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979A -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 Google Patents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979A
KR20220093979A KR1020200185200A KR20200185200A KR20220093979A KR 20220093979 A KR20220093979 A KR 20220093979A KR 1020200185200 A KR1020200185200 A KR 1020200185200A KR 20200185200 A KR20200185200 A KR 20200185200A KR 20220093979 A KR20220093979 A KR 2022009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t
insert
support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552B1 (ko
Inventor
백동엽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 A61G7/0574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fluidised by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자세변환이 용이한 것은 물론, 혼자 일어나지 못하는 유아 등도 안전사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쿠션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된 제1지지체와, 외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체와 함께 직육면체, 정육면체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상기 제2지지체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게 상기 매트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사용자의 등이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스판텍스(Spandex) 재질로 성형되는 외장재인 외피와 상기 외장재 내부에 충진되되 마이크로 에어볼인 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상호 간에 탈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A NON SLIP TYPE CUSHOON}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자세변환이 용이한 것은 물론, 혼자 일어나지 못하는 유아 등도 안전사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쿠션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또는 중증 장애인 환자의 경우 스스로 자신의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시키는 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특히, 환자가 침대나 침구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저귀, 패드 또는 침대시트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한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나, 이러한 작업은 보호자 혼자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 2명 이상의 보호자가 환자의 상체 및 하체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원하는 자세로의 변환이 어렵기 때문에 욕창이 발생되어지며, 특정부위에 체압이 집중됨으로 인한 통증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해 최근에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쿠션을 자세변환 용구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쿠션제품은 원하는 자세를 정확히 유지시키기 어려워 사용에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84724호(공개일:2011.07.26.) 국내등록특허 제10-1219110호(공고일:2013.01.1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정확한 자세 유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쿠션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는 외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된 제1지지체와, 외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체와 함께 직육면체, 정육면체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상기 제2지지체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게 상기 매트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사용자의 등이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스판텍스(Spandex) 재질로 성형되는 외장재인 외피와 상기 외장재 내부에 충진되되 마이크로 에어볼인 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상호 간에 탈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수납홈 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삽입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매트 상면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어 사용되며, 한 쌍의 상기 삽입체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각각 소정각도를 갖도록 제3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게로 사용되는 상기 삽입체는 경추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이어지게 상기 삽입체 상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부는 상기 삽입체 상면에 서로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홈부 외면에는 사용자의 귀가 삽입되는 추가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매트는 길이 및 면적의 확장을 위해 상기 탈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정확한 자세 유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욕창 등의 발생 방지는 물론, 간병인을 통한 자세 변환이 용이하며, 해당 노약자는 물론, 사용자가 유아인 경우에도 한 쌍의 삽입체를 통해 해당 유아가 메트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시켜 안전사고를 방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에 대한 삽입체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 3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에 대한 삽입체의 또 다른 실시예.
도 6은 도 5에 대한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이하, 간략하게 '쿠션용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용구(1)는 크게 제1지지체(100), 제2지지체(200), 매트(300) 및 삽입체(400)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성들은 벨크로테잎 등과 같은 탈부착부재(500)를 통해 용도에 맞게 형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의자는 물론, 벽(W)에 기대어 비스듬히 눕거나 바닥에 누울 수 있는 메트리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체(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지지체(200)와 부착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전체적으로 정육면체, 직육면체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가변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지지체(100)는 일측에 소정각도를 이루는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경사면(110)은 제2경사면(210)과 서로 면접할 수 있게 탈부착부재(500)에 의해 부착되어 용도에 맞는 형상으로 그 전체적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제1지지체(100) 