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721B1 - 범퍼침대매트 - Google Patents

범퍼침대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721B1
KR101661721B1 KR1020160023765A KR20160023765A KR101661721B1 KR 101661721 B1 KR101661721 B1 KR 101661721B1 KR 1020160023765 A KR1020160023765 A KR 1020160023765A KR 20160023765 A KR20160023765 A KR 20160023765A KR 101661721 B1 KR101661721 B1 KR 10166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olded
stage
present
bump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주)에센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센루 filed Critical (주)에센루
Priority to KR102016002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721B1/ko
Priority to CN201621064887.1U priority patent/CN206423875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측은 제1단과 제2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단이 내측으로 접히고, 중앙은 제3단과 제4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며, 우측은 제5단과 제6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2단과 제3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은 내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5단과 제6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4단과 제5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6단은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1단 내지 제6단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된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7단과 제8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7단 내지 제8단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8단 외측으로 접힌 제2 매트; 및 상기 제1 매트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9단과 제10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9단 내지 제10단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3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0단이 외측으로 접힌 제3 매트;를 포함하는 범퍼침대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6단 매트와 두 개의 2단 매트를 구성하고, 벨크로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아시기에는 범퍼침대로 사용하다가 유아시기에는 펼쳐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접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에 용이한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퍼침대매트{.}
본 발명은 범퍼침대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6단 매트와 두 개의 2단 매트를 구성하고, 벨크로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아시기에는 범퍼침대로 사용하다가 유아시기에는 펼쳐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접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에 용이한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범퍼침대는 사방을 푹신한 쿠션으로 막아 유아, 특히 영아가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을 안전하게 양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기존의 원목 침대가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조립하기도 어려워 이동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하지만, 기존 범퍼침대의 측면 높이는 한정적이라, 아기가 영아인 경우, 높은 측면 매트를 사용하게 되면, 아이
가 뒤집기를 하게 돼서 숨을 못 쉬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부모가 조금이라도 떨어져 있게 되면 높은 측면에 의해 시야가 가려져 미쳐 발견 못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아이가 유아인 경우, 낮은 측면 매트를 사용하게 되면, 아이가 서거나 걸을 수 있음으로, 측면 매트를 넘어가거나, 뛰어놀다가 넘어져서 매트의 바깥으로 넘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6단 매트와 두 개의 2단 매트를 구성하고, 벨크로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아시기에는 범퍼침대로 사용하다가 유아시기에는 펼쳐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접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에 용이한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측면을 2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측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는 패드를 형성하여, 범퍼침대로 사용 시,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좌측은 제1단과 제2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단이 내측으로 접히고, 중앙은 제3단과 제4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며, 우측은 제5단과 제6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2단과 제3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은 내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5단과 제6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4단과 제5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6단은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1단 내지 제6단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된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7단과 제8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7단 내지 제8단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8단이 외측으로 접힌 제2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9단과 제10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9단 내지 제10단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3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0단이 외측으로 접힌 제3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4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5단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5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 내지 상기 제5 결합부재는, 서로 인접한 것들끼리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제6 결합부재가 형성된 다수 개의 패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 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7 결합부재; 및 상기 제3 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8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트의 상기 제1단 내지 제6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펼쳐지고, 상기 제2 매트의 상기 제7단 내지 제8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일측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매트의 상기 제9단 내지 제10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일측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6단 매트와 두 개의 2단 매트를 구성하고, 벨크로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아시기에는 범퍼침대로 사용하다가 유아시기에는 펼쳐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접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에 용이한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측면을 2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측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는 패드를 형성하여, 범퍼침대로 사용 시,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범퍼침대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가 결합된 범퍼침대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제1 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제2 매트 및 제3 매트를 나태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제1 매트 내지 제3 매트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매트가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측면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측면이 펼처진 모습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제1 매트 내지 제3 매트를 분리해 펼쳐놓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의 제1 매트 내지 제3 매트를 펼쳐서 바닥매트처럼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범퍼침대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범퍼침대매트(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100)는 제1 매트(110), 제2 매트(120), 제3 매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매트(110)는 좌측이 제1단(111)과 제2단(112)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단(111)이 내측으로 접히고, 중앙은 제3단(113)과 제4단(114)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며, 우측은 제5단(115)과 제6단(116)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2단(112)과 제3단(113)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단(111)은 내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4단(114)과 제5단(115)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6단(116)은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1단(111) 내지 제6단(116)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제1 결합부재(117)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매트(120)는 상기 제1 매트(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7단(121)과 제8단(122)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7단(121) 내지 제8단(122)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117)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재(123)가 형성되며, 상기 제8단(122) 외측으로 접힌다.
