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350A - 인테리어 마감패널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마감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350A
KR20130103350A KR1020130013114A KR20130013114A KR20130103350A KR 20130103350 A KR20130103350 A KR 20130103350A KR 1020130013114 A KR1020130013114 A KR 1020130013114A KR 20130013114 A KR20130013114 A KR 20130013114A KR 20130103350 A KR20130103350 A KR 2013010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ing
electrode
guide rail
fix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844B1 (ko
Inventor
노시청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ublication of KR2013010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21S8/03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23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bstract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고정면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패널부를 포함하고, 제1패널부는,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 및 패널부재를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벽면이나 가구 등과 같은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 후 재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철거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 마감패널{INTERIOR FINISHING PANEL}
본 발명은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또는 벽면 등을 장식하기 위해 설치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및 장식장과 같은 가구는 전면에 여러가지 다양한 무늬모양을 형성하여 장식적인 효과와 더불어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무늬모양은 가구의 표면에 직접 음각이나 양각의 방법으로 새겨 넣거나 또는 음각 및 양각으로 무늬모양이 새겨진 별도의 장식판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17844호(2007년 12월 1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가구용/실내인테리어용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은: 고정면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는,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패널부를 상기 고정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는 제1착탈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착탈결합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는,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재에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조명설치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고정면에 결합되는 고정면결합부; 및 상기 고정면결합부와의 사이에 고정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면결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면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면결합부로부터 상기 고정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설치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기부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은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이 상기 패널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에 밀착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설치부로부터의 상기 결합부재의 이탈을 억제하는 간섭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설치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패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 및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결합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설치되는 걸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패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침부에 결합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침부는, 상기 고리부가 걸쳐져 결합되는 제1걸침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걸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마감면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몰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재는, 상기 고정면에 설치되는 고정몰딩부 및 상기 고정몰딩부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는 절곡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2패널부;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결합시키는 패널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끼움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널연결부재는, 상기 끼움홈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연결부재는, 상기 제1패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패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따르면, 건물의 벽면이나 가구 등과 같은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 후 재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철거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자체가 아닌 인테리어 마감패널만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들 뿐 아니라, 제품 교체를 위해 낭비되는 자원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던 중 제품의 외관에 싫증을 느낄 경우 제품 외관의 장식을 손쉽게 변경하여 제품을 계속해서 새 것과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부와 같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빛을 밝힘으로써 건물의 벽면이나 제품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 가정, 사무실, 카페 등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TV, 컴퓨터, 평판 표시장치,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종류의 가전장치를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설치하여 실내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면결합부에 설치돌기부가 형성되고 패널결합부에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정면과 설치부 간의 결합력과, 설치부와 패널부재 간의 결합력을 증강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딩부재를 구비하여 고정면의 길이와 폭,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마감면과 고정면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수단을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외측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면의 전면에 빛을 밝힘으로써 마감면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이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마감면 상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패널부재 간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두 패널부재 간의 연결 부분이 외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거나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부재가 고정면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두 고정면이 직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거나 고정면이 원이나 타원 형태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경우에도 두 패널부재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와 제1패널부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3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4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설치부와 결합부재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커넥터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커넥터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커넥터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치부재와 거치부재결합부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거치부재와 거치부재결합부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거치부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절곡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와 제1패널부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3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4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설치부(110) 및 제1패널부(120)를 포함한다.
설치부(110)는 고정면(10)에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설치부(110)는 고정면결합부(111) 및 패널결합부(115)를 포함한다.
고정면결합부(111)는 체결부재(부호생략)에 의해 고정면(10)에 결합되며, 패널결합부(115)는 고정면결합부(111)와의 사이에 고정홈부(부호생략)가 형성되도록 고정면결합부(11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면결합부(111)와 패널결합부(115)를 갖는 설치부(110)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홈부는 이와 같이 형성된 설치부(1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설치부(110)의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패널부(120)는 설치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패널부(120)는 패널부재(121)와 결합부재(125)를 포함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패널부재(121)의 전면은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이 고정면(10)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마감면(부호생략)을 형성한다. 이처럼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121)의 전면에는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의 외관을 장식할 각종 무늬가 새겨지거나 색상이 입혀질 수 있다. 고정면(10) 및 설치부(110)와 마주보는 패널부재(121)의 배면에는 결합부재(125)가 설치된다.
