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909B1 -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 Google Patents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909B1
KR101956909B1 KR1020180141503A KR20180141503A KR101956909B1 KR 101956909 B1 KR101956909 B1 KR 101956909B1 KR 1020180141503 A KR1020180141503 A KR 1020180141503A KR 20180141503 A KR20180141503 A KR 20180141503A KR 101956909 B1 KR101956909 B1 KR 10195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olded
field plate
unfolde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이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연 filed Critical 이정연
Priority to KR102018014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의 센터보드; 상기 센터보드의 각 변(邊)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전후좌우의 프론트보드, 리어보드, 레프트사이드보드 및 라이트사이드보드; 펼쳐진 상기 리어보드의 후단부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커버보드; 펼쳐진 상기 커버보드의 좌우 및 후방 각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세 개의 스커트; 상기 센터보드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면에 상기 포스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되 상기 포스트 중심 측과 이의 반대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딸기 형상인 다수의 장식편을 갖는 케이크타워; 및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어 육면체를 이룬 상기 각 보드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터보드를 기준으로 접히어 세워지게 되는 상기 프론트보드, 리어보드, 레프트사이드보드 및 라이트사이드보드에 의해 상기 케이크타워의 각 장식편이 밀려 오므라든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기 각 보드가 사방(四方)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장식편 또한 사방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면서 풍부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POP-UP BOX}
본 발명은 개봉 시 사방으로 펼쳐져 내부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상자로서, 특히 개봉 시 움직이게 되는 동적인 효과와 부착된 여러 사진을 정적 또는 동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시각적 효과를 겸한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사물을 감수성 있게 받아들이는 유아나 어린이에게 어떤 새로운 물건의 이름을 가르치거나 기타 교육을 시킬 때에는 그 물건이나 교육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시켜 흥미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도서나 기타 보조 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전개된 상태에서 입체형 구조가 되고 특정 구조물이 팝업 되는 등의 상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21809호 (2011.11.09.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팝업 구조물』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절첩부를 축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며, 접힌 상태일 때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입체적 형상이 평면적으로 절첩되어 보관되고, 펼쳐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상기 입체적 형상이 돌출 형성되는 팝업 구조물로서, 상기 하부커버에 부착되는 무대하판, 상기 펼쳐진 상태일 때 돌출 형성되는 무대상판 및 상기 무대하판의 전단과 상기 무대상판의 전단에 연결되는 전면지지판을 포함하는 무대부, 그리고 상기 무대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무대하판에 연결된 하단을 축으로 회동 조작되어 상기 무대부의 개방된 측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대부는 상기 전면지지판 내면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회동지지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구성의 조잡성을 줄이면서도 조립이 용이하며 팝업 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팝업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23926호 (2012.03.14.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다용도 삼단 상자』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후방 벽판의 좌ㆍ우에 연결되고 절곡되는 좌ㆍ우 측판, 후방 측판의 상단에 연결된 뚜껑, 후방 벽판의 하단 내면에 부착되고 저면은 수평으로 되고 정면벽과 배면벽의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상자, 우측 벽판의 내면에 부착되고 정면벽과 배면벽의 상ㆍ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상자 및 좌측 벽판의 상단에 부착되고 전면벽과 배면벽의 하단은 제2상자의 경사 측벽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었으며 상단은 수평으로 형성된 제3상자를 포함함으로써, 정면에서 보면 제1, 제2 및 제3상자들이 사선으로 연결된 외형을 나타내므로 특이한 미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으면 뚜껑이 좌ㆍ우측 벽판의 상단을 감싸므로 제1, 제2 및 제3상자에 수용된 내용물들이 안전하게 보관되는 다용도 삼단 상자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21809호 (2011.11.09.공개)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23926호 (2012.03.14.공개)
본 발명은 육면체를 이루는 상자이면서 개봉에 의한 펼침 시 사방으로 전개되고 각 면을 이루는 보드마다 다양한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어 선물하고 만지며 보는 재미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는,
사각의 센터보드;
상기 센터보드의 각 변(邊)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전후좌우의 프론트보드, 리어보드, 레프트사이드보드 및 라이트사이드보드;
펼쳐진 상기 리어보드의 후단부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커버보드;
펼쳐진 상기 커버보드의 좌우 및 후방 각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세 개의 스커트;
