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44A - 자세 유지 쿠션 - Google Patents

자세 유지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44A
KR20240037544A KR1020220116182A KR20220116182A KR20240037544A KR 20240037544 A KR20240037544 A KR 20240037544A KR 1020220116182 A KR1020220116182 A KR 1020220116182A KR 20220116182 A KR20220116182 A KR 20220116182A KR 20240037544 A KR20240037544 A KR 2024003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ower body
cushion
posture
postur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호
김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Priority to KR102022011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44A/ko
Publication of KR2024003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재질의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할 형성됨과 아울러 연질 재질의 상부체를 이용하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고 경질 재질의 하부체로 상부체를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자세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한 자세 유지 쿠션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신체가 밀착되며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체;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체를 지지하는 하부체;를 포함하고, 상부체의 저면에 하부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 유지 쿠션{POSTURE CUSHION}
본 발명은 자세 유지 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재질의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할 형성됨과 아울러 연질 재질의 상부체를 이용하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고 경질 재질의 하부체로 상부체를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자세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한 자세 유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나 중증 장애인 등의 환자는 스스로 자신의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시키는 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침대나 침구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저귀, 패드 또는 침대시트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한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보호자가 혼자서 감당하기가 어렵고 최소한 2명 이상의 보호자가 필요하다. 즉, 2명 이상의 보호자가 환자의 상체 및 하체를 동시에 이동시켜야만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환자를 원하는 자세로 변환시키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욕창이 발생하거나 특정부위에 체압이 집중됨에 따라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거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쿠션을 자세변환 용구로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쿠션제품은 원하는 자세를 정확히 유지시키기 어려워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사용과정에서 체압 집중으로 인해 쿠션이 밀려서 이동되어지는 등의 불편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714982호에는, 복수의 쿠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로서, 상기 복수의 쿠션층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하 이웃하는 쿠션층 중 상부 쿠션층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가 하부 쿠션층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서로 연통됨으로써, 체중에 의한 신체 압력이 욕창 발생 부위가 가장 낮고 욕창 발생 부위 주변을 향할수록 완만하게 신체 압력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여 욕창의 완화와 욕창 주변 부위에 추가적인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8-0070424호에는, 제1 유동 에어셀 외주면 하단부 전후좌우측으로 에어 관통부가 형성되고, 제1 유동 에어셀 내주면 어느 일 측에 에어 주입부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에어 주입부 내주면에 에어주입 카플러를 형성하고, 외주면 중앙부에 오목홈부를 형성한 유동공기 에어셀; 상기 에어셀 상부에 위치하여 주입된 에어를 가두어 두는 제2 에어 수용부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칸막이 캡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형성한 제2 독립 에어셀; 상기 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한 중앙부에 1차 외경이 큰 외주면과 2차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외주면을 형성한 에어 주입부가 일측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접합부를 형성한 호 형태의 칸막이 캡; 상기 제2 독립 에어셀의 거치부에 칸막이 캡을 거치하여 접착제로 접합하고, 하부패드와 상호 포개어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제2 독립 에어셀 상부면과 맞닿은 부분이 일그러지거나, 심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면서, 둔부 전반 또는, 장시간 누워있는 환자의 상호 맞닿은 부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에어셀과 이웃하는 에어셀 사이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확보하여 몸에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유출하고, 사용자의 안락함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욕창방지용 2중 쿠션 에어셀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2249207호에는, 발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메인쿠션부; 및 상기 메인쿠션부를 발 부위에 착용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쿠션부는, 발의 양쪽 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2사이드쿠션부; 발바닥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하부쿠션부; 및 발뒤꿈치 내지 발목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하부쿠션부;를 포함하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욕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욕창 방지용 쿠션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1-0084724호에는, 쿠션체로 이루어져 원하는 자세 변환 및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세변환 쿠션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종아리 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1쿠션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쿠션체의 저면에는 슬립 방지를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 구비됨으로써, 사용중 쿠션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거동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장애인 및 중환자들로 하여금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변환 및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자세변환용 쿠션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22-0093979호에는, 외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수납홈이 형성된 제1지지체와, 외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체와 함께 직육면체, 정육면체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상기 제2지지체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게 상기 매트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사용자의 등이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스판텍스(Spandex) 재질로 성형되는 외장재인 외피와 상기 외장재 내부에 충진되되 마이크로 에어볼인 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매트 및 상기 삽입체는 상호 간에 탈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자세변환이 용이한 것은 물론, 혼자 일어나지 못하는 유아 등도 안전사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1498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0424호 등록특허공보 제10-224920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72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939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종 재질의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할 