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19U - 다용도 범퍼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범퍼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19U
KR20210001419U KR2020190005092U KR20190005092U KR20210001419U KR 20210001419 U KR20210001419 U KR 20210001419U KR 2020190005092 U KR2020190005092 U KR 2020190005092U KR 20190005092 U KR20190005092 U KR 20190005092U KR 20210001419 U KR20210001419 U KR 20210001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tage
floor
mats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리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리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리빙
Priority to KR2020190005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419U/ko
Publication of KR20210001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3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soft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는, 바닥과 측벽을 형성하는 매트의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워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이뤄지며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되 결합과 결속이 강하고 안전하게 이뤄져 유아동의 침대매트, 놀이매트로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는,
중앙에 위치하며 바닥면을 이루는 2단 접이식 바닥매트;와 바닥매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어지며 상호 마주하도록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2단 접이식 측면매트;로 구성되는 6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동일한 너비로써 구비되며 바닥매트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측면과 하측면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직립될 수 있는 2단매트;를 포함하되,
측면매트와 2단매트는 상호 연직한 방향으로 모서리를 이루며 맞닿아 측벽을 이룰 수 있고, 각각의 맞닿는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지퍼를 포함하는 파스너로 구성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측벽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측벽을 이루는 측면매트와 2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2단매트의 각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연결고리는 소정의 연결끈으로 묶여 상호 결박됨으로써 측벽의 직립과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범퍼매트{Multi-Function Bumper Mat}
본 발명은 다용도 범퍼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구성된 접이식 매트를 접거나 펼치는 형태 변환을 통해 바닥 깔개용 매트, 4면의 측벽이 구성된 침대매트, 또는 3면 측벽에 1면이 개방된 놀이 매트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범퍼가 구비된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는, 바닥매트와 측면매트가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방식의 6단으로 접힐 수 있는 6단매트와 바닥매트의 타방향 양단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2단으로 접힐 수 있는 2단매트로 구성되고, 측면매트와 2단매트가 바닥매트의 4면을 둘러싸며 고정된 상태로 측벽을 이루어 유아동이 안전하게 취침을 취할 수 있는 범퍼침대로 활용할 수 있고, 또는 3면을 둘러싸며 측벽을 이루고 1면을 개방하여 안전 범퍼가 벽으로 구성되고 출입구가 형성된 안전 놀이매트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는 6단매트와 2단매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모두 펼쳐 바닥 깔개 매트로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측벽 구성 시 지퍼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로 접합면의 매트 상호를 연결하고 연결고리와 연결끈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상태를 고정하고 측벽의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동이 사용하기에 부상 위험이 없고 안전한 결합 및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범퍼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내부에 범퍼와 같은 형상의 쿠션 재질로 충진되는 형태로써 구성되며, 바닥에 깔개용으로 사용하면서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유아동이 안전한 놀이를 할 수 있게 하거나 매트 위에서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용도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트는 그 형태적 특성상 쉽게 접힐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제약이 있고 청소, 세탁의 어려움은 물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따로 보관하는 것도 수월치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매트는 유아나 아동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바 성인과 달리 유아동을 위한 다양한 제품이 안전상의 목적으로 많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각 가정 및 유아동 관리 시설의 필요사항인데, 실내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유아동을 위한 침대, 소파, 놀이매트 등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기에 꺼려지는 것은 공간적 제약 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도 크게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매트를 조립하여 벽체를 세우고 고정시키는 등의 제품이 출시된 바 있으나, 직립된 매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단단하고 무거운 결합부재가 사용됨으로써 유아동의 안전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고 무게가 증가하며 미사용 시 별도 보관하는데 애로사항이 따르며 또한 벽체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아 필요에 따라 벽체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고 벽체를 설치하거나 떼어내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 깔개로도 사용할 수 있고, 안전하게 기대며 놀이매트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취침 시에는 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무게는 가볍고 보관 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매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3694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가볍고 충격흡수력이 좋은 매트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6단매트를 형성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힘과 펼침이 원활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소음 방지용 바닥 깔개 및 안전놀이 매트로 사용될 수 있고, 바닥매트에 이어진 측면매트를 직립하여 좌우 측벽을 구성하고 바닥매트의 상하 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2단매트를 각각 연결하여 직립하여 측벽을 구성함으로써 4면이 측벽으로 세워진 침대매트로써 활용할 수 있되 측벽을 구성하는 측면 매트 상호간에는 유아동에 안전한 재질의 결합부재와 연결끈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측벽의 높이는 1단 또는 2단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3면은 측벽을 구성하고 1면은 개방하여 벽체와 출입구가 동시에 구비된 안전 놀이매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범퍼매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용도의 활용방법과 더불어 미사용 시 6단매트와 2다매트를 분리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다양하게 변형이 되어 경제적으로도 유용한 다용도 범퍼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는,
