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32Y1 - 접이식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32Y1
KR200476432Y1 KR2020130009596U KR20130009596U KR200476432Y1 KR 200476432 Y1 KR200476432 Y1 KR 200476432Y1 KR 2020130009596 U KR2020130009596 U KR 2020130009596U KR 20130009596 U KR20130009596 U KR 20130009596U KR 200476432 Y1 KR200476432 Y1 KR 20047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over
mats
hoo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범
Original Assignee
신홍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홍범 filed Critical 신홍범
Priority to KR2020130009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커버로 덮어 씌울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접거나 펼치도록 구현된 다수 개의 매트를 구비한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매트리스 {Foldable mattress}
본 고안은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커버로 덮어 씌울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식, 놀이, 취침시 가정이나 놀이방 또는 야외에서 침구나 텐트 등을 사용할 때 매트를 사용한다. 아이를 키울 때 실내에서나 실외에서 아이를 재우거나 안전하게 놀게 할 수 있어 활용적이며, 어른들이 사용할 때도 일반 침대와는 달리 받침대가 없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수매트, 발열매트, 마닥매트, 퍼즐매트, 바닥매트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매트 또한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와 사용 역시 간편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085호(2011. 10. 26)는 매트에 절곡선과 절단선을 가공함으로 공간을 유지한 체 잘 접히도록 한 다목적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상기매트에 세로 가로선은 절곡선으로 가공하고, 상기와 같이 매트내에 구분하여 절단 가공된 매트를 단계별로 잘 접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매트 접히는 부위를 절단선과 절곡선으로 구분하여 가공함으로 매트를 접을시 매트내에 공간을 유지한 체 잘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061호(2010. 06. 15)는 낮잠매트는 누빔천을 양면으로 덧대서 기본 메트를 만들고 상단 단축 중앙에 베개를 달수 있는 보조 고리가 베개 넓이로 해서 두개 구성되어 있고, 하단 단축 중앙에 매트를 접었을 시 보관할 수 있는 방수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개는 기본 메트 상단 단축 중앙에 있는 보조 고리와 장축 중앙에 있는 보조 고리에 체결될 수 있는 두개의 단추가 달려 있고 베개속을 따로 빼거나 넣을 수 있게 후면 상단 부위에 구멍을 만들되 상단 하단 부위의 천이 오버랩되게 해서 따로 지퍼나 벨크로를 달 필요가 없게 한다. 결과적으로 집 거실이나 친척집에 갔을 때, 특히 유아들이 유치원이나 놀이방 등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중간중간 낮잠을 자거나 누워 있을 경우 낮잠 매트가 제공된다. 일반 침구세트를 일일이 구비하기도 쉽지 않고 매번 펴거나 게기도 번거럽고 아이별로 침구를 펼쳐놓기에도 공간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접었을 경우에도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데 상기 낮잠매트는 펴고 게기도 편리하고 베개와 가방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보관도 용이하며 유아별로 하나씩 개별 사용도 가능하므로 위생적이고 깔끔하고 편리하게 유아들을 쉴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자체가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매트의 손상이나 오염이 발생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경우에는, 매트리스를 펼쳤을 때에 맞는 커버를 걸거나 끼워 매트리스를 덮기는 가능하지만, 매트리스를 접었을 때는 접었을 때에 맞는 크기의 커버를 따로 구비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접이식 매트리스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형태의 접이식 매트리스 구조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08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061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 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에 커버로 덮어 씌울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접거나 펼치도록 구현된 다수 개의 매트를 구비한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매트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매트부의 각 모서리부분을 걸기 위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매트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 일측의 양 모서리부분을 걸기 위한 걸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다른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매트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안쪽에 형성된 암부분과, 상기 매트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분과 체결하는 숫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매트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매트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매트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암부분과, 상기 암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분과 서로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숫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다수 개의 매트를 각각 분리하거나 각각의 매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매트들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 일측의 양 모서리부분을 걸기 위한 걸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다른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매트부의 상부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부는, 모서리부분 각각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를 걸기 위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커버로 다양하게 덮어 씌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를 침대용 또는 쇼파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가 포함되어 있어 펼쳤을 때의 매트리스 뿐만 아니라 접었을 때의 매트리스를 보호하여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커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커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걸이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걸이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매트리스(10)는 매트부(100),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요, 베개, 이불 등을 꺼내어 깔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고, 매트를 펼쳐 놓아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본 고안의 매트부(100)는 다수 개의 매트를 구비하여 매트를 접거나 펼치도록 되어 있다. 매트부(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세로는 180 ~ 220cm이고, 가로는 130 ~ 200cm, 높이는 10 ~ 30c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매트부(100)는 네 개의 매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매트는 제1 매트(101), 제2 매트(102), 제3 매트(103) 및 제4 매트(104)일 수 있다. 