외면에는 후술하는 삽입체(40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12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된 상기 삽입체(40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200)는 상술한 제1지지체(100)와 함께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전체적인 형상의 변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지지체(200)는 제1지지체(100)는 물론, 매트(300)와 탈부착부재(500)를 통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용도의 의자나 벽에 비스듬히 기대어 사용할 수 있는 형상을 변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2지지체(200) 외면에는 제1경사면(110)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면(210)이 형성되어 탈부착부재(500)에 의한 상기 제1경사면(110)과 상기 제2경사면(210)의 면접에 의해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트(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매트(300)는 전체적으로 소정 면적을 갖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부재(500)에 의해 서로 탈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거나 한 쌍의 상기 매트(300)가 서로 적층 구조를 갖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혀지게 연결되어 메트리스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매트(300) 위에 뉘여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4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수납홈(120)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납되되 매트(300) 위에 뉘여진 사용자의 어느 한쪽 방향의 등을 지지하거나 배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삽입체(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을 갖는 단일 개체로 사용되어 누운 상태의 사용자가 다리 등을 올려 사용(예를 들어, 죽부인의 용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각이 기둥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욕창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해당 사용자가 애기 등과 같은 유아인 경우에는 매트(300)에 뉘여진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뒤집기 등을 실행시에 상기 매트(300)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가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이 기둥형상을 갖도록 단일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삽입체(400)는 외면에 제3경사면(41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부분에 대한 거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삽입체(40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인 사용자의 배게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체(400)는 제3경사면(410)이 생락된 경추지지부(421), 홈부(423) 및 추가홈(425)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경추지지부(4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누워 있는 사용자의 경추(목)가 지지될 수 있게 삽입체(400)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홈의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때, 경추지지부(421)는 곡선 형태의 경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워있는 것만으로도, 해당 경추의 형상이 유지되어 거북목 등의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423)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체(400) 상면에 돔의 형상을 갖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볼록부(427)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며, 상기 삽입체(400)의 재질을 통해 해당 머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숙면 포함) 등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홈부(423)의 바닥면에는 해당 사용자가 가로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 귀부분이 머리 하중에 눌려지지 않도록 해당 귀가 삽입되는 추가홈(4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홈(425)은 삽입체(400) 상면이 소정 깊이를 갖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삽입체(400)가 배게의 형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매트(300)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목수의 구성으로 탈부착부재(500)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와 면적을 확장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1지지체(100), 제2지지체(200), 매트(300) 및 삽입체(400)는 신축성, 내구성, 발한성 및 건조성이 우수한 스판텍스(Spandex) 재질로 성형되는 외장재(10)인 외피와 상기 외장재(10) 내부에 충진되되 마이크로 에어볼인 내장재(20)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땀 등이 외장재(10)를 통해 건조와 흡수가 용이한 것은 물론, 쿠션성질을 갖는 내장재의 성질을 통해 편안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쿠션용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정확한 자세 유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욕창 등의 발생 방지는 물론, 간병인을 통한 자세 변환이 용이하며, 해당 노약자는 물론, 사용자가 유아인 경우에도 한 쌍의 삽입체(400)를 통해 해당 유아가 매트(300)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시켜 안전사고를 방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10: 외장재
20: 내장재
100: 제1지지체
110: 제1경사면 120; 수납홈
200: 제2지지체
210: 제2경사면
300: 매트
400: 삽입체
410: 제3경사면 421: 경추지지부
423: 홈부 425: 추가홈
427: 볼록부
500: 탈부착부재

Claims (3)

  1. 외면에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수납홈(120)이 형성된 제1지지체(100);
    외면에 상기 제1경사면(11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2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와 함께 직육면체, 정육면체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100) 또는 상기 제2지지체(200)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300);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120)에 수납되게 상기 매트(300)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사용자의 등이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체(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100), 상기 제2지지체(200), 상기 매트(300) 및 상기 삽입체(400)는 스판텍스(Spandex) 재질로 성형되는 외장재(10)인 외피와 상기 외장재(10) 내부에 충진되되 마이크로 에어볼인 내장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체(100), 상기 제2지지체(200), 상기 매트(300) 및 상기 삽입체(400)는 상호 간에 탈부착부재(500)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기 삽입체(400)는