결합부재(125)는 패널부재(121)의 배면에 설치되어 설치부(1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25)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예를 들어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25)는 일측이 고정홈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패널부재(121)의 배면에 결합된 타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착탈결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결합부(130)는 설치부(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패널부(120)를 고정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착탈결합부(130)는 제1착탈결합부재(131) 및 제2착탈결합부재(135)를 포함한다.
제1착탈결합부재(131)는 패널부재(121)의 배면에 설치되며, 제2착탈결합부재(135)는 고정면(10)에 설치되어 제1착탈결합부재(13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착탈결합부재(131)는 자석을 포함하고, 제2착탈결합부재(135)는 제1탈착결합부재(131)와 극성이 다른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착탈결합부재(131)와 제2착탈결합부재(135)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극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착탈결합부재(131)와 제2착탈결합부재(135)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를 조합한 형태일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부(110)와 착탈결합부(13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설치부(110)와 착탈결합부(130)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패널부(120)를 고정면(10) 상에 지지하며 고정시키므로, 제1패널부(120)의 일부분에 들뜸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패널부(120)가 고정면(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부(110)와 착탈결합부(130)가 상하방향으로 각각 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치부(110)가 제1패널부(120)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구비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제1패널부(120)와 결합되거나(도 4 참조), 착탈결합부(130)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구비됨으로써(도 5 참조), 제1패널부(120)의 처짐이나 들뜸을 방지하고, 제1패널부(120)가 고정면(10)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패널부재(121)는 가로길이방향 또는 세로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마감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패널부재(121)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에는 단턱(122)이 돌출되되, 패널부재(12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단턱(122)이 엇갈리게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단턱(122)은 인접한 다른 패널부재(121)에 오목하게 형성된 단턱홈(123)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안착된 단턱(122)의 전면은 인접한 다른 패널부재(121)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패널부재(121)는 서로 간의 이음매가 직선 형태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한편, 단턱(122)과 단턱홈(123)이 맞물린 부분에 의해 서로 지지됨으로써, 패널부재(121) 간의 연결 부분에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40)는 패널부재(12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124)에 설치된다. 조명부(140)는 엘이디(LED)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140)는 마감면의 상부에 빛을 밝힘으로써 마감면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이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부(140)에 대한 전원 공급은 전원공급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50)는 제1패널부(120)의 가로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전원공급부(15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각각의 전원공급부(150)에는 복수 개의 콘센트(151)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50)는 콘센트(151)를 통해 조명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부(14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는 조명부(140)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패널부재(121)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패턴 또는 그림 형태의 통공(124a)이 형성되며, 패널부재(121)의 배면에는 조명부(140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조명부(140a)는 통공(124a)을 통한 직간접 조명이 실내외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면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이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패널부재(121)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패널부재(121)에는 개구부(1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24a)는 가전장치(10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패널부재(12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구부(124a)가 형성된 패널부재(121)는 TV, 컴퓨터, 평판 표시장치,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종류의 가전장치(105)를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에 설치하여 실내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건물의 벽면이나 가구 등과 같은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 후 재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철거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제품 자체가 아닌 인테리어 마감패널(100)만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들 뿐 아니라, 제품 교체를 위해 낭비되는 자원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제1패널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던 중 제품의 외관에 싫증을 느낄 경우 제품 외관의 장식을 손쉽게 변경하여 제품을 계속해서 새 것과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은 조명부(140)와 같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빛을 밝힘으로써 건물의 벽면이나 제품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 가정, 사무실, 카페 등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TV, 컴퓨터, 평판 표시장치,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종류의 가전장치(105)를 인테리어 마감패널(100)에 설치하여 실내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설치부와 결합부재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200)은 설치부(210)와 제1패널부(220)를 포함한다.
설치부(210)는 고정면(10)에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설치부(210)는 고정면결합부(211) 및 패널결합부(215)를 포함한다.