상기 센터보드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면에 상기 포스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되 상기 포스트 중심 측과 이의 반대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딸기 형상인 다수의 장식편을 갖는 케이크타워; 및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어 육면체를 이룬 상기 각 보드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터보드를 기준으로 접히어 세워지게 되는 상기 프론트보드, 리어보드, 레프트사이드보드 및 라이트사이드보드에 의해 상기 케이크타워의 각 장식편이 밀려 오므라든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기 각 보드가 사방(四方)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장식편 또한 사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는,
육면체를 이루는 상자이면서 개봉에 의한 펼침 시 사방으로 전개되고 각 면을 이루는 보드마다 다양한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면서 풍부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를 나타낸 전개 도면,
도 2는 케이크타워 및 이의 장식편이 오므라든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는 프론트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및 평면 구성도,
도 5는 프론트보드에서 제2부착지 및 프론트풀러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리어보드 및 이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구성도,
도 8은 레프트사이드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및 평면 구성도,
도 9는 라이트사이드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및 평면 구성도,
도 10은 커버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프론트보드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리어보드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레프트사이드보드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라이트사이드보드 측을 우부(右部) 또는 우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는,
크게 센터보드(10), 프론트보드(20), 리어보드(30), 레프트사이드보드(40), 라이트사이드보드(50), 커버보드(60), 스커트(70), 케이크타워(80) 및 홀딩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센터보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지(板紙)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센터보드(10)를 포함한 상기 각 보드(10, 20, 30, 40, 50, 60)는 각 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보드(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의 각 변(邊) 중 전방의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전후로 접히는 프론트필드판(21),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1부착지(22),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일단이 서로 겹치게 적층되는 다수의 사진 제2부착지(23), 그리고
상기 각 제2부착지(23)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2부착지(23)가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의 부착면 사이로 드나들게 끼워져 최하단의 제2부착지를 제외한 나머지 제2부착지(23)들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풀러(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부착지(22, 23)에는 생일파티 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풀러(24)를 잡아당기게 되면 최하단의 제2부착지(23)를 제외한 나머지 제2부착지(23)들이 책장이 넘어가듯 낱장씩 우에서 좌로 넘어가게 되고, 반대로 밀게 되면 낱장씩 좌에서 우로 넘어가면서 서로 포개짐으로써, 상기 제2부착지(23)들에 부착된 사진을 손쉽게 넘기면서 볼 수 있고, 다 본 후 원래의 포개진 형태로 쉽게 되돌릴 수 있다.
리어보드(30)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의 각 변 중 후방의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전후로 접히는 리어필드판(31),
상기 리어필드판(31)의 상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좌우로 긴 장공의 가이드홈(321)을 갖는 사진 제3부착지(32),
상기 제3부착지(32)의 가이드홈(321) 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33), 그리고
상기 리어필드판(31)과 상기 제3부착지(32) 사이로 드나들게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321)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33)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리어풀러(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부착지(32)에는 아이의 몸을 형상화한 도안이 인쇄되고, 이 도안의 머리 부분에 얼굴 사진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3)는 선물 상자 등을 형상화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풀러(34)를 잡아당기게 될 때에 상기 슬라이더(33)가 상기 얼굴 사진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얼굴 사진의 해당 인물에게 선물을 주는 느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레프트사이드보드(40)는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의 각 변 중 좌방의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좌우로 접히는 레프트필드판(41),
상기 레프트필드판(41)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4부착지(42),
상기 레프트필드판(41)의 상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되 일측이 개구(開口)된 포켓(43),
상기 포켓(43)에 수용되는 다수의 기록지(44),
상기 각 기록지(44)를 상호 연결하고 일단이 상기 포켓(43)에 고정되는 스트링(45),
상기 스트링(45)의 타단에 연결되는 그립부(46), 그리고
상기 포켓(43)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46)가 끼워지게 되는 슬릿(4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부착지(42)에는 생일파티의 주인공 활동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기록지(44) 중 일부에는 생일파티의 주인공 이름을 한 글자씩 기입할 수 있고, 나머지에는 '축', '하', '해' 또는 '사', '랑', '해' 등이 한 글자씩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기록지(44)는 원판 구조이고, 상기 그립부(46)는 하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각 기록지(44)를 가로지르는 상기 스트링(45)은 별도의 후지 등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각 기록지(44)의 후면에 부착될 때에 부착면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포켓(43)에 상기 각 기록지(44)를 겹겹이 넣은 후 상기 슬릿(47)에 상기 그립부(46)를 끼운 상태로 있다가 본 발명의 상자 개봉 시 상기 그립부(46)를 꺼내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각 기록지(44)가 펼쳐지게 됨으로써, 각 기록지(44)에 기록 또는 인쇄 내용이 노출된다.