형성됨과 아울러 연질 재질의 상부체를 이용하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고 경질 재질의 하부체로 상부체를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자세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한 자세 유지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세 유지 쿠션은, 환자의 신체가 밀착되며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체;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체를 지지하는 하부체;를 포함하고, 상부체의 저면에 하부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부체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전면부의 상단에 이어지는 후면부와, 수평하게 형성되어 전면부의 하단에 이어지는 바닥부와, 전면부와 평행하도록 후면부의 하단과 바닥부의 끝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하부체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된 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체의 저면부에 길이 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체의 전면부에 결합홈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체가 상부체의 저면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의 폭방향 양끝단에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결합돌기의 상단 양끝에는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요철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는 상부체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저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경사진 전면에 상부체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는 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은 연질의 상부체와 경질의 하부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부드러운 상부체가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욕창 발생이 최소화되고 경질의 하부체가 상부체를 지지하여 환자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체의 저면부에 길이 방향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체의 전면부에 삽입돌기가 구비되어 상부체와 하부체가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화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삽입홈에 이탈방지홈이 구비되고 삽입돌기에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상부체와 하부체가 이탈방지홈과 이탈방지돌기에 의해 요철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체의 몸체 저면에 오목홈이 구비됨에 따라 경질의 하부체가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게 되어 하부체가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 관통공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사여 상부체에 남아 있는 땀을 비롯한 악취 물질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체의 결합돌기에 수직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하부의 공기가 상부체로 쉽게 전달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의 변형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자세 유지 쿠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단면이 대략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부체(10)는 환자의 신체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연질 재질로 형성되어 환자에게 욕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체(10)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부(1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전면부(11)의 상단에 이어지는 후면부(12)와, 수평하게 형성되어 전면부(11)의 하단에 이어지는 바닥부(13)와, 전면부(11)와 평행하도록 후면부(12)의 하단과 바닥부(13)의 끝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하부체(20)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된 저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부(11)와 바닥부(13)가 연결되는 부분이 수직하게 면치될 수 있다.
하부체(20)는 상부체(1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연질의 상부체(10)가 꺼지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체(20)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10)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대략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21)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21)의 저면에 오목홈(23)이 형성되어 부분적인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며, 몸체(21)의 경사진 전면에는 상부체(10)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체(10)의 저면부(14)에 길이 방향의 결합홈(15)이 형성되고, 하부체(20)의 전면부에는 결합홈(15)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결합돌기(2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체(20)가 상부체(10)의 저면부(14)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홈(15)의 폭방향 양끝단에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홈(16)이 형성되고, 결합돌기(25)의 상단 양끝에는 이탈방지홈(16)에 삽입되는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돌기(2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체(10)의 결합홈(15)에 하부체(20)의 결합돌기(25)가 요철 결합되어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부체(10)와 연결되는 하부체(20)의 바닥부는 상부체(10)의 바닥부(13)와 동일평면을 이루면서 바닥을 지지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환자는 어깨부분이 전면부(11)에 놓이게 되어 쿠션을 을 통해 바닥면과 단체를 최소화하며 목 이상 부분을 하부체(20)를 통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부체(10)의 후면부(12)는 하부체(20) 몸체(21)의 후면부와 동일며평면을 이루면서 수직하게 연결됨에 따라 목 부분 이상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결합시킨 후에는 주머니 형태의 커버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드러운 천으로 형성된 외부커버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체(2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관통공(27)은 결합돌기(25)가 형성된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닥부에 형성된 오목부(23)와 관통공(27)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질의 상부체(10)에 공급되어 환자의 땀 등으로 인한 악취를 해소하고, 욕창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목부(23)는 위에서 가압되는 체중에 의해 벌어지면서 하부체(20)의 쿠션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유지 쿠션을 이용하여 환자를 지지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단면이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인 기둥 형상의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준비한 후, 상부체(10)의 삽입홈(15)에 하부체(20)의 삽입돌기(25)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삽입홈(15)에 구비된 이탈방지홈(16)에 삽입돌기(25)의 이탈방지돌기(26)가 요철 결합의 형태로 결합되므로, 하부체(20)가 상부체(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결합되어 자세 유지 쿠션이 형성되면, 주머니 형태의 커버에 자세 유지 쿠션을 삽입한 후, 외부커버를 결합시켜 환자의 피부가 자세 유지 쿠션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자세쿠션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환자가 자세 유지 쿠션에 기대게 되면, 연질의 상부체(10)가 변형되어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질의 하부체(20)가 상부체(10)를 받쳐줌으로써 상부체(10)가 과다하게 꺼지지 않도록 하여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체(20)에 상하 방향의 관통공(27)이 형성된 경우 하부체(20)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23)와 관통공(27)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부체(10)의 하부로 공급됨으로써, 환자의 땀 등으로 인한 악취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상부체 11 : 전면부
12 : 후면부 13 : 바닥부
14 : 저면부 15 : 결합홈
16 : 이탈방지홈 20 : 하부체
21 : 몸체 23 : 오목부
25 : 결합돌기 26 : 이탈방지돌기
27 : 관통공

