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471A -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471A
KR20220123471A KR1020227028309A KR20227028309A KR20220123471A KR 20220123471 A KR20220123471 A KR 20220123471A KR 1020227028309 A KR1020227028309 A KR 1020227028309A KR 20227028309 A KR20227028309 A KR 20227028309A KR 20220123471 A KR20220123471 A KR 2022012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yground
bassinet
foldabl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엠 파셀라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2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47D11/007Children's beds convertible into children's p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3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sof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6Cradles ; Bassinet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other articles or structures, e.g. adult's 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Toy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접이식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가 제공되며, 상기 배시넷과 놀이장은 함께 접히고 펼쳐진다. 펼쳤을 때, 상기 배시넷은 상기 놀이장의 상단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얕아서 도우미가 더 쉽게 어린이를 배시넷에 넣고 배시넷에서 꺼낼 수 있다. 배시넷 매트리스가 상기 배시넷의 바닥의 중앙 허브와, 상기 허브에 결합되어 상기 배시넷의 각 바닥 코너까지 연장하는 4개의 지지 튜브에 의해 지지된다. 접는 동안, 상기 배시넷 허브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 튜브는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놀이장의 각 레그와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배시넷 허브는 (놀이장의 상단을 넘어서 눈에 띄게 연장하지 않도록) 놀이장의 접힌 프레임에 의해 그리고 그 내부에 둘러싸이거나 또는 놀이장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 된다.

Description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본 출원은 "토퍼가 구비된 X-프레임 놀이장"이라는 명칭으로 2020년 5월 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3/021,950호 및 “X-프레임 놀이장"이라는 명칭으로 2020년 1월 1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962,43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각각의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합체된다.
놀이장(playard)(본원에서 "놀이울(playpen)" 또는 "게임 침대(game bed)"라고도 한다)은 소아(예를 들어, 유아(infant), 토들러(toddler))가 돌보미(caregiver)의 특별한 감독 없이 자고 놀 수 있는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형 인클로저이다(framed enclosure). 놀이장은 일반적으로, 놀이장의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지지 구조체(예를 들어, 프레임)를 포함한다. 놀이장은 또한 어린이를 수용하는 부분 폐쇄 쿠션 공간(partially enclosed cushioned space)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부드러운 패딩(본 명세서에서 "직물류(soft goods)"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놀이장은 일반적으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을 수 있고(foldable) 및/또는 절첩가능하다(collapsible). 예를 들어, 돌보미는 보관 및/또는 운반을 위해 놀이장을 접고 사용을 위해 놀이장을 펼칠 수 있다. 놀이장이, 부분적으로, 주로 실외 설정에서 사용되는지 아니면 실내 설정에서 사용되는지에 따라, 진화한 디자인으로 수십년 동안 다양한 유형의 놀이장이 제조되고 상업화되었다.
도 1a는 펼쳐진 구성의 종래 실외 놀이장(10a)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a)은 내부 공간(11)의 윤곽을 이루는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20a)가 구비된 프레임(46)을 포함한다.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20a)는 교차 패턴을 형성하는 X-튜브(22a, 22b)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X-프레임 어셈블리(20a)는 프레임(46)이 접힐 수 있도록 X-튜브(22a, 22b)가 서로 그리고 다른 X-튜브에 회전 가능하게만 결합되는 피벗 전용 X-프레임 어셈블리이다. 도 1a의 분해 삽입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a)에는 X-튜브(22a, 22b)에 부착되어, 펼쳤을 때, X-프레임 어셈블리(20a)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래치 기구(16)가 제공된다. 직물류(12)가 X-프레임 어셈블리(20a)에 부착되고 내부 공간(11)의 측면과 바닥을 따라 배치되어, 프레임(46)의 내부 공간(11)과 유사 또는 그보다 작게 크기가 정해지고 및/또는 성형된 어린이를 위한 부분 폐쇄 공간(13)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류(12)는 부분 폐쇄 공간(13)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웨빙(14)을 포함하는데, 이는 놀이장(10a)이 전개되면 놀이장(10a)의 기계적 강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상단 레일로서 기능한다. 도 1a는 또한 부분 폐쇄 공간(13) 위에 배치되고 X-프레임 어셈블리(20a)에 장착되어 어린이를 위한 그늘을 제공하는 캐노피 커버(canopy cover)(40)를 포함하는 놀이장(10a)을 도시한다.
도 1b는 종래의 실외 놀이장(10b)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b)은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에 결합된 복수의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20b)가 구비된 프레임(46)을 포함한다.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24)는 레그 튜브(25), 레그 튜브(25)의 상단에 있는 코너(직물류(12) 아래에 숨겨짐), 및 레그 튜브(25)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6a 또는 26b)를 포함한다.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20)의 X-튜브(22a 및 22b)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의 각 슬라이더(26a 및/또는 26b) 및 코너에 결합된다. 따라서, 놀이장(10b)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X-튜브(22a, 22b)는 슬라이더(26a 및/또는 26b)를 통해 레그 튜브(25)를 따라 회전 및 변위를 겪게 된다. 놀이장(10a)의 피벗 전용 X-프레임 어셈블리(20a)와 비교하여, 놀이장(10b)의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 X-프레임 어셈블리(20b)는 놀이장(10b)이 더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게 하여 접힌 구성에서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며, 추가로,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 X-프레임 어셈블리(20b)는 프레임(46)이 더 큰 내부 공간(11)을 제공하도록 하고, 따라서 놀이장(10b)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어린이를 위한 더 큰 부분 폐쇄 공간(13)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직물류(12)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24) 및/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20b)에 부착될 수 있다. 놀이장(10b)은 또한 놀이장(10b)의 양측에 배치된 레그 지지 어셈블리(24) 상의 슬라이더(26b)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래치 기구(16a, 16b)를 포함한다. 도 1b의 삽입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6b)는 래치 기구(16a, 16b)를 잠그는 특징을 포함하기 때문에 슬라이더(26a)와 다르다. 놀이장(10b)은 또한 부분 폐쇄 공간(13) 위에 배치되고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의 코너에 장착된 캐노피 커버(40)를 포함한다.
도 1c는 종래의 실내 놀이장(10c)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c)은 직물류(12)를 지지하는 강성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레그(30) 및 강성 상단 레일(32)로 형성된 프레임(46)을 포함한다. 프레임(46)은 또한, 직물류(12)에 의해 형성된 부분 폐쇄 공간(13)의 바닥이 지면에 떨어져 매달리도록 바닥 지지 구조체(34)를 포함한다. 실외 놀이장(10a, 10b)과 비교하여 실내 놀이장(10c)은 접는 것 및/또는 펼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상단 레일(32)은 힌지(36)에 결합되어, 놀이장(10c)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작은 형태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바닥 지지 구조체(34)도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놀이장(10c)을 접기 위해, 돌보미는 먼저 직물류(12)의 일부를 제거하고, 바닥 허브를 위로 당겨 바닥 지지 구조체(34)를 접은 다음(도 1d의 단계 'A'), 상단 레일(32)을 잠금 해제하고 접을 필요가 있다(도 1d의 단계 'B'). 돌보미는 놀이장(10c)을 설치하려면 이러한 단계를 역으로 수행해야 한다.
도 1c는 또한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보다 상승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부분 폐쇄 공간(13) 내에 배치된 배시넷 액세서리(60)를 포함하는 놀이장(10c)을 도시한다. 상승된 표면은 놀이장(10c)의 바닥과 비교하여 보다 쉽게 더 액세스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를 놀이장(10c)에 넣을 때 및/또는 어린이를 놀이장(10c)에서 꺼낼 때 도우미가 경험하는 신체적 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60)의 상승된 표면은 또한 돌보미가 어린이를 보다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배시넷 액세서리는 전형적으로, 체중이 15파운드 미만인 유아 및/또는 어린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자는 접이식 놀이장은 일단 설치되면 돌보미에게 어린이가 놀거나 및/또는 잠을 잘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고, 이는 돌보미가 어린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부담을 덜어준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또한, 경우에 따라서 종래의 놀이장은, 부분적으로, 놀이장을 접고, 펼치고, 걸쇠 고정하고(latching) 및/또는 걸쇠 고정 해제(unlatching)하기 위한 복잡한 기구(및 그에 따라 돌보미가 어린이를 전체적으로 돌보면서 수행해야 하는 연장된 절차) 때문에, 설치 및/또는 보관하기가 번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종래의 놀이장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품의 부피가 더 커져, 취급이 더 어렵고 제조하는 데 또 소비자로서 구매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첫째, 본 발명자는, 어린이를 더 잘 수용하고 및/또는 프레임의 기계적 강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종래의 놀이장이 전형적으로, 프레임 외에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보다 단단한 경계를 제공하는 다양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많은 경우에, 놀이장이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과 관련된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비-풀사이즈 베이비용 거처/놀이장에 대한 표준 소비자 안전 사양"이라는 타이틀의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F406-19)을 충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지지 구조체가 종래의 놀이장의 프레임에 추가된다.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놀이장(10a, 10b)의 각각의 프레임(46)은 프레임(46)의 접힘 및/또는 펼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X-프레임 어셈블리(20a, 20b)를 포함한다. 펼쳤을 때 X-프레임 어셈블리(20a, 20b)는 프레임(46)의 각 측을 따라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강하고 안정적인 구조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 1a는 펼쳤을 때 놀이장(10a)의 X-프레임 어셈블리(20a)의 X-튜브(22a, 22b)가 프레임(46)의 측면에 걸쳐 있음을 도시한다. 이것은 프레임(46)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X-프레임 어셈블리(20a) 위의 내부 공간(11)의 상단 부분(47)이 초래된다. 플렉서블하고 유연한 직물류(12)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6) 위에 배치되면, 어린이는 직물류를 접거나 및/또는 절첩함으로써 상단 부분(47)을 통해, 잠재적으로 놀이장(10a) 밖으로 기어나올 수 있다. 상기한 것에 비추어, 추가의 지지 구조체로서, 직물류(12)는 일체형 웨빙(14)을 포함하는데, 프레임(46)이 펼쳐질 때 팽팽하게 당겨져서 웨빙(14)은 상단 레일로서 기계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웨빙(14)은 직물류를 지지하고 어린이를 놀이장(10a) 내에 더 잘 유지하도록 내부 공간(11)의 상단 부분(47)에 걸쳐 있는 보다 강성의 경계를 제공한다.
도 1b는 유사하게, 놀이장(10b)의 X-프레임 어셈블리(20b)의 X-튜브(22a, 22b)는, 펼쳐졌을 때, X-튜브(22a, 22b) 위의 내부 공간(11)의 상단 부분(47)을 기계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놀이장(10a)과 유사하게, 놀이장(10b)은 추가의 지지 구조체로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에 직접 결합되는 웨빙(14)을 포함한다. 놀이장(10b)의 프레임(46)이 펼쳐질 때, 웨빙(14)은 다시 한번 팽팽하게 당겨져 상단 레일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내부 공간의 상단 부분(47)에 걸쳐 더 단단한 경계를 제공한다. 웨빙(14)이 없으면 놀이장(10a, 10b)이 ASTM F406-19와 같은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을 준수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c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놀이장(10c)은 인접하는 레그(30)들을 연결하는 경질의 상단 레일(32)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놀이장(10c)의 프레임(46)은 내부 공간(11)의 상단 및 측면 경계에 걸쳐 있는 기계적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레그와 상단 레일만 있는 프레임은 종종 기계적으로 불안정하기 쉽다. 예를 들어, 그 프레임은 레그의 바닥 부분이 기계적으로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및/또는 레일과 레그를 함께 연결하는 조인트 사이의 백래시(backlash) 또는 슬롭(slop)으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불안정성은 레그와 레일이 예를 들어 놀이장의 접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불안정성을 감안할 때, 프레임(46)을 보강하기 위해 놀이장(10c)은 프레임(46)의 양쪽 코너에 위치한 레그(30)를 연결하는 추가 바닥 지지 구조체(3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놀이장에 추가된 다양한 지지 구조체 및 이러한 지지 구조체를 수용하기 위해 놀이장에 대해 이루어진 다양한 수정은 이들 놀이장의 복잡성, 부품 수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놀이장(10a 및 10b)용 웨빙(14)은 직물류(12) 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20a 및 20b)에 직접 봉합되어야 하고 및/또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24)는 부드러운 웨빙(14)에 직접 부착할 추가의 구조적 피처를 통합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설계 복잡성을 증가시켜 더 높은 제조 비용을 초래한다. 놀이장(10c)의 경우, 견고한 상단 레일(36) 및 바닥 지지 구조체(34)는 놀이장(10c)의 분해 및 접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 기구(예를 들어, 힌지(36), 바닥 지지 구조체(34)의 다양한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제조 및 조립을 위한 부품 수를 증가시킨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추가 기구는 또한 추가 단계(예를 들어, 단계 'A' 및 'B')를 추가하여 돌보미가 놀이장(10c)을 설치하고 분해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특히, 놀이장(10c)은 부분적으로 펼쳐질 때 넘어지거나 및/또는 부분적으로 접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놀이장(10c)은 펼쳐지기가 특히 어렵다.
본 발명자는 또한 종래의 놀이장이 종종 프레임의 접기 및/또는 펼침의 용이함과 놀이장의 실제 사용과 관련된 다른 양태들을 절충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놀이장(10a 및 10b)은 각각 X-프레임 어셈블리(20a 및 20b)를 포함하는데, 이는 돌보미가 각 프레임(46)을 훨씬 쉽게 접거나 및/또는 펼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X-프레임 어셈블리(20a, 20b)는 모두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46)의 측면의 (전부는 아닐지라도) 상당 부분에 걸쳐 있으며, 이는 에워싸인 공간(13)에 있는 어린이의 시인성을 부분적으로 방해할 수 있고 따라서 또는 돌보미가 놀이장에 있는 어린이를 쉽게 볼 수 있는 능력을 저해 또는 방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놀이장(10a)의 직물류(14)는 부분 폐쇄 공간(13)의 측면을 따라 투시(see-through) 부분을 포함하며, 이는 돌보미가 어린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피벗 전용 X-프레임 어셈블리(20a)의 X-튜브(22a, 22b)는 부분 폐쇄 공간(13)의 전체 측면에 걸쳐 있어, 직물류(14)의 투시 부분을 방해하고 따라서 돌보미가 부분 폐쇄 공간(13)에 있는 어린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해 버린다. 놀이장(10b)의 경우,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20b)는 부분 폐쇄 공간(13)의 전체 측면에 걸쳐 있지 않다. 그러나, 도 1b는 대신에 X-프레임 어셈블리(20b)와 직물류(14)의 조합이 부분 폐쇄 공간(13)의 거의 상부 절반을 덮고, 따라서 돌보미가 부분 폐쇄 공간(13)을 볼 수 있는 영역을 제한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예에서, 놀이장(10c)의 프레임(4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더 복잡한 폴딩/언폴딩 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대가로 돌보미가 부분 폐쇄 공간(13)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실내 놀이장은 또한 전형적으로, 실내 설정에 맞게 미적으로 만족스럽게 설계되며(예를 들어, 실내 놀이장은 다른 실내 가구와 매칭되어야 함), 이는 종종 사용 편의성과 같은 다른 영역에서 타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X-프레임 어셈블리는 X-튜브의 외관이 대부분의 실내 가구와 충돌하기 때문에 종종 실외 놀이장에만 사용된다.
본 발명자는 또한 종래의 놀이장이 종종, 제조 비용이 비싸고 소비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복잡한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놀이장(10b)과 같이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종래의 놀이장 프레임은 종종, 펼쳐진 구성에서 잠겨 있을 때 놀이장 프레임의 어느 한 쪽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놀이장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b는 놀이장(10b)이 놀이장(10b)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래치 기구(16a, 16b)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놀이장(10b)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돌보미는 각각의 래치 기구(16)를 놀이장의 다른 측면에서 한 번에 하나씩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불편하고 번거롭다. 다른 예에서, 도 1c에 도시된 종래의 실내 놀이장(10c)은 각각의 힌지(36)에 대해 별도의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보미는 바닥 지지 구조체(34)를 펼치기 전에 먼저 각 힌지(36)에 대한 각 래치 기구를 잠글 필요가 있으며, 그 동안 돌보미에 의해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놀이장(10c)은 넘어지거나 및/또는 부분적으로 절첩될 수 있다.
복수의 래치 기구를 포함하면 부품 수가 증가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이 결점은 주어진 래치 기구의 배치 및 복잡성에 기초하여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장(10b)의 래치 기구(16a, 16b)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의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그 결과, 놀이장(10b)은 상이한 유형의 슬라이더, 즉 래치 기구(16a, 16b)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26b), 및 레그 지지 어셈블리(24)의 나머지에 대한 상이한 슬라이더(26a)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놀이장 디자인은 제조해야 하는 고유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자는 또한 종래의 놀이장이 어린이를 위한 기능 및/또는 환경을 증강하기 위해 다양한 액세서리를 포함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놀이장(10c)은 생후 첫 몇 개월인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 위의 상승된 표면을 제공하는 배시넷 액세서리(bassinet accessory)(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놀이장의 내부 공간과 비교하여(즉, 놀이장(10c)이 배시넷 액세서리(6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배시넷 액세서리가 돌보미에게 어린이를 놀이장 내에 놓고 및/또는 놀이장으로부터 어린이를 꺼내기 위해 보다 편리하고 액세스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하였다. 본 발명자는 또한 착탈식 배시넷 액세서리가 출생부터 어린이가 일반적으로, 놀이장에서 나올 수 있거나 무게가 30파운드 이상 될 때까지 접이식 놀이장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킨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또한 종래의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승된 표면의 접근성(예를 들어, 돌보미가 어린이를 배시넷 액세서리에 넣기 위해 놀이장에 얼마나 멀리 도달해야 하는지), 사용 용이성(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와 접이식 놀이장을 접거나 및/또는 펼치는 절차), 및 특히 접었을 때 접이식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의 전체 크기 사이에서 절충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배시넷 액세서리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규정 준수 표준(예를 들어, "배시넷 및 크래들에 대한 표준 소비자 안전 사양"이라는 제목의 ASTM F2194)을 충족하기 위해 어린이가 잘 수 있는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많은 종래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경우, 그 지지 구조체는 놀이장 프레임과 함께 접을 수 없는(또는 펼칠 수 없는) 강성의 구조체이다. 따라서, 배시넷 액세서리는 놀이장을 접기 전에 제거해야 하며 및/또는 놀이장을 펼칠 때 설치해야 하며, 이는 돌보미가 놀이장을 설치 및/또는 분해하는 추가 단계를 추가한다. 또한, 배시넷 액세서리를 제거하는 것은 돌보미가 접이식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를 별도의 품목으로 보관 및/또는 운반하기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돌보미가 특히 놀이장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운반할 때 배시넷 액세서리를 잊어버리거나 잃어버릴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놀이장 프레임과 함께 접히고 펼쳐지는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한 강성의 배시넷 액세서리와 관련된 제한 사항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이전에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종래의 접이식 배시넷 액세서리가 배시넷 액세서리의 다른 양태를 손상시킴으로써 종종 놀이장과 함께 접을 수 있는 특성을 달성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60)는 놀이장(10c)에 대하여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얕은 상승 공간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매트리스의 상단 표면은 약 10인치 미만의 거리만큼 놀이장(10c)의 상단 레일(32)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사용자가 펼치고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시넷 액세서리(60)의 일부를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보다 복잡한 폴딩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e는 놀이장(10c)용 배시넷 액세서리(60)가 배시넷 직물류(62)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2개의 지지 튜브 어셈블리(64)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튜브 어셈블리(64)는 배시넷 직물류(62)의 바닥 부분에 장착된 지지 튜브(64a, 64b, 64c)를 포함한다.
배시넷 액세서리(60)를 설치하기 위해서, 돌보미는 수동으로 지지 튜브(64a)를 지지 튜브(64b)에 연결하고 지지 튜브(64c)를 지지 튜브(64b)에 연결하여 배시넷 액세서리(60)의 길이에 걸쳐 단단한 지지 튜브 어셈블리(64)를 형성해야 한다. 배시넷 액세서리(60)를 분해하기 위해서, 돌보미는 지지 튜브(64a-64c)를 서로 수동으로 분리해야 한다. 이러한 추가 단계는 배시넷 액세서리(60)를 접거나 및/또는 펼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부품 분실(예를 들어, 돌보미가 매트리스와 별도로 지지 튜브 중 하나를 잘못 배치함) 및/또는 특히 돌보미가 지지 튜브(64a-64c)를 함께 적절하게 연결하지 않는 경우 부적절한 설치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종래의 접이식 배시넷 액세서리에서는, 설치 및/또는 분해를 단순화하기 위해 더 간단한 폴딩 기구(예를 들어, 전개를 위해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조립하거나 보관을 위해 분해할 필요가 없는 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폴딩 기구는 종종 접혀진 구성에서 놀이장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거나(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의 일부가 접혔을 때 놀이장의 외피를 훨씬 넘어 연장함) 상대적으로 더 깊은 배시넷 액세서리를 초래하여(예를 들어, 매트리스의 상부 표면은 10인치보다 상당히 큰 거리만큼 놀이장(10c)의 상단 레일(32)로부터 오프셋됨), 폴딩 기구가 접힌 놀이장의 외피 내에 남아 있게 된다. 후자의 경우, 배시넷 액세서리가 더 깊어지면 어린이를 배시넷 액세서리에 넣거나 및/또는 배시넷 액세서리에서 어린이를 꺼내기 위해 도우미는 더 많이 구부려야 하고, 이는 신체적 부담을 증대시킨다.
다른 예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놀이장(10a 및 10b)은 둘 다 놀이장이 실외 설정에서 전개될 때 어린이를 위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캐노피 커버(4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액세서리, 특히 캐노피 커버가 종종 오용되고 놀이장에서 조기에 분리되는 경향이 있고 및/또는 어린이의 안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해하였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캐노피 커버는 이미 직물류로 덮인 놀이장의 상단 부분(예를 들어, 코너)에 직접 장착되는 별도의 캐노피 커버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직물류가 있으면 돌보미가 캐노피 커버가 장착되어야 하는 놀이장의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종 잘못된 캐노피 커버 설치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캐노피 커버는, 부분적으로 직물류의 여러 패브릭 층의 적층으로 인해, 종종 놀이장에 확실히 부착되지 않는다. 그 결과, 실외 놀이장용 종래 캐노피 커버는 예컨대, 돌풍으로 인해 조기에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캐노피 커버는 또한 놀이장의 부분 폐쇄 공간에 배치된 어린이에 의해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f는 캐노피 커버(40)가 놀이장 안의 어린이에 의해 코너(28)에서 당겨져 떨어진 도 1a의 놀이장(10a)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활형부(canopy bow)(44)는 놀이장(10a) 위에서 캐노피 커버(40)를 지지한다. 캐노피 활형부(44)는 캐노피 클립(42)에 부착되며, 이는 다시 직물류(12)에 의해 덮인 코너(28)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캐노피 클립(42)이 코너(28)에 확실히 부착되지 않은 것과 캐노피 클립(42)에 대한 어린이의 접근성의 조합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에 의한 캐노피 커버(40)의 제거로 이어질 수 있다. 도 1g는 어린이가 캐노피 활형부(44) 및/또는 캐노피 클립(42)을 잡아당겨 캐노피 커버(40)를 놀이장(10a)의 부분 폐쇄 공간(13) 내로 당겨넣을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자에 의한 상기한 관찰에 비추어, 본 개시는 종래의 놀이장에 비해 동작(예를 들어, 접기, 펼치기, 걸쇠고정 및/또는 걸쇠고정 해제)이 더 용이하고, 더 적은 수의 제조 부품을 사용하면서 구조적으로 더 단순하고,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위에서 참조한 ASTM F406-19)을 쉽게 준수할 수 있도록 구조가 충분히 안정적이고 견고한 접이식 놀이장의 다양한 독창적인 구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독창적인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은 일반적으로, 펼쳤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어린이를 위한 부분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직물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은 (예를 들어, 놀이장이 실외 설정에서 전개될 때) 상기 부분 폐쇄 공간을 덮는 개선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접이식 놀이장용 프레임의 일례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따라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에 X-프레임 어셈블리가 배치된 채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폐쇄된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지면에 설 수 있도록 하며, 상기 X-프레임 어셈블리는 놀이장의 접기 및/또는 펼침을 용이하게 하는 기구뿐만 아니라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에서, 상기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X-프레임 어셈블리는 형상이 다각형(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인,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접이식 놀이장의 프레임의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레그 튜브, 상기 레그 튜브의 상단에 장착된 코너, 상기 레그 튜브의 하단에 장착된 풋(foot), 및 코너와 풋 사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 및 바닥 단부는 싱기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 및 하단 정점과 각각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각각의 X-튜브가 적어도 다른 X-튜브, 코너 및/또는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X-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X-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더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X-프레임 어셈블리는, 놀이장를 접거나 및/또는 펼칠 때 X-튜브가 회전 및 병진 이동되는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X-프레임 어셈블리와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조합은 더 적은 부피를 차지하는 더 작은 형태로 접히거나 및/또는 더 큰 내부 공간을 제공하도록 펼쳐져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어린이를 위한 더 큰 부분 폐쇄 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장을 허용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프레임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각 X-프레임 어셈블리가 프레임의 인접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경질의 상단 레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으로 전개될 때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 부분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각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각의 X-튜브는 놀이장 프레임의 상단에 걸쳐서 내부 공간의 상단 개구의 윤곽을 이루는 상단 주변 구조체(top perimeter structure)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각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X-튜브 쌍은, X-튜브가 이전 놀이장의 경질의 상단 레일(예를 들어, 놀이장(10c)의 상단 레일(32))과 기계적으로 유사하도록 충분히 얕은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놀이장과 달리, 본원에 개시된 접이식 놀이장의 프레임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함께 결합시키는 X-프레임 어셈블리만으로 충분히 견고하고 안정적이다. 다시 말해서, 예시적인 구현에서, 본원에 개시된 접이식 놀이장의 프레임은 별도의 상단 레일(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놀이장(10a 및 10b)의 웨빙(14), 또는 도 1c에 도시된 놀이장(10c)의 상단 레일(32)) 또는 바닥 지지 구조체(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놀이장(10c)의 바닥 구조체(34))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한 혁신적인 프레임은 더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건전한 기계적 안정성을 가진 보다 세련된 놀이장을 만들어 낸다.