라이트사이드보드(50)는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의 각 변 중 우방의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좌우로 접히는 라이트필드판(51), 그리고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5부착지(5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라이트필드판(51)과 상기 제5부착지(52)에는 생일파티 주인공의 이름, 태어난 날짜, 돌 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커버보드(6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기 리어보드(30)의 후단부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보드(60)의 후면에는 리본 손잡이(61)가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61)를 잡고 상방으로 힘껏 잡아당기게 되면 후술할 홀딩수단(90)의 자성체(91)와 피자성체(92) 간의 상호 결합이 해제되면서 본 발명의 상자가 전개되어 사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스커트(70)는
도 1,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기 커버보드(60)의 좌우 및 후방 각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사각의 판지 구조로 이루어져, 세 개가 구비된다.
케이크타워(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포스트(81), 그리고
상기 포스트(81)의 상부면에 상기 포스트(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되 상기 포스트(81) 중심 측과 이의 반대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81)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다수의 장식편(8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스트(81)는 직사각의 페이퍼를 원형으로 말아 양단을 고정한 후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센터보드(10)의 상부면 중심에 부착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장식편(82)은 딸기 형상이고, 하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장방형의 끼움부(821)가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포스트(81)의 상부면에는 상기 끼움부(821) 보다 너비가 작은 구멍인 대응끼움부(8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부(821)가 상기 대응끼움부(811)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포스트(81)에 상기 각 장식편(82)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10)를 기준으로 접히어 세워지게 되는 상기 프론트보드(20), 리어보드(30), 레프트사이드보드(40) 및 라이트사이드보드(50)에 의해 상기 각 장식편(82)이 밀려 오므라든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때 후술할 홀딩수단(90)에 의해 상기 보드들이 고정됨으로써, 육면체의 상자 구조를 이룬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수단(90)에 의해 상기 보드들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센터보드(10)를 기준으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보드(20, 30, 40, 50, 60)들이 사방(四方)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장식편(82) 또한 사방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상자를 펼쳤을 때 장식편(82)의 동적인 움직임을 통한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홀딩수단(9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어 육면체를 이루는 상기 각 보드(10, 20, 30, 40, 50, 60)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펼쳐진 상기 레프트사이드보드(40)의 좌단부, 펼쳐진 상기 라이트사이드보드(50)의 우단부, 그리고 펼쳐진 상기 프론트보드(20)의 전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자성체(91), 그리고
펼쳐진 각 스커트(70)에 배치되는 피자성체(9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성체(91)는 자성을 갖는 자석이며,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원형 자석이 일정 간격을 두고 해당 보드(40, 50, 20)에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피자성체(92)는 상기 자성체(91)의 인력(引力)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각 스커트(70)에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각 보드(10, 20, 30, 40, 50, 60)가 육면체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각 스커트(70)가 하방으로 접히면서 상기 자성체(91)와 상기 피자성체(92)가 상호 부착됨에 따라 하나의 상자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센터보드
20 : 프론트보드
21 : 프론트필드판
22 : 제1부착지
23 : 제2부착지
24 : 프론트풀러
30 : 리어보드
31 : 리어필드판
32 : 제3부착지
321 : 가이드홈
33 : 슬라이더
34 : 리어풀러
40 : 레프트사이드보드
41 : 레프트필드판
42 : 제4부착지
43 : 포켓
44 : 기록지
45 : 스트링
46 : 그립부
47 : 슬릿
50 : 라이트사이드보드
51 : 라이트필드판
52 : 제5부착지
60 : 커버보드
61 : 손잡이
70 : 스커트
80 : 케이크타워
81 : 포스트
811 : 대응끼움부
82 : 장식편
821 : 끼움부
90 : 홀딩수단
91 : 자성체
92 : 피자성체

Claims (4)

  1. 사각의 센터보드(10);
    상기 센터보드(10)의 각 변(邊)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전후좌우의 프론트보드(20), 리어보드(30), 레프트사이드보드(40) 및 라이트사이드보드(50);
    펼쳐진 상기 리어보드(30)의 후단부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커버보드(60);
    펼쳐진 상기 커버보드(60)의 좌우 및 후방 각 변에 연결되어 펼쳐지고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세 개의 스커트(70);
    상기 센터보드(1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포스트(81)와, 상기 포스트(81)의 상부면에 상기 포스트(81)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되 상기 포스트(81) 중심 측과 이의 반대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81)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딸기 형상인 다수의 장식편(82)을 갖는 케이크타워(80); 및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접히어 육면체를 이룬 상기 각 보드(10, 20, 30, 40, 50, 60)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90);