고정면결합부(211)는 고정면(10)에 결합되며, 패널결합부(215)는 고정면결합부(211)와의 사이에 고정홈부(부호생략)가 형성되도록 고정면결합부(211)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면결합부(211)와 패널결합부(215)를 갖는 설치부(210)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홈부는 이와 같이 형성된 설치부(2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설치부(210)의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면결합부(211)에는 복수 개의 설치돌기부(212)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각 설치돌기부(212)는 고정면결합부(211)로부터 고정면(1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설치돌기부(212)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설치돌기부(212)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설치돌기부(212)는 고정면결합부(211)의 강도를 높이는 돌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설치돌기부(212)는 고정면결합부(211)와 고정면(10)을 이격시키는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부호생략)는 고정면결합부(211)와 고정면(10)이 이격된 길이만큼 고정면결합부(211)를 고정면(10) 측으로 더 큰 힘으로 가압하며 고정면결합부(211)를 고정면(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고정면결합부(211)는 고정면(10)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패널부(220)는 결합부재(225)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25)의 일측은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며, 고정홈부의 내부에서 패널결합부(215)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결합부재(225)의 타측은 패널부재(121)에 결합되고, 결합부재(225)의 일측이 패널결합부(215)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부재(225)의 일측을 탄성 지지한다.
한편, 패널결합부(215)에는 간섭돌기부(216)가 형성된다. 간섭돌기부(216)는 결합부재(225)의 일측이 밀착되는 패널결합부(215)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간섭돌기부(216)는 패널결합부(215)의 내측면에 결합부재(225)의 일측과 간섭되는 돌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부(210)에 결합된 결합부재(225)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300)은 제1패널부(320)를 포함하고, 제1패널부(320)는 몰딩부재(325)를 더 포함한다.
몰딩부재(325)는 패널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면이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몰딩부재(325)는 배면이 고정면(10)에 결합되고 전면의 일부분이 패널부재(121)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몰딩부재(325)는 고정몰딩부(326)와 절곡몰딩부(327)를 포함한다.
고정몰딩부(326)는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고정면(10)에 설치되고, 절곡몰딩부(327)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어 고정몰딩부(326)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연장된다. 이하, 제1패널부(320) 및 몰딩부재(325)가 설치되는 고정면(10)이 벽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패널부(320)가 벽면(10)에 설치되는 경우, 몰딩부재(325)는 패널부재(121)가 설치된 부분과 천장면(20) 또는 바닥면(미도시)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몰딩부재(325)는 패널부재(121)의 배후 측에 배치되어 패널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면이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몰딩부(326)는 벽면(10) 상에 설치되되, 천장면(20) 또는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절곡몰딩부(327)는 고정몰딩부(326)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 간의 틈을 메우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몰딩부(327)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고정몰딩부(326)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 간의 틈을 메운 절곡몰딩부(327)의 나머지 부분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천장면(20) 또는 바닥면과 접촉된다.
즉 절곡몰딩부(327)는, 벽면(10)에 설치된 고정몰딩부(326)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이 정확하게 맞닿지 않은 경우, 천장면(20) 또는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몰딩부(326)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절곡몰딩부(327)는, 천장면(20) 또는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경우, 천장면(20) 또는 바닥면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면서 고정몰딩부(326)와 천장면(20) 또는 바닥면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몰딩부(327)를 포함하는 몰딩부재(325)는, 고정면(10)에 설치된 패널부재(121)와 다른 고정면(20) 간의 간격의 폭 및 고정면(20)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마감면과 고정면(20)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마감패널(30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몰딩부재(325)가 패널부재(121)의 배후 측, 즉 조명부(140)의 배후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몰딩부재(325)는 조명부(140)의 배후 측에서 조명부(140)에서 발광된 빛을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몰딩부재(325)의 전면에는 반사용 물질이 도포 또는 코팅되거나 반사용 필름이 부착됨으로써 몰딩부재(325)의 빛 반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조명부(140)의 조명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400)은 커넥터(40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450)는 제1전극부(451) 및 제2전극부(455)를 포함한다.
제1전극부(451)는 패널부재(12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패널부재(121)에는 전극삽입부(422)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1전극부(451)는 전극삽입부(422)에 삽입되어 패널부재(121)에 설치된다.
