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164A -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 Google Patents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164A
KR20170128164A KR1020170121640A KR20170121640A KR20170128164A KR 20170128164 A KR20170128164 A KR 20170128164A KR 1020170121640 A KR1020170121640 A KR 1020170121640A KR 20170121640 A KR20170121640 A KR 20170121640A KR 20170128164 A KR20170128164 A KR 2017012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mat
envelope
fl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이석수
Original Assignee
이경화
이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이석수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17012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164A/ko
Publication of KR2017012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도록 바닥과 3개 이상의 다수의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개별 측벽외피틀과, 측벽외피틀의 하부를 면 접촉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 전체에 배치된 바닥외피틀을 구비하고, 바닥외피틀 또는 지지외피틀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측벽외피틀이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외피틀;과 측벽외피틀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 바닥외피틀에 얹혀지거나 삽입고정되거나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닥매트블록을 구비한 매트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Mat block assembly type bumper mat having side walls to be opened}
본 발명은 범퍼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측벽들이 완전 개방되면서 일체로 제작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삽입하여 사용하고, 매트블록을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 유아 및 저학년 어린이의 놀이방 등의 바닥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바닥 용 안전매트가 깔리게 된다. 이러한 바닥 용 안전매트는 아이들이 바닥에서 뛰거나 넘어질 때 그 충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매트에는 영,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측벽을 세워 놀이 공간을 구획한 범퍼 매트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58호(발명의 명칭: 범퍼블록이 구비된 매트)에 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쿠션 재질의 매트블록을 바닥에 깔고, 4측벽을 세워 일정 공간을 구획하여 놀이 공간을 마련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바닥과 측벽들이 상호 별개로 마련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바닥과 측벽들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이로 인해 아이들의 체중이나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아이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제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제작된 측벽들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는데 작업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393호(2012.09.1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85호(2013.07.3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326호(2013.12.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4913호(2014.01.23.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366호(2013.11.04.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벽외피틀들이 외향으로 축회전하여 개방되면서 바닥외피틀과 일체로 제작된 외피틀이 마련되고, 이 외피틀에 매트블록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는,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도록 바닥과 3개 이상의 다수의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개별 측벽외피틀과, 측벽외피틀의 하부를 면 접촉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 전체에 배치된 바닥외피틀을 구비하고, 바닥외피틀 또는 지지외피틀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측벽외피틀이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외피틀;과 측벽외피틀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 바닥외피틀에 얹혀지거나 삽입고정되거나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닥매트블록을 구비한 매트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벽외피틀은 바닥외피틀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어 면 접촉되도록 배치되거나, 바닥외피틀의 측면 상부에 측벽외피틀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바닥외피틀 또는 측벽외피틀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바닥매트블록 또는 측벽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매트는 외피틀은 측벽외피틀들로 이루어진 4 측면의 측벽외피틀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피틀은 측벽외피틀의 하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의 일부에 배치되고, 바닥의 나머지 부위에 배치되는 바닥외피틀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외피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측벽외피틀은 지지외피틀의 상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면 접촉되도록 배치되거나, 지지외피틀의 상부에 측벽외피틀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시 바닥으로부터 측벽외피틀의 하단이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지외피틀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지지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피틀은 매트블록을 인출하여 포개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 또는 지지외피틀은 측벽외피틀에 비해 잘 늘어나지 않고 강도가 강하며, 제작시 부위별 연결부위는 상호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면서 연결부위에서의 모서리 또는 면 전체가 완전 결합된다.
또한, 매트블록은 외피틀의 크기에 따라서 각 바닥외피틀, 측벽외피틀 또는 지지외피틀에 하나 또는 다수의 판으로서 삽입되며, 다수의 판인 경우 접히는 구조의 매트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매트출입부에는 잠금수단이 장착된다.
한편, 외피틀은 측벽외피틀들이 입상인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측벽외피틀에 부착된 체결수단을 더 구비한다.
