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32B1 -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 Google Patents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32B1
KR102031932B1 KR1020190025228A KR20190025228A KR102031932B1 KR 102031932 B1 KR102031932 B1 KR 102031932B1 KR 1020190025228 A KR1020190025228 A KR 1020190025228A KR 20190025228 A KR20190025228 A KR 20190025228A KR 102031932 B1 KR102031932 B1 KR 10203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uard
standing
coupl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Priority to KR102019002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7Children's beds combined with other nursery furniture, e.g. chest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침대를 구성하는 매트 및 매트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재에 의해 매트들을 결합할 수 있고 매트들의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범퍼침대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들 간의 결합을 강하게 하는 결합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아이들이 부딪치거나 밀어도 단단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튼튼한 범퍼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VARIABLE BUMPER BED WITH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범퍼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범퍼 침대에 관한 것이다.
자기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유아들에게 높은 침대는 위험하다. 자칫 떨어져 다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드가 설치된 침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아이들이 조금만 자라면 침대가 좁아지고 가드를 넘다가 더 크게 다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떨어질 염려도 없고 아이들이 더 넓은 공간에서 지낼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하는 형태의 범퍼 침대가 많이 사용된다. 범퍼 침대는 바닥 매트 부분과 아이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범퍼 침대는 각각의 부품들이 결합하여 범퍼 침대를 형성하기 때문에 결합방법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범퍼 침대 안에서 놀다가 밀거나 기대면 결합 부분이 분리되어 아이들이 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기술 중 하나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7758호에 개시된 발명은 매트리스에 벨크로를 포함시켜 매트리스들을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결합방식은 벨크로의 위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어렵고, 결합과 분해가 반복되다 보면 벨크로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매트리스에 조금만 힘을 가해도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범퍼 침대를 보완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결합상태를 튼튼히 유지할 수 있는 결합 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범퍼 침대의 결합부를 보완하여 튼튼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 가변형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하여 범퍼 침대를 침대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는,
바닥매트; 바닥배트와 직각으로 만나 가드부를 형성하는 가드매트; 가드매트와 바닥매트를 연결하는 제1 결합부재; 및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재는 바닥부재와 제1 기립부재 및 제2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기립부재와 상기 제2 기립부재 사이에 상기 가드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제3 기립부재 와 제4 기립부재가 일측에서 직각으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제3 기립부재의 제1 기립기둥 또는 제2 기립기둥은 상기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4 기립부재의 제3 기립기둥 또는 제4 기립기둥은 상기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매트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매트와 제2 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매트는 상기 제1 매트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접혀서 가드부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매트는 제1 매트, 제2 매트,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순서대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매트 내지 제4 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포개져서 상기 제1 매트 및 제2 매트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접혀서 가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포개져서 형성된 가드부는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결합부재와 동일한 형태이나 길이방향 길이가 상기 제2 결합부재보다 짧은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기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아래에서 수직방향으로 수용된다.
확장 가드매트와 제4 결합부재 및 제5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드매트는 제5 매트와 제6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5 매트와 제6 매트는 직각 형태로 접혀서 상기 제5 매트는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4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6 매트는 상기 제5 결합부재에 의해 다른 확장 가드매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4 결합부재는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고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5 기립기둥 및 제6 기립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 기립기둥은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6 기립기둥은 상기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5 결합부재는 제2 바닥부재 및 제5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닥부재는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하면 밑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여 평행한 제7 기립기둥 및 제8 기립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5 기립부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제7 기립기둥은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8 기립기둥은 상기 다른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드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제1 매트와 제2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가 포개져 접히는 형태로 상기 가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범퍼 침대를 위한 범퍼매트 결합 부재는, 서로 인접하여 수직으로 만나는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매트 결합 부재로서 바닥부재, 제1 기립부재 및 제2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기립부재와 상기 제2 기립부재 사이에 상기 가드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적으면서도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범퍼 침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퍼 침대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침대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범퍼 침대를 구성하는 바닥매트 및 가드매트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매트 결합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침대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가드매트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드매트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드매트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바닥매트(210)의 일부가 접혀서 세워진 형태로 가드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2의 (b)는 바닥매트(210)가 모두 펼쳐진 형태로 매트가 좀 더 넓은 범위를 덮도록 변형한 예를 나타낸다.
범퍼 침대는 바닥매트(210)와 가드매트(220, 230)를 포함하여 바닥매트(210)와 가드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범퍼 침대를 구성하는 매트들의 구조를 나타낸다.
