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072B1 -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 Google Patents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072B1
KR102017072B1 KR1020190055748A KR20190055748A KR102017072B1 KR 102017072 B1 KR102017072 B1 KR 102017072B1 KR 1020190055748 A KR1020190055748 A KR 1020190055748A KR 20190055748 A KR20190055748 A KR 20190055748A KR 102017072 B1 KR102017072 B1 KR 102017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uard
module
connecting member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순규
Original Assignee
(주)쁘띠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엘린 filed Critical (주)쁘띠엘린
Priority to KR102019005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3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sof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공간에 따라 작은 사이즈 또는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로 사용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서는 범퍼매트로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에 하면이 접하는 제1매트모듈과 제1매트모듈의 상면의 일측에 제1매트모듈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모듈을 포함하고 제1매트모듈과 제2매트모듈의 일측면에 제1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2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된 매트부;
제1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일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일측가드모듈과 제1일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일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제1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1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3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제2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2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일측가드부;
제2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타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타측가드모듈과 제1타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타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제1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4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6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제2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5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타측가드부;
상측면의 일측에 상기 제1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제4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상측가드부; 및
상측면의 일측에 제2돌출연결부재 또는 제3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3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상기 제5돌출연결부재 또는 제6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4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하측가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Baby Bumper Bed Mat with Variable Size}
본 발명은 크기가 조절되며 필요에 따라 서는 매트로 사용되는 유아범퍼매트와 관련된 기술이다.
범퍼침대는 사방을 푹신한 쿠션으로 막으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범퍼침대는 아기에게 안전한 공간을 확보해 제공하며 아기가 거실 및 방 등에 위치한 위험한 도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범퍼침대는 바닥매트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쿠션감을 가지고 있어, 아기가 뛰며 발생되는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아기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범퍼침대를 거실 및 방 등에 많이들 설치하고 있다.
범퍼침대를 만드는 제조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안정성 및 실용성이 증대된 범퍼침대 및 범퍼매트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범퍼침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개발된 침대는 가로의 크기가 일정하여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와 아기의 성장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용자가 아기의 성장에 맞춰 아기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범퍼침대를 각각 구입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85호 (공고일자: 2013.07.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공간에 따라 작은 사이즈 또는 큰 사이즈로 사용될 수 있고 매트로 사용될 수 있는 유아범퍼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크기 변형 특징에 기반하여 각 매트의 모서리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유아범퍼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는, 바닥에 하면이 접하는 제1매트모듈과 상기 제1매트모듈의 상면의 일측에 상기 제1매트모듈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모듈과 상기 제2매트모듈의 일측면에 제1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2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된 매트부;
상기 제1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일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일측가드모듈과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일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1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2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3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일측가드부;
상기 제2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타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타측가드모듈과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타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4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5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6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타측가드부;
상측면의 일측에 상기 제1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상기 제4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상측가드부; 및