또한, 체결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벨트, 벨트클립, 지퍼, 똑딱이 단추, 단춧구멍과 단추 중 단독 또는 둘 이상 혼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체결수단이 벨크로테이프인 경우, 이웃한 측벽외피틀의 접촉 부위를 체결하도록 부착되고, 입상의 측벽외피틀들 둘레를 감아서 벨트가 체결되며, 벨트가 관통하도록 측벽외피틀에 벨트걸이가 설치된다.
또한, 체결수단이 벨트클립 또는 똑딱이 단추인 경우, 이웃한 측벽외피틀의 양측 면이 잇닿은 모서리마다 일측의 체결구와 타측의 연결구가 결합하도록 다수의 짧은 형태로 설치되거나, 측벽외피틀 전체를 하나의 벨트로 감아서 체결구와 연결구가 결합되는 긴 형태로 설치되거나, 짧은 형태와 긴 형태를 혼용하여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매트는 외피틀의 내면에 높이 방향으로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들을 연결하여 끼우거나 하나의 지지부재에 단독으로 끼워서 상부에 물품을 얹거나 묶거나 걸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매트블록은 판 형태로, 접히지 않는 구조 또는 접히는 구조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에 삽입 및 인출되는 분리형으로 별도 제작하거나 바닥외피틀과 지지외피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외피틀에 하단 부위가 일체로 제작된 바닥외피틀 또는 지지외피틀에 일체로 결합된 측벽외피틀들이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 가능하도록 제작된 후 매트블록을 끼워 넣어 범퍼 매트로 사용함으로써, 측벽들을 조립하기 용이하면서 외력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접한 측벽외피틀들이 높이 방향에 대해 체결수단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고, 축회전시 바닥에 뉘어짐으로써, 측벽외피틀에 매트 블록을 넣거나 빼기 용이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간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아이들이 제공하는 외력에도 형태를 유지되므로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벽외피틀 및 측벽외피틀과, 측벽외피틀, 바닥외피틀 및 지지외피틀이 상호 간에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호 완전 결합됨으로써,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에 각각 측벽매트블록과 바닥매트블록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호 간의 결합력 및 강도는 종래의 분해 결합되는 구조보다 더 향상되고, 바닥매트블록과 측면매트블록들 간의 강도 역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피틀과 매트블록이 상호 분리됨으로써, 외피틀은 접거나 포개고, 매트블록은 쌓아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으므로, 공간 제약으로부터 여유로워지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외피틀을 방수처리하거나 방수포로 제작함으로써, 범퍼블록 내부에 물을 넣어 물놀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피틀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지지대를 끼워 모기장, 모빌 또는 그늘막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다른 실시 예의 체결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범퍼 매트의 조립된 상태가 일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외피틀과 매트블록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측벽외피틀이 축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a에 도시된 바닥외피틀의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넣은 상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13과 도 14은 도 1의 범퍼 매트의 사용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의 도 1에서 다른 실시 예의 체결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범퍼 매트의 조립된 상태가 일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1에서 외피틀과 매트블록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측벽외피틀이 축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a에 도시된 바닥외피틀의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측벽외피틀과 바닥외피틀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외피틀에 매트블록을 넣은 상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는 도 1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틀(100)과 매트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피틀(100)은 범퍼 매트의 완성된 외형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내부공간에 매트블록(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직물, 비닐 또는 방수포 등의 연질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피틀(100)은 매트블록(200)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포개거나 접을 수 있고, 부피가 작으므로 작은 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며 운반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외피틀(100)은 탄성을 갖는 경질의 재질로 제작하여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외피틀(100)은 접어서 운반 가능한 정도의 크기 및 중량을 가지면서 재봉과 본딩을 포함한 통상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틀(100)은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바닥외피틀(110), 바닥외피틀(110)의 측면에 하부가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부가 축회전하도록 제작된 측벽외피틀(120), 입상인 상태에서 인접한 측벽외피틀(120)들을 연결하여 체결하도록 부착된 체결수단(130)과, 측벽외피틀(120) 및/또는 바닥외피틀(110)에 고정된 지지부재(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외피틀(110)과 측벽외피틀(120)을 가능한 일체로 제작하여 그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먼저, 바닥외피틀(110)은 범퍼 매트의 바닥을 담당하는 외피틀로서, 측벽외피틀(120)들의 하단 부위를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제작된다. 