매트들 사이에는 접음선을 구비하며, 이때의 접음선은 제1 매트(101)와 제2 매트(102)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음선(105), 제2 매트(102)와 제3 매트(103) 사이에 형성된 제2 접음선(106), 제3 매트(103)와 제4 매트(104) 사이에 형성된 제3 접음선(107)을 포함한다. 매트부(100)는 제1 접음선(105), 제2 접음선(106) 및 제3 접음선(107)에 의해 세 번 접음이 가능하며, 접은 상태의 매트부(100)는 부피를 줄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쇼파로 활용하여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커버부(200)는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매트부(100)를 보호하기 위해 상면을 덮는다. 또한 커버부(200)는 매트부(100)의 측면을 감싸 덮을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2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손쉽게 교체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커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커버부재(210), 걸이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천 재질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더욱 자세히는 매트부(100)의 상부면에 놓여 덮는 구조 또는 매트부(100)의 상부면 및 측면을 덮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걸이부재(220)는 커버부재(210)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제1 걸이부재(222), 제2 걸이부재(223), 제3 걸이부재(224) 및 제4 걸이부재(225)를 포함한다. 이때 모서리부분은 매트부(100)의 각이 형성된 부분으로 매트부(100)의 일측 위아래로 제1 걸이부재(222) 및 제2 걸이부재(223)가 결합되며, 다른 일측 위아래로 제3 걸이부재(224) 및 제4 걸이부재(225)가 결합된다. 이때 제1 걸이부재(222), 제2 걸이부재(223), 제3 걸이부재(224) 및 제4 걸이부재(225)는 위치에 무관하게 커버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걸이부재(2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트부(100)를 펼친 상태에서 매트부(100)의 각 모서리부분을 걸이부재(220)로 걸어 커버부(200)를 매트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커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커버부재(210), 걸이부재(220) 및 체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천 재질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더욱 자세히는 매트부(100)의 상부면에 놓여 덮는 구조 또는 매트부(100)의 상부면 및 측면을 덮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걸이부재(220)는 커버부재(210)의 일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제1 걸이부재(222), 제2 걸이부재(223)를 포함한다. 이때 모서리부분은 매트부(100)의 각이 형성된 부분으로 매트부(100)의 일측 위아래로 제1 걸이부재(222) 및 제2 걸이부재(223)가 결합된다. 이때 제1 걸이부재(222) 및 제2 걸이부재(223)는 방향성에 무관하며, 또한 도 3의 제1 걸이부재(222) 및 제2 걸이부재(223)는 커버부재(210) 하단면의 왼쪽에 형성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과는 무관하다.
체결부재(230)는 커버부재(210)의 다른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며, 제1 체결부재(231) 및 제2 체결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부분은 매트부(100)의 각이 형성된 부분으로 제1 걸이부재(222) 및 제2 걸이부재(223)가 결합된 반대쪽 모서리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걸이부재(2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트부(100)를 펼친 상태에서 제1 걸이부재(222), 제2 걸이부재(223)를 각각 걸어주고 매트부(100)를 접음선에 의해 접은 뒤 커버부재(210)를 따라 덮어준다. 마지막으로 체결부재(230)는 매트부(100)에 측면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체결부재(230)의 안쪽에 형성되는 암부분(232)과 숫부분(234)을 포함할 수 있다. 숫부분(234)은 매트부(100)의 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며, 암부분(232)과 체결하여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30)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어 매트부(100)의 측면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암부분(232)인 암벨크로는 체결부재(230)의 안쪽에 형성되고, 숫부분(234)인 숫벨크로는 매트부(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암벨크로와 숫벨크로는 서로 부착되어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30)는 단추로 구성되어 매트부(100)의 측면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암부분(232)은 끈으로 되어있어, 끈의 일정위치에 단추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숫부분(234)은 매트부(100)의 측면에 다수 개의 단추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단추는 단추구멍을 통과하여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추와 단추구멍은 똑딱이 단추를 사용하여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30)는 벨트로 구성되어 매트부(100)의 측면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암부분(232)은 끈으로 되어 있고, 숫부분(234)은 매트부(100)의 측면에 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끈은 고정체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고정체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30)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매트부(100)의 측면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암부분(232)은 체결부재(230)의 안쪽에 일극을 갖도록 형성되며, 숫부분(234)은 매트부(100)의 측면에 다른 극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자석은 일극과 다른 극의 결합에 의해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커버부의 걸이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걸이부재(220)는 미끄럼방지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수단(240)은 제1 걸이부재(222), 제2 걸이부재(223), 제3 걸이부재(224) 및 제4 걸이부재(225)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걸이부재(220)의 안쪽 일부분 또는 전체 즉 매트부(1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수단(240)은 커버부(200)가 매트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 부직포 및 직포로 이루어진 재질 또는 건강에 좋은 바이오세라믹 원료를 혼합하여 걸이부재(220)의 안쪽을 코팅하여 제조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수단(240)은 커버부(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매트부(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240)은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는 부분인 커버부(200)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되어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240)은 커버부(200)의 하부면 일부에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매트부(100)로부터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240)은 매트부(10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고정되어 매트부(100)로부터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커버부의 걸이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이부재(220)는 암부분(226) 및 숫부분(228)을 포함할 수 있다.