Claims (7)

  1. 환자의 신체가 밀착되며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체;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체를 지지하는 하부체;를 포함하고,
    상부체의 저면에 하부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체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전면부의 상단에 이어지는 후면부와, 수평하게 형성되어 전면부의 하단에 이어지는 바닥부와, 전면부와 평행하도록 후면부의 하단과 바닥부의 끝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하부체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된 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체의 저면부에 길이 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체의 전면부에 결합홈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체가 상부체의 저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결합홈의 폭방향 양끝단에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결합돌기의 상단 양끝에는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쐐기 형상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요철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체는 상부체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저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경사진 전면에 상부체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부체는 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관통공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유지 쿠션.
KR1020220116182A 2022-09-15 2022-09-15 자세 유지 쿠션 KR2024003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82A KR20240037544A (ko) 2022-09-15 2022-09-15 자세 유지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82A KR20240037544A (ko) 2022-09-15 2022-09-15 자세 유지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44A true KR20240037544A (ko) 2024-03-22

Family

ID=9048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182A KR20240037544A (ko) 2022-09-15 2022-09-15 자세 유지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4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101714982B1 (ko) 2016-08-25 2017-03-09 조영숙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
KR20180070424A (ko) 2016-12-16 2018-06-26 손성애 욕창방지용 2중 쿠션 에어셀
KR102249207B1 (ko) 2021-01-15 2021-05-07 이승협 욕창 방지용 쿠션
KR20220093979A (ko) 2020-12-28 2022-07-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101714982B1 (ko) 2016-08-25 2017-03-09 조영숙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
KR20180070424A (ko) 2016-12-16 2018-06-26 손성애 욕창방지용 2중 쿠션 에어셀
KR20220093979A (ko) 2020-12-28 2022-07-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102249207B1 (ko) 2021-01-15 2021-05-07 이승협 욕창 방지용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3589B2 (ja) 取り外し可能なポメルを有するモジュラー型クッション
US3742528A (en) Mattress for invalids
US4779297A (en) Cushion support article
US5603336A (en) Bed footbox for medical patient's
US6018832A (en) Wraparound orthotic base composite adjustable cushion using same and method of measuring fit of the adjusted cushion to the user's shape
US5107558A (en) Mattress with removable insert
US20070113352A1 (en) Therapeutic mattress
US6966088B1 (en) Cushion to support patient with bed sores
AU2005327808A1 (en) Mattress comprising independent, removable pieces
US20080083067A1 (en) Bed and absorbent pad
KR20110084724A (ko)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US6892734B1 (en) Wound care suspension system
US20040147863A1 (en) Wound care suspension system
KR20240037544A (ko) 자세 유지 쿠션
US20060084902A1 (en) Wound care suspension system
WO1994023603A1 (en) Fluid filled insole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GB2228193A (en) Inflatable support devices
KR20160004011U (ko) 욕창 예방 방석
KR200466605Y1 (ko) 복회음 수술 환자용 방석
WO2011135078A1 (en) An inflatable and / or vaccumizable medical device
KR200405725Y1 (ko) 다리 쿠션
CN211863173U (zh) 一种适用于卧床患者的防压疮中药枕
JP2003334209A (ja) おむつ用褥瘡予防機能付簡易便器および褥瘡予防機能付簡易便器を備えたおむつ
JP2003019152A (ja) 紙おむつ用褥瘡予防シールおよび車椅子用及び携帯用クッショ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