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39Y1 -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39Y1
KR200491539Y1 KR2020190001577U KR20190001577U KR200491539Y1 KR 200491539 Y1 KR200491539 Y1 KR 200491539Y1 KR 2020190001577 U KR2020190001577 U KR 2020190001577U KR 20190001577 U KR20190001577 U KR 20190001577U KR 200491539 Y1 KR200491539 Y1 KR 200491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astening
groove
outle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천
Original Assignee
민승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천 filed Critical 민승천
Priority to KR2020190001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등을 레일콘센트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레일등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레일등하우징과 체결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홈과 대접되는 제2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대접되는 형태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측 양측벽에는 전극단속홈과 체결돌기홈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레일체결뭉치; 및 상기 레일체결뭉치를 레일콘센트와 결합시키는 동시에 레일등의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을 연결해 주기 위해 상기 레일체결뭉치 내부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레일등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심플하고 간편한 조작에 의해 쉽게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체에 결합되는 전극접속단을 이격부에 의해 외측으로 밀착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레일체결뭉치의 사이가 완충대와 탄성볼록대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 결합됨으로써, 레일등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CONNECTING DEVICE FOR RAIL TYPE LAMP}
본 고안은 실내 전시회나 갤러리, 박물관, 상점 등에 설치되어 조명등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레일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등을 레일콘센트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실내공간을 꾸미기 위해 다양한 조명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은 조명장치의 외형적인 아름다움과 광원의 색감과 밝기 등으로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있다.
그 중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어느 한 곳에 고정 설치되면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조명기구의 위치를 상황에 따라 이동시켜 실내 분위기의 변화를 주고 싶다는 요구가 생겼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레일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레일등은, 일반적인 콘센트와 달리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조명기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긴 형태의 레일 형태로 되는 레일콘센트가 설치되고, 레일콘센트를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를 이동하며 소비가자 원하는 방향 및 위치에 광원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레일콘센트는 꽂을 수 있는 플러그의 개수에 제한이 없어 다수의 플러그를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제품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 및 미적인 측면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커피숍 등 공공장소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레일등은 레일콘센트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레일콘센트와 레일등을 연결해주는 커넥터가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 커넥터의 내부 구성이 복잡해 부피가 커지고 투박해 레일등의 디자인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레일등용 레일등을 레일콘센트에 설치할 때 설치자가 복잡한 설치과정을 수행해야 하거나, 강한 근력을 필요로 하는 등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015075호를 보면, 치외조작편을 내측으로 압입하여 스프링이 플레이트를 압축시키도록 한 급전 플러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제작비가 고가이고 부피가 커 설치와 유지 보수가 힘들며, 레일의 전체 하면을 가로 질러 하나의 급전 플러그만 배치되므로 공간의 절약과 조명의 집중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015075호 문헌 2 :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32268호 문헌 3 :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12495호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레일등을 간편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구조의 최적화를 통해 부품의 수를 최소화 하여 심플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해 설치를 쉽게할 수 있는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극접속단을 회전체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전극접속단을 회전체의 결합홈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하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결합하는 레일체결뭉치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하게 결합이 되고, 전극의 확실한 접속이 되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등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레일등하우징과 체결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홈과 대접되는 제2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대접되는 형태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측 양측벽에는 전극단속홈과 체결돌기홈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레일체결뭉치; 및 상기 레일체결뭉치를 레일콘센트와 결합시키는 동시에 레일등의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을 연결해 주기 위해 상기 레일체결뭉치 내부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는, 일측에 작동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하 결합홈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체결돌기홈에 삽입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회전체의 결합홈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극접속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체결뭉치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라운드 형성되는 회전체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체결돌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체결돌기작동홈이 라운드 형성되는 보조지지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체결뭉치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라운드 형성되는 회전체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체결돌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체결돌기작동홈이 라운드 형성되는 보조지지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양 측벽에는 상하로 길게 찢어진 형태의 완충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대에는 탄성볼록대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콘센트와 결합 시 견고히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레일등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심플하고 간편한 조작에 의해 쉽게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체에 결합되는 전극접속단을 이격부에 의해 외측으로 밀착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레일체결뭉치의 사이가 완충대와 탄성볼록대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 