제2전극부(455)는 제1전극부(451)와 이격되게 패널부재(121)에 설치된다. 제2전극부(455)는 제1전극부(451)와 마찬가지로 전극삽입부(422)에 삽입되어 패널부재(121)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전극부(451,455)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케이블(C)을 매개로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전극부(451)와 제2전극부(455)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450)가 직류 전원과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전극부(451)와 제2전극부(455) 중 어느 하나는 양극, 다른 하나는 음극을 띄도록 구비된다. 또한 전원공급부(450)가 교류 전원과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전극부(451)와 제2전극부(455)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극성이 서로 반대 극성을 띄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전극부(451,455)를 갖는 전원공급부(450)는, 패널부재(121)에 관통되게 형성된 전극삽입부(422)를 통해 패널부재(121)의 외측, 즉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50)에는 커넥터(405)가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부터 전극삽입부(422)를 통해 삽입되어 전원공급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405)는 전극삽입부(422)에 억지 끼움이나 나사 결합 형태로 삽입되어 패널부재(12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와 같이 패널부재(121)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450)의 각 극(451,455)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공급부(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전극부(451,455)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커넥터(405)의 접속부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자성(磁性)을 띄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전원공급부(450)와 연결되는 커넥터(405)는, 콘센트, USB 단자 등을 구비하거나,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5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400)은, 각종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면의 전면에 빛을 밝힘으로써 마감면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이나 분위기 연출용 또는 무드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커넥터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커넥터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500)은 전원공급부(5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550)는 가이드레일부(551)와, 제1전극부(553) 및 제2전극부(5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부(551)는 고정면(10)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가이드레일부(551)는 패널부재(121)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패널부재(121)와 고정면(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레일부(551)가 패널부재(121)의 가로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부(551)는 패널부재(121)의 세로길이방향이나 대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레일부(551)의 측부에는 결합홈부(552)가 형성된다. 결합홈부(552)는 가이드레일부(551)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레일부(5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측부에 결합홈부(552)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551)는, 전체적으로 "工"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부(551)는 부도체(不導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전극부(553,555)는 가이드레일부(551)에 설치된다. 제1전극부(553)는 가이드레일부(551)의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홈부(552)에 설치되며, 제2전극부(555)는 가이드레일부(551)의 타측부에 형성된 결합홈부(552)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전극부(553,555)는, 가이드레일부(55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레일부(551)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각 전극부(553,555)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전극부(553)와 제2전극부(555)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550)가 직류 전원과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전극부(553)와 제2전극부(555) 중 어느 하나는 양극, 다른 하나는 음극을 띄도록 구비된다. 또한 전원공급부(550)가 교류 전원과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전극부(553)와 제2전극부(555)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극성이 서로 반대 극성을 띄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1패널부(120)는 삽입부(522)를 더 포함한다. 삽입부(522)는 전원공급부(550)가 패널부재(121)의 외측, 즉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 노출되도록 패널부재(121)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삽입부(522)를 통해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 노출된 전원공급부(550)에는 커넥터(505)가 결합되어 전원공급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505)는 패널부재(121)의 전면 측으로부터 삽입부(522)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레일부(551)와 결합되며,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부(55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전극부(553,555)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부(550)에 연결되는 커넥터(505)는, 가이드레일결합부(506)를 구비한다. 가이드레일결합부(506)는 가이드레일부(55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가 가이드레일부(551)의 측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결합홈부(552)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레일결합부(506)는 가이드레일부(551)의 외측을 감싸며 가이드레일부(551)와 맞물림으로써 가이드레일부(5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단부가 결합홈부(552)에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55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아울러, 가이드레일결합부(506)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결합부(50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결합부(506) 내부의 공간이 확장되도록 벌어지면서 가이드레일부(5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결합부(506)는 그 탄성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결합부(506)의 벌어진 상태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가이드레일부(551)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505)는 가이드레일부(55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레일결합부(506)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전극(507)과 전극부(553,555) 간의 접촉에 의해 전원공급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결합부(506)와 전극부(553,555) 간의 연결에 의해, 커넥터(505)는 전극부(553,555)가 설치된 가이드레일부(551)의 길이 방향 어느 위치에서도 전극부(553,55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부(5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505)는, 콘센트, USB 단자 등을 구비하거나,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50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5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마감패널(500)은, 하나의 전원공급부(550)로 다양한 위치에 커넥터(505)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505)가 어느 특정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 충전수단,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치부재와 거치부재결합부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거치부재와 거치부재결합부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600)은 거치부재(660) 및 거치부재결합부(665)를 더 포함한다.