암부분(226)은 매트부(1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숫부분(228)은 암부분(226)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암부분(226)과 서로 부착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220)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트부(100)와 부착될 수 있다. 암부분(226)인 암벨크로는 매트부(1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숫부분(228)인 숫벨크로는 매트부(100)의 상면 모서리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는 숫부분은(228)은 암부분(226)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부분(226)과 숫부분(228)이 서로 부착되어 커버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걸이부재(22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추, 벨트, 자석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연결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110)는 다수 개의 매트를 각각 분리하거나 각각의 매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재(110)는 다수 개의 매트의 길이방향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10)는 지퍼 형식으로 되어 손쉽게 매트들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재(110)는 레일가이드(112), 손잡이(113)가 구비된 슬라이더(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가이드(112)는 매트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트(101)와 제2 매트(102)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제1 매트(101)의 일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레일가이드(112)와 제2 매트(102)의 타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레일가이드(112)를 맞물리게 배치하여 손잡이(113)가 구비된 슬라이더(114)를 결합하여 다수 개의 매트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지퍼 형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퍼 구조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재(110)는 매트부(100)의 매트들을 접거나 펼치도록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분리 또는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똑딱이 단추, 벨크로테이프, 자석, 끈에 의한 연결, 후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연결부재(110)에 의해 사용자의 용도 및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200)는 매트부(10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덮기 위해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매트부(100)는 두 개의 매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네 개의 매트가 두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두 개의 매트를 구비하여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커버부(200)는 커버부재(210), 걸이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천 재질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재(210)는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걸이부재(220)는 커버부재(210)의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매트부(100) 일측의 양 모서리부분을 걸어준 뒤 커버부재(210)를 매트부(100)에 감싸 덮어 커버부재(210)의 다른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된 체결부재(230)로 매트부(100)와 체결하여 덮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매트부(100)는 세 개의 매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세 개의 매트로 구성된 매트부(100)와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커버부(200)의 구조 또한 위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된 매트부(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거나 펼쳐 사용가능하며 이에 따른 커버부(200) 또한 동일하게 사용된다.
도 9는 도 1에 있는 매트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매트부(100)는 걸이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220)는 매트부(100)의 모서리부분 각각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부(200)를 걸어 매트부(100)를 덮을 수 있다. 더욱 자세히는 커버부(200)는 고리부재(250)를 포함하여 걸이부재(220)와 고리부재(250)를 서로 걸어 체결할 수 있다.
