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943A -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 Google Patents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943A
KR20180036943A KR1020180036363A KR20180036363A KR20180036943A KR 20180036943 A KR20180036943 A KR 20180036943A KR 1020180036363 A KR1020180036363 A KR 1020180036363A KR 20180036363 A KR20180036363 A KR 20180036363A KR 20180036943 A KR20180036943 A KR 2018003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ide wall
block
shell
ma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이석수
Original Assignee
이경화
이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이석수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18003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943A/ko
Publication of KR2018003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놀이 공간을 마련하도록 4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4 측벽은 상호 연결된 부위를 결합하여 제작된 다수의 측벽외피틀을 구비한 외피틀과, 측벽외피틀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을 구비한 매트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Mat block assembly type bumper mat}
본 발명은 범퍼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측벽이 일체로 제작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삽입하여 사용하고, 매트블록을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 유아 및 저학년 어린이의 놀이방 등의 바닥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바닥 용 안전매트가 깔리게 된다. 이러한 바닥 용 안전매트는 아이들이 바닥에서 뛰거나 넘어질 때 그 충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매트에는 영,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측벽을 세워 놀이 공간을 구획한 범퍼 매트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58호(발명의 명칭: 범퍼블록이 구비된 매트)에 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쿠션 재질의 매트블록을 바닥에 깔고, 4측벽을 세워 일정 공간을 구획하여 놀이 공간을 마련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바닥과 측벽들이 상호 별개로 마련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바닥과 측벽들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이로 인해 아이들의 체중이나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아이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제 기능이 상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393호(2012.09.1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85호(2013.07.3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326호(2013.12.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4913호(2014.01.23.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366호(2013.11.04.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과 측벽이 일체로 제작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는 내부에 놀이 공간을 마련하도록 3개 이상의 다수의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측벽들은 상호 연결된 부위를 결합하여 제작된 다수의 측벽외피틀을 구비한 외피틀과, 측벽외피틀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을 구비한 매트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벽외피틀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측벽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되거나 잠금수단이 장착된 매트출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피틀은 측벽외피틀들의 하단부위를 연결하여 결합된 바닥외피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매트블록은 바닥외피틀에 얹혀지거나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닥매트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닥외피틀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측벽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되거나 잠금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피틀은 매트블록을 인출하여 포개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고, 제작시 부위별 연결부위는 상호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면서 연결부위에서의 모서리 또는 면 전체가 완전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피틀의 내면에 높이 방향으로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들을 연결하여 끼우거나 하나의 지지부재에 단독으로 끼워서 상부에 물품을 얹거나 묶거나 걸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닥매트블록은 판 형태로, 접히지 않는 구조 또는 접히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닥배트블록은 바닥외피틀에 삽입 및 인출되는 분리형으로 별도 제작하거나 바닥외피틀에 삽입되어 고정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피틀은 바닥외피틀과 측벽외피틀로 구획된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해 내면이 방수 처리되거나 방수포를 포함한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을 상호 결합하여 제작된 후 매트블록을 끼워 넣어 범퍼 매트로 사용함으로써, 아이들이 측벽에 가하는 충격을 결합 부위에서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범퍼 매트의 형태가 유지되므로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과 측벽외피틀,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의 상호 간에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호 완전 결합됨으로써,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에 각각 측벽매트블록과 바닥매트블록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호 간의 결합력 및 강도는 종래의 분해 결합되는 구조보다 더 향상되고, 바닥매트블록과 측면매트블록들 간의 강도 역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외피틀과 매트블록이 상호 분리됨으로써, 외피틀은 접거나 포개고, 매트블록은 쌓아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으므로, 공간 제약으로부터 여유로워지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피틀을 방수처리하거나 방수포로 제작함으로써, 범퍼블록 내부에 물을 넣어 물놀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피틀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지지대를 끼워 모기장, 모빌 또는 그늘막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외피틀과 매트블록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닥외피틀의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넣은 상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1의 범퍼 매트의 사용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외피틀과 매트블록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넣은 상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틀(100)과 매트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피틀(100)은 범퍼 매트의 완성된 외형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내부공간에 매트블록(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직물, 비닐 또는 방수포 등의 연질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피틀(100)은 매트블록(200)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포개거나 접을 수 있고, 부피가 작으므로 작은 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며 운반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외피틀(100)은 탄성을 갖는 경질의 재질로 제작하여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외피틀(100)은 접어서 운반 가능한 정도의 크기 및 중량을 가지면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틀(100)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 측벽외피틀(110), 바닥외피틀(120)과, 측벽외피틀(110) 및/또는 바닥외피틀(120)에 고정된 지지부재(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측벽외피틀(110)과 바닥외피틀(120)이 가능한 일체로 제작하여 그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먼저, 측벽외피틀(110)은 범퍼 매트의 4 측면을 담당하는 외피틀로서, 상호 이웃하여 접촉하는 부위가 결합하도록 제작된다. 즉, 제작시 측벽외피틀(110)들을 결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제작된다.