이 바닥외피틀(110)은 일례로 도 1, 도 6, 도 7a와 도 10에서와같이 매트블록(200)이 외피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면적의 바닥위피틀(110) 위에 측벽외피틀(120)들이 일정 공간을 구획하도록 입상으로 놓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닥외피틀(110)과 측벽외피틀(120)은 잇닿은 부위에서 재봉과 본딩을 포함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정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된 측벽외피틀(120)들의 하면이 바닥에 놓이고, 내면에 바닥외피틀(110)의 측면 전체가 면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b에서와같이 바닥외피틀(110)의 최외측부에 측벽외피틀(120)이 결합되고, 입상으로 배치된 측벽외피틀(120)의 내측에 바닥매트블록(210)가 배치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b 예의 특징은 측벽외피틀(120)에 삽입된 측벽매트블록(220)이 단순히 눕히는 정도가 아니라 바닥외피틀(110) 밑으로 배치되어 접히도록 회전이 가능하며 그리하여 양측 측벽매트블록(220)의 크기를 조절하면 바닥매트블록(210)의 크기와 매칭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와 도 7c에서와같이 바닥외피틀(110)의 변두리 상면에 지지외피틀(130)이 결합되고, 지지외피틀(130)의 외곽 상부에 측벽외피틀(120)의 내측 하부가 결합되며, 지지외피틀(130)의 내측에 바닥매트블록(210)가 배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c에서 지지외피틀(130)이 배제되면서 바닥외피틀(110)이 지지외피틀(130)을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바닥외피틀(110)은 바닥매트블록(210)을 위에 얹어 놓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바닥매트블록(210)을 삽입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닥외피틀(110)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바닥매트블록(210)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일부위에 일정 길이로 절개한 매트출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매트출입부를 개폐하도록 장착된 잠금수단(1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잠금수단(150)은 일측에서 타측까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춧구멍 및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바닥외피틀(110)은 바닥매트블록(210)이 삽입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때 바닥매트블록(210)이 접히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 바닥외피틀(110)은 도 8에서와같이, 2개의 독립된 형태로 제작하여 맞대어 이웃한 상면의 결합선(111)을 재봉, 본딩, 지퍼, 단추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도 9에서와같이 도 8의 실시예에서 상면만이 하나의 일면으로서 변경되어 개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아래는 2개의 분리된 형태가 재봉, 본딩, 지퍼, 단추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경우처럼 2개의 독립된 형태로 제작된 다음, 도 9의 형태를 상면에 하나의 부재를 덧붙여 연결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외피틀(110)은 상면에 측벽외피틀(120)이 놓이면서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면 접촉하는 부위에서 내측 모서리, 외측 모서리 및 접촉면 전체 또는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상호 일체로 결합하도록 제작되고, 이를 통해 종래의 개별 제작 후 조립보다 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측벽외피틀(120)은 축회전 가능하도록 바닥외피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런 바닥외피틀(110)은 잘 늘어나지 않도록 연신력이 약하며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외피틀(120)에 비해 강도가 강한 것이 좋다. 측벽외피틀(120)에 매트블록이 삽입되면 일례로 4개의 측벽외피틀(120)이 서로 면접촉을 하며 4면체 틀이 잡히면서 공간을 확보된다. 그러므로 바닥외피틀(110)은 측벽외피틀(120)에 가해지는 어린 아동들이 범퍼 매트 내부에서 외부로 미는 힘을 잘 견디도록 하여 범퍼 매트의 형태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바닥외피틀(110)은 잘 접히는 유연성을 보유하면서도 잘 늘어나지 않는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벽외피틀(120)은 범퍼 매트의 측면을 담당하는 외피틀로서, 바닥외피틀(110)에 대해 상부가 축회전하여 바닥에 뉘어지도록 제작된다. 