상기 제3 매트(130)는 상기 제1 매트(110)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9단(131)과 제10단(132)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9단(131) 내지 제10단(13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117)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3 결합부재(133)가 형성되며, 상기 제10단(132)이 외측으로 접힌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117) 내지 제3 결합부재(133)는 벨크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드(140)가 결합된 범퍼침대매트(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측면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단(112)의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4 결합부재(118)가 형성하고, 상기 제5단(115)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5 결합부재(119)가 형성하여, 상기 제2 결합부재(123) 내지 상기 제5 결합부재(119) 중 서로 인접한 것들 끼리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제6 결합부재(141)가 형성된 다수 개의 패드(140)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1 매트(11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2 매트(120)와 제3 매트(130)가 결합되므로, 아이가 일어서기 시작할 시기에는 측면을 붙잡고 일어서기 때문에 측면이 분리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패드(14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범퍼침대매트(100)의 제1 매트(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매트(110)는 상기 제1단(111) 내지 제6단(116)으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단(112)과 제3단(113)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이 일체로 수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이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제1단(111)은 상기 제2단(112)과 연결된 방향으로 접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4단(114)과 제5단(115)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이 일체로 수직으로 접힐 수 있도록하며,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이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제6단(116)은 상기 제5단(115)과 연결된 방향으로 접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의 폭의 합은 상기 제3단(113)과 같도록 하고,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의 폭의 합은 상기 제4단(114)과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을 상기 제3단(113)과 평행하도록 반으로 접고,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을 상기 제4단(114)과 평행하도록 반으로 접으면, 상기 제1 매트(110)가 두층의 매트로 접혀 일반적인 두꺼운 매트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보관할 때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범퍼침대매트(100)의 제2 매트(120) 및 제3 매트(130)를 나태낸 도면이다.
상기 제2 매트(120)는 상기 제7단(121)과 제8단(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7단(121)과 제8단(122)은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7단(121)과 제8단(12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매트(110)의 제1 결합부재(117)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2 결합부재(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매트(130)는 상기 제9단(131)과 제10단(1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9단(131)과 제10단(132)은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9단(131)과 제10단(13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매트(110)의 제1 결합부재(117)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3 결합부재(133)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범퍼침대매트(100)의 제1 매트(110) 내지 제3 매트(13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매트(110)의 측면을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 사이는 상단이 열결되고, 상기 제2단(112)과 제3단(113)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단(113)과 제4단(114) 사이는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4단(114)과 제5단(115) 사이는 상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 사이는 상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2 매트(120)의 측면을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7단(121)과 제8단(122) 사이는 상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3 매트(130)의 측면을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9단(131)과 제10단(132) 사이는 상단이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 매트(110)가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상기 제1 매트(110)가 펼쳐졌을 때의 측면이다.
(b)는 상기 제1단(111) 내지 제2단(112)이 수직에 위치하도록 접고,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접는다.
(c)는 상기 제1단(111)과 제6단(116)을 내측으로 접어 상기 제1 매트(110)의 좌우측 측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범퍼침대매트(100)의 측면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범퍼침대매트(100)는 측면의 높이를 높게 하고 싶을 때, 상기 제1단(111)과 제6단(116)을 수직으로 펼치고, 상기 제8단(122)과 제10단(132)을 수직으로 펼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100)의 측면이 펼처진 모습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매트(110)는 상기 제1단(111)과 제2단(112) 및 상기 제5단(115)과 제6단(116)이 수직인 상태에서, 일측에 상기 제2 매트(120)의 제2 결합부재(123)를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재(117)에 고정시키고, 타측에 상기 제3 매트(130)의 제3 결합부재(133)를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재(117)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100)의 제1 매트(110) 내지 제3 매트(130)를 분리해 펼쳐놓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 매트(120)는 제7 결합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7 결합부재(124)는 상기 제2 매트(1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매트(130)는 제8 결합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8 결합부재(134)는 상기 제3 매트(13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매트(100)의 제1 매트(110) 내지 제3 매트(130)를 펼쳐서 바닥매트처럼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매트(110)의 상기 제1단(111) 내지 제6단(116)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펼쳐지고, 상기 제2 매트(120)의 상기 제7단(121) 내지 제8단(122)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110)의 일측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매트(130)의 상기 제9단(131) 내지 제10단(132)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110)의 일측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범퍼침대매트 110 : 제1 매트
111 : 제1단 112 : 제2단
113 : 제3단 114 : 제4단
115 : 제5단 116 : 제6단
117 : 제1 결합부재 118 : 제4 결합부재
119 : 제5 결합부재 120 : 제2 매트
121 : 제7단 122 : 제8단
123 : 제2 결합부재 124 : 제7 결합부재
130 : 제3 매트 131 : 제9단
132 : 제10단 133 : 제3 결합부재
134 : 제8 결합부재 140 : 패드
141 : 제6 결합부재