거치부재(660)는 패널부재(121)에 결합되어 패널부재(121)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다. 거치부재결합부(665)는 패널부재(121)에 구비되며, 이러한 거치부재결합부(665)에는 거치부재(6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재결합부(665)는 패널부재(121)에 형성되는 결합홈부(666) 및 결합홈부(666)에 설치되는 걸침부(667,678)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치부재(660)는 패널부재(1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61) 및 결합홈부(666)에 삽입되어 돌출부(661)를 걸침부(667,668)에 결합시키는 고리부(663)를 포함한다.
먼저, 돌출부(661)는 패널부재(121)와 별물로 형성되며, 패널부재(121)로부터 돌출되도록 패널부재(121)에 결합된다. 그리고 고리부(663)는 돌출부(661)의 단부 일측으로부터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걸침부(667)에 걸쳐지는 형태로 걸침부(667,66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침부(667,668)는 제1걸침부(667) 및 제2걸침부(668)를 포함한다. 제1걸침부(667)는 패널부재(121)의 가로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제1걸침부(667)에는 고리부(663)가 걸쳐져 결합된다. 제2걸침부(668)는 제1걸침부(667)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걸침부(667)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걸침부(668)는 고리부(663)가 제1걸침부(667)에 걸쳐진 상태에서 돌출부(661)의 단부 타측과 간섭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돌출부(661)는 고리부(663)와 제1걸침부(667)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걸침부(667,66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돌출부(66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 타측이 제2걸침부(668)와 간섭되어 제2걸침부(668)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661)는, 하부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패널부재(121)의 전면에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121)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660)는, 필요에 따라 패널부재(121) 상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옷, 스카프, 넥타이, 장신구 등과 같은 각종 물건을 패널부재(121) 상에 거치시킬 수 있게 이용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거치부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돌출부(661)는 그 상부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661)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662)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복수 개의 거치돌기(662)는 경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거치부재(660)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662)를 통해 돌출부(6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물건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700)은 제2패널부(770) 및 패널연결부재(780)를 포함한다.
제2패널부(770)는 전면이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771) 및 패널부재(771)를 설치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패널부(770)는 패널부재(771)가 제1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와 일직선 상의 마감면을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와 제2패널부(770)의 패널부재(77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끼움홈부(722,772)가 각각 형성된다.
패널연결부재(780)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패널연결부재(780)는 결합부(781) 및 지지부(785)를 포함한다.
결합부(781)는 지지부(785)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끼움홈부(722,772)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지지부(785)는 결합부(781)에 의해 결합된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사이에 개재되어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785)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771)의 전면 및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결합시키는 패널연결부재(780)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를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마감면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패널연결부재(780)는 서로 연결되는 제1패널부(120) 및 제2패널부(77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개재됨으로써,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간의 연결 부분을 매끄럽게 마감하여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면이 미려하게 유지되며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패널연결부재(780)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간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 간의 연결 부분이 외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거나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770)가 고정면(1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절곡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마감패널(800)은 제2패널부(870) 및 패널연결부재(880)를 포함한다.
제2패널부(870)는 전면이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871) 및 패널부재(871)를 설치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패널부(870)는 패널부재(871)가 제1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와 일직선 상의 마감면을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패널부재(871)가 제1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와 절곡된 마감면을 형성하도록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예시된다.