일 양태에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개시된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은 프레임이 기울어지거나 및/또는 회전되는 경향이 덜하도록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레그 튜브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예를 들어, 주어진 힘에 대해 프레임에 가해지는 결과적인 토크는 더 짧은 모멘트 암으로 인해 감소한다) 더 적은 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기계적 안정성을 달성한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의 길이는 레그 튜브와 겹치는 풋 및 코너의 부분, 및 슬라이더가 프레임을 충분히 접거나 및/또는 펼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에만 기초하여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개시된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에 사용된 X-튜브의 치수 및/또는 재료는 상기 프레임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튜브는 외경이 약 0.625인치이고 총 길이가 약 24.5인치인 스틸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X-튜브는, 부분적으로, 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프레임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공간의 원하는 치수에 따라, 상이한 치수를 갖는 상이한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탄소 섬유)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구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 지지 구조체 없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X-프레임 어셈블리만을 포함하는 프레임은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406-19, 7.3.3, 7.11)에 명시된 다양한 기계적 강성, 안정성 및/또는 강도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직물류는 프레임을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직물류에 의해 형성된 상기 부분 폐쇄 공간은 놀이장이 펼쳐질 때 적절하게 개방된다. 그러나, 직물류는 일반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대신 느슨하게 남아 있고 따라서 프레임의 기계적 강성 및/또는 안정성을 눈에 띄게 개선하지 않는 유연하고 플렉서블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내부 공간의 상단 부분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의 측면이 더 많이 노출되어 어린이가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도우미가 어린이를 볼 수 있는 더 큰 창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에 부착된 직물류는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쉽게 덮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는 래치 기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X-프레임 어셈블리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반면(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 다른 구현에서, 놀이장이 펼쳐졌을 때 X-프레임의 어떤 부분도 관찰할 수 없도록(이는 부분적으로 실외 및 실내 설정 모두에서 놀이장의 미적 외관을 개선할 수 있음) 직물류는 X-프레임 어셈블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하는 바와 같이, 주어진 예시적인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의 "상단 부분"은 일반적으로,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 및/또는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근접한 프레임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의 상단 부분은 1)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 및/또는 코너와 교차하는 상단 수평면; 및 2) X-프레임 어셈블리를 펼쳤을 때 X-튜브가 완전히 상단 및 바닥 수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상단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된 바닥 수평면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바닥 수평면은 레그 튜브의 총 길이의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그 튜브의 총 길이의 20% 이하의 거리만큼 상단 수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은 한 쌍의 X-튜브를 갖는 단일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X-튜브의 각 X-튜브는 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 및 한 쌍의 X-튜브의 다른 X-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은 두 쌍의 X-튜브를 갖는 이중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X-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하는 예에서, 각 X-튜브는 슬라이더 또는 한 레그 지지의 코너, 동일한 X-튜브 쌍 내의 X-튜브 및 다른 쌍의 다른 X-튜브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은 측면이 서로 다른 치수를 갖는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접이식 놀이장 프레임은 프레임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하기 위해 래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은 프레임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하기 위해 단일 래치 기구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단일 래치 기구는 돌보미가 프레임을 펼칠 때(예를 들어,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를 코너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단일 래치 기구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프레임을 펼쳐진 구성에 잠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놀이장을 펼치고 잠그는 과정은 놀이장의 한쪽 및/또는 한쪽 코너에 위치한 돌보미에 의해 쉽게 달성될 수 있다(즉, 돌보미가 여러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놀이장 주위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돌보미는 한 손으로 놀이장을 펼치고 잠글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래치 기구는, 슬라이더가 레그 튜브를 따라 충분한 거리만큼 변위되면 자동으로 잠길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기구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X-튜브 또는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래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치 기구는 직물류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는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래치 기구는 또한 X-튜브, 레그 튜브, 슬라이더 및 코너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레임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는 X-프레임 어셈블리 및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수정할 필요 없이 X-프레임 어셈블리 및/또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기구는 X-튜브를 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도 하는 핀 조인트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놀이장은 제조를 위한 더 적은 수의 고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대해 동일한 코너 및/또는 동일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는 돌보미에 의해 1단계 또는 2단계로 작동되는 도구가 필요 없는 기구(tool-less mechanism)일 수 있다. 일례에서, 래치 부재는 X-프레임 어셈블리 및/또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스냅-핏 연결(snap-fit connection), 스프링 장착 핀(spring-loaded pin), 및 스프링 장착 회전 잠금 해제 기구(spring-loaded rotational lock off mechanism)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부착 기구를 통해 펼쳐진 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예를 들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장착됨) 및 래치 보스(예를 들어,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X-튜브에 장착됨)를 포함하는 이중 작용 래치일 수 있다. 래치 보스는 언더컷 부분(undercut portion)을 포함할 수 있고, 래치 부재는 언더컷 부분과 맞물리도록 래치 개구 내에 배치된 탭으로 래치 보스를 수용하는 래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탭은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언더컷 부분은 래치 기구를 잠글 때 래치 부재와 래치 보스를 정렬하기 위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더컷 부분 및 탭은 과도한 양의 힘(예를 들어, 10lbs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고서 돌보미가 래치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래치 기구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신, 돌보미는 먼저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각의 X-튜브를 압착하여 래치 부재의 래치 개구 내에서 래치 보스를 변위시켜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탭을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X-튜브를 함께 압착하는 동안 돌보미는 래치 보스에서 래치 부재를 당겨서 빼냄으로써, 래치 기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접이식 놀이장은 어린이가 놀고 및/또는 잘 수 있는 부분 폐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직물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류는 프레임의 일부(예를 들어,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X-프레임 어셈블리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는 하나 이상의 스냅-핏 연결을 통해 프레임(예를 들어, 코너)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직물류는, 부착되면 직물류가 프레임에 대해 같은 높이에 남아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즉, 직물류의 상단 가장자리가 직물류의 내부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위쪽으로 뒤집어지지 않는다) 스냅-핏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직물류의 상단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된 반-강성 탭(semi-rigid ta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물류는 측면 부분뿐만 아니라 지면에 직접 안착되는 바닥 부분을 포함하고, 바닥 부분 및 측면 부분은 상기 부분 폐쇄 공간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에서, 측면 부분은 돌보미가 놀이장 내의 어린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투명 및/또는 투시성일 수 있다(예를 들어, 메쉬).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접이식 놀이장은 또한 놀이장 내의 어린이에게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놀이장 프레임 및 직물류의 상단에 배치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캐노피 커버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복수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캐노피 커버를 지지하는 캐노피 활형부와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를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캐노피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다른 유형의 캐노피(예를 들어, 하프 캐노피, 풀 캐노피)가 돌보미가 원하는 범위에 따라 놀이장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클립은 캐노피 클립을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에 직접 결합하기 위한 스냅인 특징부(snap-in fea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노피 클립이 프레임에 보다 확실히 부착될 수 있고(즉, 캐노피 클립이 직물류로 덮인 프레임 부분에 부착되지 않음), 따라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가 프레임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각각의 캐노피 클립은 또한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외부 부분을 따라 내부 공간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놀이장이 펼쳐질 때 코너 및/또는 슬라이더에 근접하게). 또한, 캐노피 활형부는, 캐노피 활형부의 일부가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및/또는 슬라이더 근처에서 내부 공간 외부에도 배치될 수 있도록 캐노피 클립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의 외부 부분과 겹치는 캐노피 활형부 부분과 캐노피 클립의 특정 배치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어린이의 접근을 더욱 제한할 수 있고, 따라서 어린이가 캐노피를 분리하여 놀이장 내로 당길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놀이장은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놀이장 직물류의 부분 폐쇄 공간 내에 배치되어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한 상승된 표면을 제공하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는 일반적으로, 배시넷 액세서리가 펼쳐질 때 배시넷 액세서리와 관련된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부분 폐쇄 공간(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부분 폐쇄 공간은 놀이장 직물류의 부분 폐쇄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의 지지 구조체는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부분 폐쇄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둘러싸는 측면 및 바닥 표면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는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함께 강성 구조체를 형성하는 허브 및 복수의 지지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튜브는 배시넷 액세서리의 접기 및 펼치기를 용이하게 하도록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예를 들어,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는 또한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허브 및 지지 튜브 상에 배치되어 어린이가 쉴 수 있는 쿠션 표면을 제공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는 제거 가능하고 접을 수 있다.
배시넷 악세서리, 특히 지지 구조체는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프레임 및 직물류와 함께 접고 펼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는 돌보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얕은 부분 폐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리스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측까지의 거리는 7.5인치 내지 약 10인치 범위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놀이장에 설치될 때 배시넷 액세서리의 높이(ht,1)-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바닥 코너 부분과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예를 들어, 놀이장에 의해 형성된 상단 수평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됨-는 7.5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는 또한 접이식 놀이장과 함께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고 펼칠 때 조립 및/또는 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는 폴딩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신, 허브 및 지지 튜브는 통합된 기계적 정지부 및/또는 잠금 기구(예를 들어, 허브 래치)를 갖는 접이식 구조체를 형성하여 허브 및 지지 튜브를 원하는 펼쳐진 구성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시넷 악세서리(예를 들어, 놀이장(10c)용 배시넷 악세서리(60))에 비해, 설치된 배시넷 악세서리와 함께 접이식 놀이장을 접고 펴는 절차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일례에서, 허브는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 튜브는 바닥 표면의 대각선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되고 배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지 튜브는 허브로부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각각의 코너 부분까지 방사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지지 튜브는 또한, 배시넷 직물류와 지지 튜브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예를 들어, 나사 파스너, 스트랩)를 통해 배시넷 직물류에 부착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거나 펼 때 돌보미는 허브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 지지 튜브와 배시넷 직물류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시넷 액세서리는 배시넷 액세서리가 구비된 접이식 놀이장의 전체 크기가 배시넷이 없는 접이식 놀이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펼쳐진 구성 및 접힌 구성 모두에서 놀이장 프레임의 내부 공간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힌 구성에서의 놀이장의 컴팩트한 형태는 보관 및/또는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유지된다.
상기한 특징(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얕은 높이, 간단한 폴딩 기구 및 컴팩트한 크기)을 나타내는 배시넷 액세서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지지 튜브는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을 때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배시넷 액세서리를 펼칠 때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대적으로 얕은 높이를 고려하여, 놀이장이 접힐 때 허브가 놀이장의 내부 공간 외부로 눈에 띄게 연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지지 튜브는 신축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각 지지 튜브는 제1 지지 튜브 및 이 제1 지지 튜브에 신축식으로(telescopically) 결합된 제2 지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를 펼쳤을 때, 연장된 지지 튜브의 전체 길이(Lt,1)는 배시넷 액세서리의 높이(ht,1)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배시넷 액세서리가 접혔을 때, 제1 지지 튜브는 제2 지지 튜브를 향해 신축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튜브의 전체 길이는 접힌 구성에서 Lt,1 로부터 Lt,2 로 변한다(Lt,2는 Lt,1보다 작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논의하는 다양한 예에서, 길이(Lt,2)는 대략 배시넷 액세서리의 높이(ht,1) 이하일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의 높이(ht,1)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고 펼 때 상황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다(예를 들어,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이 접혀 뭉쳐질 수 있음).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 배시넷 액세서리 직물류의 각각의 바닥 코너는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상당한 수직 변위를 겪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각각에서 지지 튜브의 길이와 배시넷 액세서리의 높이에 부과된 위의 제약 조건은 접힌 구성에서 놀이장의 상단 위로 허브의 상당한 돌출을 완화하기 위해 여전히 충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배시넷 액세서리는 펼쳐진 구성을 유지하는 별도의 잠금 기구(예를 들어, 허브 래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통합된 기계적 정지부와, 허브, 지지 튜브, 매트리스 및/또는 어린이의 무게를 조합하여 배시넷 액세서리를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남아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시넷 액세서리의 부품 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서 배시넷 액세서리 아래의 놀이장의 내부 공간은, 접힌 구성으로 보관 및/또는 운송을 위해 놀이장을 접을 때 배시넷 액세서리의 허브 및/또는 지지 튜브를 포함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배시넷 액세서리의 얕은 높이를 감안할 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놀이장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더 큰 부분이 배시넷 액세서리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hb)는 약 18인치 이상일 수 있다. 이 예에서, 허브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을 때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배시넷 액세서리를 펼칠 때 위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허브 및/또는 지지 튜브가 놀이장의 내부 공간에 포함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튜브의 길이(Lt)는 대략 높이(hb) 이하일 수 있다.
이 예에서, 통합된 기계적 정지부는 허브 및 지지 튜브가 원하는 전개된 구성에 있게 되면(예를 들어, 허브 및 지지 튜브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랫폼을 형성함), 허브의 추가 상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허브는, 작동되면 허브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허브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정지부와 허브 래치의 조합은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배시넷 액세서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접이식 놀이장용 프레임은 프레임의 수납을 위한 컴팩트한 접힌 구성과, 접이식 놀이장의 내부 공간에 어린이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지면 상에서 직립 자세로 접이식 놀이장을 지지하는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프레임이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단부 및 바닥 단부 반대쪽의 상단 부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X-프레임 어셈블리는, 프레임이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각각의 상단 부분에 결합되어, 프레임의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접이식 놀이장의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의 상단 주변 구조체를 형성하고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어린이가 접이식 놀이장의 내부 공간에 있을 때 어린이의 시인성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쌍 사이에서 프레임의 유일한 상호연결부를 구성한다.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단면이 타원형인 레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에 배치된 상단 단부를 구비하는 레그 튜브,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된 코너, 및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코너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의 내부 공간의 각 측면에 위치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인접 레그 지지 어셈블리 사이에 상단 레일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는 동일하고,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는 동일하며,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 쌍은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통해서만 함께 결합된다. 레그 튜브는 또한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에 배치된 상단 단부를 구비하는 레그 튜브,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된 코너, 및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코너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의 내부 공간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X-프레임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에 상단 레일을 형성한다. 접이식 놀이장은 래치 기구가 잠긴 구성에 있을 때 접이식 놀이장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단일 래치 기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의 각 쌍은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통해서만 함께 결합된다. 레그 튜브는 또한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에 배치된 상단 단부를 구비하는 레그 튜브,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에 배치된 상단 단부,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된 코너, 및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코너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래치 기구가 잠긴 구성에 있을 때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와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X-튜브를 함께 직접 결합하는 래치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치 기구는 접이식 놀이장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기구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쌍은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통해서만 함께 결합된다. 레그 튜브는 또한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에 배치된 상단 단부를 구비하는 레그 튜브,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된 코너, 및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코너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부분적으로 내부 공간 위에 배치된 복수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각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는 부분적으로 내부 공간 위에 배치된 캐노피 활형부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내부 공간 외부에 배치된 캐노피 클립을 포함한다. 캐노피 클립은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에 직접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냅 특징부 및 캐노피 클립에 캐노피 활형부를 결합하기 위해 캐노피 활형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캐노피 활형부 개구를 포함한다. 접이식 놀이장은 또한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복수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에 의해 지지되는 캐노피 커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접이식 놀이장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레그 지지체는 상단 단부를 갖는 레그 튜브,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배치된 코너, 및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접이식 놀이장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X-프레임 어셈블리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X-튜브 및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와 제1 X-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X-튜브를 포함한다. 접이식 놀이장은 잠긴 구성에 있을 때 펼쳐진 구성에 접이식 놀이장를 유지하기 위해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X-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 래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기구는, 제2 X-튜브에 결합되고,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언더컷 부분을 갖는 래치 보스와, 래치 개구 및 래치 개구 내에 배치된 탭을 갖고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결합된 래치 부재를 포함한다. 래치 보스의 언더컷 부분은 래치 기구가 맞물릴 때 래치 부재의 탭을 유지함으로써 접이식 놀이장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한다.
또 다른 예에서,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정육각형을 형성하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 단면 형상을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은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레그 튜브와 관련된 길이방향 축이 정육각형의 각 코너와 교차하고 상단 단부와 바닥 단부를 추가로 갖도록 배치된 레그 튜브, 지면과 접촉하여 접이식 놀이장을 지지하도록 레그 튜브의 바닥 단부에 결합되는 풋,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되는 코너, 및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풋과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접이식 놀이장이 접힌 구성에 있을 때 풋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가 정육각형의 측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된 6개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6개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X-프레임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에 상단 레일을 형성한다. 6개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와 제2 레그 지지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된 제1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X-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 및 제2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X-튜브와, 제2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 및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2 X-튜브를 포함한다. 제2 X-튜브는 제1 X-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이식 놀이장은 잠긴 구성에 있을 때 펼쳐진 구성에 접이식 놀이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만 그리고 제1 X-프레임 어셈블리에만 결합된 래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기구는, 제2 X-튜브에 결합되고,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언더컷 부분을 갖는 래치 보스와,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에 결합되는 제1 단부, 당김 탭에 인접하여 배치된 래치 개구 및 래치 개구 내에 배치된 탭을 구비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한다.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의 탭이 래치 보스의 언더컷 부분과 접촉하고 중앙 리브가 중앙 슬롯 내에 배치되도록 래치 부재가 래치 보스에 스냅될 때까지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를 제1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잠긴 구성으로 변경된다. 래치 기구는, 제1 및 제2 X-튜브를 함께 압착하여 래치 보스의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래치 부재의 탭을 해제함으로써, 그리고 제1 및 제2 X-튜브를 함께 압착하면서 래치 부재를 래치 보스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잠금 해제 구성으로 변경된다. 또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 쌍은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통해서만 함께 결합되고,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는 동일하고,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는 동일하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논의하는 상기한 개념 및 추가 개념의 모든 조합은 (이러한 개념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개시의 말미에 나타나는 청구된 주제의 모든 조합은 본원에 개시된 독창적인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참조로 통합한 임의의 개시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된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특정 개념과 가장 일치하는 의미가 부여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도면이 주로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에 설명한 발명의 주제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이 반드시 축척에 맞춰진 것은 아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개시된 독창적인 주제의 다양한 양태는 상이한 특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과장되거나 확대되어 도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문자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특징부(예를 들어, 기능적으로 유사한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피벗 전용 X-프레임 어셈블리와 캐노피 커버가 구비된 종래의 실외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1b는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를 갖는 또 다른 종래의 실외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1c는 종래의 실내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1d는 도 1c의 실내 놀이장이 보관 또는 운송을 위해 접혀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e는 도 1c의 실내 놀이장을 위한 배시넷 액세서리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1f는 캐노피 커버가 놀이장 내에 위치한 어린이에 의해 X-프레임 어셈블리의 코너에서 당겨져 떨어진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갖는 종래의 실외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1g는 캐노피 커버가 놀이장 내에 위치한 어린이에 의해 놀이장의 내부 공간 내부로 당겨지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또 다른 종래의 실외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2a는 육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2b는 도 2a의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도 2a의 놀이장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d는 접혀진 구성의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e는 도 2d의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f는 도 2d의 놀이장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2a의 놀이장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X- 프레임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2a의 놀이장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 및 코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d는 도 3c의 코너와 슬라이더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e는 도 3c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 및 풋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a의 X-프레임 어셈블리 및 도 3c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상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및 슬라이더 및 도 4a의 X-프레임 어셈블리의 X-튜브의 상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 및 풋의 상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직물류가 구비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2a의 놀이장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위에 배치된 도 5a의 직물류의 상단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탭 및 스냅-핏 커넥터를 나타내기 위해 위쪽으로 뒤집힌 도 5b의 상단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도 2a의 놀이장의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래치 부재가 제거된 도 6a의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6a의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의 래치 부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도 6a의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의 래치 보스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e는 도 6a의 이중 작용 래치 기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6a의 래치 기구의 구속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 2a의 놀이장에 대해 수행되는 테스트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2a의 놀이장에서 수행되는 안정성 테스트를 도시한다.
도 8a는 직물류와, 래치 개구를 갖는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flex lock latch mechanism)가 마련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8b는 도 8a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c는 직물류가 제거되고,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가 잠긴 구성에 있는 도 8a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d는 잠금 해제된 구성의 도 8c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스냅-핏 커넥터를 갖는 래치 부재가 구비된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 및 직물류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9b는 도 9a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9c는 직물류가 제거된 도 9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d는 잠긴 구성에 있는 도 9c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e는 잠금 해제된 구성에 있는 도 9d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f는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잠금을 해제한 후 놀이장이 부분적으로 접혀 있는 도 9e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스냅-핏 커넥터를 갖는 래치 부재를 구비한 다른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를 도시하며, 여기서 래치 기구의 래치 부재는 X-프레임 어셈블리의 X-튜브에 결합되어 있다.
도 11a는 직물류와, 후크 구조체가 구비된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가 있는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1c는 직물류가 제거되고,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가 잠긴 구성에 있는 도 11a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d는 잠금 해제된 구성의 도 11c의 플렉스 잠금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및 슬라이더에 장착된 래치 기구를 갖는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2b는 도 12a의 래치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13a는 X-프레임 어셈블리의 한 쌍의 X-튜브에 장착된 래치 기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3b는 접힌 구성에 있는 도 13a의 놀이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c는 도 13a의 래치 기구를 구비한 X-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d는 도 13c의 래치 기구를 구비한 X-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3e는 잠긴 구성에 있는 도 13a의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f는 잠금 해제된 구성에 있는 도 13e의 래치 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g는 도 13e의 래치 기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h는 도 13f의 래치 기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레그 튜브와 맞물리도록 X-튜브의 일단부에 배치된 스프링 장착 핀을 포함하는 래치 기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4b는 잠긴 구성에 있는 도 14a의 래치 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c는 잠금 해제된 구성에 있는 도 14b의 래치 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d는 놀이장이 접힌 후의 도 14c의 래치 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X-튜브의 한 단부에 배치된 스냅-핏 커넥터를 포함하는 래치 기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5b는 접힌 구성에 있는 도 15a의 놀이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c는 잠긴 구성에 있는 도 15a의 래치 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d는 잠금 해제된 구성에 있는 도 15a의 래치 기구 및 접힌 구성에 있는 놀이장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a는 도 13a 및 도 14a의 래치 기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6b는 접힌 구성에 있는 도 16a의 놀이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a는 직물류로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17b는 도 17a의 놀이장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c는 접힌 구성에 있는 도 17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d는 부분적으로 펼쳐진 구성에 있는 도 17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a는 직물류가 제거된 도 17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b는 도 18a의 놀이장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 및 슬라이더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9a는 직물류가 제거된 도 17c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b는 도 19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와 풋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0a는 직물류가 제거된 도 17d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b는 도 20a의 놀이장의 상부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c는 도 20a의 놀이장의 상부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d는 도 2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0e는 도 2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1a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로부터 직물류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도 17d의 놀이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b는 도 21a의 직물류에 부착된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풋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17a의 놀이장에 대해 수행되는 안정성 테스트를 도시한다.
도 23a는 직물류로 직사각형의 볼록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예시적인 놀이장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직사각형 놀이장은 또한 도 41a의 배시넷 액세서리와 함께 도시된다. 놀이장은 펼쳐진 구성에 있다.
도 23b는 도 23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c는 도 23b의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3d는 직물류가 투명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23b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e는 도 23d의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직물류가 제거된 도 23b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a는 도 23a의 놀이장에 바퀴를 갖는 레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b는 도 23a의 놀이장에 풋을 갖는 레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a는 부분적으로 펼쳐진 구성에 있는 도 17a의 놀이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b는 도 26a의 평면 A-A에 대응하는 놀이장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a는 도 23a의 놀이장에 있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와 슬라이더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7b는 도 27a의 코너에 부착된 직물류를 도시한다.
도 27c는 도 27a의 코너로부터 직물류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8a는 직물류 위에 배치된 스냅-핏 래치 기구를 갖는 도 23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b는 도 28a의 래치 기구의 래치 부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8c는 도 28a의 래치 기구에 있는 래치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도 23a의 놀이장에 대해 수행되는 코너 포스트 부착 테스트에 대한 상단 레일을 도시한다.
도 29b는 도 23a의 놀이장에서 이중 X-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된 시험 장치를 도시한다.
도 29c는 도 29a의 테스트를 수행한 후의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29d는 도 23a의 놀이장에서 이중 X-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된 시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0a는 도 23a의 놀이장에서 이중 X-프레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강도 시험을 도시한다.
도 30b는 강도 시험 후의 도 30a의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30c는 X-프레임 어셈블리로부터 직물류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도 30b의 놀이장을 도시한다.
도 31은 도 23a의 놀이장에 대해 수행되는 안정성 테스트를 도시한다.
도 32a는 놀이장의 전체 내부 공간을 덮는 예시적인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캐노피 커버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2b는 도 32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2c는 도 32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2d는 놀이장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도 32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의 캐노피 클립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2e는 도 32d의 캐노피 클립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2f는 도 32d의 캐노피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a는 도 32d의 캐노피 클립이 레그 튜브에 눌러져 있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b는 도 32d의 캐노피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하나의 인입 특징부(lead-in feature)가 먼저 레그 튜브에 후크되고 캐노피 클립은 다른 인입 특징부가 레그 튜브와 접촉하도록 회전된다.