이 측벽외피틀(110)은 도 1에서와같이 매트블록(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면 접촉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이들 면 접촉하는 부위에서 내측 모서리, 외측 모서리 부위 및 접촉 면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상호 결합하도록 제작된다. 즉, 측벽외피틀(110)들이 상호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호 연결된 부위를 높이 방향으로 재봉과 본딩 등으로 방법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측벽외피틀(110)들은 상호 분리되는 결합 방법은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110)의 하면 또는 측면에는 측벽매트블록(210)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측벽외피틀(11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절개된 매트출입부를 구비한다. 이때, 매트출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 잠금수단(1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잠금수단(130)은 일측에서 타측까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춧구멍 및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바닥외피틀(120)은 범퍼 매트의 바닥을 담당하는 외피틀로서, 측벽외피틀(110)들의 하단부와 결합하도록 제작된다. 이 바닥외피틀(120)은 도 6에서와같이 매트블록(200)이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측벽외피틀(110)로 구획된 공간 내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제작될 수 있고, 반대로 측벽외피틀(110)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바닥외피틀(120)은 바닥매트블록(220)을 위에 얹어 놓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바닥매트블록(220)을 삽입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닥외피틀(120)에는 바닥매트블록(220)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일부위에 일정 길이로 절개한 매트출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매트출입부를 개폐하도록 장착된 잠금수단(1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외에, 바닥외피틀(120)은 바닥매트블록(220)이 삽입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때 바닥매트블록(220)이 접히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 바닥외피틀(120)은 도 4에서와같이, 2개의 독립된 형태로 제작하여 맞대어 이웃한 상면의 결합선(121)을 재봉, 본딩, 지퍼, 단추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도 4의 실시예에서 상면만이 하나의 일면으로서 변경되어 개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아래는 2개의 분리된 형태가 재봉, 본딩, 지퍼, 단추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경우처럼 2개의 독립된 형태로 제작된 다음, 도 5의 형태를 상면에 하나의 부재를 덧붙여 연결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닥외피틀(120) 자체를 배제하고 측벽외피틀(110)만으로 제작하여 바닥에 바닥매트블록(220)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측벽외피틀(110)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바닥매트블록(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매트블록(220)은 측벽매트블록(210)과 면 접촉하도록 바닥외피틀(120)과 측벽외피틀(110)이 결합되므로 종래보다 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런 바닥외피틀(120)은 잘 늘어나지 않도록 연신력이 약하며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외피틀(110)에 비해 강도가 강한 것이 좋다. 측벽외피틀(110)에 매트블록이 삽입되면 4개의 측벽외피틀(110)이 서로 면접촉을 하며 4면체 틀이 잡히면서 공간을 확보된다. 특히 바닥외피틀(120)이 바닥매트블록(220)을 위에 얹어 놓도록 제작되는 경우에도, 이 바닥외피틀(120)이 측벽들이 바깥으로 밀리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밀림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외피틀(120)이 어린 아동들이 범퍼 매트 내부에서 외부로 미는 힘을 잘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바닥외피틀(120)은 잘 접히는 유연성을 보유하면서도 잘 늘어나지 않는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재(140)는 도 3, 도 8과 도 9에서와같이 지지대(300)를 꽂아 세울 수 있도록 측벽외피틀(110) 또는 바닥외피틀(120)에 고정된다. 