상측면의 일측에 상기 제2돌출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3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3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상기 제5돌출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6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4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하측가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2매트모듈이 상기 제1매트모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면이 상기 제1매트모듈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측면이 상기 제1매트모듈의 타측면에 맞닿으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일측가드부는,
상기 제2일측가드모듈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면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맞닿으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면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타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타측가드부는,
상기 제2타측가드모듈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면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면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타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에서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로 또는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에서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로 손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범퍼매트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는 아기의 성장시기에 맞춰 크기가 변형 가능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범퍼침대를 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는 매트부와 가드부 간 연결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 및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에서 아기가 기대거나 매달려도 가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측가드부와 타측가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매트모듈과 제2매트모듈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1매트모듈에 하측가드부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이러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에 대한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매트(1-3)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매트부(10), 길이가 가변되며 매트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측가드부(20), 길이가 가변되며 매트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타측가드부(30), 매트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측가드부(40) 및 매트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측가드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매트부(10)와 일측가드부(20) 그리고 타측가드부(30)의 길이가 변경되며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 또는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 또는 바닥매트(1-3)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맞춰 형상 및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길이가 가변 되는 매트부(10)와 가드부들(20, 30) 간 연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 및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 등 어느 크기의 범퍼침대로 형성되더라도 아기가 기대거나 매달리는 행동에 의해 가드부가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범퍼침대가 일정수준 이상의 연결력 및 가드부가 일정 수준의 강성을 발휘하며 사용자가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 또는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를 따로 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매트부를 중심으로 각각의 가드부가 다시 연결되어, 바닥매트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닥매트를 따로 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더라도, 변형된 형상 내에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며 사용자가 유아범퍼침대 및 바닥매트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1)가 전술한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 및 바닥매트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큰 사이즈의 유아범퍼침대가 되는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제1실시예에에서 변형되어 제2실시예가 되는 작은 사이즈의 유아범퍼침대 및 제1실시예에서 변형되어 제3실시예가 되는 바닥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1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특징은 제2실시예에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 발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는 펼쳐진 상태의 매트부에 펼쳐진 일측가드부와 펼쳐진 타측가드부가 연결되고, 접힌 상측가드부와 접힌 하측가드부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는 펼쳐진 매트부와 펼쳐진 가드부의 연결을 통해, 가드부의 내부에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매트부(10)는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 및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에서 바닥에 놓이는 매트가 된다. 이러한 매트부(10)는 제1매트모듈(110)과 제1매트모듈(110)에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모듈(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매트부(10)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1매트연결부재(101)를 포함하고, 타측면에 형성된 제2매트연결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부(10)는 제1매트모듈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3매트연결부재(111)와 제2매트모듈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4매트연결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매트연결부재(101), 제2매트연결부재(102)는 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매트연결부재(111)와 제4매트연결부재(121)는 매트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매트연결부재(101) 내지 제4매트연결부재(121)는 걸림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매트연결부재(101)에는 일측가드부(20)가 연결되고, 제2매트연결부재(102)에는 타측가드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일측가드부(20)는 길이가 가변되며, 가변 된 상태로 매트부(1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가드부(20)는 제1일측가드모듈(210)과 