *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20140005410U (ko) * 2013-04-10 2014-10-20 변효성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101606378B1 (ko) * 2014-10-02 2016-03-25 손서원 영유아용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141B2 (ja) * 1992-05-11 2001-03-26 カネボウ株式会社 組み合わせ冷菓及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77Y1 (ko) * 2001-03-16 2001-10-08 도 중 강 다기능 쿠션 패드
JP3149141U (ja) * 2008-12-26 2009-03-12 株式会社サンデシカ 汎用クッション
KR101147606B1 (ko) *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20140005410U (ko) * 2013-04-10 2014-10-20 변효성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101606378B1 (ko) * 2014-10-02 2016-03-25 손서원 영유아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317B1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2279A1 (en) Infant apparel
US4745634A (en) Single garment, destined particularly for children having means to enable the use of such without having to slip into said garment
AU2010242845B2 (en) Swaddle blanket
US20190254355A1 (en) One piece infant garment with hand restraint
US20050000022A1 (en) Infant support system
WO2010082746A2 (ko) 수유 쿠션
US8276224B1 (en) Bed sheet with integrated sleeping garment
WO2018048076A1 (ko) 무소음 탈착이 가능한 아기띠 벨트
CA2243138A1 (en) Support pillow
WO2019009493A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6153225A2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WO2014129739A1 (ko) 영아 시트 침대
US10758067B2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and sheet
US20100115700A1 (en) Sweet dreams blanket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WO2018097452A1 (ko) 아기용 쿠션
US20220202106A1 (en) Sleep suit for children
US20120284925A1 (en) Infant rolling prevention back panel to promote crawling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US8312565B1 (en) Baby sleep and comfort aid
WO2016104980A2 (ko) 유아 숙면 보조용 기능성 매트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US9968205B1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and sheet
KR200271294Y1 (ko) 다기능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36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36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