도 34a는 도 32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의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b는 도 34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a는 놀이장의 내부 공간의 절반을 덮고 허브를 포함하지 않는 예시적인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b는 도 35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상부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6a는 캐노피 커버가 제거된 도 35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6b는 도 36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6c는 도 36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6d는 도 36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의 캐노피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6e는 도 36d의 캐노피 클립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7a는 놀이장의 내부 공간의 절반을 덮고 허브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 2a의 놀이장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7b는 도 37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7c는 도 37a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놀이장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8a는 도 37a의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8b는 도 38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9a는 각 캐노피 활형부가 허브에 대해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다른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9b는 도 39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0a는 각 캐노피 활형부가 허브에 대해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다른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0b는 도 40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a는 도 17a의 놀이장 및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을 때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허브를 갖는 놀이장에 설치된 예시적인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는 펼쳐진 구성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1b는 펼쳐진 구성에 있는 도 41a의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의 다른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c는 도 41a의 배시넷 액세서리를 구비한 도 23a의 놀이장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2a는 부분적으로 접혀서 배시넷 액세서리의 부분 폐쇄 공간에 배치된, 도 41a의 배시넷 액세서리 내의 매트리스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2b는 배시넷 액세서리가 제거되고 도 42a의 매트리스가 부분적으로 접혀서 놀이장의 직물류에 의해 형성된 부분 폐쇄 공간에 배치된 도 41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매트리스가 배시넷 액세서리의 허브 및 복수의 지지 튜브를 드러내지 않는, 도 41a의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는 펼쳐진 구성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4a는 배시넷 직물류가 지퍼 기구를 통해 놀이장의 직물류에 결합되는 도 41b의 삽입도 A에 대응하는 배시넷 액세서리의 배시넷 직물류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4b는 도 41a의 놀이장으로부터 제거된 도 41a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5a는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가 접힌 구성에 있는 도 43의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5b는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가 부분적으로 펼쳐져 접힌 구성으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천이하기 시작하는, 도 43의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는 또한 부분적으로 접혀 있고 접힌 구성에 접근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도 45c는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가 부분적으로 펼쳐지고 펼쳐진 구성에 접근하는, 도 43의 배시넷 액세서리 및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는 부분적으로 접혀 있고 접힌 구성으로 천이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46a는 도 43의 허브 래치 및 지지 튜브를 구비한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허브 래치는 허브 래치에 대한 지지 튜브의 회전 운동이 구속되는 잠금 상태로 도시된다.
도 46b는 도 46a의 허브, 허브 래치 및 지지 튜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7a는 도 43의 허브 래치 및 지지 튜브를 구비한 허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허브 래치는 허브 래치에 대한 지지 튜브의 회전 운동이 허용되는 잠금 해제 상태로 도시된다.
도 47b는 도 47a의 허브, 허브 래치 및 지지 튜브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러 개의 지지 튜브가 접힌 구성으로 회전된다.
도 48은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을 때 위쪽으로 이동하는 허브와 함께 놀이장에 설치된 다른 예시적인 배시넷 액세서리 및 도 17a의 놀이장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는 펼쳐진 구성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9a는 배시넷 액세서리 아래에 배치된 놀이장의 바닥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 도 48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허브 및 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도달하는 사용자의 손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9b는 배시넷 액세서리 및 놀이장의 접기를 시작하는, 도 48의 놀이장의 직물류의 바닥 부분에 배치된 스트랩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9c는 사용자가 도 49b의 스트랩을 허브와 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잡아당겨 놀이장과 배시넷 액세서리를 접는 것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9d는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가 접힌 구성에 있는 도 49c의 놀이장 및 배시넷 액세서리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0a는 펼쳐진 구성에 있는 도 48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0b는 펼쳐진 구성에 있는 도 50a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0c는 접힌 구성에 있는 도 50a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1a는 허브와 직물류에 결합된 도 48의 배시넷 액세서리의 신축식 지지 튜브의 평면도로서, 지지 튜브는 펼쳐진 구성에서 연장된 상태에 있다.
도 51b는 배시넷 직물류에 부착된 지지 튜브를 구비한 도 51a의 배시넷 직물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도 23a의 놀이장에 설치된 도 48의 지지 튜브와 허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놀이장은 접힌 구성에서 도시되어 있고 지지 튜브는 수축된 상태에 있다.
다음은 접이식 놀이장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 및 그 구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으로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1)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작동이 더 쉬운 보다 단순한 구조의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단단한 프레임; 2) 어린이를 위한 부분 폐쇄 공간을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부착된 직물류; 선택적으로 3) 어린이에게 그늘을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장착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선택적으로 4) 어린이를 지지하는 상승된 표면을 제공하도록 프레임 및/또는 직물류에 결합되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포함한다. 위에서 소개되고 이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는 다양한 개념이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구현 및 응용의 예는 주로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어 당업자가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현 및 대안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및 이하에 설명하는 예시적인 구현은 본 구현의 범위를 단일 실시예로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설명되거나 예시된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교환을 통해 다른 구현이 가능하다. 더욱이, 개시된 예시적인 구현의 특정 요소가 알려진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는 경우, 일부 경우에는 본 구현의 이해에 필요한 이러한 알려진 구성 요소의 부분만이 설명되고, 이러한 알려진 구성요소 중 다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구현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이하의 논의에서, 독창적인 접이식 놀이장의 여러 예가 제공되며, 이러한 예에서, 주어진 예 또는 예의 세트는 프레임, X-프레임 어셈블리, 레그 지지 어셈블리, 래치 기구, 직물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 및 배시넷 액세서리 중 하나 이상의 특정 특징을 소개한다. 접이식 놀이장의 주어진 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 개시에 따른 접이식 놀이장의 다른 예에 채용될 수 있어,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은 본 개시에 따른 주어진 접이식 형태로 쉽게 조합될 수 있음(각 기능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 한)을 이해해야 한다.
접이식 놀이장의 특정 치수 및 특징은 본원에서 "대략", "약", "실질적으로" 및/또는 "유사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략", "약", "실질적으로" 및/또는 "유사한"은 각각의 설명된 치수 또는 특징이 엄격한 경계 또는 파라미터가 아니며 그로부터 기능적으로 유사한 변형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문맥이나 설명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수치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대략", "약", "실질적으로" 및/또는 "유사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수치 파라미터가 기술 분야에서 받아들여지는 수학적 및 산업적 원칙(예를 들어, 반올림, 측정 또는 기타 시스템적 오차, 제조 공차 등)을 사용하여 최하위 자릿수를 변경하지 않는 변형을 포함한다.
X-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한 예시적인 접이식 놀이장
도 2a 내지 도 2c는 펼쳐진 구성에 있는 접이식 놀이장용 예시적인 프레임(100a)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은 내부 공간(102)의 윤곽을 이루고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및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통해 다른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되어 폐쇄된 프레임 구조체(예를 들어, 내부 공간(102)를 둘러싸고 이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는 프레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a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접이식 놀이장(1000a)은 또한, 내부 공간(10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어린이(50)를 수용하는 패딩처리된 부분 폐쇄 공간(301)을 제공하는 직물류(300)를 포함한다. 직물류(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프레임(10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펼쳐진 구성에서 내부 공간(102)의 공간적 범위를 형성하는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의 지지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내부 공간(102)의 측면 가장자리(104)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원하는 대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위치시키고 배향하는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100a)의 접힘 및/또는 펼침을 용이하게 하는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인접한 측면 가장자리(104) 사이의 내부 공간(102)의 측면(106)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프레임(100a)의 경우, 내부 공간(102)은 정육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즉, 프레임(100a)을 지지하는 지면(90)에 평행한 평면의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되고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다른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및/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수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정다각형 및 불규칙 다각형(즉, 변의 치수가 다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이한 수평 단면 형태의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내부 공간(102)은 직각 프리즘으로서 형성된 3차원 체적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내부 공간(102)의 수평 단면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길이를 따른 임의의 수직 위치에서 형상 및 치수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내부 공간(102)은 지면(90) 근처의 내부 공간(102)의 바닥 부분이 내부 공간(102)의 상단 부분보다 더 큰 절두 피라미드 형태로서 형성된 3차원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선이라면 내부 공간(102)의 수평 단면의 면적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단 부분으로 감소하게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상단 부분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바닥 부분보다 서로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프레임(100a)이 전개될 때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절두 피라미드형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a)은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 형태가 달성되는 방식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논의한다.
도 2a에 도시된 프레임(100a)에서,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상단 단부(113a) 및 바닥 단부(113b)(예를 들어, 도 4a 참조)를 갖는 레그 튜브(112), 프레임(100a)을 지면(90)에 지지하도록 바닥 단부(113b)에 결합된 풋(114),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에 결합된 코너(130), 레그 튜브(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풋(114)과 코너(130)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120)를 포함한다.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 및/또는 코너(130)는 내부 공간(102)의 상단 정점(105)과 일치할 수 있고, 레그 튜브(112)의 바닥 단부(113b) 및/또는 풋(114)은 내부 공간(102)의 바닥 정점(107)과 일치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단일 X-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X-튜브(142a, 142b)를 포함할 수 있다. X-튜브(142a, 142b)는 서로, 그리고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각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X-튜브(142a, 142b)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대해 회전하고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통해 레그 튜브(112)에 대해 병진하는 피벗 및 슬라이딩 가능한 X-프레임 어셈블리이다. 이것은 프레임(100a)이 예를 들어 피벗 전용 X-프레임 어셈블리를 갖는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더 적은 부피를 차지하고 및/또는 더 큰 내부 공간(102)을 허용하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체로 접힐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에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은 돌보미가 단일 단계로 프레임(100a)을 접고 및/또는 펼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보미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100a)을 펼칠 수 있다. 슬라이더(120)의 움직임은 차례로 인접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회전시키고 병진 이동시킨다. 인접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움직임은 차례로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모든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모든 슬라이더(120)에 대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돌보미가 상기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용 슬라이더(120)를 이동시킴에 따라 프레임(100a)이 펼쳐지게 된다. 프레임(100a)이 펼쳐지면,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래치 기구(200a)가 작동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잠글 수 있다(예를 들어, 래치 기구(200a)는 슬라이더(120)가 풋(114)을 향해 각각의 레그 튜브(112) 아래로 다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은 지면(90)과 접촉한 채 남아 있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과 함께 접히고 및/또는 펼쳐질 수 있다. 레그 튜브(112)는 또한 프레임(100a)이 접히고 및/또는 펼쳐질 때 수직으로 직립한 채 또는 거의 수직으로 직립한 채 남아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레그 튜브(112)는 프레임(100a)이 펴져 안정성을 개선할 때 의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100a)을 접거나 및/또는 펼치는 과정은 돌보미에게 더 쉬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보미는 놀이장(1000a)을 설치 및/또는 분해하는 동안 프레임(100a)이 넘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맞출 필요가 없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각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142b)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프레임(100a) 및/또는 내부 공간(102)의 상단 부분(10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내부 공간(102)의 상단 개구의 수평 단면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 둘레에 주변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는 내부 공간(102)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육각형의 윤곽을 이루는 상단 주변 구조체(109)를 형성하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도시한다.
프레임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프레임의 상단 부분(108)에 X-튜브(142a, 142b)를 위치시키는 것은 프레임(100a)에 여러 이점을 제공하고, 이는 차례로, 프레임(100a)을 포함하는 접이식 놀이장에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프레임(100a)의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2개의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함께 결합하고 프레임(100a)에 기계적 강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는 상단 레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X-튜브(142a, 142b)가 강성 상단 레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프레임의 상단 부분(108)에서 얕은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정도로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슬라이더(120)가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각 코너(130)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한도에서, X-튜브(142a 및 142b)는 측면 또는 정면으로부터 프레임(100a)을 볼 때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X-튜브(142a, 142b)는 개별적으로 상단 레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통해서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100a)은 별도의 유연한 및/또는 강성의 상단 레일(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놀이장(10a 및 10b)의 웨빙(14), 도 1c에 도시된 놀이장(10c)의 강성의 상단 레일(32)) 또는 바닥 지지 구조체(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놀이장(10c)의 바닥 지지 구조체(34))와 같은 다른 지지 구조체를 배제할 수 있고, 이는 제조 및 조립을 위한 부품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 단부(113b)와 슬라이더(120) 사이에 위치하는 레그 튜브(112)의 부분은 프레임(100a)의 다른 부분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레그 튜브(112)의 바닥 부분은 기계적으로 구속되지 않음).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만을 포함하는 프레임(100a)은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406-19, 7.3.3, 7.11)에 규정된 요구 조건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 안정성 및/또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는 프레임(100a)이 펼쳐져 있고 설치된 직물류(300)가 안정성 테스트(예를 들어, ASTM F406-19, 5.12, 8.17)를 겪고 있는 놀이장(1000a)을 도시한다. 이 테스트를 위해, 놀이장(1000a)은 평평한 합판 조각 위에 놓고 프레임(100a)의 한쪽에 기대어 놀이장(1000a) 내에 배치된 테스트 추를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기울였다. 이 테스트에 기초하여, 놀이장(1000a)은 적어도 3개의 풋(114)이 합판 베이스에 접촉된 채로 20도 각도로 기울어져도 기울어지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놀이장이 10도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 합판 베이스와 3개의 접점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 ASTM F406-19, 8.17에 명시된 요구 사항을 초과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전개될 때 프레임(100a)이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것을 보장하는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도록 X-튜브(142a, 142b)의 재료 및/또는 치수를 조정(tailor)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튜브(142a, 142b)는 약 0.625인치(5/8인치)의 외경 및 약 24.5인치의 총 길이를 갖는 스틸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X-튜브(142a, 142b)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이라는 용어는 제조 공차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약 0.625인치"는 다음 치수 범위, 즉 0.61875 내지 0.63125 인치(+/- 1% 공차), 0.62 내지 0.63 인치(+/- 0.8% 공차), 0.62125 내지 0.62875 인치(+/- 0.6% 공차), 0.6225 내지 0.6275 인치(+/- 0.4% 공차), 0.62375 내지 0.62625인치(+/- 0.2% 공차)에 대응할 수 있다. X-튜브(142a, 142b)의 전체 길이를 기술하기 위해 유사한 공차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X-튜브(142a, 142b)는 알루미늄 및 탄소 섬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X-튜브(142 및 142b)는 또한 부분적으로, 프레임(100a) 및/또는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치수 및 X-튜브(142a 및 142b)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정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102)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은 형상이 비스듬한 내부 공간(102)을 초래하는 상이한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갖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상단 단부(113a)와 바닥 단부(113b)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레그 튜브(112)의 길이(L)는 일반적으로, 특히 힘이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을 따라 가해질 때 프레임(100a)이 기울어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비교적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L)는 프레임(100a)에 대한 특정 제약 조건이 충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은, (1) 내부 공간(102)에 대해 원하는 높이를 제공하는 것; (2) 풋(114) 및 코너(130)를 레그 튜브(112)에 결합하기 위해 풋(114) 및 코너(130)와의 충분한 중첩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3) 프레임(100a)을 접거나 및/또는 펼치기 위해 슬라이더(120)가 풋(114)과 코너(130) 사이에서 이동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102)의 측면 및 수직 치수는 부분적으로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회전 및 병진 운동으로 인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예를 들어, 내부 공간(102)의 측면 치수의 증가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가 레그 튜브를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하여 접힐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수직 치수의 대응 증가를 초래한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의 길이(L)는 약 26인치일 수 있다. X-튜브(142a 및 142b)의 치수와 유사하게, 레그 튜브(112)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약"은 제조 공차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공차 값은 X-튜브(142a, 142b)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레그 튜브(1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일부 레그 튜브(112)는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레그 튜브(112)는 기울어질 수 있음).
둘째, 프레임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프레임의 상단 부분(108)에 X-튜브(142a, 142b)를 위치시킴으로써 제공되는 또 다른 이점은, X-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한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X-프레임 어셈블리(140a)가 내부 공간(102)의 측면(106)의 더 작은 부분을 점유한다는 것이다. 직물류(300)가 투명 및/또는 투시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의 상단 부분(108)에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배치하면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에 결합될 때 부분 폐쇄 공간(301)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어린이(50)가 놀이장(1000a)에 있을 때 돌보미가 어린이를 보는 것을 시각적으로 눈에 띄게 방해 및/또는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직물류(300)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덮기 위해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는,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배치될 때 래치 기구(200a)가 돌보미가 접근가능하게 남아 있도록,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를 덮고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는 관찰자가 레그 튜브(112) 및/또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만 볼 수 있도록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뿐만 아니라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이식 놀이장(1000a)에는 실내 및 실외 설정 모두에서 소비자에게 보다 깨끗하고 보다 미적으로 바람직한 외관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b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단 부분(108)은 일반적으로,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 및/또는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근접한 프레임(100a)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 부분(108)은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 및/또는 코너(130)와 교차하는 상단 수평면(92)과, 각 레그 튜브(112)의 길이를 따라 오프셋 거리(x 1 )만큼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된 바닥 수평면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100a)의 부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100a)을 펼치면 X-튜브(142a, 142b),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는 상단 부분(108) 내에 배치된다. 오프셋 거리(x 1 )는, 프레임(100a)의 레그 튜브(112)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레그 튜브(112)의 총 길이(L)의 일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오프셋 거리(x 1 )는,레그 튜브(112)의 총 길이(L)의 30%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그 튜브(112)의 총 길이의 20% 이하일 수 있다.
도 2b는 또한 프레임(100a)이 전체 수직 높이(H1)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하는데, 전체 수직 높이는 펼쳐진 구성에서 수직 축(즉, 지면에 수직)을 따라 지면(90)으로부터 상단 수평면(92)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도 2e는 유사하게 프레임(100a)이 전체 수직 높이(H2)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하는데, 전체 수직 높이는 접힌 구성에서 지면(90)으로부터 상단 수평면(92A)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의 높이는 프레임의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높이(H1, H2)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평면(92, 92A)은 동일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다. 그러나,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의 높이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로 인해 변할 수 있다.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 높이(H2)는 높이(H1)보다 다소 클 수 있다(즉, 접힌 구성의 평면(92A)은 펼쳐진 구성의 평면(92)보다 약간 위에 배치될 수 있음).
도 3a 및 3b는 프레임(100a)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추가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a, 142b)는 핀 조인트(145)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X-튜브(142a)는 핀 조인트(146a)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143a) 및 핀 조인트(146b)를 통해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단부(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유사하게, X-튜브(142b)는 핀 조인트(146d)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핀 조인트(146c)를 통해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핀 조인트(145 및 146a-146d)는 일반적으로, X-튜브(142a 및 142b),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X-튜브(142a 및 142b) 상의 개구(147)(도 4b 참조)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를 갖는 파스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는 캡이 있는 리벳(예를 들어, 롤형 리벳(rolled rivet)) 및 너트가 있는 볼트 파스너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전속 파스너(captive fastener)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구(147) 및 파스너의 샤프트의 공칭 치수 및 공차는 핀 조인트(145 및 146a-146d)의 조임 또는 느슨함에 영향을 미친다. 개구(147)가 파스너와 간섭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경우(예를 들어, 개구(147)의 크기가 파스너의 샤프트 크기보다 작음), 돌보미는 X-튜브(142a, 142b)를 회전시키기 위해 더 큰 힘을 인가해야만 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핀 조인트(145, 146a-146d)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각각의 풋(114)이 지면(90)에 접촉하지 않도록 너무 타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보미는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대응하는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지만, 프레임(100a)의 양측은 부분적으로만 펼쳐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개구(147)의 크기가 파스너 샤프트보다 상당히 큰 경우, 핀 조인트(145 및 146a-146d)는 X-튜브(142a 및 142b)가 다른 원치 않는 운동 축을 따라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예를 들어, 프레임(100a)이 흔들릴 수 있음), 이는 프레임(100a)의 기계적 안정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에서, 개구(147) 및 파스너의 샤프트의 공칭 치수 및 공차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이 지면(90)에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히 느슨하지만 X-튜브(142a, 142b) 및/또는 슬라이더(120) 또는 코너(130) 사이의 원치 않는 회전 및/또는 병진 운동을 제한하기에 충분히 타이트하도록 특별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파스너의 샤프트와 개구(147)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차(또는 간극)는 약 0.010인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5인치 이상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조인트(145)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X-튜브(142a, 142b)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조인트(145)는 제1 단부(143a)로부터 오프셋 거리(z1)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단부(143b)로부터 오프셋 거리(z2)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오프셋 거리(z1, z2)는 같을 수 있고, 이는 X-튜브(142a, 142b)가 회전할 때 X-튜브(142a, 142b)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143a, 143b)가 동일한 원형 경로를 따르도록 한다. 이것은 다시, 프레임(100a)이 접히고 및/또는 펼쳐지고 있을 때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배향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게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레그 튜브(112)는 접힌 구성 및 펼쳐진 구성 모두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오프셋 거리(z1, z2)는 같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 거리(z2)가 오프셋 거리(z1)보다 크면, X-튜브(142a)가 회전할 때 X-튜브(142a)의 제1 단부(143a)가 더 작은 원형 경로를 따르도록 하고 제2 단부(143b)가 더 큰 원형 경로를 따르도록 한다. X-튜브(142b)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143a, 143b)는 유사하게 각각 더 작은 원형 경로 및 더 큰 원형 경로를 따를 수 있다. 이는 차례로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특히 레그 튜브(112)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즉, X-프레임 어셈블리(140a)에서 X-튜브(142a, 142b)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레그 튜브(112)가 기울어져 상단 단부(113a)는 바닥 단부(113b)보다 더 작은 수평 단면(지면에 평행)의 정점을 구성할 수 있다(즉, 상단 단부(113a)가 바닥 단부(113b)보다 서로 더 가깝게 위치됨).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100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절두 피라미드형 내부 형상을 갖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프레임(100a)의 기계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레임(100a)이 위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적다) .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레그 튜브(110a)와 관련된 각각의 길이방향 축(111a)이 지면(90)에 대해 80도 내지 88도, 더 바람직하게는 83도 내지 85도의 범위의 각도(Θ)를 두고 기울어지도록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X-튜브(142a, 142b)는 또한 형상이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X-튜브(142a)의 제1 및 제2 단부(143a, 143b)는 제1 축(141a)을 따라 정렬될 수 있는 반면, X-튜브(142a)의 중앙 부분(144)은, 축(141a)과 평행하고 그로부터 오프셋된 제2 축(141b)을 따라 정렬된다. X-튜브(142b)는 X-튜브(142a)와 유사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1 및 제2 축(141a 및 141b) 사이의 오프셋은, X-튜브(142a 및 142b)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143a 및 143b)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평면(예를 들어, 내부 공간(102)의 측면(106)) 상에 놓이도록 X-튜브(142a 및 142b)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의 부분이 X-튜브(142a 및 142b)의 제1 및 제2 단부(143a 및 143b)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구현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를 정렬하는 것은 프레임(100a)이 더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e는 프레임(10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추가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튜브(112)는 프레임(100a)이 접히고 및/또는 펼쳐질 때 슬라이더(12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의 중공 튜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는 슬라이더(120)가 길이방향 축(111a)을 따른 직선 경로를 따르도록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도 2a 내지 도 2c 참조).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는 또한 슬라이더(120)가 따르는 대응하는 만곡된 경로를 형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만곡된 레그 튜브(112)의 예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한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는 레그 튜브(112)의 길이(L)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는 원형, 타원형 및 장방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 튜브(112)는 또한 스틸, 알루미늄 및 탄소 섬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레그 튜브(112)를 둘러싸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관통 구멍 개구(122)를 형성하여 슬라이더(120)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개구(122)의 형상은 레그 튜브(11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연장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연장부는 베이스(121)의 일측에 결합되어, X-튜브(142a)의 개구(147)에 정렬된 연장부(124)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매개로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를 슬라이더(120)에 결합한다(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분해도 참조). 연장부(124)는 또한 슬라이더(120)에 결합되는 X-튜브(142a)의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또한 연장부(124)와 유사한 연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연장부는 연장부(124)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X-튜브(142b)의 개구(147)에 정렬된 연장부(126)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다른 파스너를 매개로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X-튜브(142a)를 슬라이더(120)에 결합한다.
연장부(124, 126)는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기하 형태를 따라 인접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로부터 각각의 X-튜브(142a, 142b)를 정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24, 126)는 육각형의 인접한 변 사이의 각도에 대응하는 대략 120도의 둔각만큼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연장부(124, 126)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연장부(124, 126)는, 슬라이더(120)에 결합된 각각의 X-튜브(142a, 142b)가 동일하지 않다면,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를 위한 고유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코너(130)는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32)를 형성하는 베이스(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개구(132)의 형상은 레그 튜브(11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와 유사하게, 코너(130)는, 베이스(131)의 양측에 배치되어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b)와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를 슬라이더(120)와 유사한 부착 기구, 예를 들어 X-튜브(142a 및 142b)의 개구(147)에 정렬된 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사용하여 코너(130)에 결합하는 연장부(134, 136)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분해도 참조). 연장부(134, 136)는 X-튜브(142a, 142b)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개구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연장부(134, 136)는 또한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기하 형태를 따라 인접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로부터 각각의 X-튜브(142a, 142b)를 정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연장부(134, 136)는, 코너(130)에 결합된 각각의 X-튜브(142a, 142b)가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한 수평면에 놓이거나 및/또는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를 위한 고유 부품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c는 프레임(100a)에 직물류(300)를 부착하는 스냅-핏 커넥터(139)를 지지하도록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탭 부분(138)을 코너(130)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탭 부분(138)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원하는 위치에 스냅-핏 커넥터(139)를 위치시키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핏 커넥터(139)는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중첩하고 그 주위를 감싸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단 단부(113a)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스냅-핏 커넥터(139)를 코너(130)에 부착하기 위해 탭 부분(138)에 형성된 개구 또한 동일한 파스너를 사용하여 코너(130)를 레그 튜브(112)에 확실히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e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풋(114)은 프레임(100a)과 접이식 놀이장(1000a)을 지면(90)에서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풋(114)은 레그 튜브(112)의 바닥 단부(113b)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15)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개구(115)의 형상은 레그 튜브(11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풋(114)은 예를 들어 파스너를 사용하여 풋(114)을 레그 튜브(112)에 확실히 결합하기 위한 개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c 참조).
일부 구현에서, 풋(114)은 또한 직물류(300)를 프레임(100a)에 결합하는 다른 부착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풋(114)의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루프형 또는 고리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는 풋(114)이 D-형 개구(117)를 형성하는 D-링(116)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직물류(300)는 D-형 개구(117)를 통해 삽입되고 풋(114)에 묶여 직물류(300)의 바닥 부분을 프레임(100a)에 기계적으로 부착하는 스트랩 또는 테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D-형 개구(117)는 개구(117)의 중심선 축(118)이 레그 튜브(112)의 길이방향 축(111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배향은 또한 D-링(116)이 풋(114)이 지면(90)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100a)의 기계적 안정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D-링(116)의 배향 및 배치는 다른 구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D-링(116)은 개구(117)의 축(118)이 길이방향 축(111a)에 수직이도록 지면에 대해 90도 회전될 수 있다.