물론, 입상인 상태에서는 체결수단(13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와같이 측벽외피틀(120)이 바닥외피틀(110)에 결합된 경우, 도 7에서와같이 측벽외피틀(120)의 하부가 바닥외피틀(110)과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잇닿은 내, 외측 모서리부위와 접촉면 전체 또는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재봉과 본딩을 포함한 방식으로 상호 일체로 결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측벽외피틀(120)은 도 1과 도 7에서와같이 하면이 바닥외피틀(110)의 상면에 놓여 결합되고, 이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120)은 다른 예로, 구획된 측벽외피틀(120)의 하부 내면에 바닥외피틀(110)이 결합되고, 이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하게 제작될 수도 있고, 하단측 부위가 바닥외피틀(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 부위를 축으로 바닥에 눕혀지도록 축회전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바닥에 대해 측벽외피틀(120)은 바닥외피틀(110)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외피틀(120)들은 서로의 축회전을 위해 서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축회전되는 측벽외피틀(120)이 일부인 경우, 축회전하지 않는 측벽외피틀(120)들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벽외피틀(120) 또는 바닥외피틀(110)의 어느 일면에는 측벽매트블록(220) 또는 바닥매트블록(210)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절개된 매트출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같이, 매트출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 잠금수단(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잠금수단(140)은 일측에서 타측까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춧구멍 및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외피틀(100)은 도 11에서와같이 바닥외피틀(110)과 측벽외피틀(120) 사이에 지지외피틀(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외피틀(160)은 측벽외피틀(120)들의 하부를 연결하면서 바닥에 놓이도록 위치되고, 구획된 구역의 내측으로 바닥외피틀(110) 위치되며, 측벽외피틀(120) 및 바닥외피틀(110)과 재봉과 본딩을 포함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일례로, 지지외피틀(160)의 상단 부위가 측벽외피틀(120)의 하단 부위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측벽외피틀(120)이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외피틀(120)은 바닥으로부터 지지외피틀(160)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지지외피틀(160)에 지지매트블록(미도시)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높이는 측벽매트블록(2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측벽외피틀(120)이 바닥에 눕혀졌을 때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외피틀(160)의 측면에 측벽외피틀(120)의 하부 내면이 면 접촉하여 축회전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지지외피틀(160)의 상면에 측벽외피틀(120)의 하면이 면접촉하여 축회전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외피틀(160)은 바닥외피틀(110)과 잇닿은 면 전체와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에 재봉 및 본딩을 포함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지지외피틀(160)은 지지매트블록(미도시)이 미리 삽입된 상태로 측벽외피틀(120)과 바닥외피틀(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추후 지지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측벽외피틀(120)과 바닥외피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지지외피틀(160)의 어느 일면에는 지지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절개된 매트출입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매트출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 잠금수단(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잠금수단(140)은 일측에서 타측까지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춧구멍 및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c와 도 11의 예에서 바닥외피틀(110)에 바닥매트블록(210)이 삽입되거나 삽입 고정되어 도 8이나 도 9의 예와 같은 바닥외피틀(110) 및 바닥매트블록(21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지외피틀(160) 및 지지매트블록의 역할도 대신하여 전체적으로 바닥외피틀(110) 및 바닥매트블록(210)만 사용되고 바닥외피틀(110)의 영역 및 크기가 지지외피틀(160)의 영역 및 크기까지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체결수단(130)은 축회전하는 측벽외피틀(1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이웃한 측벽외피틀(120)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이 체결수단(130)은 측벽외피틀(120)의 축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외피틀(120)들 간의 접촉 부위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31), 벨트클립(C), 지퍼, 똑딱이 단추, 단춧구멍과 단추 등일 수 있다. 