중앙에 위치하며 바닥면을 이루는 2단 접이식 바닥매트;와 바닥매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어지며 상호 마주하도록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2단 접이식 측면매트;로 구성되는 6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동일한 너비로써 구비되며 바닥매트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측면과 하측면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직립될 수 있는 2단매트;를 포함하되,
측면매트와 2단매트는 상호 연직한 방향으로 모서리를 이루며 맞닿아 측벽을 이룰 수 있고, 각각의 맞닿는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측벽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는 지퍼를 포함하는 파스너로 구성되어 측면매트와 2단매트가 측벽을 이루는 접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구성하는 각 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을 이루는 측면매트와 2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2단매트의 각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연결고리는 소정의 연결끈으로 묶여 상호 결박됨으로써 측벽의 직립과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6단매트와 2단매트가 연결된 채 모두 펼쳐져 바닥 깔개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직립하여 매트 측벽이 구비된 침대로 사용될 수 있되,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측벽의 높이를 1단 또는 2단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접거나 펼친 상태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고리와 연결끈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매트는 바닥1매트와 바닥2매트로 구성되되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고, 측면매트는, 바닥매트의 일측에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1매트와 측면2매트; 및 바닥매트의 타측에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3매트와 측면4매트;로 구성되되, 측면1매트와 측면2매트 및 측면3매트와 측면4매트 각각에 있어 상호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고, 측면1매트와 바닥매트, 측면3매트와 바닥매트는 상호 결합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6단매트를 구성하는 바닥매트와 측면매트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포개지며 접히면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6단매트와 2개의 2단매트를 조합하여 넓게 펼침으로써 층간소음을 줄이고 유아동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취침, 휴식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 깔개용 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6단매트의 좌우 측면매트를 직립하고 6단매트의 상하에 2단매트를 각각 연결하여 직립함으로써 4면이 범퍼매트로 측벽이 구성되는 안전한 범퍼침대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6단매트의 좌우 측면매트를 직립하고 6단매트의 상측에 2단매트를 연결하여 직립함으로써 3면이 범퍼매트로 측벽이 구성되고 1면이 개방된 형태로 변환되어 출입구와 안전 벽체가 동시에 구비되는 유아동 안전 놀이매트로 사용될 수 있다.
넷째, 측벽 구성 시 유아동의 키와 놀이의 종류, 사용용도에 따라 측벽의 높이를 1단 또는 2단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측벽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접한 매트 상호간에는 지퍼를 포함하는 파스너가 구성되어 연결됨으로써 측벽을 형성하고, 매트와 유사한 소재의 연결고리와 연결끈이 구비되어 상호 결박을 통해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유아동이 다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롭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기본형으로써 바닥 깔개용 매트 용도로 펼쳐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추가형으로써 십자가 형태로 펼쳐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펼쳐진 상면을 위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펼쳐진 후면을 아래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상면을 위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후면을 아래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측면을 측면매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측면을 2단매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결합부재와 연결고리 및 연결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접힘과 펼침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기본형으로써 바닥 깔개용 매트 용도로 펼쳐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추가형으로써 십자가 형태로 펼쳐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펼쳐진 상면을 위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펼쳐진 후면을 아래에서 바라본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상면을 위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후면을 아래에서 바라본 후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측면을 측면매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측벽이 구성된 측면을 2단매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결합부재와 연결고리 및 연결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의 접힘과 펼침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10)는 6단매트(100)와 2단매트(200), 결합부재(300)와 연결고리(310) 및 연결끈(311)을 포함한다.
6단매트(100)는 6개의 매트가 연결되어 이어진 상태로 상호 접히고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6단 접이식 구조를 가진다.
6단매트(100)를 구성하는 각 단의 매트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충격흡수성이 좋고 가벼우며 방수성이 좋은 재질로써 구성될 수 있다.