도 5a는 프레임(100a)에 결합된 직물류(300)를 구비한 접이식 놀이장(1000a)을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물류(300)는 프레임(100a)의 내부 공간(102) 내에 위치하여 어린이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 폐쇄 공간(301)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는 프레임(100a)이 접히거나 및/또는 펴질 때 프레임(100a)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류(300)는 놀이장(1000a)이 펼쳐질 때 지면(90)에 안착하는 바닥 부분(304)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류(300)는 또한 부분 폐쇄 공간(301)을 형성하고 둘러싸는 측면 부분(3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측면 부분(306)은 부분 폐쇄 공간(301) 외부에서 놀이장의 어린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 투시성(예를 들어, 메쉬)일 수 있다. 직물류(300)는 또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내의 각 풋(114)의 각 D-링(116)에 직물류(300)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트랩(예를 들어, 벨크로 스트랩) 및/또는 테더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류(300)는 또한 직물류(300)를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 주위로 감싸기 위해 직물류 상단 부분(3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류 상단 부분(302)은 덮인 프레임(100a) 부분에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패브릭 층을 갖는 불투명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물류(300)는 또한 코너(130)의 스냅-핏 수용부(139)에 결합되는 일체형 스냅-핏 커넥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는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의 각 코너(130)에 부착되도록 동일한 수의 스냅-핏 커넥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스냅-핏 커넥터(312)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류 상단 부분(302)을 따라 직물류(300)의 내부 피스에 부착되는 탭(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탭(3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130) 상의 스냅-핏 커넥터(139)에 스냅-핏 커넥터(312)가 결합될 때 직물류 상단 부분(302)이 프레임(100a)에 대해 같은 높이로 유지되는(예를 들어, 직물류 상단 부분(302)이 위쪽으로 말리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직물류 상단 부분(302)의 내부 피스를 경직시킬 수 있다. 탭(310)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순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류(300)의 주변 텍스타일 재료보다 더 경직되게 성형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프레임(100a) 상에 배치된 래치 기구(200a)의 복수의 도면을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 기구(200a)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잠글 수 있다. 특히, 래치 기구(200a)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가 펼쳐진 재 남아 프레임의 상단 부분(108)에 얕은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대응 코너(130)에 근접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기구(200a)는, 슬라이더(120)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다양한 힘 및/또는 토크(예를 들어, 슬라이더(120)에 작용하는 X-튜브(142a, 142b)의 중량)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구속을 제공할 수 있다.
래치 기구(200a)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더(120), 코너(130), 및 X-튜브(142a 또는 142b)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레임(100a)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고 및/또는 그 구성요소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래치 기구(200a)는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래치 기구(200a)가 직물류(3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기구(200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를 인접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또는 142b)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00a)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및/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래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a)은, 펼쳤을 때 프레임(100a)이 균일하고 펼쳐진 형상을 유지하도록(예를 들어, 프레임(100a)의 한 측면이 다른 측면에 비해 아래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프레임(100a)의 양측에 배치된 래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단일 래치 기구는 다양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및 X-프레임 어셈블리(140a)가 고르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잠그기에 충분하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프레임(100a)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및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단일 래치 기구(200a)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200a)는 맞물림 해제되거나 잠금 해제되기 전에 10lbs 이상의 부하를 견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결합된 상단 단부(211a) 및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에 결합된 래치 보스(230)를 갖는 래치 부재(210)(본원에서 "플렉스 잠금"이라고도 한다)를 래치 기구(200a)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래치 부재(210)는 X-튜브(142b)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너(130) 상의 개구와 정렬되는, 제1 단부(211a)에 배치된 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파스너는 래치 부재(210), 코너(130) 및 X-튜브(142b)를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코너(130)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래치 보스(230)가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인접한 X-튜브(142a, 142b) 중 하나에 결합된다면, 래치 부재(210)는 프레임(10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부재(210)는 (예를 들어, 래치 부재(210)가 코너(130)에 대해 회전될 수 없는) 핀 조인트 연결 또는 강성 연결을 통해 코너(130)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보스(230)는 X-튜브(142a)와 일치하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래치 보스(230)가 조립을 위해 X-튜브(142a) 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b는 래치 보스(230)가 예를 들어 래치 보스(230) 및 X-튜브(142a) 상의 각각의 개구(미도시)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사용하여 X-튜브(142a)에 결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래치 부재(210)는 제1 단부(211a)와 대향하여 위치된 래치 부재(210)의 제2 단부(211b)에 배치된 래치 개구(21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개구(214)는 래치 보스(230)를 수용하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래치 개구(214)는 래치 캐치(latch catch)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치 부재(210)는 래치 보스(230)와 맞물림으로써 코너(130)를 X-튜브(142b)에 직접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코너(130) 근처의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서 슬라이더(120)를 유지한다.
또한, 래치 부재(210)는 제2 단부(211b)에 배치되는 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래치 부재(210)는 돌보미가 래치 보스(230)로부터 래치 부재(210)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 탭(220)을 당길 때 구부러지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210)는 돌보미에 의해 구부려질 때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돌보미가 탭(220)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해 래치 부재(21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부재(210)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원하는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를 추가로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일체형 리브 구조체로 강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200a)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돌보미는 래치 기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c는 래치 부재(210)의 래치 개구(214)가 래치 개구(214) 내에 배치된 탭(216)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6d는 래치 보스(230)가 X-튜브(142a)와 단부 부분(236) 사이에 노치 또는 슬롯을 형성하는 언더컷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따라서, 래치 부재(210)가 래치 보스(230)에 결합될 때, 래치 부재(210)의 탭(216)은 언더컷 부분(232) 내에 배치되고 래치 보스(230)의 단부(236)에 의해 유지된다. 일부 구현에서, 탭(216)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18)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고, 래치 보스(23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부분(232)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리브(2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함께 언더컷 부분(232)에의 탭(216)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래치 부재(210)가 래치 보스(230)와 적절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프레임(100a) 및 더 나아가서는 놀이장(1000a)을 설치하기 위해, 돌보미는 초기에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대응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켜 프레임(100a)을 부분적으로 펼칠 수 있다. 프레임(100a)이 펼쳐짐에 따라, X-튜브(142a)에 배치된 래치 보스(230)는 코너(130)에 결합된 래치 부재(210)를 향해 변위된다. 래치 보스(230)가 래치 부재(210), 특히 탭(216)에 도달하면, 레그 튜브(112)를 따른 슬라이더(120)의 추가 이동은 래치 보스(230)와 탭(216) 사이의 접촉을 초래하여 래치 부재(210)를 바깥쪽으로 편향시킨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부재(210)는 경사벽(sloped wall) 또는 램프 벽(ramped wall)과 같이, 탭(216)상의 인입 특징부(lead-in feature)(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 특징부는, 래치 부재(210)와 래치 보스(230) 사이의 접촉력을 래치 부재(210)를 굴곡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토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향을 따라 배향함으로써, 래치 보스(230)가 래치 부재(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래치 부재(210)가 보다 효과적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한편, 래치 부재(210)의 피벗 지점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개구(212)에 위치된다).
레그 튜브(112)를 따른 슬라이더(120)의 추가 이동으로 래치 부재(210)가 편향됨에 따라, 래치 부재(210) 내부에 내부 복원력이 발생하여 래치 보스(230)에 인가된다. 돌보미가 슬라이더(120)를 코너(130)를 향해 계속 이동시킴에 따라, 래치 부재(210)는 더 바깥쪽으로 편향되어 더 큰 크기의 복원력이 래치 보스(230)에 인가된다. 슬라이더(120)가 코너(130)에 충분히 가깝게 이동되면, 래치 보스(230)는 래치 개구(214)를 통과하고 복원력은 래치 부재(210)를 원래 위치로 스냅 백시켜, 래치 보스(230)는 래치 개구(214)를 통해 돌출하게 된다. 돌보미가 슬라이더(120)를 해제하면, 슬라이더(120)는 중력으로 인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약간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 래치 보스(230)의 언더컷 부분(232)을 래치 부재(210)의 탭(216) 위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6e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a)를 해제함으로써 돌보미가 어떻게 프레임(100a)과 놀이장(1000a)을 펼쳐진 구성로부터 접힌 구성로 천이시킬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보미는 먼저 (도 6e에서 상향 및 하향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a 및 142b)를 압착할 수 있고, 이는 슬라이더(120)를 레그 튜브(112)를 따라 상향 이동시켜, 래치 부재(210)의 탭(216)을 래치 보스(230)의 언더컷 부분(23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킨다. 돌보미가 한 손으로 X-튜브(142a, 142b)를 함께 쥐고 있는 동안, 돌보미는 다른 손으로 래치 부재(210)의 탭(220)을 잡아당겨 (도 6e의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개구(214)로부터 래치 보스(230)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기구(200a)의 "이중 작용"은 "압착하고 당기기(squeeze-and-pull)"이다. 래치 부재(210)를 잡고 있는 동안, 돌보미는 이어서 X-튜브(142a, 142b)를 해제할 수 있고 슬라이더(120)는 부분적으로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중량으로 인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돌보미는 슬라이더(120)를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을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놀이장(1000a)을 접을 수 있다.
다시 도 6d를 참조하면,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a)의 일부 구현에서, 래치 보스(230)의 언더컷 부분(232) 및 단부 부분(236) 및 래치 부재(210)의 탭(216)은, 래치 부재(210)가 상당히 큰 힘(예를 들어, 20lbs보다 큰 힘)을 가하지 않고는 래치 보스(230)로부터 당겨 떨어질 수 없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a)에 적용되는 힘 테스트를 도시하는데, 24lbs보다 큰 힘이 탭(220)에 가해질 때 래치 부재(210)가 래치 보스(230)에 맞물린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구현에서, 놀이장(1000a), 특히 프레임(100a)은 다른 유형의 걸쇠잠금 기구(latching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d는 프레임(100a)이 상기한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b) 대신에(또는 그에 추가하여),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예를 들어, 돌보미는 래치 기구를 해제하기 위해 단 하나의 작업만 수행하면 된다)를 포함하는 놀이장(1000a)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 상에 설치된 놀이장(1000a)을 도시하며, 여기서 직물류(300)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를 덮고 부분적으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덮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의 일부는 돌보미에게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다(예를 들어, 도 8b 참조).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는 또한 래치 부재(210) 상의 개구(212)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통해 코너(13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래치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다시 한번 래치 보스(230)를 수용하는 래치 개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래치 보스(230)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b)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a)와 유사한 방식으로 잠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120)는 코너(130)를 향해 이동되고, 이는 래치 보스(230)가 래치 개구(214)에 도달할 때까지 래치 보스(230)가 초기에 래치 부재(210)를 편향시키게 한다. 이때, 래치 부재(210) 내부에 발생된 복원력은 래치 보스(230)가 래치 개구(214)를 통해 돌출한 상태로 래치 부재(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유지할 수 있다.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를 잠금 해제하고 프레임(100a)을 접기 위해, 돌보미는 탭(220)을 당겨 래치 부재(210)를 바깥쪽으로 편향 및/또는 구부려, 래치 보스(230)로부터 래치 부재(210)를 해제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돌보미가 래치 부재(210)를 유지하는 동안, 슬라이더(12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풋(114)을 향해 슬라이더(120)를 이동시키는 도우미와 중력의 조합을 통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놀이장(1000a)은 접힐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에 설치된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c)를 도시한다. 도 9a는 직물류(300)로 다시 한번 덮인 프레임(100a)을 도시한다. 도 9b는 래치 기구(200c)의 바닥 부분이 노출되도록 직물류(300)가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부분적으로만 덮는 것을 도시한다. 도 9c는 직물류(300)가 부착되지 않은 프레임(100a)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기구(200c)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200a) 및 단일 작용 래치 기구(200b)와 유사하게 프레임(100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래치 기구(200c)는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배치된다.
도 9d는 래치 기구(200c)가 래치 부재(212)의 일단부에서 개구(212)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통해 코너(130)에 결합되는 래치 부재(210)를 다시 한 번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이 예에서, 래치 부재(210)는 X-튜브(142b)와의 스냅-핏 연결을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노치(24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치 기구(200c)는 래치 기구(200a, 200b)에 비해 더 적은 수의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래치 기구(200c)는 래치 부재(210) 및 래치 부재(210)를 코너(130)에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만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240a)는 X-튜브(142b)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래치 부재(210)는 X-튜브(142b)와의 접촉으로 인해(예를 들어, 프레임(100a)을 펼칠 때) 및/또는 래치 부재(210)의 하단에 배치된 탭(220)을 당겨 X-튜브(142b)로부터 래치 부재(210)를 해제하는(예를 들어, 프레임(100a)을 접을 때) 돌보미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편향될 수 있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구현에서, 프레임(100a) 및 더 나아가서 놀이장(1000a)은 돌보미가 대응 코너(130)를 향해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시 한번 설치될 수 있다. X-튜브(142b)가 래치 부재(210), 구체적으로 탭(220)에 접촉되면, 래치 부재(210)는 외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가 X-튜브(142b)와 접촉할 때 래치 부재(210)를 편향시키기 위해 인입 특징부(222)(예를 들어, 경사벽)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돌보미는 노치(240a)가 X-튜브(142b)와 정렬될 때까지 슬라이더(120)를 코너(130)를 향해 계속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의 편향이 상당한 복원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충분히 유순할 수 있다. 따라서, 돌보미는 래치 부재(210)를 X-튜브(142b) 위로 스냅-핏하기 위해 래치 부재(210)를 누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래치 부재(210)는 대신,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편향될 때 내부 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의 기계적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브 구조체를 포함한다). 복원력은 노치(240a)가 X-튜브(142b)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것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돌보미는 래치 부재(210)가 X-튜브(142b)에 적절하게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래치 부재(210)에서 생성된 복원력으로 인해 더 적은 힘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래치 부재(210)를 X-튜브(142b) 위로 누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복원력은 대신, 돌보미에 의한 임의의 추가 작용 없이 래치 부재(210)를 X-튜브(142b)에 스냅-핏 연결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이제 도 9e를 참조하면, 래치 기구(200c)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돌보미는 X-튜브(142b)로부터 노치(240a)를 해제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탭(220)을 당길 수 있다. 래치 부재(210)가 상당한 복원력을 생성하지 않는 구현에서, 돌보미는 래치 부재(210)를 해제할 수 있고, 슬라이더(120)는 이어서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력을 통해 및/또는 슬라이더(120)를 능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돌보미를 통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래치 부재(210)가 상당한 복원력을 생성하는 구현에서, 돌보미는 슬라이더(120)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여 X-튜브(142b)가 더 이상 노치(240a)와 정렬되지 않을 때까지 래치 부재(210)를 한 손으로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9d 내지 도 9f는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후크(133)를 코너(13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후크(133)는 부분적으로, 직물류(300)를 프레임(100a) 주위에서 팽팽하게 당기기 위해 및/또는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으로부터 조기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차 구속 특징부로서 기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후크(133)는 또한 프레임(100a) 상에 직물류(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위치 결정 특징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9d 내지 도 9f는 일부 구현에서, 코너(130)가 이전과 같이 스냅-핏 커넥터(139)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대신에, 스냅-핏 커넥터(190)가 레그 튜브(112)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10은 프레임(100a)에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d)를 도시한다. 래치 기구(200d)는 래치 기구(200c)의 변형예이며, 주요 차이점은 래치 부재(210)가 개구(212)와 X-튜브(142a)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통해 코너(130) 대신 X-튜브(142a)에 결합된다는 점이다. 래치 기구(200d)는 래치 기구(200c)와 동일한 방식으로 잠금 및/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200d)의 래치 부재(210)는 래치 기구(200c)의 래치 부재(210)와 비교하여 X-튜브(142a 및 142b) 사이의 더 작은 분리 거리로 인해 길이가 더 짧게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에 설치된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e)를 도시한다. 도 11a는 직물류(300)로 다시 한번 덮인 프레임(100a)을 도시한다. 도 11b는 래치 기구(200e)의 바닥 부분이 래치 기구(200a-200d)와 유사하게 노출되도록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다시 부분적으로 덮는 직물류(300)를 도시한다.
도 11c는 래치 기구(200e)가 래치 부재(210)의 일단부에서 개구(212)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결합된 래치 부재(210)를 다시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래치 부재(210)는 탭(220) 부근에 후크 구조체(24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구조체(240b)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X-튜브(142b)가 안착할 수 있는 윤곽 표면(contoured surface)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래치 부재(210)는 X-튜브(142b)와의 접촉으로 인해 및/또는 래치 부재(210)의 바닥 단부에 배치된 탭(220)을 당기는 돌보미로 인해 편향 및/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래치 기구(200e)는 래치 기구(200a-200d)와 유사한 방식으로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잠글 수 있다. 돌보미가 슬라이더(120)를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키면, X-튜브(142b)는 래치 부재(210)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후크 구조체(240b)와 래치 부재(210)의 바닥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래치 부재(210)에 대해 이동하는 X-튜브(142b)를 가이드하고 래치 부재(210)를 외측으로 편향시키는 인입 특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X-튜브(142b)가 후크 구조체(240b) 위에 배치되면, 돌보미는 슬라이더(120)를 해제할 수 있고 슬라이더(120)는 이어서 X-튜브(142b)가 후크 구조체(240b) 상에 안착할 때까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후크 구조체(240b)는 돌보미가 충분한 힘으로 탭(220)을 당겨 래치 기구(240b)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후크 구조체(240b)는 X-튜브(142b)를 받치도록(cradle) 성형될 수 있고 및/또는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가 돌보미가 래치 부재(210)를 X-튜브(142b)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키는 상당히 큰 힘을 인가하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로서 작용하도록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대신, 돌보미는 X-튜브(142b)가 후크 구조체(240b)로부터 해제되도록 슬라이더(120)를 들어올리고 및/또는 X-튜브(142a, 142b)를 압착할 수 있다. 돌보미가 한 손으로 후크 구조체(240b) 위에 X-튜브(142b)를 유지하는 동안, 돌보미는 래치 부재(210)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b)가 후크 구조체(240b) 아래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접이식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에의 코너(130)에 슬라이더(120)를 직접 결합하는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f)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은,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복수의 슬라이더(120) 및/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지지하기 위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된 하나의 래치 기구(200f)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 상에 배치된 래치 부재(243) 및 대응 코너(130)에 배치된 래치 후크(242)를 래치 기구(200f)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래치 부재(243)는 슬라이더(120)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하거나, 이후 예를 들어 파스너 또는 스냅-핏 연결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20)에 결합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부재(243)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경우, 단일 파스너가 래치 부재(243), 슬라이더(120), 및 하나 이상의 X-튜브(142a 및/또는 142b)를 함께 결합하도록 X-튜브(142a 및/또는 142b)에 결합되는 연장부(124, 126)에 형성된 슬라이더(120)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120)는 프레임(100a)에서 다른 슬라이더(120)와 동일하게 남아있을 수 있다.
래치 후크(242)는 유사하게, 코너(130)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하거나 슬라이더(120)에 결합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래치 후크(242)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경우, 코너(130)가 변경되지 않은 채 남아 있고 및/또는 프레임(100a)에서 다른 코너(130)와 동일하게 남아 있는 래치 기구(200a)의 래치 부재(210)와 유사한 방식으로, 연장부(134, 136)에 형성된 코너(130)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부재(243)는 슬라이더(120)에 결합되는 제1 단부(241a) 및 제1 단부(241a)와 반대되는 제2 단부(241b) 부근에 배치되는 래치 개구(24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개구(244)는 코너(130) 상의 래치 후크(242)를 수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후크(242)는, 개구(244)의 상단측을 형성하는 래치 부재(243)의 부분이 래치 기구(200f)가 잠길 때 래치 후크(242) 상에 안착하도록 윤곽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치 기구(200f)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유지하도록 슬라이더(120)와 코너(130)를 함께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개구(244) 및 래치 후크(242)는 또한 종축(111a) 이외의 운동 축을 따라 슬라이더(120)와 코너(130) 사이의 상대적 병진 및/또는 회전 운동을 감소시키거나 일부 경우에 제거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래치 부재(243)는 래치 기구(200a)의 래치 부재(210)와 유사하게 제2 단부(241b)에 배치된 탭(220)을 갖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래치 부재(243)가 슬라이더(120) 상에 배치되지만, 래치 부재(243)는 래치 기구(200a-200e)와 유사한 방식으로 래치 후크(242)와 맞물릴 수 있다. 이전과 같이, 돌보미는 슬라이더(120)를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래치 부재(243)의 탭(220)이 래치 후크(242)의 바닥 표면에 접촉하면, 래치 부재(243)는 외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후크(242)의 바닥 표면은 외부로 편향될 때 래치 부재(243)를 안내하기 위해 인입 특징부(예를 들어, 경사면)를 형성할 수 있다. 래치 부재(243)는, 래치 부재(243)가 구부러질 때 내부 복원력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20)가 래치 후크(242)가 래치 개구(242)와 정렬되도록 코너(130)에 충분히 가깝게 이동되면, 복원력은 래치 부재(243)를 원래 형태로 스냅 백시키고 래치 후크(242)는 이어서 래치 개구(242)를 통해 돌출할 수 있다.
래치 기구(200e)와 유사하게, 래치 기구(200f)는 돌보미가 충분한 힘으로 탭(220)을 당겨 래치 후크(242)로부터 래치 부재(243)를 해제할 수 있는 단일 작용 래치 기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200f)는 래치 후크(242)가 충분히 강성일 수 있고 및/또는 충분히 깊은 언더컷 부분을 포함하여 래치 부재(243)가 과도한 힘(예를 들어, 20lbf보다 큰 힘)을 가하지 않고 탭(220)을 잡아당김으로써 해제될 수 없는 이중 작용 래치 기구일 수 있다. 돌보미는 대신에 슬라이더(120)를 상승시켜 개구(244)의 상단측을 형성하는 래치 부재(243)의 부분이 래치 후크(242)로부터 해제되도록 해야 한다. 상승된 위치에서 슬라이더(120)를 유지하는 동안, 돌보미는 슬라이더(120)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래치 부재(243)를 바깥쪽으로 당길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142b)에 장착되는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g)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은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지지하기 위해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에 장착된 단일 래치 기구(200g)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기구(200g)는, 특히 프레임(100a)이 도 1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힌 구성에 있을 때 래치 기구(200g)가 프레임(100a)으로부터 눈에 띄게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X-프레임 어셈블리(140a)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래치 기구(200g)의 두께는, 도 3b에 있어서, X-튜브(142a)의 중앙 부분(144)의 외측의 외부 가장자리와 X-튜브(142b)의 중앙 부분(144)의 내측의 외부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3c는 래치 기구(200g)가 핀 조인트(145)를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X-튜브(142a, 142b)가 회전 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X-튜브(142a)를 X-튜브(14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13d는 프레임(100a)의 외부 부분에 배치되고 X-튜브(142b)에 견고하게 결합된 제1 하우징(250a)을 포함할 수 있는 래치 기구(200g)를 도시한다. 특히, 제1 하우징(250a)은 노치(251a)를 포함할 수 있고, X-튜브(142b)는 노치(251a)에 끼워지는 중앙 부분(144) 내의 평탄부(148)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250a)은 X-튜브(142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래치 기구(200g)는, 프레임(100a)의 내부 공간(102) 내에 배치되고 X-튜브(142a)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2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50b)은 또한 노치(251b)를 포함할 수 있고, X-튜브(142a)는 또한 제2 하우징(250b)이 X-튜브(142a)와 함께 회전하도록 노치(251b)에 끼워지는 평탄부(148)를 가질 수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50a)은 회전축(252)을 따라 제1 하우징(250a), 제2 하우징(250b) 및 X-튜브(142a, 142b)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 또는 핀(미도시)을 통해 제2 하우징(25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250a, 250b)은 잠금 기어(254)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잠금 기어는 제1 및 제2 하우징(250a, 250b)에 대해 회전 축(252)을 따라 병진운동하여 래치 기구(200g)를 잠그고 및/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캐비티는 잠금 기어(254)와 제2 하우징(250b) 사이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253)을 더 수용하여 잠금 기어(254)에 스프링 바이어스 힘을 부여하여 래치 기구(200g)를 기본적으로 잠긴 구성에 유지할 수 있다. 잠금 기어(254)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예를 들어, X-튜브(142a 및 142b)가 얕은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X-튜브(142a, 142b)를 구속하고 잠그도록 성형된 채널(257c)을 형성하는 내부 측벽(257a)을 갖는 한 쌍의 래치 키 섹션(256)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래치 기구(200g)가 잠기면, X-튜브(142a, 142b)의 평탄부(148)는 측벽(257a)이 평탄부(148) 각각의 양측에 접하는 채널(257c) 내에 배치되어 X-튜브(142a, 142b)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놀이장(1000a)이 접힌 구성에 있을 때, 잠금 기어(254)는 주로 제2 하우징(250b)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리턴 스프링(253)은 잠금 기어(254)의 전방 부분(257b)에 접촉하거나 및/또는 그 부분에 대해 압박하는 X-튜브(142a 및/또는 142b)의 각각의 평탄부(148)로 인해 압축될 수 있다. 놀이장(1000a)을 전개하기 위해, 돌보미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다시 한 번 이동시키고 및/또는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142b)를 함께 압착하여 프레임(100a)을 펼칠 수 있다. X-튜브(142a, 142b)가 회전함에 따라 X-튜브(142a, 142b)의 각각의 평탄부(148)는 잠금 기어(254)의 전방부(257b)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리턴 스프링(253)의 압축을 유지할 수 있다. X-튜브(142a, 142b)가 충분히 회전되어 X-튜브(142a, 142b)의 각각의 평탄부(148)가 채널(257c)의 기하 형태와 일치하도록 정렬되면, 스프링(253)은 잠금 기어(254)를 제1 하우징(250a)을 향해 바깥쪽으로 밀어 평탄부(144)가 채널(257c) 내에 배치되고 래치 키 섹션(256)에 의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도 13e 및 도 13g 참조).