걸이부재(220)에 고리부재(250)를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걸이부재(220)와 고리부재(25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부분과 숫부분으로 구성하여 걸이부재(220)와 고리부재(250)를 고정하여 커버부(200)를 덮었을 때 커버부(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이식 매트리스(10)는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부(100)와 매트부(100)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200)로 구성됨에 있어서, 매트부(100)를 펼쳐서 침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매트부(100)를 접어서 쇼파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공간활용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매트부(100)는 다수 개의 매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한 사람 또는 두 사람 이상 누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커버부(200)는 다양한 용도에 따른 매트부(100)의 크기에 상관없이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매트부(100)와 커버부(200)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 유용한 접이식 매트리스(10)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접이식 매트리스
100 : 매트부
110 : 연결부재
200 : 커버부
210 : 커버부재
220 : 걸이부재
226 : 걸이부재 암부분
228 : 걸이부재 숫부분
230 : 체결부재
232 : 체결부재 암부분
234 : 체결부재 숫부분
240 : 미끄럼방지수단
250 : 고리부재

Claims (10)

  1. 접거나 펼치도록 구현된 다수 개의 매트를 구비한 매트부(100)와,
    상기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커버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매트부(100)를 덮기 위한 커버부재(210)와,
    상기 커버부재(210)의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100)일측의 양 모서리부분을 걸기 위한 걸이부재(220)와,
    상기 커버부재(210)의 다른 일측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10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매트부(10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30)는,
    안쪽에 형성된 암부분(232)과,
    상기 매트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분(232)과 체결하는 숫부분(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20)는,
    상기 매트부(1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00)가 상기 매트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20)는,
    상기 매트부(1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암부분(226)과,
    상기 암부분(226)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분(226)과 서로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숫부분(2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100)는,
    다수 개의 매트를 각각 분리하거나 각각의 매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10)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의해 결합된 매트들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매트부(100)의 상부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20)는,
    모서리부분 각각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00)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
KR2020130009596U 2013-11-21 2013-11-21 접이식 매트리스 KR20047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96U KR200476432Y1 (ko) 2013-11-21 2013-11-21 접이식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96U KR200476432Y1 (ko) 2013-11-21 2013-11-21 접이식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432Y1 true KR200476432Y1 (ko) 2015-03-04

Family

ID=5304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96U KR200476432Y1 (ko) 2013-11-21 2013-11-21 접이식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4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2U (ko) 2017-10-25 2019-05-07 전삼용 접이식 매트리스
KR20220067140A (ko) * 2020-11-17 2022-05-24 한형섭 온열 방석 및 온열 방석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272A (ja) * 2002-07-16 2004-02-19 Sanae Araki 木炭パウダー入り寝具用マット
KR200372639Y1 (ko) * 2004-10-11 2005-01-15 주식회사 님프만 매트리스 커버
KR20100008084A (ko) * 2008-07-15 2010-01-25 정명호 보조커버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커버
JP2010094434A (ja) * 2008-10-20 2010-04-30 Nishikawa Living Inc マットレス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272A (ja) * 2002-07-16 2004-02-19 Sanae Araki 木炭パウダー入り寝具用マット
KR200372639Y1 (ko) * 2004-10-11 2005-01-15 주식회사 님프만 매트리스 커버
KR20100008084A (ko) * 2008-07-15 2010-01-25 정명호 보조커버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커버
JP2010094434A (ja) * 2008-10-20 2010-04-30 Nishikawa Living Inc マットレスカ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2U (ko) 2017-10-25 2019-05-07 전삼용 접이식 매트리스
KR20220067140A (ko) * 2020-11-17 2022-05-24 한형섭 온열 방석 및 온열 방석 제조방법
KR102484123B1 (ko) 2020-11-17 2023-01-04 한형섭 온열 방석 및 온열 방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9551B2 (ja) マット、このマットに連結可能な枕及び寝袋、これらを連結した寝具
US9107519B2 (en) Portable sleeping assembly
US20130276238A1 (en) Foldable Mattress Topper for Play Yards and Related Methods
US20050283910A1 (en) Weatherproof converting pillow blanket
US20160166093A1 (en) Foldable blanket and pillow system
US20100242172A1 (en) Multi-mode child sleeping bag
US11076706B2 (en) Configurable multipurpose mat assembly
KR200476432Y1 (ko) 접이식 매트리스
EP2051609A1 (en) Bedding system
US20090053432A1 (en) Apparatus for cushioning a child
US8549680B1 (en) Portable toddler mat
KR100958823B1 (ko) 유아용 다기능 침구
JP3037026U (ja) フロアベッド
KR101449985B1 (ko) 돗자리 겸용 가방
US20170238734A1 (en) Partitioned Modular Bedding
JP4648262B2 (ja) 幼児用二層式ベット本体装置
KR20100006061U (ko) 낮잠매트
KR200471520Y1 (ko) 가방 겸용 유아매트
KR101330676B1 (ko) 유아용 침구
ES2232570T3 (es) Bolsa textil de uso dosmestico con proteccion ambiental.
KR20160039343A (ko) 다용도 변신 가방
KR20030000083A (ko) 절첩식 매트겸 침구
JP3033260U (ja) マットレス
JPS6026687Y2 (ja) 敷きシ−ト兼用寝袋
WO2014001578A1 (en) Be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