Claims (3)

  1. 좌측은 제1단과 제2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단이 내측으로 접히고, 중앙은 제3단과 제4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며, 우측은 제5단과 제6단으로 구성되고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단과 제2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2단과 제3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은 내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5단과 제6단이 일체로 상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4단과 제5단이 서로 맞닿는 측면의 상단이 연결되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6단은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1단 내지 제6단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된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7단과 제8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7단 내지 제8단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8단이 외측으로 접힌 제2 매트;
    상기 제1 매트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제9단과 제10단으로 구성되며, 연결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서로 맞닿는 측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9단 내지 제10단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3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0단이 외측으로 접힌 제3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4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5단은,
    외측면에 양측으로 제5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 내지 상기 제5 결합부재는,
    서로 인접한 것들끼리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제6 결합부재가 형성된 다수 개의 패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7 결합부재;
    상기 제3 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8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트의 상기 제1단 내지 제6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펼쳐지고, 상기 제2 매트의 상기 제7단 내지 제8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일측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매트의 상기 제9단 내지 제10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일측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침대매트.
KR1020160023765A 2016-02-26 2016-02-26 범퍼침대매트 KR10166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765A KR101661721B1 (ko) 2016-02-26 2016-02-26 범퍼침대매트
CN201621064887.1U CN206423875U (zh) 2016-02-26 2016-09-20 围栏床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765A KR101661721B1 (ko) 2016-02-26 2016-02-26 범퍼침대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721B1 true KR101661721B1 (ko) 2016-10-04

Family

ID=5716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765A KR101661721B1 (ko) 2016-02-26 2016-02-26 범퍼침대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1721B1 (ko)
CN (1) CN20642387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34Y1 (ko) * 2017-01-12 2017-11-09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85388Y1 (ko) *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102017072B1 (ko) * 2019-05-13 2019-09-02 (주)쁘띠엘린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KR20190104972A (ko) * 2019-09-03 2019-09-11 주식회사 꿈비 변형이 가능한 유아용 범퍼침대 조립방법
KR20220093979A (ko) * 2020-12-28 2022-07-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98A (ko) * 2011-12-28 2012-12-05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30110324A (ko) * 2012-03-29 2013-10-10 임관빈 기능성 매트
KR20140075243A (ko) * 2012-12-11 2014-06-19 조승훈 놀이용 입체매트
KR20150111868A (ko) * 2014-03-26 2015-10-06 박영건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98A (ko) * 2011-12-28 2012-12-05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30110324A (ko) * 2012-03-29 2013-10-10 임관빈 기능성 매트
KR20140075243A (ko) * 2012-12-11 2014-06-19 조승훈 놀이용 입체매트
KR20150111868A (ko) * 2014-03-26 2015-10-06 박영건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34Y1 (ko) * 2017-01-12 2017-11-09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85388Y1 (ko) *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102017072B1 (ko) * 2019-05-13 2019-09-02 (주)쁘띠엘린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KR20190104972A (ko) * 2019-09-03 2019-09-11 주식회사 꿈비 변형이 가능한 유아용 범퍼침대 조립방법
KR102154607B1 (ko) * 2019-09-03 2020-09-10 주식회사 꿈비 변형이 가능한 유아용 범퍼침대 조립방법
KR20220093979A (ko) * 2020-12-28 2022-07-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102571552B1 (ko) 2020-12-28 2023-08-2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423875U (zh)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21B1 (ko) 범퍼침대매트
US20170367492A1 (en) Bassinet support
US5553336A (en) Playyard and bassinet combination
EP2895031B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device and methods
EP2409605B1 (en) Baby crib
JPH0718659U (ja) 折り畳み式ベビー・ベツド
US20120211713A1 (en) Adjustable mechanism for changing floor height of a play yard
KR101290685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US6721970B1 (en) Foot of a baby bed
GB2513469A (en) Child's walking and jumping device
US8973181B2 (en) Wheel assembly for a foldable child enclosure
KR20180017758A (ko) 유아용 범퍼침대
KR20130006366U (ko) 유아용 공간놀이 범퍼매트
JP2022024980A (ja) 形態変換可能な組立式フェンス
KR101269863B1 (ko) 유아용 놀이매트
US20130221302A1 (en) Baby play yard mattress
KR200487685Y1 (ko)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506004B1 (ko) 책상 겸용 유아침대
KR102031932B1 (ko)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JP3181795U (ja) ベビーベッド
KR200474865Y1 (ko) 다용도 옥타곤 놀이 매트의 구조
JP3212236U (ja) クッション体セット
KR20200106807A (ko)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KR200476364Y1 (ko) 조립식 매트리스
KR101194774B1 (ko) 다용도 매트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