도 13d는 제1 하우징(250a)의 전방을 따라 형성된 오목 개구(259)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해제 버튼(260)을 포함할 수 있는 래치 기구(200g)를 추가로 도시한다. 제1 하우징(250a)의 오목 개구(259)는 제1 하우징(250a)의 오목한 전면에 의해 제1 및 제2 하우징(250a, 250b)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해제 버튼(260)은 슬롯 가이드(258)를 통해 제1 하우징(25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50a)의 오목한 표면을 통해 돌출하여 잠금 기어(254) 상의 래치 키 섹션(256)의 전방 부분(257b)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탭(262)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기구(200g)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돌보미는 해제 버튼(260)을 오목한 개구(259) 내로 밀어 탭(262)이 잠금 기어(254)의 래치 키 섹션(256)에 대해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잠금 기어(254)는 회전축(252)을 따라 제2 하우징(250b)을 향해 변위되어 리턴 스프링(253)을 압축시킨다. 잠금 기어(254)가 충분히 변위되어 X-튜브(142a 및 142b)의 각각의 평탄부(148)가 더 이상 채널(257c) 내에 배치되지 않게 되면, 돌보미는 X-튜브(142a 및 142b)를 회전시키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이동시켜 프레임(100a)을 접을 수 있다(도 13f 및 도 13h 참조). 일부 구현에서, 오목한 개구(259)의 깊이 및/또는 해제 버튼(260)의 탭(262)의 길이는 해제 버튼(260)이 X-튜브(142a, 142b)로부터 잠금 기어(254)를 맞물림 해제시키기에 충분한 이동 거리를 보장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해제 버튼(260)은 놀이장(1000a)이 펼쳐질 때까지 오목한 개구(259) 내에 배치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에서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와 맞물리기 위해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b)에 통합된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h)를 도시한다. 도 14a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지지하기 위해 단일 래치 기구(200h)만을 포함할 수 있는 프레임(100a)을 다시 한번 도시한다.
도 14b는 X-튜브(14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270)를 포함할 수 있는 래치 기구(200h)를 도시한다. 리턴 스프링(27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X-튜브(142b)의 내부 캐비티 내에 배치되어, 레그 튜브(112)를 향해 래치(270)를 미는 스프링 바이어스 힘을 부여할 수 있다. 레그 튜브(112)는, 래치(27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래치(270)의 팁)를 수용하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래치 개구(27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a)이 충분히 펼쳐져 슬라이더(120)가 래치 개구(273)와 중첩되게 레그 튜브(112)를 따라 위치되면, 리턴 스프링(272)은 래치(270)를 래치 개구(272) 안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더(120), 더 나아가서는, X-튜브(142b)를 제자리에 잠근다. X-튜브(142b)가 프레임(100a)에서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통해) X-튜브(142a),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 및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래치 기구(200h)에 의해 슬라이더(120) 및 X-튜브(142b)에 가해지는 구속은 프레임(100a)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할 수 있다.
도 14b는 래치 기구(200h)의 잠금을 해제할 때 돌보미가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래치(270)에 결합된 칼라(271)를 포함할 수 있는 래치 기구(200h)를 추가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270)는 예를 들어 칼라 상의 개구(276) 및 래치(270) 상의 개구(미도시)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사용하여 칼라(27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칼라(271)는 차례로 X-튜브(142b)의 제2 단부(143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271)는 칼라(271) 및 더 나아가 래치(270)가 X-튜브(142b)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깊이로 제2 단부(143b)를 수용하도록 성형된 오목한 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270) 및 칼라(271)의 각각의 길이를 보상하기 위해, 래치(270) 및 칼라(271)를 지지하는 X-튜브(142b)는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다른 X-튜브(142b)에 비해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래치(270)는 슬라이더(120)의 개구(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b)에 결합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됨) 및 래치(270)를 따라 형성된 개구(275)에삽입된 핀(274)을 통해 슬라이더(120)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개구(275)는 래치(270)가 래치 개구(273) 내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래치(270)가 슬라이더(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슬롯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270)는 대신에, X-튜브(142b)의 전체 길이가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다른 X-튜브(142b)와 동일하게 남아있도록 X-튜브(142b)의 내부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X-튜브(142b)의 제2 단부(143b)는 레그 튜브(112) 상의 래치 개구(273)와 맞물리고 및/또는 맞물림 해제할 때 래치(27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칼라(271)는 X-튜브(142b)의 외부에 배치되고 X-튜브(142b)의 길이를 따라 래치(270)와 함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래치(270)는 칼라(271) 상의 개구(276) 및 래치(270) 상의 다른 개구(미도시)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를 통해 칼라(271)에 결합될 수 있다. 파스너는 래치(270) 상의 개구(275)와 유사하게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진 슬롯형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X-튜브(142b)를 통과할 수 있다.
래치(270)와 X-튜브(142b)는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74)은 슬라이더(120) 상의 개구, 래치(270) 상의 개구(275) 및 X-튜브(142b) 상의 개구(147)를 통과할 수 있다. 래치(270)는 래치(270)가 슬라이더(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여 래치 개구(273)와 맞물리고 및/또는 맞물림 해제되도록 하는 슬롯형 개구(275)를 여전히 가질 수 있다.
래치 기구(200h)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돌보미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b)를 따라 칼라(271)를 이동시켜 래치 개구(273)로부터 래치(270)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리턴 스프링(272)을 압축시켜, 래치(270)에 가해지는 스프링 바이어스 힘을 생성 및/또는 증가시킨다. 칼라(271)를 유지하는 동안, 슬라이더(120)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접을 수 있다. 래치(270)가 래치 개구(273)에 더 이상 정렬되지 않으면, 돌보미는 칼라(271)를 해제하고 프레임(100a)을 계속 접을 수 있다. 래치(270)에 가해진 스프링 바이어스 힘은, X-튜브(142b)가 일단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히 회전되면 슬라이더(120)가 풋(114) 및/또는 슬라이더(120)의 표면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래치(270)가 레그 튜브(112)의 외부 표면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270)의 단부는 프레임(100a)이 접히고 및/또는 펼쳐짐에 따라 레그 튜브(112) 및/또는 슬라이더(120)를 압박할 때 X-튜브(142b)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성형(예를 들어, 곡선형 또는 윤곽형)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 상에 장착된 또 다른 예시적인 래치 기구(200i)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래치 기구(200i)는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b)(또는 142a)의 일단에 장착되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5a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지지하기 위해 단일 래치 기구(200i)를 포함할 수 있는 프레임(100a)을 다시 한번 도시한다. 래치 기구(200i)는 래치 기구(200i)가 X-튜브(142b)의 제2 단부(143b)와 함께 슬라이더(120)의 연장부(126)(또는 124)의 오목한 개구 내에 끼워지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래치 기구(200i)는, 프레임(100a)이 접혀도(도 15b 참조) 프레임(100a)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접힌 프레임(100a)의 컴팩트한 형태를 유지한다.
도 15c는 X-튜브(142b)의 제2 단부(143b)에 결합되고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 베이스(280)를 포함할 수 있는 래치 기구(200i)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단일 파스너가 슬라이더(120), 래치 베이스(280), 및 X-튜브(142b)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베이스(280)는 래치 베이스(280)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부재(28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284)는, 변형가능하고 변형될 때 복원력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베이스(28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래치 부재(284)는 래치 베이스(280)의 주위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래치 부재(284)는 도 15c 및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및/또는 윤곽성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치 부재(284)는 슬라이더(120)의 바닥 표면(127)에 형성된 래치 개구(283)와 맞물리도록 성형된 일체 형성된 래치 캐치(28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284)는 래치 부재(284)의 단부에 배치된 탭(28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탭은 래치 부재(282)를 만곡하도록 당겨져 래치 개구(283)로부터 래치 캐치(281)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5d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로부터 슬라이더(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래치 부재(284)를 도시한다. 프레임(100a)을 펼칠 때, 슬라이더(120)가 레그 튜브(112)를 따라 코너(130)를 향하여 위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 부재(284)와 함께 래치 본체(280)가 핀 조인트(146c)를 중심으로 X-튜브(142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래치 본체(280)가 회전함에 따라, 래치 부재(284), 특히 래치 캐치(281)는 초기에 슬라이더(120)의 외부 부분과 접촉하여 래치 부재(284)를 만곡 및/또는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래치 캐치(281)는 프레임(100a)이 펼쳐질 때 래치 부재(284)의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입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가 코너(130)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되거나 X-튜브(142b)가 충분히 회전되어 래치 캐치(281)가 래치 개구(283)와 정렬되면, 래치 부재(284)의 편향에 의해 생성된 복원력은 래치 캐치(281)를 래치 개구(283)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래치 캐치(281) 및 래치 개구(283)는 따라서,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더(120)에 대한 X-튜브(142b)의 추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레그 튜브(112)를 따른 슬라이더(120)의 추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 기구(200i)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돌보미는 래치 개구(283)로부터 래치 캐치(281)를 해제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탭(282)을 당길 수 있다. 탭(282)을 유지하는 동안, 슬라이더(120)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풋(114)을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X-튜브(142b) 및 래치 본체(280)를 슬라이더(120)에 대해 회전시킨다. 래치 캐치(281)가 래치 개구(283)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으면, 돌보미는 탭(282)을 해제하고 프레임(100a)을 접는 것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a)은 일반적으로, 프레임(100a) 및 더 나아가 놀이장(1000a)을 펼쳐진 구성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래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a)은 펼쳐진 프레임(100a)을 잠그기 위해 단일 래치 기구(예를 들어, 래치 기구(200a-200i)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써 프레임(100a)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프레임(100a)은 프레임(100a)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고르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복수의 걸쇠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구현에서, 프레임(100a)은 위에서 설명한 래치 기구(200a-200i)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에 결합된 래치 기구(200g) 및 다른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 및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에 결합된 래치 기구(200h)를 포함하는 프레임(100a)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6a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래치 기구(200g, 200i)를 도시한다. 도 16b는 프레임(100a)이 접힌 구성에 있을 때 래치 기구(200g, 200i)가 프레임(100a)으로부터 외측으로 눈에 띄게 연장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이식 놀이장은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부 공간의 외부 경계를 함께 형성하고 및/또는 그 경계와 정렬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X-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장(1000a)은 육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a)을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하는 접이식 놀이장의 다양한 구현은 구성에 사용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또는 X-프레임 어셈블리의 수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른 기하 형태를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놀이장은 정사각형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룰 수 있다. 놀이장의 프레임은 4개의 동일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가 단일(또는 이중)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4개의 동일한 X-프레임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각 X-프레임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17a 내지 도 17d는 직사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102)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100b)을 구비한 예시적인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프레임(100a)은 프레임(100b)이 지면(90)에서 놀이장(1000b)을 지지하도록 펼쳐질 때 내부 공간(102)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104)를 형성하고 및/또는 그 가장자리와 정렬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8a 참조). 프레임(100a)은 내부 공간(102)의 직사각형 수평 단면의 짧은 측면 상에 위치된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의 더 작은 측면(106) 상에 배치된 한 쌍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부 공간(102)의 직사각형 수평 단면의 긴 측면 상에 위치된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의 더 큰 측면(106) 상에 배치된 한 쌍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는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b)에 결합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b)는 이중 X-프레임 구조체(즉, 각 쌍의 X-튜브가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두 쌍의 교차 X-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단일 및 이중 X-프레임 구조체의 조합은 프레임(100b)이 수평 단면의 측면이 상이한 치수를 갖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140b)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동일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동일한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에 결합될 수 있게 하여,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X-프레임 어셈블리(140b)는 함께 접히고 및/또는 펼쳐질 수 있다(도 17c 참조). 또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이중 X-프레임 구조체는 또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 특히 레그 튜브(112)의 길이를, 전개되었을 때 X-프레임 어셈블리(140b)와 같은 길이에 걸치는 단일 X-프레임 구조체와 비교하여 더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b)은 특히 접힐 때 보다 컴팩트할 수 있다.
프레임(100a)과 유사하게, 프레임(100b)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풋(114)이 지면(90)과 접촉하여 남아있는 채 펼쳐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레그 튜브(112)는 또한 프레임(100b)이 접히고 및/또는 펼쳐져 놀이장(1000b)을 설치하고 및/또는 해체하는 과정을 도우미에 대해 보다 쉽게 하면서 수직으로 직립한 채 또는 거의 수직으로 직립한 채 유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레그 튜브(112)는 프레임(100a)이 펴져 안정성을 개선할 때 의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도 17d 참조).
또한, 프레임(100b)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는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102)을 따라 상단 주변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도 18a 참조). 이전과 같이, 이것은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각의 X-튜브가 상단 레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프레임(100b)에 기계적 안정성 및 강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b)은 별도의 유순한 또는 강성의 상단 레일 및/또는 바닥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를 함께 결합하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140b)만을 갖는 프레임(100b)은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406-19)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 안정성 및/또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는 안정성 테스트를 거친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놀이장(1000a)과 유사하게, 놀이장(1000b)은 놀이장(1000b)이 10도 이상 기울어졌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채 남아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즉, 적어도 3개의 풋(114)이 밑에 있는 플랫폼과 접촉한 채 남아 있었다).
도 17a 및 도 17b는 프레임(100b)에 결합되고 어린이(50)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 내에 배치된 부분 폐쇄 공간(301)을 형성하는 직물류(300)를 포함할 수 있는 놀이장(1000b)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전과 같이, 직물류(300)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b)과 함께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직물류(300)는 놀이장(1000b)을 지지하는 지면(90)에 안착하는 바닥 부분(306) 및 부분 폐쇄 공간(301)을 함께 형성하고 둘러싸는 측면 부분(30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분(306)은 지면(90)에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부분(304)은 어린이(50)가 부분 폐쇄 공간(301)에 놓일 때 도우미가 어린이(50)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투명 및/또는 투시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물류(300)는 바닥 부분(306)을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바닥 부분에 부착하기 위해 테더 및/또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류(300)는 프레임(100b)의 상단 부분을 덮을 뿐만 아니라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상단 부분에 직물류(300)를 부착하기 위해 불투명한 직물 재료로 형성된 상단 부분(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놀이장(1000b)의 직물류(300)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코너(130), 및/또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슬라이더(120) 중 하나 이상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는 레그 튜브(112) 및/또는 풋(114)만이 도 17a 및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 가능하도록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 뿐만 아니라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전과 같이, 프레임(100b)이 펼쳐질 때 프레임(100b)의 상단 부분(108)에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위치시키는 것은 측면(106)의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더 큰 부분으로 인해 어린이(50)에 대한 시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놀이장, 특히 실내 놀이장은 전형적으로, 사용 용이성, 어린이에 대한 시인성 및/또는 놀이장의 외관 사이에서 타협해야 한다(예를 들어, 놀이장(10c) 참조). 이에 비해, 놀이장(1000b)은 사용의 용이성, 어린이에 대한 시인성 및 전체적인 미관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놀이장(1000b)은 프레임(100b)을 한 번에 접거나 및/또는 펼 수 있도록 하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돌보미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하나의 슬라이더(120)를 이동시켜 프레임(100b)을 접거나 및/또는 펼칠 수 있다. 둘째,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는 놀이장(1000b)이 전개될 때 프레임(100b)의 상단 부분(108)에 위치되며, 이는 프레임(100b)의 측면을 통해 부분 폐쇄 공간(301) 내의 어린이에 대한 더 큰 시인성을 허용한다. 셋째, X-튜브, 슬라이더(120), 코너(130)와 같이 미적으로 원하지 않는 구성요소는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에 의해 쉽게 숨겨져 더 깨끗하고 미적으로 원하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a는 부착된 직물류(300)가 없는 펼쳐진 구성에서의 프레임(100b)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는 프레임(100a)에 사용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는 상단 단부(113a)와 바닥 단부(113b)를 갖는 레그 튜브(112), 상단 단부(113a)에 결합된 코너(130), 바닥 단부(113b)에 결합된 풋(114), 및 레그 튜브(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풋(114)과 코너(130)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120)를 포함한다.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 및/또는 코너(130)는 내부 공간(102)의 상단 정점(105)과 정렬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상단 수평면(92) 및 따라서 지면(90)과 상단 수평면(92) 사이의 프레임의 높이(H1)를 형성할 수 있다. 레그 튜브(112)의 바닥 단부(113b) 및/또는 풋(114)은 내부 공간(102)의 바닥 정점(107)과 정렬될 수 있다.
도 18b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레그 튜브(112)를 추가로 도시한다. 레그 튜브(112)는 또한 접힌 구성 및 펼쳐진 구성 모두에 대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102)은 직사각형 베이스를 갖는 직각 프리즘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다시 한 번, 레그 튜브(112)를 둘러싸는 관통 구멍 개구(122)를 형성하는 베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각의 X-튜브(예를 들어, 도 18b의 X-튜브(142a, 142d))를 슬라이더(120)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21)의 양측에 배치된 연장부(124, 126)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130)는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개구(미도시)를 갖는 베이스(131)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130)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서와 같이 베이스(131)로부터 연장하는 탭(138) 대신 베이스(131)에 결합된 스냅-핏 커넥터(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코너(130)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각의 X-튜브(예를 들어, 도 18d의 X-튜브(142b, 142c))를 코너(130)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31)의 양측에 배치된 연장부(134, 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a는 접힌 구성의 프레임(100b)을 도시한다. 도 19b는 프레임(100b)이 접힐 때 슬라이더(120)가 풋(114)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 18b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140b)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동일한 코너(130) 및 슬라이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 X-튜브를 슬라이더(120) 또는 코너(130)에 연결하는 핀 조인트는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에 결합되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X-튜브의 각 단부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여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140b) 둘 모두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것은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의 크기를 더 얇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차례로 레그 튜브(112)의 전체 길이(L)를 감소시켜, 레그 튜브(112)는 레그 튜브(112)에 풋(114)과 코너(130)를 결합하기에 충분한 오버랩을 제공하고 슬라이더(120)가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접고 및/또는 펼치기에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제공한다. 도 18b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는 프레임(100b)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코너(1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100b)이 접힌 구성에 있을 때 풋(1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9a는 또한, 접힌 구성에서, 프레임이 지면(90)과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상단 수평면(92A) 사이에 높이(H2)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2b 및 도 2e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b)의 높이는 프레임의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일정하게 남아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높이(H1, H2)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평면(92, 92A)은 동일 평면(coplanar)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다. 그러나, 일부 구현에서는, 프레임(100b)의 높이가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높이(H2)는 높이(H1)보다 다소 클 수 있고, 접힌 구성에서의 평면(92A)은 펼쳐진 구성에서의 평면(92)보다 약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부분적으로 펼쳐진/접힌 상태의 프레임(100b)의 여러 도면을 도시한다. 특히, 도 20b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가 핀 조인트(예를 들어, 롤형 리벳 조인트)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X-튜브(142a, 142b)를 다시 한 번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a)는 핀 조인트(146a)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2b)의 코너(130)에, 핀 조인트(146b)를 통해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2b)의 슬라이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X-튜브(142b)는 핀 조인트(146c)를 통해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2b)의 슬라이더(130)에, 핀 조인트(146d)를 통해 다른 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2b)의 코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프레임(100a)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0c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b)가 두 쌍의 X-튜브, 즉 X-튜브(142c 및 142d) 및 X-튜브(142e 및 142f)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X-튜브(142c, 142d)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142b)와 유사하게 핀 조인트(145)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X-튜브(142e, 142f)는 다른 핀 조인트(145)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X-튜브(142c 및 142d)(또는 142e 및 142f)의 각 쌍은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 및 나머지 X-튜브 쌍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X-튜브(142c)는 핀 조인트(146e)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핀 조인트(146f)를 통해 X-튜브(142e)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X-튜브(142d)는 핀 조인트(146g)를 통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에, 핀 조인트(146h)를 통해 X-튜브(142e)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X-튜브(142e)는 핀 조인트(146i)를 통해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코너(130)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X-튜브(142f)는 핀 조인트(146j)를 통해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슬라이더(120)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X-튜브(142c-142f)의 형상 및/또는 치수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및 142b)의 형상 및/또는 치수는, 부분적으로는 직사각형 모양의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치수에 따라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X-튜브(142c-142f)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에서, X-튜브(142c-142f)의 형상 및/또는 치수는 또한 X-프레임 어셈블리(140a)의 X-튜브(142a 및 142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20c는 한 쌍의 핀 조인트(145)가 X-튜브(142c-142f)의 각각의 중심점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특히, X-튜브(142c, 142d)를 함께 결합하는 핀 조인트(145)는 핀 조인트(146e, 146g)보다 핀 조인트(146h, 146f)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X-튜브(142e, 142f)를 함께 연결하는 핀 조인트(145)도 핀 조인트(146i, 146j)보다 핀 조인트(146h, 146f)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X-튜브(142c-142f)를 따른 핀 조인트(145)의 위치는 X-튜브(142c-142f)의 각각의 단부가 동일한 코너(130) 또는 슬라이더(120)에 결합될 때 X-튜브(142a 및 142b)의 단부와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d는 X-튜브(142b)를 코너(130)에 결합하는 핀 조인트(146d)와 X-튜브(142c)를 동일한 코너(130)에 결합하는 핀 조인트(146e)가 동일한 수평면(150a)에 놓여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0e는 X-튜브(142a)를 슬라이더(120)에 결합하는 핀 조인트(146b)와 X-튜브(142d)를 동일한 슬라이더(120)에 결합하는 핀 조인트(146g) 역시 동일한 수평면(150b)에 놓일 수 있음을 유사하게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핀 조인트를 정렬하면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를 더 얇게 할 수 있고, 이는 다시 레그 튜브(112)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에서, 핀 조인트가 동일한 수평면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0e는 슬라이더(120)의 연장부(126) 및 핀 조인트(146g)는 연장부(124) 및 핀 조인트(146b) 위로 수직으로 상승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즉, 연장부(126-1) 및 핀 조인트(146g) 참조).