제1일측가드모듈(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일측가드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가드부(20)는 제1일측가드모듈(210)의 타면 또는 제1일측가드모듈(210)의 타면과 제2일측가드모듈(220)의 타면에 제1매트연결부재(101)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일측가드연결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일측가드연결부재(201)는 제1매트연결부재(10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갈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가드부(20)는 제1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1돌출연결부재(211)를 포함하고, 상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2돌출연결부재(213, 도 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3돌출연결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가드부(20)는 제1일측가드모듈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1높이연결부재(212)와 제1일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2높이연결부재(214, 도 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일측가드모듈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3높이연결부재(222) 그리고 하단면에 형성된 제4높이연결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높이연결부재(212), 제2높이연결부재(214) 및 제4높이연결부재(224)는 갈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되고, 제3높이연결부재(222)는 걸림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높이연결부재(214)와 제3높이연결부재(222)는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제1일측가드모듈(2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결합력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일측가드모듈(210)과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형성된 일직선 상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타측가드부(30)는 길이가 가변되며, 가변 된 상태로 매트부(10)의 타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타측가드부(30)는 제1타측가드모듈(310)과 제1타측가드모듈(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타측가드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측가드부(30)는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제1타측가드모듈(3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면이 제1타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접힌다. 그러면서 타착가드부(30)의 전체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타측가드부(30)는 제1타측가드모듈(310)의 일면 또는 제1타측가드모듈(310)의 일면과 제2타측가드모듈(320)의 일면에 형성된 제1타측가드연결부재(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타측가드연결부재(301)는 제2매트연결부재(102)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갈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가드부(30)는 제1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4돌출연결부재(224)를 포함하고 상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5돌출연결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6돌출연결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측가드부(30)는 제1타측가드모듈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5높이연결부재(312)와 제1타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6높이연결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타측가드모듈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7높이연결부재(322) 그리고 하단면에 형성된 제8높이연결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높이연결부재(312), 제6높이연결부재(314) 및 제8높이연결부재(324)는 갈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되고 제7높이연결부재(322)는 걸림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6높이연결부재(314)와 제7높이연결부재(322)는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제1타측가드모듈(3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결합력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측가드모듈(310)과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형성된 일직선 상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높이연결부재(212), 제4높이연결부재(214), 제5높이연결부재(313) 및 제7높이연결부재(322)는 벨크로 뿐만 아니라, 제1지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가드부(40)는 제3매트연결부재(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측가드부(40)는 상측면의 일측에 제1돌출연결부재(211)와 연결되는 제1고정연결부재(411)를 포함하고, 상측면의 타측에 제4돌출연결부재(311)와 연결되는 제2고정연결부재(412)를 포함한다. 또한, 상측가드부(40)는 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높이연결부재(212)와 연결되는 제9높이연결부재(413) 그리고 타면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높이연결부재(214)와 연결되는 제10높이연결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9높이연결부재(413)와 제10높이연결부재(414) 사이에 형성되어 제3매트연결부재(111)와 연결되는 상측가드연결부재(4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연결부재(411), 제2고정연결부재(412), 제9높이연결부재(413), 제10높이연결부재(414), 상측가드연결부재(401)는 걸림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측가드부(40)는 제1상측가드모듈(410)과 제1상측가드모듈(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상측가드모듈(4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측가드부(40)는 제2상측가드모듈(4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면이 제1상측가드모듈(410)의 상측면에 맞닿으면서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측가드부(40)는 바닥매트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측가드부(40)는 제2상측가드모듈(4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면이 제1상측가드모듈의 일면에 중첩하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전체 길이가 짧은 상측가드부(40)는 범퍼침대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하측가드부(50)는 제4매트연결부재(121)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측가드부(50)는 상측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돌출연결부재(213) 또는 제3돌출연결부재(221)와 연결되는 제3고정연결부재(5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5돌출연결부재(313) 또는 제6돌출연결부재(321)와 연결되는 제4고정연결부재(512)를 포함한다. 또한 하측가드부(50)는 일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3높이연결부재(222)와 연결되는 제11높이연결부재(513) 그리고 타측에 형성되어 제7높이연결부재(322)와 연결되는 제12높이연결부재(5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1높이연결부재(513)와 제12높이연결부재(514) 사이에 형성되어 제4매트연결부재(121)와 연결되는 하측가드연결부재(5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고정연결부재(511), 제4고정연결부재(512), 제11높이연결부재(513), 제12높이연결부재(514), 하측가드연결부재(501)는 걸림고리 타입의 벨크로로 형성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제9높이연결부재(413), 제10높이연결부재(414), 제11높이연결부재(513) 및 제12높이연결부재(514)는 벨크로 뿐만 아니라, 제2지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지퍼모듈은 제1지퍼모듈과 치합되며 일측가드부와 타측가드부가 상측가드부와 하측가드부(50)에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측가드부(50)는 제1하측가드모듈(510)과 제1하측가드모듈(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측가드모듈(520)을 포함한다.