    상기 수납홈(120) 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삽입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매트(300) 상면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어 사용되며,
    한 쌍의 상기 삽입체(4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각각 소정각도를 갖도록 제3경사면(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배게로 사용되는 상기 삽입체(400)는
    경추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경추지지부(421); 및
    상기 경추지지부(421)와 이어지게 상기 삽입체(400) 상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홈부(423);를 포함하되,
    상기 홈부(423)는 상기 삽입체(400) 상면에 서로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볼록부(427)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홈부(423) 외면에는 사용자의 귀가 삽입되는 추가홈(425)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매트(300)는 길이 및 면적의 확장을 위해 상기 탈부착부재(500)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1020200185200A 2020-12-28 2020-12-28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10257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00A KR102571552B1 (ko) 2020-12-28 2020-12-28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00A KR102571552B1 (ko) 2020-12-28 2020-12-28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979A true KR20220093979A (ko) 2022-07-05
KR102571552B1 KR102571552B1 (ko) 2023-08-28

Family

ID=8240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200A KR102571552B1 (ko) 2020-12-28 2020-12-28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44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자세 유지 쿠션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70Y2 (ja) * 1991-05-20 1994-06-08 株式会社細井商店 妊婦用クッション
EP0986978A1 (fr) * 1997-03-12 2000-03-22 Pierre Vandelanoite Perfectionnements aux canapés convertibles en lit
KR200286447Y1 (ko) * 2002-06-05 2002-08-21 이수호 메트겸용 쇼파
JP2004160144A (ja) * 2002-11-12 2004-06-10 Yasuhiro Niizawa 腰痛症、背柱症、肩痛症のリハビリ兼用安眠寝具。
EP1779748A1 (en) * 2005-10-28 2007-05-02 TNT di Tantolo Franco e Mauro snc Sofa bed, advantageously for children
KR20100080650A (ko) * 2009-01-02 2010-07-12 민일석 수면안대를 포함한 목 베개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101181393B1 (ko) * 2011-05-02 2012-09-19 김학선 형태 가변형 매트
KR101219110B1 (ko) 2010-09-06 2013-01-11 정영순 자세변환용 욕창방지 매트리스
KR20160109178A (ko) * 2015-03-10 2016-09-21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661721B1 (ko) * 2016-02-26 2016-10-04 (주)에센루 범퍼침대매트
KR101668449B1 (ko) * 2015-10-30 2016-10-28 신봉관 놀이매트 시스템
KR200485663Y1 (ko) * 2015-11-23 2018-02-07 전대일 다용도 쿠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70Y2 (ja) * 1991-05-20 1994-06-08 株式会社細井商店 妊婦用クッション
EP0986978A1 (fr) * 1997-03-12 2000-03-22 Pierre Vandelanoite Perfectionnements aux canapés convertibles en lit
KR200286447Y1 (ko) * 2002-06-05 2002-08-21 이수호 메트겸용 쇼파
JP2004160144A (ja) * 2002-11-12 2004-06-10 Yasuhiro Niizawa 腰痛症、背柱症、肩痛症のリハビリ兼用安眠寝具。
EP1779748A1 (en) * 2005-10-28 2007-05-02 TNT di Tantolo Franco e Mauro snc Sofa bed, advantageously for children
KR20100080650A (ko) * 2009-01-02 2010-07-12 민일석 수면안대를 포함한 목 베개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101219110B1 (ko) 2010-09-06 2013-01-11 정영순 자세변환용 욕창방지 매트리스
KR101181393B1 (ko) * 2011-05-02 2012-09-19 김학선 형태 가변형 매트
KR20160109178A (ko) * 2015-03-10 2016-09-21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668449B1 (ko) * 2015-10-30 2016-10-28 신봉관 놀이매트 시스템
KR200485663Y1 (ko) * 2015-11-23 2018-02-07 전대일 다용도 쿠션
KR101661721B1 (ko) * 2016-02-26 2016-10-04 (주)에센루 범퍼침대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44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자세 유지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52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6764B2 (en) Infant positioner
USRE40754E1 (en) Portable infant bed
US6266832B1 (en) Infant cranial support system
US4779297A (en) Cushion support article
US5127120A (en) Infant support pad
US6189169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7962984B2 (en) Tubular pillows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ends and related methods
WO2005025385A1 (ja) 乳児用姿勢保持構造および乳児用枕
US20070022537A1 (en) Therapeutic posturing process and devices
US20130025062A1 (en) Encounter and contact mattress or pillow for small children and babies, particularly for premature babies and newborns
US7325266B1 (en) Therapeutic cushions and pillow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and use
US6415466B1 (en) Pocket pillow and sheet for adult/crib elevation sleep aid
KR20200009787A (ko) 아기 침대
KR20220093979A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US20100058538A1 (en) Baby headrest
US20080184489A1 (en) Infant head positioning device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KR101123376B1 (ko)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JP4299095B2 (ja) 乳児用姿勢保持構造
KR200377121Y1 (ko) 유아용 베개
KR101635775B1 (ko) 유아 숙면 보조용 기능성 매트
KR20190095845A (ko) 침상환자용 베개
KR101886795B1 (ko) 다기능 유아용 침구
CN211433856U (zh) 一种多功能护理鸟巢
US2631301A (en) Combined convalescent couch and bedpan support for bab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