6단매트(100)는 바닥매트(110)와 한 쌍의 측면매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바닥매트(110)는 6단매트(100)의 중앙에 위치하며 바닥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측면매트(120)는 바닥매트(110)의 일측과 타측에 측벽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각각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닥매트(110)와 측면매트(120)는 일렬로 결합된 단일의 매트로써 다수의 단으로 형성된 접이식 매트이며, 펼쳐지면 바닥 깔개용 매트로 사용될 수 있고, 측면매트(120)를 직립시키면 측벽이 구성되는 매트로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6단매트(100)는 바닥매트(110)와 측면매트(120)가 펼쳐지면 길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매트가 되고, 양 측단의 측면매트(120)가 직립되면 ‘ㄷ’자 형태의 매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매트(110)와 측면매트(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각각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매트(120), 바닥매트(110), 측면매트(120)의 순서대로 일 방향으로 나란히 이어진 단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매트(110)를 구성하는 각 단의 매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직사각형의 형상을 지니며 측면 길이가 긴 변을 맞닿으며 나란히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매트(110)는 바닥1매트(111)와 바닥2매트(112)의 2단으로 구성되며, 바닥1매트(111)와 바닥2매트(112)는 상호 접합면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이 열리면서 접힘과 펼침이 이뤄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매트(110)는 결합방향으로 일측에 바닥1매트(111)가 위치하고 타측에 바닥2매트(112)가 위치할 수 있다.
측면매트(120)는 바닥매트(110)와 결합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매트(120)의 각 단은 바닥매트(110)의 각 단과 측면 길이는 동일한 반면, 상측과 하측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매트(120)가 바닥매트(110)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었을 때 상측과 하측의 연결부위는 상호 어긋남이 없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측면매트(120)가 바닥매트(110)와 연직하게 직립되었을 때 바닥매트(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길이를 정확히 맞춰 커버하는 측벽이 될 수 있다.
측면매트(120)는 바닥매트(110)의 일측, 즉 바닥1매트(111)에 접하며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 및 바닥매트(110)의 타측, 즉 바닥2매트(112)에 접하며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3매트(123)와 측면4매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는 상호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이격된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하단이 붙어있고 상단이 열리면서 접힐 수 있고, 반대로 상단이 맞닿으면서 펼쳐질 수 있다.
측면1매트(121)와 바닥1매트(111)의 결합면은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가 열리면서 접히고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며, 측면3매트(123)와 바닥2매트(112) 또한 상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6단매트(100)는 일측부터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측면2매트(122), 측면1매트(121), 바닥1매트(111), 바닥2매트(112), 측면3매트(123), 측면4매트(124)의 6개 매트로 구성된 다단식 접이매트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6개의 매트는 상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 매트의 상측과 하측의 연결부위는 어긋남이 없이 일자로 맞춰진 상태로 나란히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매트의 폭은 상호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6개의 매트는 상호 결합면의 연결부위가 5개 형성되는데, 일측단부터 타측 방향 순서대로 하단, 상단, 하단, 상단, 하단으로 연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6단매트(100)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포개지면서 접힐 수 있고 따라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가벼운 힘으로 쉽게 포갤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바닥매트(110)의 폭은 일 측면매트(120)의 폭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야 바닥은 넓고 측벽은 낮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10)가 안정성 있게 측벽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일측에 구성되는 측면매트(120)로써의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 그리고 타측에 구성되는 측면매트(120)로써의 측면3매트(123)와 측면4매트(124) 또한 상호 간에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일측의 측면매트(120)와 타측의 측면매트(120)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용도 및 활용방안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측면매트(120)가 각각 상이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매트(120)의 폭이라는 의미는 6단매트(100)를 횡으로 길게 접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정의되는 개념이며, 따라서 측면매트(120)의 폭은 바닥매트(110)에 연직하게 직립되었을 때 바닥매트(110)와 이루는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예시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측면매트(120)의 폭이 상이하도록 구비되면 한 쌍의 측면매트(120)가 각각 측벽으로 직립되었을 때 일측과 타측의 측벽 높이가 다른 형상을 지니게 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용목적과 사용장소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기능을 제공한다.
결국 바닥매트(110)에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측벽이 한쪽은 높고 한쪽은 낮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양쪽을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의 상호 폭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3매트(123)와 측면4매트(124)의 상호 폭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1매트(121)의 폭이 측면2매트(122) 대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면 측벽 용도로 직립되었을 때 측면1매트(121)로 구성되는 측벽의 1단은 높고 측면2매트(122)로 구성되는 측벽의 2단은 낮은 형상이 조성되는 것이다.