하측가드부(50)는 제2하측가드모듈(5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면이 제1하측가드모듈(510)의 상측면에 맞닿으면서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전체 길이가 긴 하측가드부(50)는 바닥매트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측가드부(50)는 제2하측가드모듈(5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면이 제1상측가드모듈의 타면에 중첩하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길이가 짧은 하측가드부(50)는 범퍼침대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일측가드부와 타측가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1매트모듈과 제2매트모듈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1매트모듈에 하측가드부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측가드부(20)는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제1일측가드모듈(2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일측가드모듈(220)의 타면 즉, 바깥면이 제1일측가드모듈의 타면과 중첩되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때, 결합되어 있는 제2높이연결부재(214)와 제3높이연결부재(222)는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제1일측가드모듈(2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가드부(20)는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제1일측가드모듈(2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일측가드모듈(220)의 상단면이 제1일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맞닿으면서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높이연결부재(214)와 제3높이연결부재(222)는 결합되며 제1일측가드모듈(210)과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직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타측가드부(30)는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제1타측가드모듈(3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타측가드모듈(320)의 타면 즉, 바깥면이 제1타측가드모듈의 타면 즉, 바깥면과 중첩되며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때, 결합되어 있는 제6높이연결부재(314)와 제7높이연결부재(322)는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제1타측가드모듈(3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타측가드부(30)는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제1타측가드모듈(3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타측가드모듈(320)의 상단면이 제1타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맞닿으면서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때, 제6높이연결부재(314)와 제7높이연결부재(322)는 결합되며 제1타측가드모듈(310)과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직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매트부(10)는 제2매트모듈(120)이 제1매트모듈(1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매트모듈(120)의 상면이 제1매트모듈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때, 제1매트모듈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5매트연결부재(1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매트부(10)는 제2매트모듈(120)이 제1매트모듈(1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매트모듈(120)의 타측면이 제1매트모듈의 타측면에 맞닿으면서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트부(10)는 제1매트모듈(110)에 제2매트모듈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측가드부(20), 타측가드부(30) 및 매트부(10)가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하측가드부(50)는 제5매트연결부재(112)로 이동되어 하측가드연결부재(501)와 제5매트연결부재(1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2실시예가 되는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 그리고 바닥매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는 접힌 매트부에 접힌 일측가드부와 접힌 타측가드부가 연결되고, 접힌 상측가드부와 접힌 하측가드부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1-2)는 접힌 매트부와 접힌 가드부의 연결을 통해, 가드부의 내부에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매트(1-3)는 매트부(10), 일측가드부(20), 타측가드부(30), 상측가드부(40)와 하측가드부(50)가 모두 펼쳐진 상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매트(1-3)는 제1매트모듈(110)이 상단에 위치하고 제2매트모듈(120)이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기조 구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가드부(20)는 제1매트모듈(110)의 일측에 제2일측가드모듈(220)이 위치하고 제2매트모듈(120)의 일측에 제1일측가드모듈(210)이 위치하도록 놓여진다. 이러한 일측가드부(20)는 하측면에 형성된 일측매트연결부재(202)가 제1매트연결부재(101)에 연결되며 매트부(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타측가드부(30)는 제1매트모듈(110)의 타측에 제2타측가드모듈(320)이 위치하고 제2매트모듈(120)의 타측에 제1타측가드모듈(310)이 위치하도록 놓여진다. 이러한 타측가드부(30)는 하측면에 형성된 타측매트연결부재(302)가 제2매트연결부재(102)에 연결되며 매트부(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가드부와 하측가드부는 펼쳐진 상태로, 매트부(10)의 하단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가드부(40)는 매트부(10)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타측면에 형성된 상측매트연결부재(415)가 제8높이연결부재(324) 및 제4매트연결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가드부(50)는 매트부(10)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타측면에 형성된 하측매트연결부재(515)가 제4높이연결부재(224) 및 제4매트연결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측가드부(40)와 하측가드부(50)는 펼쳐진 상태로, 매트부(10)의 상단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바닥매트(1-3)는 넓게 형성되며, 유아기의 아기를 보호할 수 있는 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1-1: 큰 사이즈의 범퍼침대 1-2: 작은 사이즈의 범퍼침대