이 체결수단(130)은 측벽외피틀(120)의 축회전을 저지하도록 측벽외피틀(120)들 간의 잇닿은 모서리 부위를 감싸서 체결되고,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수단(130)은 도 3과 도 4에서와같이 벨크로테이프(131)와 벨트(132)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웃한 측벽외피틀(120) 간의 잇닿은 면 접촉부위에 1개 이상의 벨크로테이프(131)가 설치되어 상호 접착되고, 긴 벨트(132)가 다수의 측벽외피틀(120)의 둘레를 감아서 배치되어 양측부가 체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벨크로테이프(131)는 이웃한 측벽외피틀(120)의 상부를 체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외에 측벽외피틀(120)의 측면을 체결하도록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긴 벨트(132)의 양측 체결은 벨크로테이프(131), 똑딱이 단추, 벨트클립(C), 똑딱이 단추, 단춧구멍과 단추 등일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30)은 도 3과 도 4에서와같이 벨트(132)가 배치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벨트(132)의 고정력이 다수의 측벽외피틀(120)에 고루 전달되도록 측벽외피틀(120)에는 벨트걸이(1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체결수단(130)은 똑딱이 단추일 수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벨트클립(C)일 수 있다. 여기서, 벨트클립(C)은 위, 아래 2곳과 같이 이웃한 측벽외피틀(120)의 양측 면이 잇닿은 모서리마다 일측의 체결구와 타측의 연결구가 결합하도록 짧은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가운데와 같이 측벽외피틀(120) 전체를 둘러서 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짧거나 긴 형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긴 형태의 벨트클립(C)인 경우, 벨트(132)가 측벽외피틀(120)에 설치된 벨트걸이(133)를 통과함으로써, 벨트(132)의 위치 유지와 더불어 측벽외피틀(120)의 고정력이 고루 전달됨은 물론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똑딱이 단추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40)는 도 1, 도 7, 도 13과 도 14에서와같이 지지대(300)를 꽂아 세울 수 있도록 측벽외피틀(120) 또는 바닥외피틀(110)에 고정된다. 이 지지부재(140)는 직물을 포함한 연질의 재질일 수도 있고, 고리 형태의 경질의 재질일 수도 있으며, 재봉, 본딩, 단추와 벨크로테이프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40)는 측벽외피틀(120)의 연결부위인 모서리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지지대(300)를 끼울 수 있도록 측벽외피틀(120)과 바닥외피틀(110)에 연계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대(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지지부재(140)는 1곳에 높이 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매트블록(200)은 도 5에서와같이 바닥외피틀(110)에 얹어지거나 수용되는 바닥매트블록(210)과 측벽외피틀(120)에 수용되는 측벽매트블록(220)을 구비하고, 외피틀(100)에 지지외피틀(160)이 포함된 경우 지지외피틀(160)에 수용되는 지지매트블록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트블록(200)은 통상적으로 충격을 잘 완화할 수 있도록 압축솜, 고무, 스펀지, 라텍스와 볼라텍스 등을 포함한 충격흡수재일 수 있고, 바닥외피틀(110)에 수용된 상태로 제작되는 바닥매트블록(210)의 경우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매트블록(200)은 외피틀에 삽입되어 틀을 잡아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성과 휴대성과 이동성 및 가격을 고려하여 가벼운 통상의 매트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매트블록(200)은 통상의 매트와 같이 판 형태로서, 접히지 않는 하나의 판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고, 2번 이상 접을 수 있는 다수 판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측벽외피틀(120), 지지외피틀(160) 또는 바닥외피틀(110)에 마련된 매트출입부를 통해 개방된 부위를 통해 측벽매트블록(220), 지지매트블록 또는 바닥매트블록(210)을 넣을 수 있다. 이때, 바닥매트블록(210)은 바닥외피틀(110)에 얹을 수도 있고, 측벽외피틀(120)처럼 하나로 제작되거나 도 8과 도 9에서 보듯이 다수로 제작된 바닥외피틀(110)에 넣을 수 있도록 다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바닥매트블록(210)은 접히지 않는 하나의 형태 또는 접히는 다수의 형태이고, 바닥외피틀(110)에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분리형 또는 외피틀(100) 제작시 바닥외피틀(11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매트블록 역시 외피틀(100) 제작시 지지외피틀(16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측벽외피틀(120), 지지외피틀(160) 및 바닥외피틀(110)의 크기에 따라 각 매트블록(200)은 크기를 달리하여 하나 또는 접히는 다수로 각각 측벽외피틀(120), 지지외피틀(160) 또는 바닥외피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외에, 외피틀(100)이 큰 경우에는 하나의 측벽외피틀(120) 또는 바닥외피틀(110)에 접히는 다수의 형태의 매트블록(200)으로 또는 다수개의 개별 매트블록(200)이 삽입될 수 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범퍼 매트는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을 모두 삽입하거나 일부 삽입되어 제작된 상태에서 나머지를 삽입하여 완성한다. 