    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터보드(10)를 기준으로 접히어 세워지게 되는 상기 프론트보드(20), 리어보드(30), 레프트사이드보드(40) 및 라이트사이드보드(50)에 의해 상기 케이크타워(80)의 각 장식편(82)이 밀려 오므라든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홀딩수단(90)에 의해 고정된 상기 각 보드(10, 20, 30, 40, 50, 60)가 사방(四方)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장식편(82) 또한 사방으로 펼쳐지게 되며,

    상기 프론트보드(20)는 이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전후로 접히는 프론트필드판(21)과,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1부착지(22)와,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일단이 서로 겹치게 적층되는 다수의 사진 제2부착지(23)와, 상기 각 제2부착지(23)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2부착지(23)가 상기 프론트필드판(21)의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의 부착면 사이로 드나들게 끼워져 최하단의 제2부착지(23)를 제외한 나머지 제2부착지(23)들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풀러(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보드(30)는 이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전후로 접히는 리어필드판(31)과, 상기 리어필드판(31)의 상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좌우로 긴 장공의 가이드홈(321)을 갖는 사진 제3부착지(32)와, 상기 제3부착지(32)의 가이드홈(321) 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33)와, 상기 리어필드판(31)과 상기 제3부착지(32) 사이로 드나들게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321)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33)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리어풀러(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사이드보드(40)는 이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좌우로 접히는 레프트필드판(41)과, 상기 레프트필드판(41)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4부착지(42)와, 상기 레프트필드판(41)의 상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되 일측이 개구(開口)된 포켓(43)과, 상기 포켓(43)에 수용되는 다수의 기록지(44)와, 상기 각 기록지(44)를 상호 연결하고 일단이 상기 포켓(43)에 고정되는 스트링(45)과, 상기 스트링(45)의 타단에 연결되는 그립부(46)와, 상기 포켓(43)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46)가 끼워지게 되는 슬릿(4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사이드보드(50)는 이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어 좌우로 접히는 라이트필드판(51)과, 상기 라이트사이드보드(50)의 상부면에 단부가 부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는 사진 제5부착지(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90)은 펼쳐진 상기 레프트사이드보드(40)의 좌단부, 펼쳐진 상기 라이트사이드보드(50)의 우단부, 그리고 펼쳐진 상기 프론트보드(20)의 전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자성체(91)와, 펼쳐진 각 스커트(70)에 배치되는 피자성체(92)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보드(60)의 후면에는 리본 손잡이(6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으로 하는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KR1020180141503A 2018-11-16 2018-11-16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KR10195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503A KR101956909B1 (ko) 2018-11-16 2018-11-16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503A KR101956909B1 (ko) 2018-11-16 2018-11-16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909B1 true KR101956909B1 (ko) 2019-03-11

Family

ID=6575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503A KR101956909B1 (ko) 2018-11-16 2018-11-16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9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809A (ko) 2010-05-03 2011-11-09 박정석 팝업 구조물
KR20120023926A (ko)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신우 다용도 삼단 상자
KR20150108070A (ko) * 2014-03-17 2015-09-25 아이실리콘 (주) 접이식 수납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809A (ko) 2010-05-03 2011-11-09 박정석 팝업 구조물
KR20120023926A (ko)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신우 다용도 삼단 상자
KR20150108070A (ko) * 2014-03-17 2015-09-25 아이실리콘 (주) 접이식 수납박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원형 금색 케이크 받침(카우식품, 2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8620A (en) Place mat having erectable and interchangeable pop-up figures
US8668543B2 (en) Child's story themed play structure
KR101759053B1 (ko) 입체감을 갖는 색칠놀이 극장
US5653471A (en) Nested book assembly
US8021207B2 (en) Child'S storybook play structure
KR101956909B1 (ko) 유아 선물 및 교육용 팝업 상자
EP3911427B1 (en) Portable puppet theater
KR20090009393U (ko) 유아용 테이블
KR20220073931A (ko) 교육용 팝업 상자
US20020072042A1 (en) Learning kit for three-dimensional play
KR200406881Y1 (ko) 그림자 인형극 시연장치
Jackson Cut and fold techniques for promotional materials
EP0378072A2 (en) Foldable gift basket
JP3916568B2 (ja) ポップアップ玩具
KR20110004348U (ko) 유아용 서적
KR102224919B1 (ko) 다용도 입체 조형물
JP2021043433A (ja) コンテンツ提示器具
CN214165581U (zh) 一种糖果礼盒
KR100813469B1 (ko) 부조 입체물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유아 교육용교재
KR200380645Y1 (ko) 화일이 구비된 다용도 공부상
US20240066418A1 (en) Folding Toy Theatre
KR200390260Y1 (ko) 화일이 구비된 다용도 공부상
KR20100000274U (ko) 교육완구
JP3067021U (ja) 紙製立体鏡餅飾り
KR200375066Y1 (ko) 입체 북 구조를 구비하는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