이 지지부재(140)는 직물을 포함한 연질의 재질일 수도 있고, 고리 형태의 경질의 재질일 수도 있으며, 재봉, 본딩, 단추와 벨크로테이프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40)는 측벽외피틀(110)의 연결부위인 모서리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지지대(300)를 끼울 수 있도록 측벽외피틀(110)과 바닥외피틀(120)에 연계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대(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지지부재(140)는 1곳에 높이 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매트블록(200)은 도 3에서와같이 측벽외피틀(110)에 수용되는 측벽매트블록(210)과 바닥외피틀(120)에 얹어지거나 수용되는 바닥매트블록(2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트블록(200)은 통상적으로 충격을 잘 완화할 수 있도록 압축솜, 고무, 스펀지, 라텍스와 볼라텍스 등을 포함한 충격흡수재일 수 있고, 바닥외피틀(120)에 수용된 상태로 제작되는 바닥매트블록(220)의 경우 단품의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매트블록(200)은 외피틀에 삽입되어 틀을 잡아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성과 휴대성과 이동성 및 가격을 고려하여 가벼운 통상의 매트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매트블록(200)은 통상의 매트와 같이 판 형태로서, 접히지 않는 하나의 판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고, 2번 이상 접을 수 있는 다수 판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측벽외피틀(110) 또는 바닥외피틀(120)에 마련된 매트출입부를 통해 개방된 부위를 통해 측벽매트블록(210)과 바닥매트블록(220)을 넣을 수 있다. 이때, 바닥매트블록(220)은 바닥외피틀(120)에 얹을 수도 있고, 측벽외피틀(110)처럼 바닥외피틀(120)에 넣을 수도 있다. 또한, 바닥매트블록(220)은 접히지 않는 하나의 형태 또는 접히는 다수의 형태이고, 바닥외피틀(120)에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분리형일 수도 있고, 외피틀(100) 제작시 바닥외피틀(12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110) 및 바닥외피틀(120)의 크기에 따라 각 매트블록(200)은 크기를 달리하여 하나의 매트블록(200)으로 각각 측벽외피틀(110) 또는 바닥외피틀(120)에 삽입될 수 있으나, 외피틀(100)이 큰 경우에는 하나의 측벽외피틀(110) 또는 바닥외피틀(120)에 접히는 다수의 형태의 매트블록(200)으로 또는 다수개의 개별 매트블록(200)이 삽입될 수 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범퍼 매트는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을 삽입하여 완성한다. 이에 대해 도 7을 보면, 외피틀(100) 중 일면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된 상태와 타면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천을 포함한 연질의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지 않으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로 포개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면 일정 형태를 갖게 되어 범퍼 매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피틀(100) 제작시 바닥매트블록(220)과 측벽매트블록(210)이 삽입되지 않은 제1기본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바닥외피틀(120)에는 바닥매트블록(220)이 삽입되면서 측벽외피틀(110)에는 측벽매트블록(210)이 삽입되지 않은 제2기본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바닥매트블록(220)과 바닥외피틀(120)은 접히지 않은 형태 또는 여러 번 접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위에서 측벽외피틀(110)이 4개의 면으로서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측벽이 직사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이나 또는 4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서, 육각형 또는 팔각형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각형의 측벽외피틀(110)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다각형의 바닥에 바닥외피틀(120)을 마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만들 수 있다. 다만 측벽이 4개가 아닌 경우 측벽간의 면접촉을 위해서 매트블록의 형상을 위와 같은 직육면체가 아닌, 횡단면을 내부측으로 좁은 사다리꼴로 하거나 좌우가 다른 사선 형태의 육면체로 한 매트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작이나 사용의 편의상 바람직한 예로서 4개의 면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4개의 측벽을 구비한 것으로서 설명을 한다.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지지대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과 도 9는 도 1의 범퍼 매트의 사용 예이다.