이에 대해, 도 12를 보면, 외피틀(100) 중 일면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된 상태와 타면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천을 포함한 연질의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지 않으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로 포개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외피틀(100)에 매트블록(200)이 삽입되면 일정 형태를 갖게 되어 범퍼 매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피틀(100)은 측벽매트블록(220), 지지매트블록과 바닥매트블록(210)이 아예 삽입되지 않은 제1 기본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지지매트블록과 바닥매트블록(210)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된 제2 기본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바닥매트블록(210)과 바닥외피틀(110)은 접히지 않은 형태 또는 여러 번 접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위에서 측벽외피틀(120)이 4개의 면으로서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측벽이 직사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이나 4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서,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각형의 측벽외피틀(120)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다각형의 바닥에 바닥외피틀(110)을 마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를 만들 수 있다. 다만, 측벽이 4개가 아닌 경우 측벽간의 면접촉을 위해서 매트블록의 형상을 위와 같은 직육면체가 아닌, 횡단면을 내부측으로 좁은 사다리꼴로 하거나 좌우가 다른 사선 형태의 육면체로 한 매트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작이나 사용의 편의상 바람직한 예로서 4개의 면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실시 예에서도 6개의 측벽을 구비한 것으로서 설명을 한다.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에 지지대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과 도 14은 도 1의 범퍼 매트의 사용 예이다.
지지대(300)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대(300)는 일측부를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끼워 고정하고, 타측부를 반대측 지지부재(140)에 끼워 고정하여 활처럼 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지지대(30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300)는 상호 평행하게 고정할 수도 있고, 도 13과 도 1에서처럼 상호 교차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지지대(300)의 상부에 일례로, 도 13에서와같이 모기장을 덮어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4에서와같이 유아용 놀잇감인 모빌을 걸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의 범퍼 매트는 아이가 잠자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0)는 일측부를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끼워 대략 수직으로 세우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00)를 2개 이상 설치하고, 이들 지지대(300)에 그늘막을 묶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의 범퍼 매트는 야외의 놀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퍼 매트는 지지대(300)를 설치하지 않은 채, 아이들의 놀이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외피틀
110:바닥외피틀
111:결합선
120:측벽외피틀
130:체결수단
131:벨크로테이프
132:벨트
133:벨트걸이
140:지지부재
150:잠금수단
160:지지외피틀
200:매트블록
210:바닥매트블록
220:측벽매트블록
300:지지대
C:벨트클립.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도록 바닥과 3개 이상의 다수의 측벽을 구비한 범퍼 매트에서,
    상기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개별 측벽외피틀(120)과, 상기 측벽외피틀(120)의 하부를 면 접촉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 전체에 배치된 바닥외피틀(110)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외피틀(110) 또는 지지외피틀(160)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측벽외피틀(120)이 바닥에 뉘어지도록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외피틀(100);과
    상기 측벽외피틀(12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측벽매트블록(220), 바닥외피틀(110)에 얹혀지거나 삽입고정되거나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닥매트블록(210)을 구비한 매트블록(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외피틀(120)은 바닥외피틀(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어 면 접촉되도록 배치되거나, 바닥외피틀(110)의 측면 상부에 측벽외피틀(120)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외피틀(110) 또는 측벽외피틀(120)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바닥매트블록(210) 또는 측벽매트블록(220)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2. 제1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은 측벽외피틀(120)들로 이루어진 4 측면의 측벽외피틀(120)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틀(100)은 측벽외피틀(120)의 하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의 일부에 배치되고, 바닥의 나머지 부위에 배치되는 바닥외피틀(110)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외피틀(1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측벽외피틀(120)은 지지외피틀(160)의 상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면 접촉되도록 배치되거나, 지지외피틀(160)의 상부에 측벽외피틀(120)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시 바닥으로부터 측벽외피틀(120)의 하단이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외피틀(160)의 일부위에는 내부를 개방하여 지지매트블록을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매트출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3. 제2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은 매트블록(200)을 인출하여 포개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110) 또는 지지외피틀(160)은 측벽외피틀(120)에 비해 잘 늘어나지 않고 강도가 강하며, 제작시 부위별 연결부위는 상호 면 접촉하도록 배치되면서 연결부위에서의 모서리 또는 면 전체가 완전 결합되며,