바닥매트(210)는 제1 매트(212), 제2 매트(214), 제3 매트(216) 및 제4 매트(218)가 동일 평면상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매트(212)와 제2 매트(214)는 바닥에 위치하며 제3 매트(216)와 제4 매트(218)는 서로 포개져서 제1 매트(212) 및 제2 매트(214)와 직각인 형태로 접혀 가드부(벽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매트(210)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로 구성되고, 제1 매트는 바닥에 위치하고 제2 매트는 제1 매트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접혀서 가드부를 형성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제1 매트(212) 내지 제4 매트(218)는 접히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펼쳐지는 경우 도 1의 (b)와 같이 더 넓은 범위를 덮을 수 있다.
도 2의 (b)는 후면 가드매트(220)를, 도 2의 (c)는 측면 가드매트(230)를 나타낸다.
후면 가드매트(220)는 제1 매트(222)와 제2 매트(224)가 동일 평면상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매트(222)와 제2 매트(224)는 포개져 접힌 형태로 가드부를 형성한다. 두 개의 매트가 겹쳐진 형태로 두꺼운 가드부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기대거나 밀어도 보다 튼튼한 가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 가드매트(232) 또한 제1 매트(232)와 제2 매트(234)가 동일 평면상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포개져 접힌 형태로 측면 가드부를 형성한다.
후면 가드매트(220)와 측면 가드매트(232)는 모두 두 개의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드부를 구성하지 않을 때는 구성 매트들을 포개지 않고 펼쳐서 바닥매트로 활용하여 바닥면을 보다 넓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후면 가드매트(220)와 측면 가드매트(230)는 물론 필요에 따라 하나의 매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바닥매트(210)와 가드매트(220, 230)들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들을 나타낸다.
도 3의 (d)는 바닥매트(210)와 가드매트(220, 23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부재를 나타낸다.
제1 결합부재(340)는 바닥부재(342), 제1 기립부재(344) 및 제2 기립부재(346)를 포함한다.
제1 기립부재(344)는 바닥부재(34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제2 기립부재(346)은 바닥부재(342)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제1 기립부재(344)와 제2 기립부재(346)는 바닥부재(34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3은 제1 결합부재(340)에 의해 바닥매트(1310)와 가드매트(1320)가 결합하는 모습을 좀 더 자세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1 결합부재(340)의 제1 기립부재(344)는 바닥매트(13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제1 기립부재(344)는 바닥매트(1310)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부(1312)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어 고정된다.
가드매트(1320)는 제1 기립부재(344)와 제2 기립부재(346)사이에 밀착되어 삽입된다. 바닥부재(342)가 가드매트의 하단 밑에 위치하므로 가드매트(1320)의 무게에 의해 제1 결합부재(340)가 고정되고 바닥매트(1310)의 수용부(1312)에 제1 결합부재(340)의 제1 기립부재(344)가 수용되어 고정되므로 바닥매트(1310)와 가드매트(132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의 (b)는 제1 결합부재(340)에 의해 바닥매트(1310)와 가드매트(1320)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와 (b)는 가드매트(220)와 다른 가드매트(230)를 연결하는 제2 결합부재(310) 및 제3 결합부재(320)를 나타낸다.
제2 결합부재(310)는 제3 기립부재 와 제4 기립부재가 일측에서 직각으로 만나 형성되며 제3 기립부재는 제1 기립기둥(312)과 제2 기립기둥(314)을 포함하고 제4 기립부재는 제3 기립기둥(316)과 제4 기립기둥(318)을 포함한다.
제3 결합부재(320)는 네 개의 기립기둥들(322, 324, 326, 328)을 포함하여 제2 결합부재(310)와 동일한 형태이나 길이방향이 제2 결합부재(310)보다 짧은 특징이 있다.
도 5는 제2 결합부재(310)와 제3 결합부재(320)를 이용하여 가드매트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다.
가드매트가 두 개의 매트가 겹쳐져서 형성된 경우 수용부도 두 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부재(310)의 제1 기립기둥(312) 및/또는 제2 기립기둥(314)은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위 또는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수용되고, 제3 기립기둥(316) 및/또는 제4 기립기둥(318)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위 또는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수용된다. 이에 의해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는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드매트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제2 결합부재(310)와 제3 결합부재(32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310)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용되고 제3 결합부재(320)가 아래에서 위로 수용되면 위, 아래에서 동시에 가드매트들을 고정하므로 보다 단단하게 가드매트들이 결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때 아래쪽에 있는 결합부재가 가드매트들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위해서는 가드매트를 들어서 결합부재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길이가 짧은 제3 결합부재(320)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힘을 덜 들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4는 제2 결합부재와 제3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다른 형태로 가드매트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의 예와는 달리 가드매트의 수용부가 있는 면과 다른 가드매트의 측면이 만나서 겹쳐진다. 도 5와는 달리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가 틈 없이 만나 결합부를 형성하고, 수용부가 한 면만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도 3의 (c)는 바닥부재(332)를 더 포함하는 결합부재(330)의 예를 나타낸다.