도 21a 및 도 21b는 직물류(300)가 프레임(100a)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100b)에 부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1a는 직물류(300)가 코너(130) 상의 스냅-핏 커넥터(139)와 결합하기 위해 상단 부분(302)의 내부 부분에 배치된 스냅-핏 커넥터(312)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21b는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풋(114)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b)의 바닥 부분에 직물류(300)의 테더(320)를 묶기 위한 개구를 제공하는 D-링(116)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320)는 스트랩(320)의 베이스에 배치된 다른 스냅-핏 커넥터(미도시)에 결합된 스냅-핏 커넥터(322)를 통해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23a 내지 도 23e는 직사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102)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100c)을 갖는 놀이장(1000c)을 도시한다. 그러나, 프레임(100c)은 만곡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를 포함하여 내부 공간(102)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는 수평 단면의 크기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상단 또는 바닥 부분보다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중간 지점에서 더 크도록 내부 공간(102)으로부터 외측으로 만곡된다. 일부 구현에서, 볼록 형상의 내부 공간(102)은 직선 레그 지지 어셈블리 및 동일한 풋프린트를 갖는 내부 공간과 비교하여 어린이(50)에게 놀고 및/또는 잠자기 위한 더 큰 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볼록 형상의 내부 공간(102)은 또한 더 미적으로 즐거운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00c)은 또한 어린이(50)가 놀고 및/또는 잠을 잘 수 있도록 프레임(100c)의 내부 공간(102)에 배치된 부분 폐쇄 공간(301)을 형성하는 직물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장(1000b)과 유사하게, 놀이장(1000c)의 직물류(300)는 부분 폐쇄 공간(301)을 형성하고 둘러싸는 바닥 부분(304) 및 측면 부분(306)뿐만 아니라 프레임(100c)의 상단 부분(108)을 덮는 상단 부분(302)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류(300)는 바닥 부분(304) 상에 배치되어 놀이장(1000c)을 지지하는 지면(90)에 패딩을 제공하는 제거 가능한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부분(306)은 또한 투명 또는 투시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직물류(300)는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 부분(304) 상에 배치되는 제거 가능한 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d 및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c)은, 각각 적어도 레그 튜브(112),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110b)에 비해, 레그 튜브(112)는 축(111b)을 따라 만곡되어 프레임(100c)이 접히고 및/또는 펴질 때 슬라이더(120)는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는 내부 공간(102)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104)를 형성하고 및/또는 그와 정렬할 수 있다(도 24 참조).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는 지면(90)에서 놀이장(1000c)을 지지하기 위한 풋(114) 또는 펼쳐진 후에 놀이장(1000c)을 보다 쉽게 이동 및/또는 재배향시키기 위한 휠 어셈블리(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d는 내부 공간(102)의 한쪽 단부에 있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가 모두 휠 어셈블리(151)를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돌보미는 반대쪽 단부로부터 놀이장(1000c)를 집어 들고 놀이장(1000c)를 당겨서, 휠 어셈블리(151)가 지면(90)을 따라 굴러 원하는 대로 놀이장(1000c)를 재위치시킬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23e는 프레임(100c)이 지면(90)과 상단 수평면(92) 사이에 높이(H1)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25a는 휠 어셈블리(151)를 갖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튜브(112)는 다시 한번 제1 단부(113a) 및 제2 단부(113b)를 가질 수 있다. 코너(130)는 레그 튜브(112)의 상단 단부(113a)에 결합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51)는 레그 튜브(112)의 바닥 단부(113b)에 결합되는 베이스(152)를 포함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51)는 휠 커버(154)를 통해 베이스(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따라서 슬라이더(120)가 휠 어셈블리(151)의 베이스(152)와 코너(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레그 튜브(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5a는 또한 프레임(100c)이 슬라이더(120)를 코너(130)에 직접 결합하는 래치 기구(200j)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하며,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b는 풋(114)을 구비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 튜브(112), 슬라이더(120), 코너(130), 및 풋(114)은 상기한 바와 같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110b)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100c)은 내부 공간(102)의 직사각형 단면의 짧은 측면을 따라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의 더 작은 만곡된 측면(106) 상에 배치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4 참조). 프레임(100c)은 또한 내부 공간(102)의 직사각형 단면의 긴 측면을 따라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의 더 큰 만곡된 측면(106) 상에 배치된 X-프레임 어셈블리(14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24 참조). 이전과 같이, X-프레임 어셈블리(140a)는 한 쌍의 X-튜브로 단일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고, X-프레임 어셈블리(140b)는 두 쌍의 X-튜브로 이중 X-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각의 X-튜브의 형상 및/또는 치수 및/또는 각각의 X-튜브를 다른 X-튜브, 슬라이더(120) 및/또는 코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핀 조인트의 위치는, 부분적으로 프레임(100b)과 유사한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치수에 기초하여 맞춰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구현에서,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X-튜브는 X-튜브를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동일한 슬라이더(120) 또는 코너(130)에 결합하는 핀 조인트가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는 다시 한 번, 프레임(100c) 및/또는 내부 공간(102)의 상단 부분(10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가 상단 레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100c)을 기계적으로 보강하면서 별도의 상단 레일 및/또는 바닥 지지 구조체와 같은 다른 지지 구조체를 제거한다.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배치는 또한 돌보미가 프레임(100c)의 측면을 통해 어린이(50)를 볼 수 있도록 더 큰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놀이장(1000c)의 직물류(300)는 내부 공간(102)의 기하 형태에 더 잘 부합하도록 부분적으로 별도의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부분(306) 및 바닥 부분(304)은 상단 부분(302)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102)의 형상에 더 잘 부합하기 위해, 측면 부분(306)은 레그 튜브(112)의 내부 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놀이장(1000c)이 펼쳐지는 경우 측면 부분(306)과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일부 경우에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6a 참조). 달리 말하면,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에 부착되어,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튜브(112), 풋(114), 및/또는 휠 어셈블리(151)가 놀이장(1000c)의 외부 부분을 따라 노출되는 이음매 없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 및 바닥 부분(304)이 일단 설치되면, 상단 부분(302)은 예를 들어 지퍼 연결(미도시)을 이용하여 측면 부분(306)에 부착될 수 있고, 후속하여 프레임(100c)에 결합되어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보강재(stiffener)(330)를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에 통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보강재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형성된 채널(171)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보강재(330)는 내부 공간(102)의 측면 가장자리(104) 근처에 위치한 측면 부분(306)의 각각의 코너를 따라 형성된 포켓을 통해 삽입되는 압출 플라스틱 로드와 같은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26b는 내부 공간(102)과 대향하는 레그 튜브(112)의 내부 측면을 따라 리세스를 형성하는 만곡된 측면(172)을 갖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레그 튜브(112)를 도시한다. 채널(171)은 만곡된 측면(172)에 형성될 수 있고, 레그 튜브(112)의 일부 또는 일부 경우에 전체 길이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330)는 채널(171)을 통해 삽입되어, 레그 튜브(112)에 대해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을 유지할 수 있다.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슬라이더(120)는 레그 튜브(112) 상에 설치된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레그 튜브(112)를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b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슬라이더(120)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레그 튜브(112)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관통 구멍 개구(122)를 형성하는 베이스(121)를 슬라이더(120)가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튜브(112)에 부착된 측면 부분(306)이 슬라이더(120)의 베이스(12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형 개구(128)가 베이스(121)의 내부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120)는 놀이장(1000c)이 접히거나 및/또는 펼쳐질 때 측면 부분(306)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레그 튜브(1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6b는 슬라이더(120)가 다시 한 번,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의 각각의 X-튜브(예를 들어, X-튜브(142f, 142b))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21)의 양측에 배치된 연장부(124, 126)를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7a는 코너(130)가 다시 한 번,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및 140b)의 각각의 X-튜브(예를 들어, X-튜브(142e 및 142a))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31)의 양측에 배치된 연장부(134 및 136)를 갖는 기부(130)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코너(130)는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그리고 프레임(100c)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 부분(overhang portion)을 형성하는 탭(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는 탭(138)에 의해 형성된 돌출 부분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100c)이 펼쳐질 때 레그 튜브(112)와 코너(130)의 탭(13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130)는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되어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이 둘러싸는 후크 구조체를 제공하여 코너(130)와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가 덮이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은 돌보미가 코너(130) 주위에 직물류(300)를 감싸는 것을 돕기 위해 포켓(3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류(130)는 주로 코너(130)의 외부 표면에만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놀이장(1000c)의 코너가 보다 부드럽고 완만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130)의 베이스(131) 및 탭(138)은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이 감싸도록 매끄럽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은 도 27b 및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139) 상의 대응하는 스냅-핏 커넥터(139)에 결합되는 상단 부분(302)의 내부 부분을 따라 배치된 스냅-핏 커넥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슬라이더(120)는 또한 프레임(100c)이 펼쳐질 때 탭(138)의 돌출 부분 아래에 위치된 둥근 바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b 및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바닥부(170)는 코너(130)의 탭(138)보다 프레임(100c)으로부터 더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끈 또는 다른 테더링된 대상(tethered object)이 코너(130)의 돌출 부분과 얽히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일부 경우에 방지하는 선두 특징부(lead-off featur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c)은 한쪽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슬라이더(120)를 대응 코너(130)에 맞물림으로써,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c)을 잠그는 래치 기구(200j)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100c)은 하나 이상의 래치 기구(200j)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a는 놀이장(1000c)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에 결합된 단일 래치 기구(200j)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놀이장(1000c)은 프레임(100c)이 고르게 펼쳐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놀이장(1000c)의 반대쪽 코너에서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에 결합된 다른 래치 기구(200j)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b는 래치 기구(200j)가 슬라이더(120)에 견고하게 결합된 한쪽 단부에 장착 베이스(224)를 구비한 래치 부재(210) 및 코너(130)에 배치된 래치 캐치(291)를 수용하기 위해 반대쪽 단부(도 28c 참조)에 배치된 래치 개구(214)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가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편향될 때 복원력이 생성될 정도로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갖는,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래치 부재(210)를 프레임(100c)의 외측으로 절곡시켜 래치 캐치(291)로부터 래치 부재(210)를 해제하도록 당겨질 수 있는 탭(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210)는 놀이장(1000c)을 펼칠 때 래치 캐치(291)에의 래치 부재(210)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입 부분(lead-in portion)(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b는 또한 래치 기구(200j)가 직물류(300), 특히 프레임(100c)의 상단 부분(108)을 덮는 상단 부분(302)과 함께 잠기거나 및/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캐치(291)는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돌출할 수 있다. 래치 부재(210)는 래치 캐치(291)와 맞물릴 때 상단 부분(30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부재(210)는 노출된 채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210)에 의해 생성된 내부 복원력은 래치 부재(21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탭(220), 인입 특징부(222))가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를 누르게 하여, 코너(130)에 대해 직물류(300)를 추가로 구속할 수 있다. 즉, 래치 부재(210)는 래치 캐치(291)와 맞물릴 때 일체의 장식쇠(escutcheon)로서 기능할 수 있다.
놀이장(1000a, 1000b)과 유사하게, 놀이장(1000c)의 프레임(100c)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와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레임(100c)은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406-19)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 안정성 및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a 내지 도 29d는 ASTM F406-19, 7.11 및 8.30에 따라 정의된 세트로서 상단 레일-코너 포스트 부착 테스트(Top Rail to Corner Post Attachment test)를 받는 놀이장(1000c)을 보여준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인치 길이의 로드를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X-튜브에 클램핑하고 15-20lb의 추를 로드의 단부에 매달림으로써 X-프레임 어셈블리(140b) 중 하나에 토크가 가해진다. 도 29c 및 도 29d는 적어도 10초 동안 토크 하중을 가한 후,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X-튜브가 변형되었지만 X-튜브에 결합된 슬라이더(120) 및 코너(130)에 균열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파손이 생기지 않아 ASTM F406-19, 7.11의 요구 사항을 충족함을 보여준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ASTM F406-19, 7.3.3 및 8.11.2.4에 따라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기계적 강도 및 강건함(robustness)을 평가하기 위해 또 다른 시험을 받는 놀이장(1000c)을 도시한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5초 동안 바닥에 대해 45도 각도로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중심에 100lbf의 힘이 가해졌다. 도 30b 및 도 30c는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X-튜브가 변형되었고 X-튜브를 함께 연결하는 롤형 리벳 조인트가 구부러진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X-튜브, 롤형 리벳 조인트,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와 슬라이더는 균열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파손이 생기지 않아 ASTM F406-19, 7.3.3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였다.
도 31은 또한 놀이장(1000c)이 플랫폼 위에 놓여지고 부분 폐쇄 공간(301) 내에서부터 놀이장(1000c)의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안정성 테스트를 받는 놀이장(1000c)을 도시한다. 놀이장(1000a 및 1000b)과 유사하게, 놀이장(1000c)이 10도 이상 회전될 때 놀이장(1000c)의 풋(114) 및/또는 휠(151) 중 적어도 3개가 하부의 플랫폼과 접촉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위한 ASTM F406-19 하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구현에서, 접이식 놀이장은 또한, 전개될 때, 놀이장의 기능을 증강시키는 다양한 액세서리(본원 에서 "토퍼(topper)"라고도 지칭)를 지지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d는 놀이장(1000c)의 프레임(100c)이 X-프레임 어셈블리(140b)의 각각의 X-튜브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토퍼 지지부(161)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토퍼 지지부(161)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코너(130)의 조합은 놀이장(1000c)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프레임(100c)의 상단 부분(108)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토퍼(160)를 지지할 수 있다. 토퍼(160)는 기저귀 교환대, 배시넷 및 바운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액세서리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32a 내지 도 32f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를 갖는 펼쳐진 구성의 프레임(100a)을 도시한다.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프레임(100a)에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100a)의 내부 공간(102) 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내부 공간(102)을 덮는 캐노피 커버(440)(예를 들어, 도 32e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캐노피 커버(440)는 예를 들어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된 유순한 및/또는 플렉시블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장(1000a)은 실외 설정에서 전개될 수 있고, 따라서 캐노피 커버(440)는 놀이장(1000a)의 부분 폐쇄 공간(301)에 배치될 때 어린이(50)를 위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프레임(100a)의 각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되는 복수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내부 공간(10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즉,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풀 캐노피 커버이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다른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캐노피 커버(440)를 지지하기 위해 내부 공간(102) 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캐노피 활형부(412) 및 캐노피 활형부(412)를 프레임(100a)에 결합하기 위한 캐노피 클립(420a)을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의 경우, 각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로부터의 캐노피 활형부(412)는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2) 위에 배치된 허브(450a)를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허브(450a)는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가 프레임(100a)에 장착될 때 내부 공간(102)의 중심에 대략적으로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다. 도 32b는 캐노피 커버(440)가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 상에 설치될 때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가 구부러져 캐노피 커버(440)의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를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의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가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2d는 캐노피 클립(420a)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될 때 슬라이더(120) 및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근접한 프레임(100a)의 외부 부분(즉, 프레임(100a)의 내부 공간(102) 외부)을 따라 캐노피 클립(420a)이 배치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32e 및 도 32f는 캐노피 클립(420a)이, 캐노피 클립(420a)을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레그 튜브(112)에 직접 결합하는 스냅-핏 커넥터를 형성하는 스냅-핏 특징부(424)를 갖는 베이스(422)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따라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별도의 도구 없이 프레임(100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프레임(100a)에 어떠한 변경 또는 수정 없이 프레임(10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프레임(100a)만으로 설치하도록 제한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다른 놀이장의 프레임(예를 들어,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갖는 다른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돌보미가 놀이장에 별도로 구매 및/또는 설치할 수 있는 보편적으로 호환 가능한 액세서리일 수 있다.
스냅-핏 특징부(424)는 일반적으로, 캐노피 클립(420a)이 레그 튜브(112)에 확실히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레그 튜브(112)의 단면 형상과 정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a는 스냅-핏 특징부(424)가 레그 튜브(112)의 타원형 단면과 일치하는 타원형 채널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구현에서, 레그 튜브(112)의 비대칭 단면(예를 들어, 타원형 단면)은, 캐노피 클립(420a)이 원하는 배향으로 레그 튜브(112)에 결합되도록 보장할 수 있고 및/또는 레그 튜브(112)에 결합될 때, 캐노피 클립(420a)의 원치 않는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노피 활형부(4112)는, 캐노피 커버(440)가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 상에 배치될 때 원하는 커버리지 및/또는 미적 외관을 제공하도록 프레임(100a)에 대해 반복적으로 및/또는 안정적으로 위치 및/또는 배향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스냅-핏 특징부(424)의 형상은 다양한 놀이장 제품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레그 튜브의 형상(예를 들어, 원형-형상 레그 튜브)과 일치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스냅-핏 특징부(424)는 캐노피 클립(420a)을 레그 튜브(112)에 정렬시키고 및/또는 스냅-핏 특징부(424)를 외측으로 편향시켜 레그 튜브(112)와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입 특징부(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돌보미는 따라서 도 33a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캐노피 클립(420a)을 정렬하고 눌러 스냅-핏 특징부(424)를 레그 튜브(112)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돌보미는 대신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인입 특징부(425)를 통해) 스냅-핏 특징부(424) 중 하나를 레그 튜브(112)에 걸고,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스냅-핏 특징부(424)가 (예를 들어, 대응하는 인입 특징부(425)를 통해) 레그 튜브(112)와 맞물리도록 캐노피 클립(420a)의 대향 측을 회전시킬 수 있다. 종래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에 비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직물류에 의해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대신, 캐노피 클립(420a)을 레그 튜브(112)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프레임(100a)에 보다 확실하고도 신뢰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부분 폐쇄 공간(301)에 배치될 때 예를 들어 바람 또는 어린이(50)에 의해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에 덜 영향을 받기 쉽다.
도 32e 및 도 32f는 캐노피 클립(420a)이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1 단부(413a)를 수용하도록 베이스(422)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캐노피 활형부 개구(426)(예를 들어, 본원에서 "캐노피 활형부 소켓(426)"이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음을 추가로 보여준다.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1 단부(413a)가 일단 캐노피 활형부 개구(426)에 삽입되면, 캐노피 활형부(412)를 캐노피 클립(420a)에 확실히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422)의 측면에 배치된 개구(432)를 통해 파스너가 삽입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클립(420a)은 대안적으로 스냅-핏 연결을 통해 캐노피 활형부(412)를 캐노피 클립(420a)에 결합하기 위해 일체형 스냅 핑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의 일부는, 캐노피 클립(420a)에 결합될 때, 프레임(102)의 내부 공간(102)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d는 캐노피 활형부(412)의 일부가 레그 튜브(11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평행하게 정렬되고 코너(130) 옆에 위치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캐노피 활형부(412)를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과 중첩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캐노피 활형부(412)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를 갖는 종래의 놀이장과 비교하여 어린이(50)에 의해 놀이장(1000a)의 부분 폐쇄 공간(301)으로 당겨지는 것에 덜 영향을 받기 쉽다. 예를 들어, 캐노피 활형부(412)는 어린이(50)가 캐노피 활형부(412)를 잡기 위해 프레임(100a)의 코너(130) 위로 팔을 뻗어야 하기 때문에 도달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어린이(50)가 캐노피 활형부(412)를 그럭저럭 잡는다 하더라도, 프레임(100a)의 상단 부분(108)과 중첩하는 캐노피 활형부(412) 및 프레임(100a)의 외측에 위치하는 캐노피 클립(420a) 때문에,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를 놀이장(1000a) 안으로 끌어당기는 작용력이 적다.
캐노피 클립(420a)은 베이스(422)로부터 프레임(100a)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정렬 리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리브(430)는 캐노피 클립(420a)을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정렬 특징부로서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d 내지 도 42f는 정렬 리브(430)가 슬라이더(120)의 상단 표면과 코너(130)의 바단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캐노피 클립(420a)이 레그 튜브(112)에 결합될 때 스냅-핏 특징부(424)가 슬라이더(120)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구현에서, 정렬 리브(430)는 또한 캐노피 클립(420a)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e는 캐노피 클립(420a)이 레그 튜브(112)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정렬 리브(430)가 슬라이더(120)의 상단 표면과 접촉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커버(440)는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 위에 그리고 그 위로 직접 놓일 수 있다. 캐노피 커버(440)는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의 캐노피 활형부(412)를 따라 캐노피 커버(440)를 팽팽하게 잡아당기고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테더(4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e는 캐노피 클립(420a)의 베이스(422)의 바닥에 배치된 후크(428) 주위에 각각의 테더(442)가 루프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캐노피 활형부(412), 캐노피 클립(420a), 및/또는 허브(450a)는 플라스틱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캐노피 활형부(412)를 허브(450a) 및/또는 캐노피 클립(420a)에 결합하기 위해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단일의 기계적으로 유순한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하나 이상의 충격 코드 또는 번지 코드(bungee cord)를 통해 함께 결합된 구성요소(예를 들어, 튜브)의 어셈블리일 수 있다. 튜브는 하나의 연속 로드로서 기계적으로 기능하는 튜브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감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e는 캐노피 활형부(412)의 다양한 부분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캐노피 활형부(412)를 통과하는 탄성 코드(414)를 포함할 수 있는 캐노피 활형부(412)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코드(414)는 캐노피 클립(420a)의 베이스(422) 상의 개구(434)를 통해 돌보미가 접근할 수 있는 매듭으로 종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각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를 함께 결합하여, 프레임(100a)의 내부 공간(102)을 덮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허브(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소비자에 의해 구매하기 전에(예를 들어,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공장에서 조립될 수 있음) 또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를 놀이장(1000a)에 최초로 설치할 때 돌보미에 의해 허브(450a)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의 후속 설치를 위해 허브(450a)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돌보미는 설치를 위해 각각의 캐노피 클립(420a)를 대응 레그 튜브(112)에 결합하기만 하면 된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허브(450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즉,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는 허브(450a)에 대해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의 캐노피 활형부(412)는 프레임(100a)에 대한 각각의 캐노피 클립(420a)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는,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가 허브(450a)에 결합된 채 남아 있으면서 보관을 위해 보다 컴팩트한 구조체로 접힐 수 있도록, 허브(45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a 및 도 34b는 허브(450a)가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452)를 갖는 베이스(451)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개구(452)는 펼쳐진 구성에서 프레임(100a)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상대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450a)는 육각형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6개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와 정렬되도록 베이스(451)의 주변 둘레에 균일하게 배치된 6개의 개구(452)를 가질 수 있다.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일단 개구(452) 내로 삽입되면, 제2 단부(413b)에 결합된 핀(454)이 예를 들어 스냅-핏 커넥터를 통해 베이스(451)에 형성된 대응 슬롯(453)에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460)을 중심으로 슬롯(453) 내에서의 핀(454)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45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현에서, 핀(454)은 캐노피 활형부(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핀(454)은 제2 단부(413b) 근처에서 캐노피 활형부(412)의 측면을 따라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베이스(451)는 허브(450a)에 대한 캐노피 활형부(412)의 회전 운동 범위를 구속하기 위해 립(4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b는 립(457)이 베이스(451)의 바닥측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1 단부(413a)에 부착된 캐노피 클립(420a)이 허브 아래에 위치할 때 캐노피 활형부(412)를 만곡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베이스(451)의 상단측으로부터 개구(452)를 통해 삽입되도록(즉, 캐노피 클립(420a)이 허브(450a) 위에 위치된다) 회전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는 놀이장(1000a)과 별도로 또는 함께 보관 및/또는 운송을 위해 접힐 수 있다.
도 35a 및 도 35b는 프레임(100a)과 직물류(300)가 구비된 놀이장(1000a), 및 캐노피 커버(440)가 놀이장(1000a) 상에 설치된 다른 예시적인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는 내부 공간(102)의 절반을 덮을 수 있다(즉,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는 하프 캐노피 커버이다).
도 36a 내지 도 36e는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에 장착될 때 캐노피 커버(440)의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100a)에 결합된 복수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를 다시 한 번 포함할 수 있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를 도시한다. 그러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와 비교하여,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중앙 허브 대신에 프레임(100a)의 상이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장착된 2개의 캐노피 클립(420b)에 직접 결합되는 캐노피 활형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a 및 도 36c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가 2개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하며, 여기서 각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의 캐노피 활형부(412)는 2개의 인접하지 않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된다. 캐노피 활형부(412)는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 및/또는 교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캐노피 활형부(412)는 커넥터(415)를 통해 함께 결합된 복수의 활형부 섹션(41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415)는 2개의 활형부 섹션(416)의 각각의 단부를 수용하는 관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각각의 활형부 섹션(416)은 커넥터(415) 상의 대응 개구를 통해 삽입된 파스너 및/또는 일체형 스냅 핑거를 통해 커넥터(415)에 결합될 수 있다.
캐노피 클립(420b)은 상기한 캐노피 클립(420a)과 동일한 특징 중 몇 가지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d 및 도 36e는 캐노피 클립(420b)이 스냅-핏 특징부(424)를 갖는 베이스(422), 캐노피 활형부(412)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캐노피 활형부 개구(426), 캐노피 활형부(412)를 캐노피 클립(420b)에 확실히 결합하기 위한 장착 구멍(432), 캐노피 활형부(412)의 탄성 코드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434), 및 캐노피 커버(440)의 테더(442)를 캐노피 클립(42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428)를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캐노피 클립(420a)과 비교하여, 캐노피 클립(420b)의 캐노피 활형부 개구(426)는, 캐노피 클립(420b)에 결합된 캐노피 활형부(412)의 부분이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레그 튜브(112)에 대해 각도를 두고 배향되어 캐노피 활형부(412)가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2)의 중앙 부분 위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도 37a 내지 도 37c는 놀이장(1000a)의 프레임(100a)에 결합된 캐노피 커버(440)가 없는 다른 예시적인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를 도시한다.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는 또한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b)와 유사하게 내부 공간(102)의 절반을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의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a)에서 허브(450b)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상기한 캐노피 활형부(412) 및 캐노피 클립(4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캐노피 지지 어셈블리(410)는 도 3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2)의 절반을 덮기에 충분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8a 및 도 38b는 허브(450b)가 다시 한 번,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452)를 갖는 베이스(451)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52)는,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허브(450b)에 병진 및 회전적으로 구속되도록 제2 단부(413b)를 허브(450a)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제2 단부(413b)는 파스너 및/또는 스냅-핏 연결을 통해 허브(450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9a 및 도 39b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를 위한 다른 허브(450c)를 도시하며, 이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가 접힐 수 있도록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베이스(45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허브(450c)는 상기한 허브(450a)와 동일한 특징들 중 몇 가지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451)는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에 장착된 핀(454)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45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453) 및 핀(454)은 캐노피 활형부(412)가 축(4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베이스(451)는, 베이스(451)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캐노피 활형부(412)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립(4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0a 및 도 40b는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를 위한 또 다른 허브(450d)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450d)는 베이스(451)의 만곡된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개구(456)를 갖는 베이스(45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456)는 도 4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를 수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451)는 각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를 베이스(451)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451)의 상단측 및 바닥측에 구멍(4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핀(도시되지 않음)이 개구(455) 및 캐노피 활형부(412) 상의 대응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삽입될 수 있어 각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가 도 4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46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다시, 캐노피 활형부(412)가 서로 대략 평행하거나 평행하도록 허브(451)의 일측으로 대응 축(461)을 중심으로 캐노피 활형부(412) 각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캐노피 커버 어셈블리(400c)가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파스너가 대신에 각각의 캐노피 활형부(412)를 허브(450d)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개구(455)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즉, 캐노피 활형부(412)의 제2 단부(413b)는 베이스(451)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배시넷 액세서리
접이식 놀이장은 생후 첫 몇 개월 동안의 어린이(예를 들어, 유아, 체중 15파운드 미만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승된 표면을 제공하는 배시넷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린이가 성장해서 배시넷 액세서리를 벗어나면, 배시넷 액세서리는 제거될 수 있고 접이식 놀이장의 내부 공간이 상기한 것과 같이 어린이를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이식 놀이장은 어린이의 신체 발달에 적응하도록 도우미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놀이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가 놀이장에 설치된 경우, 놀이장은 "배시넷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를 놀이장으로부터 제거하면, 놀이장은 "놀이장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의 예시적인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구비한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직물류(300)에 의해 형성된 부분 폐쇄 공간(301)의 상단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펼쳐진 구성에서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해 부분 폐쇄 공간(301) 내에 배치된 별도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부분 폐쇄 공간(501)을 형성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일반적으로, 부분 폐쇄 공간(501)을 물리적으로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20)는 또한 프레임(100b) 및 직물류(300)와 함께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접힘 및 펼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놀이장(1000b)의 설치 및 분해를 단순화한다(즉, 도우미는 놀이장을 접기 위해 배시넷의 지지 구조체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또는 놀이장을 전개할 때마다 배시넷의 지지 구조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지지 구조체(520)는 부분 폐쇄 공간(501)의 적어도 일부를 물리적으로 둘러싸는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20)는 함께 접이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허브(550) 및 복수의 지지 튜브(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550)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출 성형을 통해). 지지 튜브(540)는 알루미늄 및 스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경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펼쳐진 구성에서,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는 매트리스(51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 플랫폼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도 43 참조). 매트리스(510)는, 이어서,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90) 위에 위치된 쿠션이 있는 표면(511)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공개된 배시넷 액세서리는 또한 다른 놀이장(예를 들어,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된 것과 다른 프레임 모양을 갖는 놀이장)에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3a를 다시 참조하면,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또한 놀이장(1000b)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이식 놀이장(1000c)에 설치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부분 폐쇄 공간(501)이 직물류(300)의 부분 폐쇄 공간(301), 어떤 경우에는 직물류(300)가 내부 공간(102)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 경우 프레임(100b)의 내부 공간(102)의 경계까지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a 및 도 41b는 배시넷 직물류(522)가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으로 연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과 배시넷 직물류(522)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3a를 다시 참조하면, 이 도면은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c)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해 측면 부분(306)과 배시넷 직물류(522)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부분 폐쇄 공간(301) 및 일부 구현에서, 내부 공간(10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부분 폐쇄 공간(50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a 및 도 41b는 부분 폐쇄 공간(501)이 직물류(300)의 측면 부분(306)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부분 폐쇄 공간(501)의 3차원 체적이 직각 프리즘으로서 성형되도록 부분 폐쇄 공간(501)의 측면 치수는 일정하게(또는 배시넷 직물류(522)가 직물류(300)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남아있을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또한 배시넷 직물류(522)가 상단 부분(302) 아래에 매달려 있도록 배시넷 직물류(522)가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에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놀이장(1000b)의 상단측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부분 폐쇄 공간(501)은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과 놀이장(1000b)의 상단측(예를 들어, 상단 수평면(92)) 사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존재는 부분 밀폐 공간(301)을 더 분할할 수 있어, 부분 폐쇄 공간(300)의 바닥 부분(301a)이 배시넷 액세서리(500a) 아래에 형성된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교적 얕은 부분 폐쇄 공간(501)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돌보미가 어린이를 직물류(300)의 부분 폐쇄 공간(301)에 직접 놓을 때(또는 어린이를 부분 폐쇄 공간(301) 밖으로 꺼낼 때) 많이 구부리지 않기 때문에 돌보미가 경험하는 신체적 긴장을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얕은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특히 도우미가 높은 위치에서 놀이장(1000b)을 볼 때(예를 들어, 놀이장(1000b)의 상단을 볼 때) 어린이에 대한 더 큰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펼쳐진 구성에서, 배시넷 직물류(522)의 각각의 바닥 코너 부분(537)으로부터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높이(ht,1)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높이(ht,1)는 또한 부분 폐쇄 공간(501)의 높이에 해당한다. 일부 구현에서, 높이(ht,1)는 7.5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또한 매트리스(510)의 상단 표면(511)으로부터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높이(hm)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매트리스(510)가 압축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어린이가 매트리스(510)에 안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 높이(hm)는 7.5인치 내지 약 10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바닥 부분(301a)은 또한 지면(90)으로부터 바닥 표면(526)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높이(hb)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높이(hb)는 약 18인치 이상일 수 있다.