패널연결부재(880)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패널연결부재(880)는 제1결합부(881)와, 제2결합부(883) 및 플렉시블연결부(885)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881)는 제1패널부(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881)는 제1패널부(120)와 마주보는 측이 개구된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881)의 내부에는 제1패널부(120)의 패널부재(121)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제1결합부(881)는 이러한 형태의 결합에 의해 제1패널부(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결합부(883)는 제2패널부(87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883)는 플렉시블연결부(885)를 사이에 두고 제1결합부(881)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제2패널부(870)와 마주보는 측이 개구된, 즉 제1결합부(881)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883)의 내부에는 제2패널부(870)의 패널부재(871)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제2결합부(883)는 이러한 형태의 결합에 의해 제2패널부(87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렉시블연결부(885)는 제1결합부(881)와 제2결합부(883)를 절곡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플렉시블연결부(885)는 여러 방향으로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한 연질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패널연결부재(880)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 간의 연결 부분을 매끄럽게 마감하여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면이 미려하게 유지되며 확장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 간의 연결 부분이 외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거나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가 고정면(1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널연결부재(88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패널부(120)와 제2패널부(870) 사이에 절곡된 마감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연결부재(880)는,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두 고정면(10)이 직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거나 고정면(10)이 원이나 타원 형태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경우에도, 고정면(10)의 형상에 따라 절곡되며 두 패널부(120,870) 간의 이음새를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700,800 : 인테리어 마감패널
105 : 가전장치 110,210 : 설치부
111,211 : 고정면결합부 115,215 : 패널결합부
120,220,320 : 제1패널부 121,771,871 : 패널부재
122 : 단턱 123 : 단턱홈
124 : 설치홈 124a : 통공
125,225 : 결합부재 130 : 착탈결합부
131 : 제1착탈결합부재 135 : 제2착탈결합부재
140,140a : 조명부 150,450,550 : 전원공급부
211 : 설치돌기부 216 : 간섭돌기부
325 : 몰딩부재 326 : 고정몰딩부
327 : 절곡몰딩부 405,505 : 커넥터
422 : 전극삽입부 451,553 : 제1전극부
455,555 : 제2전극부 506 : 가이드레일결합부
551 : 가이드레일부 552 : 결합홈부
660 : 거치부재 661 : 걸침부
662 : 거치돌기 663 : 고리부
665 : 거치부재결합부 666 : 결합홈부
667 : 제1걸침부 668 : 제2걸침부
722,772 : 끼움홈부 770,870 : 제2패널부
780,880 : 패널연결부재 781 : 결합부
785 : 지지부 881 : 제1결합부
883 : 제2결합부 885 : 플렉시블연결부

Claims (20)

  1. 고정면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는,
    마감면을 형성하는 패널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설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패널부를 상기 고정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는 제1착탈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착탈결합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는,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재에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조명설치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고정면에 결합되는 고정면결합부; 및
    상기 고정면결합부와의 사이에 고정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면결합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면결합부로부터 상기 고정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설치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기부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은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이 상기 패널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에 밀착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설치부로부터의 상기 결합부재의 이탈을 억제하는 간섭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설치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패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 및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결합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설치되는 걸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패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침부에 결합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침부는, 상기 고리부가 걸쳐져 결합되는 제1걸침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걸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마감면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몰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재는, 상기 고정면에 설치되는 고정몰딩부 및 상기 고정몰딩부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는 절곡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2패널부;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결합시키는 패널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끼움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널연결부재는, 상기 끼움홈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재는,