반대로 측면1매트(121)의 폭이 측면2매트(122) 대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측벽의 1단이 낮고 측벽 2단이 높은 형상이 조성된다.
이는 측벽을 구성할 때,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를 접철하여 1단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를 펼쳐서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측벽을 1단으로만 구성했을 때 낮게 할 것인지 높게 할 것인지, 1단으로만 할 때는 낮게 하고 2단으로 올렸을 때 높게 형성되는 게 좋은지, 혹은 그 반대인지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령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10)가 유아동을 위한 매트로써 가정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주간에는 놀이매트로서 사용되되 사용 유아동의 나이가 어려서 쉽게 넘어질 수 있는 우려에 대비해 기대고 막아줄 수 있는 측벽이 필요하고 동시에 놀이매트의 외부에서 보호인이 관찰할 수 있는 낮은 높이의 측벽이 필요하다면 폭이 좁은 측면1매트(121)를 측벽의 1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사용인의 연령대가 뛰어놀 수 있는 아동이고 두 명 이상의 아동이 매트에서 장난치듯 놀이를 한다고 가정하면 폭이 넓은 측면1매트(121)가 측벽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측벽 1단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야간에는 측면2매트(122)를 측면1매트(121)의 상단으로 올려서 측벽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침대매트로써 안락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에 상대적으로 형성되는 폭과 이의 활용은 바닥매트(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측면3매트(123)와 측면4매트(124)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관점과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2단매트(2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2단 접이식 매트로써 직사각형의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길게 형성된 변의 길이는 6단매트(100)의 접이 방향의 절반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2단매트(200)를 6단매트(100)가 펼쳐진 접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치게 되면 2단매트(200)의 측면 길이는 측면1매트(121), 측면2매트(122) 및 바닥1매트(111)을 합친 길이와 같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2단매트(200)를 6단매트(1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일측에 접하여 6단매트(100)의 접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펼치게 되면, 커다란 사각형의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이때 2단매트(200)와 6단매트(100)의 접합 부위에는 연결고리(310)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연결끈(311)에 의해 매듭지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각형 매트의 형상을 고정할 수 있다.
2단매트(200)와 6단매트(100)의 조합으로 크게 펼쳐진 사각형의 매트는 바닥 깔개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기본형으로써, 유아동의 놀이매트, 층간소음 방지 효과, 취침 및 휴식의 공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형으로써 2단매트(200)는 바닥매트(110)가 형성하는 사각형상 중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2개의 측면, 즉 바닥매트(110)를 상부에서 목측할 경우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십자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단매트(200)는 연결고리(310) 및 연결끈(311)에 의해 바닥매트(110)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써 연결될 수 있다.
2단매트(200)는 바닥매트(110)의 너비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긴 변을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맞닿으며 각각 구성될 수 있다.
2단매트(200)는 바닥매트(1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연결되는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 및 바닥매트(1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연결되는 하측1매트(220)와 하측2매트(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 그리고 하측1매트(220)와 하측2매트(221)는 각각 결합방향으로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열리면서 접힘과 펼침이 이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측1매트(210) 및 하측1매트(220)는 각각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탈착과 부착이 이뤄지며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2단매트(200)는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어 바닥에 펼쳐진 채 십자가 형태의 바닥 깔개용 매트로써 넓은 면적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후 바닥매트(11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걸친 채 연직되어 직립됨으로써 측벽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2단매트(200)가 측벽을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바닥 깔개용 매트로 전용되는 경우에는 사용공간의 형상과 사용목적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 중 일 측에만 2단매트(200)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측면매트(120)의 접이 방향 외측으로 추가 연결되어 길게 펼쳐진 형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2단매트(200)가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면 상부에서 목측 시, 바닥1매트(111)와 바닥2매트(112)가 이루는 접합면과 2단매트(200)의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의 접합면, 및 하측1매트(220)와 하측2매트(221)의 접합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직각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단매트(200)와 바닥매트(110) 각각의 접이 방향이 직교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부에서 목측 시 2단매트(200)가 바닥매트(110)와 접하는 측면 즉, 상측1매트(210)와 하측1매트(220)의 가로 길이는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이 가지는 너비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2단매트(200)는 인접하는 측면매트(120) 및 바닥매트(110)와 모두 연직한 상태를 이루며 직립되어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에 인접하는 상측1매트(210)의 높이와 그 위에 위치하는 상측 2매트의 높이가 구성되는 상대적 길이 및 활용방법은 앞서 언급한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의 폭 및 이의 활용 사례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에 있어 높이로 명명되는 개념은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에 있어 6단매트(100)를 횡 방향으로 길게 펼쳐놓고 상측과 하측에 종방향으로 2단매트(200)를 각각 구비한 경우에 해당되는 의미이며, 횡방향으로 펼쳐진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에 있어서 언급된 폭과 동일한 개념인 것을 의미한다.