1-3: 바닥매트
10: 매트부 101: 제1매트연결부재
102: 제2매트연결부재 110: 제1매트모듈
120: 제2매트모듈 111: 제3매트연결부재
121: 제4매트연결부재 112: 제5매트연결부재
20: 일측가드부 201: 제1일측가드연결부재
202: 일측매트연결부재
210: 제1일측가드모듈 220: 제2일측가드모듈
2101: 제1일측중첩연결부재 2202: 제2일측중첩연결부재
211: 제1돌출연결부재 213: 제2돌출연결부재
221: 제3돌출연결부재
212: 제1높이연결부재 214: 제2높이연결부재
222: 제3높이연결부재 224: 제4높이연결부재
30: 타측가드부 301: 제1타측가드연결부재
302: 타측매트연결부재
310: 제1타측가드모듈 320: 제2타측가드모듈
3101: 제1타측중첩연결부재 3202: 제2타측중첩연결부재
311: 제4돌출연결부재 313: 제5돌출연결부재
321: 제6돌출연결부재
312: 제5높이연결부재 314: 제6높이연결부재
322: 제7높이연결부재 324: 제8높이연결부재
40: 상측가드부 401: 상측가드연결부재
410: 제1상측가드모듈 420: 제2상측가드모듈
411: 제1고정연결부재 412: 제2고정연결부재
413: 제9높이연결부재 414: 제10높이연결부재
415: 상측매트연결부재
50: 하측가드부 501: 하측가드연결부재
510: 제1하측가드모듈 520: 제2하측가드모듈
511: 제3고정연결부재 512: 제4고정연결부재
513: 제11높이연결부재 514: 제12높이연결부재
515: 하측매트연결부재

Claims (5)

  1. 바닥에 하면이 접하는 제1매트모듈과 상기 제1매트모듈의 상면의 일측에 상기 제1매트모듈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매트모듈과 상기 제2매트모듈의 일측면에 제1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2매트연결부재가 형성된 매트부;
    상기 제1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일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일측가드모듈과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일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1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2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일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3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일측가드부;
    상기 제2매트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타측가드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타측가드모듈과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타측가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일측에 제4돌출연결부재, 타측에 제5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타측가드모듈의 상측면의 타측에 제6돌출연결부재가 형성된 타측가드부;
    상측면의 일측에 상기 제1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상기 제4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상측가드부; 및
    상측면의 일측에 상기 제2돌출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3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3고정연결부재 그리고 상측면의 타측에 상기 제5돌출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6돌출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4고정연결부재가 형성된 하측가드부를 포함하는,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상기 제2매트모듈이 상기 제1매트모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면이 상기 제1매트모듈의 상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측면이 상기 제1매트모듈의 타측면에 맞닿으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일측가드부는,
    상기 제2일측가드모듈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면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맞닿으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면이 상기 제1일측가드모듈의 타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타측가드부는,
    상기 제2타측가드모듈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면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면이 상기 제1타측가드모듈의 타면과 중첩되면서 길이가 짧아지는,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5748A 2019-05-13 2019-05-13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KR102017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748A KR102017072B1 (ko) 2019-05-13 2019-05-13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748A KR102017072B1 (ko) 2019-05-13 2019-05-13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072B1 true KR102017072B1 (ko) 2019-09-02

Family

ID=6795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748A KR102017072B1 (ko) 2019-05-13 2019-05-13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04U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알로로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5B1 (ko) 2011-12-28 2013-07-3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50003196U (ko) * 2014-02-17 2015-08-26 김재원 다기능 침대
KR101661721B1 (ko) * 2016-02-26 2016-10-04 (주)에센루 범퍼침대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5B1 (ko) 2011-12-28 2013-07-3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50003196U (ko) * 2014-02-17 2015-08-26 김재원 다기능 침대
KR101661721B1 (ko) * 2016-02-26 2016-10-04 (주)에센루 범퍼침대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04U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알로로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KR200496931Y1 (ko) * 2021-01-14 2023-06-13 주식회사 알로로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095B2 (en) Reversible child holding accessory
US7752688B2 (en) Playard
US9198524B2 (en) Reversible infant supporting apparatus
US5937458A (en) Crib bumper safety system
KR102017072B1 (ko) 사이즈 조절 유아범퍼매트
US9101226B1 (en) Infant supporting apparatus
US11419433B2 (en) Child care apparatus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KR20180017758A (ko) 유아용 범퍼침대
JP5886735B2 (ja) ベビーベッド
US20200367665A1 (en) Convertible crib
KR101700524B1 (ko) 가변 놀이 매트
JP2005095472A (ja) クッション
JP6681684B2 (ja) 寝台装置
JP2009136403A (ja) アームレスト調整装置
KR200437517Y1 (ko) 확장 침대
JP5550477B2 (ja) 頭部保護プロテクター
JP2007014596A (ja)
JP3214436U (ja) 添寝用ベビーベッド
JP2008043353A (ja) ベッド及びベッド用フード部材
JP4376580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マットレス装置及びベッド装置
JP3797655B2 (ja) 折畳み椅子
KR101592932B1 (ko) 형상 가변형 쿠션 보호 패드
JP2020114413A (ja) 寝台装置
KR200293632Y1 (ko) 다기능요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