높이 치수(ht,1, hb, hm)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약"이라는 용어는 직물류(300) 및/또는 배시넷 직물류(522)의 변형으로 인한 변동 및/또는 제조 공차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약 12 인치"는 11.75 인치 및 12.25 인치 사이 또는 11.5 인치 내지 12.5 인치의 범위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약 10 인치"는 9.75 인치 내지 10.25 인치 또는 9.5 인치 내지 10.5인치의 범위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약 18 인치"는 17.75 인치 내지 18.25 인치 또는 17.5 인치 내지 18.5 인치의 범위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높이(ht,1) 및/또는 바닥 부분(301a)의 높이(hb)는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 남아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놀이장(1000b)과 함께 접을 때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측면 방향을 따라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즉, 부분 폐쇄 공간(501)의 측면 치수는 높이(ht,1)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 남아 있으면서 감소한다). 또한,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직립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고, 따라서 높이(ht,1) 또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 남아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레임(100b)은 예를 들어, 놀이장(1000b)의 기계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펼칠 때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41c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3e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만곡된 레그를 갖는 놀이장 프레임(100c)에 배시넷 액세서리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1c에서, 배시넷 직물류는 펼쳐진 구성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허브(550)와 지지 튜브(540)의 상대 위치를 드러내도록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배시넷 직물류가 도 41c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도면은 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바닥 코너(537)가 지지 튜브(540)의 각 원위 단부에 위치할 것임을 보여준다. 도 41c는 또한 프레임(100c)의 전체 높이(H1)와, 상기한 것과 같은 각각의 높이(ht,1, hb)를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배시넷 액세서리(500a) 및 특히 배시넷 직물류(522)는 놀이장(1000b)을 접을 때 접히거나 및/또는 구겨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높이(ht,1) 및/또는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의 바닥 부분(301a)의 높이(hb)의 작은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쳐진 구성에서의 높이(ht,1)는 접힌 구성(예를 들어, 도 52 참조)에서의 높이(ht,2)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높이(ht,1, hb)의 변화는 충분히 작을 수 있어,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놀이장(1000b)의 내부 공간(102) 근처에 또는 내부 공간(102) 내에 배치된 채 남아 있다. 달리 말하면, 예를 들어 지지 튜브(540)의 길이와 높이(ht,1, hb) 사이의 치수 관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ht,1, hb)의 변화로 인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채 남아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높이(ht,1, hb)는 1인치 이하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2194)을 충족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장(1000b)과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조합은 상기한 바와 같이 ASTM F406과 ASTM F2194를 함께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500a), 특히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는 매트리스(510)의 이웃하는 세그먼트(512) 사이의 각도가 7도 미만이도록 매트리스(510)가 안착하기에 충분히 평평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0.210 인치 내지 0.375 인치의 범위인 개구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가위질 또는 전단 운동을 겪는 어떠한 구성요소도 추가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 및 더 나아가서, 놀이장(1000b)은 적어도 60초 동안 54lb 또는 제조업체의 권장 무게의 3배(둘 중 더 큰 것)의 정적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매트리스(510)의 가장자리와 배시넷 직물류(522)의 측면(524) 사이의 임의의 갭이 0.5 인치 미만이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510)의 상단면(511)으로부터 놀이장(1000b)의 상단측(92)까지의 높이(hm)는 7.5인치 이상일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매트리스(510)가 접이식 놀이장(1000b)의 배시넷 모드 및 놀이장 모드 모두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시넷 액세서리(500a) 및/또는 놀이장(1000b)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2a는 매트리스(510)가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의 상단에 배치되는 배시넷 모드(즉,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놀이장(1000b)에 설치됨)의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도 42b는 매트리스(510)가 직물류(300)의 바닥 부분(304)에 배치되는(예를 들어, 매트리스(510)가 지면에 놓여 있는) 놀이장 모드(즉,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놀이장(1000b)으로부터 제거됨)의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매트리스(510)는, 펼쳤을 때 어린이가 놀고 및/또는 잠을 잘 수 있도록 평평한 쿠션 표면(511)을 제공하는 접이식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접힐 때 놀이장(1000b)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보관하기 위한 컴팩트한 구조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매트리스(510)는 인접한 패널(512) 사이에 형성된 대응 주름을 따라 서로에 대해 접히는 복수의 패널(512)을 갖는 분할된 매트리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a 및 도 42b는 매트리스(510)가 4개의 패널(512)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실례를 위해 하나의 패널(512)이 접혀 있다. 어린이를 지지하기 위해 평평한 쿠션 표면(511)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매트리스(510)는 또한 놀이장(1000b)이 보관을 위해 접힐 때 프레임(100b), 직물류(300) 및 지지 구조체(520) 주위를 감쌀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5a 참조). 일부 구현에서, 매트리스(510)는, 프레임(100b)을 구속하고 따라서 놀이장(1000b)을 접힌 구성로 유지하기 위해 매트리스(510)의 대향 패널(512)을 함께 확실히 결합하도록 쿠션 표면(511)과 반대쪽 바닥 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514)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510)는 돌보미가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함께 놀이장(1000b)을 운반하기 위한 핸들(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은 매트리스(510)가 제거되어 허브(550), 지지 튜브(540), 및 배시넷 직물류(522)의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키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도시한다. 배시넷 직물류(522)의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은 패브릭, 메쉬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순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측면(524)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및/또는 투시성일 수 있다. 또한, 배시넷 직물류(522)의 투명 부분 및/또는 투시성 부분은 직물류(300)의 투명 부분 및/또는 투시성 부분과 중첩되어 도우미에게 부분 폐쇄 공간(501) 내의 어린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창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측면(524)의 상단 부분은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직물류(300)에 부착하기 위한 패브릭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524)의 하단 부분은 투명 및/또는 투시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경우,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놀이장(1000b)의 바닥 부분(301a)을 통해 삽입하기에 충분히 큰 개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배시넷 직물류(522)은 사용자가 놀이장(1000b)의 바닥 부분(301a)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바닥 표면(526)은, 부분적으로, 배시넷 액세서리와 놀이장을 함께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500b) 참조).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어린이가 성장해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벗어나면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놀이장(1000b)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결합 기구를 통해 직물류(300)(또는 프레임(100b)에 직접)에 결합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일반적으로, 지퍼 기구 및 스트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러 방식으로 직물류(300) 및/또는 프레임(100b)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500a)에 연결된 하나의 스트랩이 코너(130)를 커버하는 직물류(300)의 일부 위로 연장하고 버클을 통해 프레임(100b)에 결합된 대응 스트랩에 클립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4a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지퍼 기구(527)을 통해 직물류(300)에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524)의 상단 가장자리는 한 세트의 지퍼 치형부(529), 및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의 내부 바닥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른 세트의 지퍼 치형부(340)에 결합되는 지퍼 핸들(528)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배시넷 직물류(522)를 통해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의 내부 측으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퍼 기구(527)는 지퍼 기구(527)가 놀이장(1000b)의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도록 배시넷 직물류(522)의 내부 측면 및 상단 부분(302)을 따라 부분 폐쇄 공간(5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3은 배시넷 직물류(522)가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높이(ht,1)보다 작은 높이(hsg)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배시넷 직물류(522)는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 위로 연장할 수 있고, 놀이장(1000b)의 외부를 따라 직물류(300) 및/또는 프레임(100b)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구현의 경우, 높이(hsg)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높이(ht,1)와 대략 같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돌보미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놀이장(1000b)에 설치하기 위해 지퍼 핸들(528)을 통해 지퍼 치형부(340, 529)를 정렬하여 부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보미는 지퍼 핸들(528)을 잡아당겨 지퍼 치형부(340, 529)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놀이장(1000b)으로부터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놀이장(1000b)으로부터 제거되면,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서 별도로 수납될 수 있다.
지퍼 기구(527)은 일반적으로,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직물류(300)에 확실히 결합하기 위해 측면(524)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 및 직물류(300)는 복수의 지퍼 기구(527)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지퍼 기구는, 집합적으로, 복수의 지퍼 기구(527)가 측면(524)의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있도록, 측면(524)의 상이한 부분에 걸쳐 있다. 지퍼 기구(527)는 일반적으로, 측면(524)과 상단 부분(302) 사이에 형성된 원치 않는 개구를 감소시키거나 일부 경우에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일반적으로,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에 배치되어 프레임(100b)과 함께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접힘 및/또는 펼침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550)는 바닥 표면(526)의 중심에 또는 그 중심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 튜브(540)는 허브(550)로부터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의 각각의 코너 부분(537)까지 방사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지 튜브(540)는 바닥 표면(526)의 대각선 세그먼트(즉, 동일한 가장자리를 공유하지 않는 바닥 표면(526)의 코너를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접힘 및/또는 펼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지지 튜브(540)는 허브(5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지지 튜브(540)는 허브(5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542a) 및 배시넷 직물류(522)의 하나의 코너 부분(537)에 배치된 제1 단부(542a)에 대향하는 제2 단부(542b)를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지지 튜브(540) 및/또는 허브(55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을 때 및/또는 펼칠 때 배시넷 직물류(522)가 지지 튜브(540) 및/또는 허브(5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를 통해 배시넷 직물류(52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부착 기구는 스트랩, 나사 파스너, 웨빙 탭 및 패브릭 터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에서, 부착 기구(들)는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의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이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와 함께 접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각 지지 튜브(540)의 대향 단부(542a, 542b)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은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이 지지 튜브(540)가 삽입되는 패브릭 터널을 형성하는 스트랩(530)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스트랩(530)은 지지 튜브(540)의 제1 단부(542a)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에 직접 봉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튜브(540)는 길이(Lt)를 가질 수 있고, 스트랩(530)은 길이(Lt)의 50% 미만의 거리만큼 지지 튜브(540)의 단부(542a)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스트랩(530)은 스트랩(530)의 적어도 일부가 허브(55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허브(550)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4b는 코너 부분(537)의 개구(532)를 통해 바닥 표면(526)의 바닥 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 파스너(534a)를 통해 각 지지 튜브(540)의 제2 단부(542b)가 배시넷 직물류(522)에 직접 체결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펼쳐진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510)를 지지하기 위한 평평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여기서 지지 튜브(540)는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또는 수평으로 배향된다. 접힌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는 허브(550)에 대해 회전하여 지지 튜브(540)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경우, 허브(55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칠 때 위쪽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을 때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일부 구현에서, 각 지지 튜브(540)의 단부(542b)는 지면(90)에 대해 고정된 채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채 남아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배시넷 직물류(522)는 변형되어 단부(542b) 및/또는 코너 부분(537)을 상기한 바와 같이 약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지지 튜브의 단부(542b)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고 펼칠 때 단부(542b)가 측방향으로 변위하더라도 지면(90)으로부터 높이(hb)에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허브(550)가 수직으로 변위됨에 따라, 지지 튜브(540)는 허브(5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지지 튜브(540)의 단부(542b)는 측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되는 피벗 포인트(예를 들어, 슬라이더 조인트에 배치된 핀 조인트)의 기능을 한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 및 놀이장(1000b)은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가 접힌 구성 및 펼쳐진 구성 모두에서 내부 공간(102) 내에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남아있도록 성형되고 및/또는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접이식 놀이장(1000b)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각 지지 튜브(102)의 길이(Lt)를 펼쳐진 구성에서 바닥 표면(526)을 지면(90)으로부터 분리하는 바닥 부분(301a)의 높이(hb) 이하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각 지지 튜브(540)의 단부(542b)는 지면(90)으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 높이(hb)에 남아 있으므로, 지지 튜브(102)는 펼쳐진 구성에 대응하는 수평 배향으로부터 접힌 구성에 대응하는 수직 배향으로 회전할 때 프레임(100b)의 풋(114)을 지나 연장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에서, 높이(hb)는 지지 튜브(540)의 길이(Lt)보다 충분히 클 수 있어, 허브(550) 역시 접힌 구성에서 내부 공간(102) 내에 전체적으로 수용된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부분적으로, 부분 폐쇄 공간(501)의 상대적으로 더 얕은 높이(ht,1)로 인해 놀이장(1000b)의 내부 공간(102) 내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는 놀이장(1000b)의 주어진 높이(H)에 대한 바닥 부분(301a)에 대해 더 큰 높이(hb)를 초대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 결과, 지지 튜브(540)는 단일의 강성 구성요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배시넷 액세서리(500a)의 제조 및 조립을 단순화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지지 튜브의 길이는, 배시넷 액세서리가 놀이장(1000b)의 내부 공간(102) 내에 실질적으로 속박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하기 위해,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예를 들어,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신축식 지지 튜브(540) 참조).
도 45a 내지 도 45c는 접이식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치는 과정을 예시하는 일련의 도면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45a는 접힌 구성의 접이식 놀이장(1000b)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시넷 액세서리(500a)는 놀이장(102)의 내부 공간(102) 내에 완전히 포함되며, 따라서 도 45a에서 관찰할 수 없다. 또한, 도 45a는 접힌 구성에서 놀이장(1000b)을 유지하기 위해 매트리스(510)가 프레임(100b) 주위를 감쌀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함께 놀이장(1000b)을 펼치기 위해, 매트리스(510)는 먼저 프레임(100b)으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 돌보미는 프레임(100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치기 위해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를 향해 슬라이더(120)를 당길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돌보미는 래치 기구(200a)가 맞물릴 때까지 슬라이더(120)를 당겨서 프레임(100b)을 펼쳐진 구성에서 잠글 수 있다. 배시넷 직물류(522)가 직물류(300)에 결합되기 때문에, 배시넷 액세서리(500a)도 프레임(100b)이 펼쳐지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의 무게(즉, 중력)는 프레임(100b)이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로 잠긴 경우에도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아래쪽으로 처지게 할 수 있다.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가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550)는,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지지 튜브(540)가 허브(55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제 핸들(576)을 구비한 허브 래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치는 동안, 허브 래치(570)는 대신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어 돌보미가 허브 래치(570)를 당기고 이어서 지지 튜브(5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45b 및 도 4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튜브(540)는 허브 래치(570)가 위쪽으로 당겨질 때 펼쳐진 구성에 대응하는 수평 배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도 45c의 A 참조).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펼쳐지면, 허브 래치(570)가 회전되어(도 45c의 B 참조) 허브 래치(570)를 잠금 해제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변경하여 지지 튜브(540)와 허브(550)를 원하는 펼쳐진 구성에서 유지할 수 있다. 허브(550)는, 일단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가 일단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게 되면, 허브(550)가 더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체형의 기계적 정지부(5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돌보미가 원하는 펼쳐진 구성을 지나 허브(550)를 이동시킬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놀이장은 전형적으로, 프레임과 함께 접히는 바닥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놀이장을 펼칠 때, 돌보미는 몸을 구부리고 배시넷 직물류의 구멍을 통해 뻗어 바닥 지지 구조체를 눌러 바닥 지지 구조체가 제대로 펼쳐지도록 해야 한다. 이에 반해, 놀이장(1000b)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바닥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돌보미가 놀이장(1000b)과 함께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칠 때 직물류(300)의 바닥 부분(304)을 향해 구부려서 아래로 뻗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돌보미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가 프레임(100b)의 펼침에 응답하여 부분적으로 펼쳐질 때 이미 지면(90) 위에 위치된 허브 래치(570)를 당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보미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칠 때 신체적 긴장을 덜 경험할 수 있다.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기 위해, 돌보미는 허브 래치(570)(및 래치 기구(200a))를 해제하고 허브(550)를 아래로 누르고 및/또는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슬라이더(120)를 대응 풋(114)을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시넷 악세서리(500a)는, 종래의 배시넷 악세서리(예를 들어, 배시넷 악세서리(60)의 지지 튜브 어셈블리(64))와 달리, 배시넷 악세서리(500a)의 일부를 각각 조립 및 분해하는 일이 없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도 46a 및 도 46b는 잠금 상태의 허브(550) 및 허브 래치(570)의 여러 도면을 나타낸다. 도 47a 및 도 47b는 잠금 해제 상태의 허브(550) 및 허브 래치(570)의 여러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550)는 각각의 지지 튜브(540)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552)을 갖는 베이스(551)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550)는 각 채널(552)에 대한 한 쌍의 스냅-핏 후크(55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스냅-핏 후크(555)는 대응 채널(552)의 양측 및 허브(550)의 바닥 측에 배치된다. 스냅-핏 후크(555)는 지지 튜브(5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튜브(540)에 결합된 핀(544)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스냅-핏 후크(555)의 각 쌍은 지지 튜브(540)가 허브(55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 축(556)을 형성한다.
채널(552)은 베이스(551)의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551)의 중심 부근에 위치한 단부(567)까지 연장할 수 있다. 채널(552)은 베이스(551)의 가장자리와 단부(567)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Lc)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552)은 베이스(55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고 단부(567)에 도달하기 전에 끝나는 단부(551)의 상단측에 노치형 개구(notched opening)를 가질 수 있다. 채널(552)의 바닥측은 베이스(55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기계적 정지부(554)(예를 들어, 지지 튜브(540) 주위로 그리고 채널(552)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허브(550)의 섹션)와, 기계적 정지부(554)로부터 채널(552)의 단부(567)까지 연장하는 개구(553)를 구비할 수 있다.
채널(552)의 특징부(예를 들어, 노치형 개구, 기계적 정지부(554), 개구(553))는 지지 튜브(540)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도록 성형되고, 치수가 정해지고 및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채널(522)은 단지,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거나 펼칠 때 지지 튜브(550)가 수평 배향과 수직 배향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형 개구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접을 때 단부(542b)가 허브(550)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 튜브(540)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예에서, 기계적 정지부(554)는, 일단 지지 튜브(540)가 수평으로 배향되면, 지지 튜브(54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적 정지부(554)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칠 때 허브(550)가 원하는 펼쳐진 구성을 지나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 튜브(5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허브(550)는 허브 래치(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래치(570)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허브(550)와 허브 래치(570)의 조합은 지지 튜브(540)가 허브(55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허브(550)가 놀이장(1000b)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브 래치(570)는 펼쳐진 구성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잠근다.
허브 래치(570)는 베이스(551)의 중앙에 배치된 롤형 리벳(566)을 통해 베이스(5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래치(570)는 베이스(551)의 중앙 개구(558) 내에 배치된 베이스(57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래치(57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를 펼칠 때 돌보미가 잡고 당기는 해제 핸들(576)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550)는 허브 래치(570)에 추가적인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551)의 바닥측에 그리고 허브 래치(570)의 베이스(572)의 주변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후크(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후크(560)는 허브 래치(570)를 롤형 리벳(566)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으로만 제한하는 기계적 구속을 부여할 수 있다.
지지 튜브(540)를 잠그기 위해, 허브 래치(570)는 베이스(57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지지 튜브(540)를 위한 암(5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6b는 잠금 상태에서 대응 채널(552)의 개구(553) 위에 배치될 수 있는 각 암(574)을 도시한다. 따라서, 아암(574)과 기계적 정지부(554)의 조합은 허브(550)에 대한 지지 튜브(54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방지하는 클램프에 대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도 47a 및 도 47b는 허브 래치(570)가 잠금 해제 상태로 회전되면, 암(574)이 더 이상 각 채널(552)의 개구(553)를 덮지 않으며, 이는 지지 튜브(540)가 접힌 구성을 향해 허브(5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허브(550)는 잠금 상태를 향해 허브 래치(570)를 회전시키는 스프링 바이어스 힘을 생성하는 스프링 요소(565)(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래치(570)가 잠금 상태를 지나 이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예를 들어, 아암(574)이 개구(553)를 지나 이동), 허브(550)는 아암(574)이 안착할 기계적 정지부(562)(예를 들어, 베이스(55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정지부(562)는 아암(574)이 대응 개구(553) 위에 배치되도록 베이스(551) 상에 위치된다.
도 48은 놀이장(1000b)에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펼쳐진 구성에서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해 부분 폐쇄 공간(501)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20)는 부분 폐쇄 공간(5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2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접힘 및 펼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이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펼쳐진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와 허브(550)는 매트리스(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해 평평한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다른 놀이장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2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위에서 설명한 놀이장(1000c)에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배시넷 직물류(522),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에 대해 상기한 유사한 특징을 통합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이러한 기능은 이하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높이(ht,1, hb, hm)를 포함하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형상 및 치수는 배시넷 액세서리(500a)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치수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또한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소비자 안전 표준(예를 들어, ASTM F2194)을 충족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유사하게, 도 48은 허브(550)가 바닥 표면(526)의 중심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 튜브(540)가 허브(550)로부터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의 각각의 코너 부분(537)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지지 튜브(54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접힘 및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허브(550)에 회전 가능하게(예를 들어,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튜브(540)는 또한,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을 때 및 펼칠 때 배시넷 직물류(522)가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를 통해 배시넷 직물류(52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배시넷 직물류(522)는 허브(550)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예에서, 허브(55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을 때 위쪽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칠 때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접근 방식의 이점은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별도의 잠금 기구(예를 들어, 허브 래치(570)) 없이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유지하여 허브(500)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펼쳐진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 및 허브(550)는 매트리스(510)를 지지하기 위한 평평한 플랫폼을 다시 한 번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지 튜브(540)는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또는 수평으로 배향된다. 접힌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는, 지지 튜브(540)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또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지지 튜브의 단부(542b)가 접힌 구성에서 허브(550) 아래에 배치되도록 허브(550)에 대해 회전(예를 들어, 피벗)한다.
허브(550)는, 지지 튜브(540)가 일단 수평으로 정렬되면 허브(550)가 펼쳐진 구성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합된 기계적 정지부(554)를 다시 한 번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비교하여, 허브(550) 및/또는 지지 튜브(540)의 무게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펼쳐지게 하지 않는다. 오히려, 허브(550), 지지 튜브(540), 어린이 및/또는 매트리스(510)의 무게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치고 그 후에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쳐진 구성에서 유지하는 힘을 인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치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상대적으로 얕은 부분 폐쇄 공간(501)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접힌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의 길이(Lt,1)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높이(ht,1)보다 길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유사하게,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각 지지 튜브(540)의 원위 단부(542b)는 지면(90)에 대해 고정된 채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채 남아있을 수 있다. 즉, 각 지지 튜브의 원위 단부(542b)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접히고 펼쳐질 때 단부(542b)가 측방향으로 변위함에 따라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높이(ht,1)에서 남아있을 수 있다. 지지 튜브(540)의 길이가 일정하게 남아있다면(예를 들어, 지지 튜브가 단일의 강성 구성요소로 형성됨), 펼쳐진 구성의 수평 배향으로부터 접힌 구성의 수직 배향으로의 지지 튜브(540)의 회전은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의 일부를 접힌 구성에서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 위로 돌출시켜, 접힌 구성에서 접이식 놀이장(1000b)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킨다.
접힌 구성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 위로 돌출하는 정도를 줄이기 위해, 지지 튜브(540)는, 펼쳐진 구성의 지지 튜브(540)의 길이(Lt,1)가 접힌 구성에서의 더 짧은 길이(Lt,2)로 변화하도록 신축식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에서, 펼쳐진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의 길이(Lt,1)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높이(ht,1)보다 크고, 반면에 접힌 구성의 지지 튜브(540)의 길이(Lt,2)는 높이(ht,1)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작다. 일부 구현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높이는 접힌 구성과 펼쳐진 구성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2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접힌 구성에서, 예컨대 배시넷 직물류(522)의 변형으로 인해 펼쳐진 구성에서의 높이(ht,1)와 상이한 높이(ht,2)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현의 경우, 펼쳐진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의 길이(Lt,1)는 높이(ht,1)보다 큰 채 남아 있고, 접힌 구성에서 지지 튜브(540)의 길이(Lt,2)는 높이(ht,2)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작다.