결국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 측면3매트(123)와 측면4매트(124)에 있어서 폭의 개념은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 하측1매트(220)와 하측2매트(221)에서 언급되는 높이와 같은 개념이다.
따라서 전술한 측면1매트(121)와 측면2매트(122)의 폭과 이의 활용은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상측1매트(210)와 상측2매트(211) 및 하측1매트(220)와 하측2매트(221)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사용자는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의 1단과 2단을 상호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매트(110)와 연직한 방향으로 직립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인접한 측벽을 구성하는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 간에는 맞닿는 접합면을 따라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결합부재(30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즉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의 각 단에는 측벽의 모서리를 이루는 측면을 따라 결합부재(300)가 구비되는데,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의 각 단의 길이가 다르게 구성이 되면 결합부재(300)에 의해 결합은 이뤄지되 견고한 결합은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결합부재(300)는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가 직립되어 측벽을 이룰 때 상호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지퍼를 포함하는 파스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가 측벽을 이루는 접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측면1매트(121)의 일측면과 하측1매트(220)의 일측면이 측벽 모서리를 이루며 접합다고 하면, 측면1매트(121)의 일측면을 따라 지퍼의 이가 구성된 띠가 구성되고 하측1매트(220)의 일측면에도 지퍼의 이가 구성된 띠와 슬라이드가 구성이 되어, 측면1매트(121)의 지퍼 띠를 하측1매트(220)의 지퍼 슬라이드에 삽입하고 슬라이드를 이동시켜 지퍼의 이가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지퍼 결합에 의한 측면1매트(121)와 하측1매트(220)의 연결이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지퍼를 포함한 다양한 파스너가 측면1매트(121) 내지 측면 4매트의 각각의 양측면과 상측1매트(210) 내지 하측2매트(221)의 각각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측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결합부재(300)로써 구비되는 이러한 파스너는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를 직립시켜 상호 직각인 상태로 연결시켜 측벽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를 구성하는 각 단의 측면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파스너에 의한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의 결합은 바닥을 둘러싸는 4면 측벽의 형태를 구성할 수는 있으나, 바닥매트(110)에서 놀이를 하고 측벽에 기대는 유아동의 무게를 견디기에는 형태를 유지하는 견고함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의 상호 결속력, 그리고 바닥매트(110)와 2단매트(200)의 상호 결속력을 견고하게 하여 측벽의 직립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리(310)와 연결끈(311)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고리(310)는 가죽, 인공피혁 등의 재질로써 고리 모양을 형성하며 6단매트(100)와 2단매트(200)에 다수 구비되되, 측벽을 이루는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 그리고 바닥매트(110)와 2단매트(200)의 각 접합면에 각 단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고리(310)는 본 발명의 추가형에 따라, 측면1매트(121)의 일측과 하측1매트(220)의 일측, 측면2매트(122)의 일측과 하측2매트(221)의 일측, 측면1매트(121)의 타측과 상측1매트(210)의 일측, 측면2매트(122)의 타측과 상측2매트(211)의 일측, 측면3매트(123)의 일측과 하측1매트(220)의 타측, 측면4매트(124)의 일측과 하측2매트(221)의 타측, 측면3매트(123)의 타측과 상측1매트(210)의 타측, 측면4매트(124)의 타측과 상측2매트(211)의 타측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쌍을 이루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씩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닥1매트(111)와 바닥2매트(112)의 접합면 일단과 타단에도 각각 연결고리(31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측1매트(210)와 하측1매트(220)의 하단 중앙에 연결고리(310)가 구비되어 바닥매트(110)와 2단매트(200)를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접합면을 이루는 매트 간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연결고리(310)는 연결끈(311)에 의해 한데 묶여 결박됨으로써 각 접합면의 상호 직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결끈(311)은 연결고리(310)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어 별도로 보관되었다가 연결고리(310)의 결박 시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결고리(310)를 관통한 후 양단을 매듭지을 수 있는 충분한 굵기와 