결합부재(330)는 바닥부재(332)와 제1 기립부재, 제2 기립부재를 포함하고, 제1 기립부재와 제2 기립부재는 각각 서로 이웃하여 평행한 두 개의 기립기둥들( 334, 335, 336, 337)로 이루어진다.
제1 기립부재는 바닥부재(33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제1 기립부재가 바닥부재(332)와 만나지 않는 면에서 제2 기립부재와 직각으로 만나 형성된다.
도 6은 결합부재(330)에 의해 가드매트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결합부재(330)의 바닥부재(332)는 가드매트의 하단부 아래 위치하고 기립기둥들(334, 335, 336, 337)은 가드매트들의 수용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될 수 있다. 바닥부재(332)가 가드매트의 무게에 의해 눌리는 구조이므로 가드매트들이 결합됨과 동시에 바닥에 밀착되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침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범퍼침대의 확장을 위해 확장 가드매트(410)와 제4 결합부재(420) 및 제5 결합부재(430)가 추가로 필요하다.
확장 가드매트(410)는 제5 매트(412)와 제6 매트(414)가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5 매트(412)와 제6 매트(414)는 직각으로 접히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확장 가드매트(410)는 직각 형태로 접혀서 한 면이 다른 가드매트와 결합하고 다른 한 면은 다른 확장 가드매트와 결합하게 된다.
확장 가드매트(410)와 다른 가드매트의 결합을 위해 제4 결합부재(420) 또는 제5 결합부재(430)가 사용된다.
제4 결합부재(420)는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고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5 기립기둥(422) 및 제6 기립기둥(424)을 포함한다. 제5 기립기둥(422)은 확장 가드매트(410)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제6 기립기둥(422)은 가드매트 또는 다른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제4 결합부재(420)에 의해 매트들은 서로 일렬로 결합되게 된다.
제5 결합부재(430)는 제2 바닥부재(432) 및 제5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 기립부재는 서로 이웃하여 평행한 제7 기립기둥(434) 및 제8 기립기둥(4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바닥부재(432)는 확장 가드매트(410) 또는 가드매트의 하면 밑에 위치하며, 제5 기립부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제7 기립기둥은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제8 기립기둥은 가드매트 또는 다른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확장 가드매트(410)에 의해 바닥매트(210)를 평면으로 모두 펼칠 수 있어서 보다 넓은 구조의 범퍼침대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과 도 8은 제5 결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기립기둥이 하나로 구성된 결합부재(710)의 예이다. 가드매트가 겹쳐져 포개진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매트로 이루어진 경우 하나의 기립기둥만으로 두 개의 가드매트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결합부재(710)은 바닥부재(712)와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기립부재(714)로 이루어진다.
기립부재(714)는 가드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용부(722, 724) 중 하나의 수용부에만 수용되며 다른 가드매트의 두 개의 수용부 중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두 개의 가드매트를 결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드매트의 하단 수용부(724)에 기립부재(714)가 수용된 경우 다른 가드매트의 상단 수용부에 기립부재(714)의 상부가 수용되는 것이다. 도 7의 (c)는 두 개의 가드매트가 결합부재(71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기립기둥이 세 개로 구성된 결합부재(810)의 예를 나타낸다.
가드매트가 세 겹으로 겹쳐진 경우 수용부가 세 개로 나눠질 수 있으므로 세 개의 기립기둥(814, 816, 818)을 포함할 수 있다. 세 개의 기립기둥 중 하나 혹은 두 개의 기립기둥은 한 가드매트(810)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하나 혹은 두 개의 기립기둥이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면 두 개의 가드매트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의 (c)는 가드매트가 겹쳐진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매트로 구성되지만 수용부가 세 개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세 개의 기립기둥 중 일부는 가드매트(810)의 수용부에 수직으로 수용되고 나머지 기립기둥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결합부재의 다양한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4의 (c)와 같은 제4 결합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가드매트가 하나의 매트로 구성된 경우의 결합부재(910)이다. 도 7의 예에서와 같이 가드매트에 수용부가 상하로 위치하는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혹은 아래에서 위로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용시켜 가드매트들을 결합할 수 있다.
도 9의 (b)와 (c)는 가드매트가 각각 세 개, 네 개의 매트들로 구성되어 세 겹 혹은 네 겹으로 포개져 형성된 경우의 결합부재들이다.
결합부재에 포함된 기립기둥들이 가드매트들의 수용부에 나눠져 수용됨으로써 가드매트들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도 10은 도 3의 (a)와 같은 제2 결합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가드매트가 세 개의 매트가 포개져 가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필요한 각각 세 개의 기립기둥을 포함하는 두 개의 기립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이고, (b)는 하나의 매트로 이루어진 가드매트들을 결합하기 위해 하나의 기립기둥을 가지는 두 개의 기립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이다.