지지대(300)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대(300)는 일측부를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끼워 고정하고, 타측부를 반대측 지지부재(140)에 끼워 고정하여 활처럼 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지지대(30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300)는 상호 평행하게 고정할 수도 있고, 도 8과 도 9에서처럼 상호 교차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지지대(300)의 상부에 일례로 도 8에서와같이 모기장을 덮어 사용할 수도 있고, 도 9에서와같이 유아용 놀잇감인 모빌을 걸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의 범퍼 매트는 아이가 잠자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0)는 일측부를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끼워 대략 수직으로 세우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00)를 2개 이상 설치하고, 이들 지지대(300)에 그늘막을 묶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의 범퍼 매트는 야외의 놀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퍼 매트는 지지대(300)를 설치하지 않은 채, 아이들의 놀이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범퍼 매트로 구획된 공간 내부에서 일정 높이의 물을 담아 아이들이 물놀이를 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물을 담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피틀(100)의 표면을 방수처리하거나 방수포 또는 방수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110)들 간의 결합부위 및/또는 측벽외피틀(110)과 바닥외피틀(120) 간의 결합부위는 외피틀(100) 제작시 완전 결합시키면서 방수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외피틀
110:측벽외피틀
120:바닥외피틀
121:결합선
130:잠금수단
140:지지부재
200:매트블록
210:측벽매트블록
220:바닥매트블록
300:지지대.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도록 3개 이상의 다수의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상기 측벽들은 상호 연결된 부위를 결합하여 제작된 측벽외피틀(110)들을 구비한 외피틀(100)과, 측벽외피틀(11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210)을 구비한 매트블록(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외피틀(110)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측벽매트블록(210)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2. 제1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은 4개의 측벽외피틀(110)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측벽외피틀(110)들의 하단부위를 연결하여 결합된 바닥외피틀(1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매트블록(200)은 바닥외피틀(120)에 얹혀지거나 또는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닥매트블록(220)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바닥매트블록(220)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외피틀(120)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바닥매트블록(220)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3. 제2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은 매트블록(200)을 인출하여 포개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120)은 측벽외피틀(110)에 비해 잘 늘어나지 않고 강도가 강하며, 제작시 부위별 연결부위는 상호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면서 연결부위에서의 모서리 또는 면 전체가 완전 결합되며,
    상기 매트블록(200)은 상기 외피틀(100)의 크기에 따라서 각 바닥외피틀(120) 또는 측벽외피틀(110)에 하나 또는 다수의 판으로서 삽입되며, 다수의 판인 경우 접히는 구조의 매트블록(200)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매트출입부에는 잠금수단(13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4. 제3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은 측벽외피틀(110)과 바닥외피틀(120)로 구획된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해 내면이 방수 처리되거나 방수포를 포함한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의 내면에 높이 방향으로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지지부재(140)와,
    상기 지지부재(140)들을 연결하여 끼우거나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단독으로 끼워서 상부에 물품을 얹거나 묶거나 걸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6. 제5항에서,
    상기 바닥매트블록(220)은 판 형태로, 접히지 않는 구조 또는 접히는 구조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120)에 삽입 및 인출되는 분리형으로 별도 제작하거나 바닥외피틀(120)에 삽입되어 고정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1020180036363A 2018-03-29 2018-03-29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180036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63A KR20180036943A (ko) 2018-03-29 2018-03-29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63A KR20180036943A (ko) 2018-03-29 2018-03-29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337A Division KR20170125226A (ko) 2016-05-04 2016-05-04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943A true KR20180036943A (ko) 2018-04-10

Family

ID=6197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63A KR20180036943A (ko) 2018-03-29 2018-03-29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19U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대성리빙 다용도 범퍼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19U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대성리빙 다용도 범퍼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598A (en) Bed tent
US8365323B2 (en) Inflatable, portable crib
US9682264B1 (en) Trampoline enclosure and pad system
US4590956A (en) Bed tent
US20090007337A1 (en)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US20180036569A1 (en) Trampoline Enclosure and Pad System
US20160066705A1 (en) Breathable And Light Weight Play Yards And Mattresses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US9914064B2 (en) Children&#39;s foam play den
KR20180036943A (ko)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US5201002A (en) Stereo sound pillow and method of making
KR101497605B1 (ko) 매트 겸용 인디언텐트
KR20170125226A (ko)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170131284A (ko) 일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KR20170128164A (ko)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0489766Y1 (ko) 조립식 놀이집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20160000566U (ko) 모빌대가 장착되는 유아용 범퍼침대
KR20200085518A (ko)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장치
CN201595516U (zh) 一种可拆洗折叠携带式婴儿安全睡眠床
KR101700691B1 (ko) 유아용 텐트
US10017956B1 (en) Modular fence tent
US20060180189A1 (en) Children&#39;s toy playfort
KR200484934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