    상기 제1패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2패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마감패널.
KR1020130013114A 2012-03-09 2013-02-05 인테리어 마감패널 KR101436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4252 2012-03-09
KR1020120024252 2012-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350A true KR20130103350A (ko) 2013-09-23
KR101436844B1 KR101436844B1 (ko) 2014-09-02

Family

ID=4913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114A KR101436844B1 (ko) 2012-03-09 2013-02-05 인테리어 마감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6844B1 (ko)
CN (2) CN1049122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74Y1 (ko) * 2015-11-24 2016-09-2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210084069A (ko) 2019-12-27 2021-07-07 대륙종합건설 주식회사 실내 천장용 친환경 마감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15A1 (ko) * 2017-06-28 2019-01-03 황보민 패널 고정 어셈블리
CN108678319A (zh) * 2018-04-15 2018-10-19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简易快速安装的塑木墙板
CN108678321A (zh) * 2018-04-15 2018-10-19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高温防水的塑木墙板
CN108661264A (zh) * 2018-04-15 2018-10-16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能够快速降温的塑木墙板
CN108678320A (zh) * 2018-04-15 2018-10-19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隔噪音的塑木墙板
CN108560817A (zh) * 2018-04-15 2018-09-2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抗震动的塑木墙板
CN110847306B (zh) 2018-08-21 2022-09-27 科勒公司 带有可互换面的前裙板水槽
US11324318B2 (en) 2018-10-04 2022-05-10 Kohler Co. Apron front sink panel assembly
US11781302B2 (en) 2020-01-24 2023-10-10 Kohler Co. Sink having removable apron and accessory systems
USD952808S1 (en) 2020-01-24 2022-05-24 Kohler Co. Sink
CN111705942A (zh) * 2020-07-01 2020-09-25 董晨 一种建筑用便于安装的隔热板
CN114412113A (zh) * 2022-01-15 2022-04-29 上海久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麦秸秆再利用的装饰组装板材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969A (en) * 1994-04-28 1995-10-24 Stibolt; Paul E. Drywall corner finishing device
CN2196655Y (zh) * 1994-05-04 1995-05-10 张尅广 一种墙板
JPH08239948A (ja) * 1995-03-01 1996-09-17 Fujita Corp アモルファス太陽電池パネル一体型打ち込み型枠
CN2435459Y (zh) * 2000-07-11 2001-06-20 苏信义 具光源装置的板材
CN1374430A (zh) * 2001-03-12 2002-10-16 姜立平 一种挂扣式装饰板材安装连接方法
JP2005139856A (ja) * 2003-11-10 2005-06-02 Hyogoken Tokigawara Kogyo Kumiai 建築補助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壁面構造、床構造
KR100740254B1 (ko) * 2005-07-15 2007-07-16 김순호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200417854Y1 (ko) * 2006-03-03 2006-06-05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패널의 조립부재
BRPI0906942A2 (pt) * 2008-01-10 2015-07-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de ladrilhagem iluminada, e, método para ladrilhar uma parede.
CN201447826U (zh) * 2009-07-06 2010-05-05 朱斌华 背栓式装饰墙板
CN201802020U (zh) * 2009-08-04 2011-04-20 吴小国 环保型可循环使用装饰板
CN201567758U (zh) * 2009-08-04 2010-09-01 湖南鑫美格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插挂式踢脚线
CN102199944A (zh) * 2010-03-26 2011-09-28 何其佳 一种建筑装饰板材及其连接用可伸缩榫舌
CN202324544U (zh) * 2011-10-19 2012-07-11 湖南鑫美格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组件式翅状斜面踢脚线
KR101190249B1 (ko) * 2012-02-08 2012-10-12 롯데건설 주식회사 건식벽체 스터드의 원터치 결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74Y1 (ko) * 2015-11-24 2016-09-2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휴대용 책상 칸막이
KR20210084069A (ko) 2019-12-27 2021-07-07 대륙종합건설 주식회사 실내 천장용 친환경 마감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2281A (zh) 2015-09-16
CN104912281B (zh) 2017-10-13
CN103306454A (zh) 2013-09-18
CN103306454B (zh) 2015-07-15
KR101436844B1 (ko)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844B1 (ko) 인테리어 마감패널
CN108603654B (zh) 用于扁平化照明模块的可拆卸电连接件
CN203375650U (zh) 面板装饰条结构和空调器
CN106195789A (zh) 一种无边框式线条灯
CN211450452U (zh) 一种磁铁安装led线条灯
KR101739914B1 (ko) 천장설치용 라인타입 조명기구
CN216597367U (zh) 一种开关面板
CN205331921U (zh) 装饰夜灯
EP2458265B1 (en) Recessed lighting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CN104716524A (zh) 多功能墙壁插座
KR20100044953A (ko) 천정등기구
KR200491539Y1 (ko)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CN107906420B (zh) 一种可串接式线性光源
CN104534333A (zh) 可转动、快速更换和防滑滚led灯
CN206412277U (zh) 一种墙壁开关
CN204313078U (zh) 可换多针头的led日光灯管
US11598499B1 (en) LED strip lamp having removable power supply module
CN208397928U (zh) 一种圆柱状橱柜灯
CN205137202U (zh) 三组件式可拆卸台灯
CN215570018U (zh) 磁吸附式灯线分离条形灯具结构
CN203576121U (zh) 具有模块化照明承板的展示架
KR101294376B1 (ko)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CN217902661U (zh) 一种新型消防标志灯具
CN215771668U (zh) 一种具有装饰功能的桌面插座
CN207558340U (zh) 一种广告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