배시넷 액세서리(500b)와 함께 놀이장(1000b)을 펼치기 위해, 돌보미는 이전과 같이 프레임(100b) 주위에 감싸져 있는 매트리스(510)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돌보미는 슬라이더(120)를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의 코너(130)를 향해 이동시켜 프레임(100b)을 펼칠 수 있다. 슬라이더(120)가 래치 기구(200a)와 맞물리도록 충분히 이동되면, 프레임(100b)은 펼쳐진 구성에서 잠긴다. 이전과 같이, 프레임(100b)의 펼쳐짐은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허브(550) 및 지지 튜브(540)의 무게는 돌보미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 없이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펼쳐지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돌보미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치기 위해 허브(550)를 단순히 아래로 누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돌보미는 매트리스(510)를 허브(550) 위에 놓을 수 있고 매트리스(510)의 무게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펼쳐진 구성에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유사하게,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돌보미가 바닥 부분(304)을 향해 아래로 손을 뻗어야 하는 일 없이 펼쳐질 수 있으며, 이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펼칠 때 돌보미가 겪는 신체적 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9a 내지 도 49d는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는 과정을 예시하는 일련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9a는 허브(550)가 중앙 개구(558)를 포함할 수 있고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이 중앙 개구(536)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기 위해, 돌보미는 먼저 프레임(100b) 상의 래치 기구(200a)를 해제할 수 있다. 그 다음, 돌보미는 중앙 개구(558, 536)를 통해 손/팔을 연장하여 놀이장(1000b)의 바닥 부분(301a)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9b는 직물류(300)의 바닥 부분(304)이 스트랩(342)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돌보미가 바닥 부분(301a)에 도달하면, 돌보미는 직물류(300)의 바닥 부분(304)과 함께 스트랩(342)을 위쪽으로 당길 수 있다. 도 49c는 돌보미가 중앙 개구(536, 558)를 통해 스트랩(342)을 계속 당길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이는 바닥 부분(304)을 배시넷 직물류(522) 및/또는 허브(550)의 부분과 접촉시킨다. 돌보미가 스트랩(342)을 계속해서 더 당김에 따라, 바닥 부분(304)과 배시넷 직물류(522) 및/또는 허브(550) 사이의 접촉이 허브(550)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지지 튜브(540)를 회전시켜 단부(542b)가 허브(550)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도 49c의 화살표 참조). 돌보미는 도 4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접힐 때까지 스트랩(342)을 계속 당길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돌보미가 중앙 개구(536, 558)를 통해 손/팔을 삽입할 필요 없이 접힐 수 있다. 대신에, 돌보미는 허브(550)를 위로 당기고 및/또는 슬라이더(120)를 풋(114)을 향해 아래로 이동시켜 놀이장(1000b) 및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을 수 있다. 놀이장(1000b)이 일단 접히면, 돌보미는 프레임(100b) 주위에 매트리스(510)를 감싸기 전에 놀이장(1000b)을 측면에 놓고 바닥 부분(304)을 내부 공간(102) 내로 누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보미는 구부려 바닥 부분(304)에 도달할 필요가 없다.
일부 구현에서, 접힌 구성의 지지 튜브(540)의 길이(Lt,2)는, 허브(550)가 내부 공간(92) 내에 완전히 배치되도록 (즉, 허브(550)가 상단 수평면(92)을 넘어 현저히 연장되지 않음) 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지지 튜브(540)의 길이(Lt,2)는, 허브(550)의 바닥 표면이 상단 수평면(92)과 같은 높이인 채 허브(550)가 상단 수평면(92) 위로 돌출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이 구성은 허브(550)의 외부 폭이 접힌 구성에서 내부 공간(102)의 폭 이상일 때 우선적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허브(550)가 내부 공간(102) 내에 배치되면 놀이장(1000b)의 측방향 치수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허브(550)를 놀이장(1000b) 바로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접힌 구성에서 프레임(100b)의 측면 치수는 접힌 구성에서 놀이장(1000b)의 높이를 눈에 띄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작게 유지될 수 있다(즉, 놀이장(1000b)이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포함하지 않을 때 측면 치수는 동일할 것이다). 일부 구현에서, 허브(550)의 상단측은 1인치 이하의 거리만큼 놀이장(1000b)의 상단 수평면(92)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도 50a 내지 도 50c는 놀이장(1000b)으로부터 제거된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여러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시넷 직물류(522)의 중앙 개구(536)는 허브(550)의 중앙 개구(558)와 정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중앙 개구(536)는 허브(550)의 외부 폭과 같거나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 개구(536)는 허브(550)의 측면이 아닌 중앙 개구(558)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허브(550) 및/또는 배시넷 직물류(522)는 중앙 개구(536, 558)를 각각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신, 돌보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허브(550)를 잡아당겨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을 수 있다.
도 50a는 각각의 지지 튜브(540)가 허브(550)에 결합된 제1 지지 튜브(546a) 및 제1 지지 튜브(546a)에 신축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튜브(546b)를 구비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튜브(546a)는 제2 지지 튜브(546b)의 일부가 제1 지지 튜브(546a)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더 큰 폭(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에서, 제1 지지 튜브(546a)의 일부가 제2 지지 튜브(546b) 내에 배치되도록 제1 지지 튜브(546a)가 제2 지지 튜브(546b)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및 제2 지지 튜브(546a, 546b)의 상대 길이는 펼쳐진 구성에서 원하는 길이(Lt,1)을 제공하고 접힌 구성에서 원하는 길이(Lt,2)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Lt,1)는, 단부(542b)가 코너 부분(537)까지 연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길이(Lt,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높이(ht,1)(또는 높이(ht,2)) 이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지지 튜브(540)는 지지 튜브(54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부여하기 위해 제1 지지 튜브(546a) 내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는 제1 지지 튜브(546a)로부터 멀리 제2 지지 튜브(546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 튜브(546a, 546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2 지지 튜브(546b)가 제1 지지 튜브(546a)로부터 연장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기계적 정지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튜브(546a)와 제2 지지 튜브(546b)는 펼쳐진 구성에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1a는 중첩 섹션(548)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중첩 섹션(548)은 지지 튜브(540)가 펼쳐진 구성에서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약 1.5인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0a 및 도 50b는 각각의 지지 튜브(540)가 제1 지지 튜브(546a)의 단부(542a) 근처에 파스너(534b)가 배치된 스트랩(530)을 통해 배시넷 직물류(522)의 바닥 표면(526)에 직접 결합될 수 있음을 추가로 보여준다. 도 5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530)은 스트랩(530)을 제1 지지 튜브(546a)에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534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530)은 또한 허브(55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패브릭 터널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 표면(526) 내로 직접 봉합될 수 있다. 도 51b는 제2 지지 튜브(546b)의 단부(542b)에 배시넷 직물류(522)를 결합할 수 있는 파스너(534a)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534a)는 바닥 표면(526)의 바닥 측으로부터 코너 부분(537)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배시넷 액세서리(500a)와 유사하게,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복수의 지퍼 기구(527)을 통해 직물류(300)의 상단 부분(3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보미는 청소 또는 보관을 위해 놀이장(1000b)으로부터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0c는 보관을 위해 접힌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도시한다. 허브(550)는 지지 튜브(54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552)이 있는 베이스(551)를 다시 한 번 포함할 수 있다. 채널(552)은 허브(550)에 대한 지지 튜브(5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지지 튜브(540)에 장착된 핀(54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552)의 상단측은 기계적 정지부(554)에 대응하는 베이스(551)의 섹션에 의해 덮일 수 있는 반면 채널(552)의 바닥측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튜브(540)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를 접을 때 지지 튜브(540)의 단부(542b)가 허브(550) 아래에 배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튜브(540)가 펼쳐진 구성에서 수평으로 배향될 때, 기계적 정지부(544)는 지지 튜브(54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허브(550)가 펼쳐진 구성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2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가 놀이장(1000b)과 유사한 방식으로 놀이장(1000c)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간결화를 위해 배시넷 직물류(522)는 도시하지 않았다. 대신, 도 52는 참조를 위해 배시넷 직물류(522)의 각각의 바닥 코너 부분(537)에 대응하는 평면(538)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550)는 허브(550)의 바닥측이 상단 수평면(92)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놀이장(1000c)의 상단 수평면(9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치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의 추가로 인한 놀이장(1000c)의 높이를 눈에 띄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프레임(100c)이 가장 작은 측면 치수로 접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2는 또한 제2 지지 튜브(546b)가 제1 지지 튜브(546a) 내에 거의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수축된 상태의 지지 튜브(540)를 도시한다.
결론
본원에 설명된 모든 파라미터, 치수, 재료 및 구성은 예시적인 것을 의미하고 실제의 파라미터, 치수, 재료 및 구성은 본 발명의 교시가 이용되는 특정 응용 또는 응용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로서 제시되었고,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청구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원에 기재된 각각의 개별 특징, 시스템, 물품, 재료, 키트 및/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2개 이상의 이러한 특징, 시스템, 물품, 재료, 키트 및/또는 방법의 임의의 조합은, 이러한 특징, 시스템, 물품, 재료, 키트 및/또는 방법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다면, 본 개시의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적인 구현의 각 구성요소의 설계, 동작 조건 및 배치에 있어서 다른 대체, 수정, 변경 및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치 범위를 사용한다고 해서 동일한 기능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동일한 결과를 생성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등가물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본 발명의 개념은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예가 제공되었다. 그 방법의 일부로서 수행되는 행위는 일부 경우에 있어서, 상이한 방법으로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본 발명의 구현에서, 주어진 방법의 각각의 행위는 구체적으로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행위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순차적인 행위로서 도시되더라도) 일부 행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기타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로 합체된다.
본원에서 정의되고 사용된 바와 같은 모든 정의는 사전적 정의, 참조로 합체된 문헌에서의 정의 및/또는 정의된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를 통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 있어서 본원에 사용된 단수 표현은 달리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문구는 결합된 요소들, 즉 일부의 경우에는 결합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경우에는 분리적으로 존재하는 요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으로 나열된 여러 요소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그와 같이 결합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및/또는" 구문에 의해 구체적으로 식별되는 요소들 이외의 다른 요소들은 특별히 식별된 요소들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함하는"과 같은 개방 종지 언어(open-ended language)와 함께 사용될 때, "A 및/또는 B"에 대한 언급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A만을 지칭할 수 있으며(선택적으로 B 이외의 요소들을 포함함);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B만을 지칭할 수 있으며(선택적으로 A 이외의 요소들을 포함함);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A 및 B 모두를 지칭할 수 있으며(선택적으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함); 그 외도 가능하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또는"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및/또는"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목록으로부터 항목들을 분리할 때 "또는" 또는 "및/또는"은 포괄적인 것으로, 즉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요소들의 수 또는 목록 중 둘 이상, 그리고 선택적으로 추가의 미등록 항목들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중 하나만" 또는 "~중 정확히 하나" 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경우 "~로 구성되는"과 같이, 달리 명확하게 지시된 용어들만이 요소들의 수 또는 목록 중 정확히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어느 하나”, "~중 하나", "~중 오직 하나" 또는 "~중 정확히 하나"와 같은 배타성 관점이 선행될 때 배타적 대안(, "둘 다가 아닌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본질적으로 ~로 구성되는”은 특허법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의미를 갖는다.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요소의 목록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요소들의 목록에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지만, 요소들의 목록 내에 특별히 열거된 각각의 및 모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요소들의 목록에서 요소들의 어떠한 조합도 제외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정의는 또한, 구체적으로 식별된 요소들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가 지칭하는 요소들의 목록 내에서 구체적으로 식별된 요소 이외의 요소들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동등하게,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동등하게,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B가 존재하지 않는(그리고, 선택적으로 B 이외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선택적으로 둘 이상을 포함-의 A를 지칭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A가 존재하지 않는(그리고, 선택적으로 A 이외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선택적으로 둘 이상을 포함-의 B를 지칭할 수 있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선택적으로 둘 이상을 포함-의 A 및 적어도 하나-선택적으로 둘 이상을 포함-의 B(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요소들을 포함)를 지칭할 수 있으며, 그 외도 가능하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청구항에 있어서, "포함하는", "구비하는", "운반하는", "갖는", "함유하는", "관련되는", "보유하는", "구성되는" 등과 같은 모든 이행구(transitional phrase)는 개방 종지형(open-ended)으로, 즉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청 특허심사절차 매뉴얼, 섹션 2111.03에 명시된 바와 같이 "~로 구성되는" 및 "본질적으로 ~로 구성되는"이라는 이행구만이 각각 폐쇄적 또는 반 폐쇄적 이행구가 된다.

Claims (66)

  1. 보관을 위한 컴팩트한 접힌 구성(compact folded configuration) 및 어린이(50)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90)에 배치하기 위한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deployed unfolded configuration)을 갖는 접이식 놀이장(foldable playyard; 1000b)으로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어린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대응하는 측면 가장자리(104)에 배치되고,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단일 측면(106)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만 폴딩 기구(folding mechanism; 140a, 140b)를 통해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직물류(soft goods; 300);
    상기 직물류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는 배시넷 액세서리(bassinet accessary; 500b)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지지 구조체(5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매트리스(5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튜브(540)
    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상에 배치되어 상기 어린이를 지지하는 매트리스(51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510)는, 7.5인치 내지 약 10인치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측(92)으로부터 오프셋된 상단 표면(511)을 갖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바닥 코너 부분(537)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7.5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의 높이(ht,1)만큼 상기 프레임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된 것인, 접이식 놀이장.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각각의 바닥 코너 부분(537)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높이(ht,1)만큼 상기 프레임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높이보다 큰 제1 길이(Lt1)를 갖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높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작은 제2 길이(Lt2)로 변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단부(542a)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이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면,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수직으로 배향되어, 상기 단부는 약 1 인치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기 상단 수평면 위에 위치되게 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제1 지지 튜브(546a);
    상기 제1 지지 튜브에 신축식으로(telescopically) 결합된 제2 지지 튜브(546b)
    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허브(5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부터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천이할 때, 상기 허브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멀리로 상향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는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92)과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부터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천이할 때, 상기 허브는 상기 지면을 향해 하향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는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작동되는 경우, 상기 허브의 수직 하향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지지 구조체를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유지하는 허브 래치(hub latch; 570)
    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단 부분(108)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의 상단 부분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92)을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과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기 지면과 상기 상단 수평면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높이(H)를 갖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5. 보관을 위한 컴팩트한 접힌 구성 및 어린이(50)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90) 상의 직립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접이식 놀이장(1000b)으로서,
    프레임(100b);
    직물류(300);
    배시넷 액세서리(500b)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어린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로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단부(114) 및 상기 바닥 단부 반대쪽의 상단 부분(108)을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로서,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각각의 상단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프레임의 상단 주변 구조체(109)를 형성하는 것인,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류는,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덮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직물류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지지 구조체(5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매트리스(5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튜브(540)
    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상에 배치되어 어린이를 지지하는 매트리스(51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510)는, 7.5인치 내지 약 10인치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된 상단 표면(511)을 갖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7.5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의 높이(ht,1)만큼 상기 프레임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된 것인, 접이식 놀이장.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허브(5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단 부분(108)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의 상단 부분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92)을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과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기 지면과 상기 상단 수평면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높이(H)를 갖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22. 접이식 놀이장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접이식 놀이장(1000b)으로서,
    프레임(100b);
    직물류(300);
    배시넷 액세서리(500b)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00a) 및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를 포함하고,
    각각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104)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105)에 배치된 상단 단부(113a)를 갖는 레그 튜브(112);
    상기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되는 코너(130);
    슬라이더(120)로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코너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120)
    를 포함하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140a, 140b)는,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의 해당 측면(106)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각각은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사이에 상단 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직물류(300)는,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덮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500b)는, 상기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복수의 측면(524)과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로서, 상기 바닥 표면은,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7.5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의 높이(ht,1)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측(92)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배시넷 직물류(522);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튜브(54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들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코너들은 동일하고,
    상기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각각의 쌍은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X-프레임 어셈블리를 통해서만 함께 결합되는 것인, 접이식 놀이장.
  23. 보관을 위한 컴팩트한 접힌 구성과 어린이(50)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90) 상의 직립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고, 상단 수평면(92)을 형성하고 상기 지면과 상기 상단 수평면 사이의 놀이장 높이(H)를 갖는 접이식 놀이장(1000b)용 배시넷 액세서리(500b)로서,
    지지 구조체(52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측면(524)과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로서, 상기 바닥 표면은 복수의 코너 부분(537)을 구비하고, 이 복수의 코너 부분(537)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복수의 코너 부분의 각각의 코너 부분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 사이의 제1 높이(ht,1)와,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의 각각의 코너 부분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 사이의 제2 높이(ht,2)
    를 형성하는 것인, 배시넷 직물류(522);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지지 튜브(54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1 길이(Lt1)를 갖고, 이 제1 길이는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제2 높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작은 제2 길이(Lt2)로 변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에 배치되어 어린이를 지지하는 매트리스(510)
    를 더 포함하는 배시넷 액세서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매트리스(510)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7.5 인치 내지 약 10 인치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92)으로부터 오프셋된 상단 표면(511)을 갖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와 동일한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7.5 인치 내지 약 12인치의 범위인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단부(542a)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이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의 상기 단부는, 약 1 인치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 위에 배치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를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부착하는 지퍼 기구(528)의 일부를 지지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중앙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5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복수의 코너 부분 중 대응하는 코너 부분까지 연장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허브의 바닥 표면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과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 튜브(546a);
    상기 제1 지지 튜브에 신축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튜브(546b)
    를 포함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의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기계적 정지부(mechanical stop; 554)를 포함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천이하고 있을 때 상기 허브는 상기 지면을 향해 하향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는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기계적 정지부는 각각, 일단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게 되면, 상기 허브가 더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가 상기 허브에 대해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허브, 지지 튜브, 및 어린이 중 적어도 하나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유지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근위 단부(542a) 및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 중 하나에 배치되는 원위 단부(542b)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근위 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1 부착 기구(530) 및 상기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제2 부착 기구(534a)를 통해,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가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과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가 함께 이동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 및 상기 제2 부착 기구는, 각각, 스트랩(530) 및 나사 파스너(screw fastener; 534a, 534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는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지지 튜브를 상기 배시넷 직물류에 결합하는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제1 거리의 50% 미만인 제2 거리만큼, 상기 지지 튜브의 근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제1 부착 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허브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튜브의 근위 단부에 충분히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외부 폭을 갖고 제1 중앙 개구(558)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은 상기 허브의 제1 중앙 개구에 정렬된 제2 중앙 개구(53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앙 개구의 폭은 상기 허브의 외부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41. 제2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과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1000b)과 조합되며,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폴딩 기구(140a, 140b)를 통해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직물류(30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4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과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1000b)과 조합되며,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폴딩 기구(140a, 140b)를 통해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직물류(30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단부(114);
    상기 바닥 단부 반대쪽의 상단 부분(108)
    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기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각각의 상단 부분에 결합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X-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 주변 구조체(109)를 형성하는 것인, 조합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104)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단일 측면(106)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만 상기 폴딩 기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인, 조합체.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 아래에 배치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301a)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사용자가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에 액세스하는 일이 없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되는 것인, 조합체.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단 부분(108)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상단 부분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높이(H)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과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인, 조합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의 각각의 코너 부분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 사이의 상기 제1 높이(ht,1)는,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의 각각의 코너 부분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 수평면 사이의 상기 제2 높이(ht,2)와 동일한 것인, 조합체.
  48. 보관을 위한 컴팩트한 접힌 구성과 어린이(50)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90) 상의 직립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접이식 놀이장(1000b)용 배시넷 액세서리(500b)로서,
    지지 구조체(52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측면(524) 및 바닥 표면(526)을 갖는 배시넷 직물류(522)로서, 상기 바닥 표면은 복수의 코너 부분(537)을 갖고,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 부분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는 경우, 높이(hb)만큼 지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배시넷 직물류(522);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시넷 악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부터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천이하고 있는 경우 상기 지면을 향해 하향 이동하는 허브;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튜브(54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서 상기 높이보다 작거나 같은 길이(Lt)를 갖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허브 및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에 배치되어 어린이를 지지하는 매트리스(510)
    를 더 포함하는 배시넷 액세서리.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510)는, 7.5인치 내지 약 10인치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접이식 놀이장의 상단측(92)으로부터 오프셋된 상단 표면(511)을 갖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약 18인치 이상인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를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부착하는 지퍼 기구(528)의 일부를 지지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3.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설치될 때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및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 모두에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기계적 정지부(554)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계적 정지부 각각은, 일단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게 되면 상기 허브의 수직 상향 이동 및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의 회전 이동을 구속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작동되는 경우, 상기 허브의 수직 하향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지지 구조체를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유지하는 허브 래치(570)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6.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상기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근위 단부(542a) 및 상기 복수의 코너 부분 중 하나에 배치된 원위 단부(542b)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 각각은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530, 534a)를 통해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가 상기 허브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과 상기 복수의 지지 튜브가 함께 이동하게 되도록 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 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허브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8.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은, 사용자가 개구를 통해 손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59. 제48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및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접이식 놀이장과 조합되며,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폴딩 기구(140a, 140b)를 통해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직물류(30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6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 및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을 갖는 접이식 놀이장과 조합되며,
    접이식 놀이장은,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폴딩 기구(140a, 140b)를 통해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직물류(30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상기 직물류 및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접히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을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 함께 펼쳐지는 것인, 배시넷 액세서리.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단부(114);
    상기 바닥 단부 반대쪽의 상단 부분(108)
    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기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들 각각의 상단 부분에 결합된 X-프레임 어셈블리(140a)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복수의 상기 X-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윤곽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 주변 구조체(109)를 형성하는 것인, 조합체.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104)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단일 측면(106)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인접하는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상기 폴딩 기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인, 조합체.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배시넷 직물류의 바닥 표면은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 아래에 배치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301a)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사용자가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에 액세스하는 일이 없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으로 변경되는 것인, 조합체.
  64. 초기에 컴팩트한 접힌 구성인 접이식 놀이장(1000b)을 펼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이식 놀이장은,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는 프레임(100b)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110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폴딩 기구(140a, 140b)를 통해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다른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것인, 프레임(100b);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직물류(300);
    상기 직물류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상기 지면 위의 상승된 위치에서 어린이를 지지하는 배시넷 액세서리(500b)
    를 포함하고,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는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서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부분 폐쇄 공간(501)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520)로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부분 폐쇄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부분 폐쇄 공간 아래에 배치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301a)으로부터 상기 부분 폐쇄 공간을 분리하는 바닥 표면(526)을 갖는 것인, 지지 구조체(520);
    상기 지지 구조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전개되어 펼쳐진 구성에 있을 때 어린이를 지지하고 상기 접이식 놀이장이 상기 컴팩트한 접힌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주위를 감싸는 매트리스(510)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매트리스를 풀어 제거하는 단계;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 부분에 액세스하지 않고 외측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의 지지 구조체를 함께 펼치는 단계;
    상기 지지 구조체의 바닥 표면에 상기 매트리스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 가장자리(104)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 정점(105)에 배치된 상단 단부(113a)를 갖는 레그 튜브(112);
    상기 레그 튜브의 상단 단부에 결합되는 코너(130);
    상기 레그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20)로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코너는 상기 폴딩 기구에 결합되는 것인, 슬라이더(1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의 지지 구조체를 함께 펼치는 단계는, 상기 폴딩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더를 상기 코너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 어셈블리를 상기 외측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면 상기 배시넷 액세서리의 접이식 지지 구조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는 것인, 방법.
KR1020227028309A 2020-01-17 2021-01-18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KR20220123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2435P 2020-01-17 2020-01-17
US62/962,435 2020-01-17
US202063021950P 2020-05-08 2020-05-08
US63/021,950 2020-05-08
PCT/US2021/013831 WO2021146688A1 (en) 2020-01-17 2021-01-18 Bassinet accessory for a play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471A true KR20220123471A (ko) 2022-09-06

Family

ID=7686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309A KR20220123471A (ko) 2020-01-17 2021-01-18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43971A1 (ko)
EP (1) EP4090200A1 (ko)
JP (1) JP2023511324A (ko)
KR (1) KR20220123471A (ko)
CN (1) CN115334942A (ko)
AU (1) AU2021207544A1 (ko)
CA (1) CA3168256A1 (ko)
TW (2) TWI768662B (ko)
WO (1) WO2021146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8362S1 (en) * 2021-05-25 2023-09-12 Mattel, Inc. Bassin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6993B2 (en) * 2003-05-07 2008-05-27 Kolcraft Enterprises Play gy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6865756B2 (en) * 2003-05-28 2005-03-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Playard
US7013505B2 (en) * 2003-08-14 2006-03-21 Arms Reach Concepts Portable combination bedside co-sleeper
US8544125B2 (en) * 2011-03-16 2013-10-01 Artsana Usa, Inc. Changing table connection to a playard
US9763523B2 (en) * 2012-09-10 2017-09-19 Kids Ii, Inc. Bassinet support
CN103859873B (zh) * 2012-12-17 2016-06-0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支撑机构及具有该支撑机构的吊床
US9901187B2 (en) * 2013-01-31 2018-02-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attress and bassinet support structures for a child containment device
US20160066705A1 (en) * 2014-09-05 2016-03-10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Breathable And Light Weight Play Yards And Mattr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1324A (ja) 2023-03-17
TWI828158B (zh) 2024-01-01
TW202139894A (zh) 2021-11-01
WO2021146688A1 (en) 2021-07-22
CA3168256A1 (en) 2021-07-22
TWI768662B (zh) 2022-06-21
AU2021207544A1 (en) 2022-08-11
TW202237012A (zh) 2022-10-01
CN115334942A (zh) 2022-11-11
US20230043971A1 (en) 2023-02-09
EP4090200A1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5521A1 (en) Foldable playard having x-frame assemblies and canopy cover
US20230329451A1 (en) Topper accessories for a playard
KR20220123471A (ko) 놀이장용 배시넷 액세서리
CN115066194A (zh) 带x型框架组件、椭圆形腿组件和顶篷盖的可折叠游戏床
KR20220140843A (ko) 컴팩트하게 접힌 구성 및 보관 래치를 갖는 놀이장
TWI768579B (zh) 用於可折疊遊戲床的框架
TW202412679A (zh) 用於折疊式遊戲床的掛籃配件
TW202416876A (zh) 用於可折疊遊戲床的構架
TW202416875A (zh) 可折疊遊戲床、用於可折疊遊戲床的構架及嬰兒掛籃上層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