    상기 매트블록(200)은 상기 외피틀(100)의 크기에 따라서 각 바닥외피틀(110), 측벽외피틀(120) 또는 지지외피틀(160)에 하나 또는 다수의 판으로서 삽입되며, 다수의 판인 경우 접히는 구조의 매트블록(200)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매트출입부에는 잠금수단(140)이 장착되며,
    상기 외피틀(100)은 측벽외피틀(120)들이 입상인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측벽외피틀(120)에 부착된 체결수단(1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수단(130)은 벨크로테이프(131), 벨트(132), 벨트클립(C), 지퍼, 똑딱이 단추, 단춧구멍과 단추 중 단독 또는 둘 이상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4. 제3항에서,
    상기 체결수단(130)이 벨크로테이프(131)인 경우, 이웃한 측벽외피틀(120)의 접촉 부위를 체결하도록 부착되고, 입상의 측벽외피틀(120)들 둘레를 감아서 벨트(132)가 체결되며, 벨트(132)가 관통하도록 측벽외피틀(120)에 벨트걸이(133)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수단(130)이 벨트클립(C), 똑딱이 단추인 경우, 이웃한 측벽외피틀(120)의 양측 면이 잇닿은 모서리마다 일측의 체결구와 타측의 연결구가 결합하도록 다수의 짧은 형태로 설치되거나, 측벽외피틀(120) 전체를 하나의 벨트(132)로 감아서 체결구와 연결구가 결합되는 긴 형태로 설치되거나, 짧은 형태와 긴 형태를 혼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외피틀(100)의 내면에 높이 방향으로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지지부재(140)와,
    상기 지지부재(140)들을 연결하여 끼우거나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단독으로 끼워서 상부에 물품을 얹거나 묶거나 걸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6. 제5항에서,
    상기 바닥매트블록(210)은 판 형태로, 접히지 않는 구조 또는 접히는 구조로 제작되고, 바닥외피틀(110)에 삽입 및 인출되는 분리형으로 별도 제작하거나 바닥외피틀(110)과 지지외피틀(160)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1020170121640A 2017-09-21 2017-09-21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170128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40A KR20170128164A (ko) 2017-09-21 2017-09-21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40A KR20170128164A (ko) 2017-09-21 2017-09-21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97 Division 2016-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164A true KR20170128164A (ko) 2017-11-22

Family

ID=608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640A KR20170128164A (ko) 2017-09-21 2017-09-21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1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626B2 (en) Collapsible baby play station
US7392555B2 (en) Bed-tent
US6209557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4852598A (en) Bed tent
US20010013359A1 (en) Adjustable collapsible panels
EP1559854A2 (en) Collapsible fabric structures
CN205831535U (zh) 儿童游戏床
US20160309913A1 (en) Collapsible infant bed
US20140194031A1 (en) Activity center
US20190022541A1 (en) Folding play gym
KR20170128164A (ko) 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180036943A (ko)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170131284A (ko) 일측벽 개방형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0489766Y1 (ko) 조립식 놀이집
US20110061701A1 (en) Bed cover with an attachable tent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KR200476432Y1 (ko) 접이식 매트리스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20170125226A (ko)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102451192B1 (ko) 다중 기후 슬리핑 백
US20120063702A1 (en) Foldable baby rest area
KR20220123471A (ko)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KR200466113Y1 (ko) 원스톱펼침기능을 구비한 아기용 휴대침낭백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CN212678587U (zh) 一种带有可拆卸蚊帐折叠婴儿床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