도 11은 도 1의 (c)와 같은 결합부재(330)의 다양한 변형 예이다. 기립부재들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가드매트들을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도 3의 (a)와 같은 제2 결합부재의 변형예이다.
도 12의 (b)와 같이 안쪽 기립기둥들과 바깥쪽 기립기둥들이 서로 연결되어 분리되는 구조이다.
각각의 기립기둥들은 가드매트들의 수용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수용됨으로써 기립기둥들을 결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안쪽 기립기둥들 혹은 바깥쪽 기립기둥들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매트와 결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범퍼침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그 결합을 단단하게 유지하여 아이들이 부딪치거나 밀더라도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7)

  1. 바닥매트;
    바닥배트와 직각으로 만나 가드부를 형성하는 가드매트;
    가드매트와 바닥매트를 연결하는 제1 결합부재; 및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재는 바닥부재와 제1 기립부재 및 제2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기립부재와 상기 제2 기립부재 사이에 상기 가드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제3 기립부재 와 제4 기립부재가 일측에서 직각으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제3 기립부재의 제1 기립기둥 또는 제2 기립기둥은 상기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4 기립부재의 제3 기립기둥 또는 제4 기립기둥은 상기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매트와 제2 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매트는 상기 제1 매트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접혀서 가드부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는 제1 매트, 제2 매트,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순서대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매트 내지 제4 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포개져서 상기 제1 매트 및 제2 매트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접혀서 가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매트 및 제4 매트가 포개져서 형성된 가드부는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와 동일한 형태이나 길이방향 길이가 상기 제2 결합부재보다 짧은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기 가드매트와 다른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아래에서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확장 가드매트와 제4 결합부재 및 제5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드매트는 제5 매트와 제6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5 매트와 제6 매트는 직각 형태로 접혀서 상기 제5 매트는 상기 가드매트와 상기 제4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6 매트는 상기 제5 결합부재에 의해 다른 확장 가드매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4 결합부재는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고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5 기립기둥 및 제6 기립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 기립기둥은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6 기립기둥은 상기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5 결합부재는 제2 바닥부재 및 제5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닥부재는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하면 밑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여 평행한 제7 기립기둥 및 제8 기립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5 기립부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제7 기립기둥은 상기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8 기립기둥은 상기 다른 확장 가드매트의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매트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제1 매트와 제2 매트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가 포개져 접히는 형태로 상기 가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7. 서로 인접하여 수직으로 만나는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매트 결합 부재로서 바닥부재, 제1 기립부재 및 제2 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립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기립부재와 상기 제2 기립부재 사이에 상기 가드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를 위한 범퍼매트 결합 부재.
KR1020190025228A 2019-03-05 2019-03-05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KR10203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28A KR102031932B1 (ko) 2019-03-05 2019-03-05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28A KR102031932B1 (ko) 2019-03-05 2019-03-05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24A Division KR102246447B1 (ko) 2019-09-26 2019-09-26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32B1 true KR102031932B1 (ko) 2019-10-14

Family

ID=6817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28A KR102031932B1 (ko) 2019-03-05 2019-03-05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98A (ko) * 2011-12-28 2012-12-05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60137149A (ko) * 2015-05-22 2016-11-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범퍼 매트 및 텐트형 매트로 형태 변환가능한 폴더형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98A (ko) * 2011-12-28 2012-12-05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160137149A (ko) * 2015-05-22 2016-11-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범퍼 매트 및 텐트형 매트로 형태 변환가능한 폴더형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KR102352442B1 (ko) 2019-08-14 2022-01-18 주식회사 보니타베베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3263A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US9675182B2 (en) Bi-axially collapsible frame for a bassinet
KR102031932B1 (ko)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CA2472802A1 (en) Collapsible two tier support
KR101661721B1 (ko) 범퍼침대매트
CN105555168A (zh) 用于卧式家具和/或立式家具的脚支架和/或腿支架的收缩和伸展装置
KR101290685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US3366381A (en) Collapsible hurdle
KR102246447B1 (ko)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AU200733222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affolding systems
KR102352442B1 (ko)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
KR102013267B1 (ko)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매트
KR20160137149A (ko) 범퍼 매트 및 텐트형 매트로 형태 변환가능한 폴더형 매트
JP6263440B2 (ja) 仮設構築物用ブレース
KR20210001419U (ko) 다용도 범퍼매트
US20170265649A1 (en) Bi-axially collapsible frame for a child care support article
KR101347434B1 (ko) 기능성 매트
CN205053497U (zh) 一种儿童床护栏
CN111645106B (zh) 伸缩臂
KR200474865Y1 (ko) 다용도 옥타곤 놀이 매트의 구조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KR200484934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JPS6015476Y2 (ja) ソフア−ベツド
US336679A (en) Henry williams
HUE030697T2 (en) Removable shelf system with modular shelf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