길이로써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는 결합부재(300)로서 지퍼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유아동의 안전상의 이유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지퍼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바닥매트(110)로부터 2단매트(200)를 측면에서 직립시키는 기능은 2단매트(200)와 측면매트(120)의 지퍼 결합에 의해서 이뤄질 수 있으며, 다만 바닥매트(110)의 끝단에 세워진 2단매트(200)의 직립상태를 고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고리(310)가 구비되어 상호 결속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2단매트(200)의 연결고리(310)와 결속되는 바닥매트(110)의 연결고리(310)는 바닥1매트(111)와 바닥2매트(112)의 접합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바닥매트(110)와 2단매트(200)의 연결고리(310)가 결속된 이후 바닥매트(110)의 연결고리(310)가 접합면에 묻히는 형상이 되면서 연결끈(311)의 매듭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결합부재(300)로써의 지퍼와 고정부재로써의 연결고리(310) 및 연결끈(311)은 유아와 아동이 본 발명의 매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다칠 염려가 없는 안전한 결합과 고정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의도 중 하나가 유아동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를 구성하는 데 따른 것이며, 따라서 결합부재(300)로써의 지퍼는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의 접합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가 직립되어 바닥매트(110)의 4면이 측벽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측벽의 내부에서는 지퍼가 보이지 않고 측면의 외측 모서리에 지퍼가 구성되어 유아동이 측벽 내부의 바닥매트(110)에서 놀이를 할 때 지퍼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끈(311)이 유아동의 손에 닿아 매듭이 풀리거나 또는 연결끈(311)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자 연결고리(310)와 연결끈(311)의 결박은 결합부재(300)와 마찬가지로 다용도 범퍼매트(10)의 외측 접합면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범퍼매트(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단매트(100)는 6개의 매트가 접이식으로 연결된 구조이며 중앙의 2단은 바닥매트(110), 바닥매트(110)의 좌,우 측면으로는 측면매트(120)가 각각 구비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본형으로써 다용도 범퍼매트(10)는 넓게 펼쳐진 바닥 깔개용 매트로써 사용될 수 있는데, 2단매트(200)를 6단매트(100)의 일측에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 되게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2단매트(200)는 6단매트(100)가 펼쳐진 접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2단매트(200)의 측면 중앙에 구비된 연결고리(310)와 측면1매트(121) 및 측면3매트(123)에 구비된 연결고리(310)를 연결끈(311)에 의해 매듭지어 상호 묶음으로써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형으로써, 6단매트(100)가 횡방향으로 길게 바닥에 펼쳐진 상태에서 2단매트(200)가 바닥매트(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6단매트(100)와 2단매트(200)를 펼쳐놓으면 십자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를 바닥매트(110)와 연직되게 직립시켜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는 상호 접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퍼에 의해 각 단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하며 측벽을 형성할 수 있고, 바닥매트(110)와 2단매트(200), 그리고 측면매트(120)와 2단매트(200) 간에 쌍으로 짝지어 구비되는 연결고리(310)를 연결끈(311)으로 매듭지어 결박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측벽의 형상을 유지하고 결속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벽이 구성된 형태의 침대매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측벽이 구비된 놀이매트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측벽은 바닥매트(110)의 주위를 구성하는 4면에 모두 구성될 수도 있고, 3면만 측벽이 구성되거나 2면만 측벽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결합부재(300)의 연결과 연결고리(310)와 연결끈(311)의 결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의 높이는 1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각 방향의 측벽에 따라 1단과 2단을 혼재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모두 사용목적과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가변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범퍼매트(10)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단매트(200)를 6단매트(100)로부터 분리한 후 6단매트(100)는 측면1매트(121)부터 측면4매트(124)까지 순서대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포개지며 접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2단매트(200) 또한 각각 접혀져 포개질 수 있다.
이와 같이 6단매트(100)와 2단매트(200) 모두 지그재그 방식으로 포개져서 접힘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 되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며의 다용도 범퍼매트(10)를 사용함에 있어 넓게 펼쳐진 놀이매트, 측벽이 구성된 침대매트, 3면이 측벽이고 1면이 개방된 놀이매트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측벽의 높이도 1단 또는 2단으로 선택적으로 가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언급한 측벽의 2단 구성과 바닥매트(110)의 2단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에 불과하며, 사용목적과 사용환경에 따라서 얼마든지 확장하여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접합면의 연결 구성과 결합부재(300), 연결고리(310) 및 연결끈(311)의 구성 등 본 발명의 특성에 따른 부재들과 그에 따른 활용법은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다용도 범퍼매트
100 : 6단매트
110 : 바닥매트
111 : 바닥1매트
112 : 바닥2매트
120 : 측면매트
121 : 측면1매트
122 : 측면2매트
123 : 측면3매트
124 : 측면4매트
200 : 2단매트
210 : 상측1매트
211 : 상측2매트
220 : 하측1매트
221 : 하측2매트
300 : 결합부재
310 : 연결고리
311 : 연결끈

Claims (5)

  1. 중앙에 위치하며 바닥면을 이루는 2단 접이식 바닥매트;와 바닥매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어지며 상호 마주하도록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2단 접이식 측면매트;로 구성되는 6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동일한 너비로써 구비되며 바닥매트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측면과 하측면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직립될 수 있는 2단매트;를 포함하되,
    측면매트와 2단매트는 상호 연직한 방향으로 모서리를 이루며 맞닿아 측벽을 이룰 수 있고, 각각의 맞닿는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측벽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범퍼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지퍼를 포함하는 파스너로 구성되어 측면매트와 2단매트가 측벽을 이루는 접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구성하는 각 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범퍼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측벽을 이루는 측면매트와 2단매트 및 바닥매트와 2단매트의 각 접합면에는 각 단마다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연결고리는 소정의 연결끈으로 묶여 상호 결박됨으로써 측벽의 직립과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범퍼매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6단매트와 2단매트가 연결된 채 모두 펼쳐져 바닥 깔개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직립하여 매트 측벽이 구비된 침대로 사용될 수 있되, 측면매트와 2단매트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측벽의 높이를 1단 또는 2단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접거나 펼친 상태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고리와 연결끈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범퍼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바닥매트는 바닥1매트와 바닥2매트로 구성되되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고,
    측면매트는, 바닥매트의 일측에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1매트와 측면2매트; 및 바닥매트의 타측에 순서대로 연결되는 측면3매트와 측면4매트;로 구성되되, 측면1매트와 측면2매트 및 측면3매트와 측면4매트 각각에 있어 상호 결합면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고,
    측면1매트와 바닥매트, 측면3매트와 바닥매트는 상호 결합면의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가 열리면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6단매트를 구성하는 바닥매트와 측면매트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포개지며 접히면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범퍼매트.
KR2020190005092U 2019-12-17 2019-12-17 다용도 범퍼매트 KR202100014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92U KR20210001419U (ko) 2019-12-17 2019-12-17 다용도 범퍼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92U KR20210001419U (ko) 2019-12-17 2019-12-17 다용도 범퍼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19U true KR20210001419U (ko) 2021-06-25

Family

ID=7660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092U KR20210001419U (ko) 2019-12-17 2019-12-17 다용도 범퍼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4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28A (ko) 2021-07-22 2023-01-31 윤경식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43A (ko) 2018-03-29 2018-04-10 이경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43A (ko) 2018-03-29 2018-04-10 이경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28A (ko) 2021-07-22 2023-01-31 윤경식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8851A (en) Portable playpen
US6220265B1 (en) Adjustable collapsible panels
US9675182B2 (en) Bi-axially collapsible frame for a bassinet
US20120012801A1 (en) Play yard with removable enclosure
US5620396A (en) Toy tunnel structure
KR101181393B1 (ko) 형태 가변형 매트
KR101290685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6973686B2 (en) Corrugated cardboard crib
KR20210001419U (ko) 다용도 범퍼매트
US20030154547A1 (en) Foldable playyard
US5970540A (en) Foldable base for a playpen
KR20120013609A (ko) 완구용 집으로 변형 가능한 매트
US2231381A (en) Crib attachment
KR101269863B1 (ko) 유아용 놀이매트
CN114766870B (zh) 可转换为多用箱的婴儿床
KR200484934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KR102031932B1 (ko)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침대
KR101207929B1 (ko) 성으로 변형가능한 다단매트
KR102246447B1 (ko) 바닥매트와 가드매트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KR101700351B1 (ko) 범퍼 매트 세트
KR20100008885U (ko) 다용도 매트
KR102352442B1 (ko)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범퍼 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