결합됨으로써, 레일등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에 커넥팅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에 커넥팅 장치를 결합하기 전 상태의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커넥팅 장치의 확대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커넥팅 장치의 분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에 커넥팅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에 커넥팅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레일등이 구비되는 레일등하우징(100)과, 레일등하우징(100)을 레일콘센트(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체결하기 위한 레일체결뭉치(200) 및 레일콘센트의 전극과 레일등의 전극을 연결해 주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100)은 LED 등으로 되는 공지의 레일등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양측에는 제1가이드홈(110)과 제1가이드돌기(12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레일체결뭉치(200)는 일측이 레일등하우징(100)에 체결되고, 타측은 공지의 레일콘센트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레일체결뭉치(200) 일측에는 레일등하우징(100)의 제1가이드홈(110)과 대접되는 형태의 제2가이드돌기(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레일등하우징(100)의 제1가이드돌기(120)와 대접되는 형태의 제2가이드홈(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양측벽에는 전극단속홈(230)과 체결돌기홈(240)이 상하단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단속홈(230)과 체결돌기홈(240)은 길게 장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체결뭉치(200)가 레일콘센트와 체결 시 측벽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양측벽에는 상하로 길게 찢어져 탄성을 가지는 형태의 완충대(250)가 형성되고, 완충대(250)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볼록대(2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는 레일체결뭉치(200)를 레일콘센트와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레일등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레일등의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을 연결하거나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는 회전체(310)와, 회전체(3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320) 및 전극접속단(330)을 포함한다. 회전체(3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하 결합홈(31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310)의 일측에는 회전체(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손잡이부(314)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체(310)의 양측에는 체결돌기(320)가 돌출되어 레일콘센트와 체결 또는 분리된다. 또한, 회전체(310)에 형성된 결합홈(312)에는 전극접속단(330)이 삽입되어 양측 내벽면에 밀착 결합되는데, 전극접속단(330)의 상하 끝단은 각각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접속단(330)의 사이에는 이격부(340)가 삽입되어 전극접속단(330)이 빠지지 않도록 결합홈(312)의 벽면측으로 밀착시키며, 이를 위해 이격부(340)는 상단이 양측으로 갈라지며 탄성을 가지도록 탄성부(34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완충홈(344)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체결뭉치(200)의 내부에는 회전체(310)의 회전 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지지대(400)에는 회전체(31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체 지지홈(410)이 라운딩 되어 형성되며, 회전체(310)의 체결돌기(32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체결돌기작동홈(4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레일등하우징(100)과 레일콘센트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일체결뭉치(200)가 레일등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레일등하우징(100)의 일측 끝단에서 레일체결뭉치(200)를 끼워 결합한다. 레일체결뭉치(200)의 제2가이드돌기(210)는 레일등하우징(100)의 제1가이드홈(110)에 접하고, 레일체결뭉치(200)의 제2가이드홈(220)은 레일등하우징(100)의 제1가이드돌기(120)에 접하면서 체결된다. 따라서 레일체결뭉치(200)는 레일등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레일체결뭉치(200)의 내측에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와 보조지지대(400)가 삽입 결합된다. 즉, 보조지지대(400)는 레일체결뭉치(20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에 구비된 걸림대(430)가 레일체결뭉치(2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270)에 끼움 결합된다. 보조지지대(400)는 레일체결뭉치(2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받침판(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지지대(400)의 회전체 지지홈(410)에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의 회전체(310)의 일측이 지지되어 결합되며, 체결돌기작동홈(420)에는 회전체(310)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3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300)의 회전체(310)에 형성된 결합홈(312)에는 전극접속단(330)이끼움 결합되며, 전극접속단(330)의 사이에는 이격부(340)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전극접속단(330)의 하단은 받침판(50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레일등의 전극과 연결된다.
이렇게 레일등하우징(100)에 체결된 레일체결뭉치(200)를 다시 레일콘센트에 삽입 위치시킨다. 이때, 레일체결뭉치(200)에 구비된 양측 탄성볼록대(260)가 레일콘센트의 내벽면에 밀착 접하면서 레일체결뭉치(200)와 레일콘센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준다.
그리고 회전체(310)의 작동손잡이부(314)를 회전시킨다. 회전되는 회전체(31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돌기(320)가 체결돌기작동홈(420)에서 작동을 하게 되며, 체결돌기작동홈(420)과 직각의 상태가 되면서 레일콘센트에 끼움 체결되어 고정된다. 동시에, 전극접속단(330)도 회전체(31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단이 레일콘센트의 전극과 접하면서 레일콘센트의 전원이 전극접속단(330)을 통해 레일등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레일등의 교체 및 위치의 이동을 위해 레일등하우징(100)을 레일콘센트로부터 분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손잡이부(314)를 결합때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310)가 회전하게 되고, 레일콘센트에 끼움 결합되어 있던 회전체(310)의 체결돌기(320)가 레일콘센트에서 인출된다. 즉, 체결돌기(320)가 회전하여 체결돌기작동홈(420)의 어느 일측 끝단으로 위치하면서, 레일체결뭉치(200)가 레일콘센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310)가 회전하면서 전극접속단(330)의 상측 전극이 레일콘센트로부터 단락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100 : 레일등하우징 110 : 제1가이드홈
120 : 제1가이드돌기 200 : 레일체결뭉치
210 : 제2가이드돌기 220 : 제2가이드홈
230 : 전극단속홈 240 : 체결돌기홈
250 : 완충대 260 : 탄성볼록대
300 :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 310 : 회전체
312 : 결합홈 314 : 작동손잡이부
320 : 체결돌기 330 : 전극접속단
340 : 이격부 400 : 보조지지대
410 : 회전체 지지홈 420 : 체결돌기작동홈

Claims (5)

  1. 레일등이 구비되며, 양측에 제1가이드홈과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레일등하우징;
    일측에는 상기 레일등하우징과 체결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홈과 대접되는 제2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대접되는 형태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측 양측벽에는 전극단속홈과 체결돌기홈이 각각 길게 형성되는 레일체결뭉치;
    상기 레일체결뭉치를 레일콘센트와 결합시키는 동시에 레일등의 전극과 레일콘센트의 전극을 연결해 주기 위해 상기 레일체결뭉치 내부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양 측벽에 상하로 길게 찢어진 형태로 구비되는 완충대; 및
    상기 완충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콘센트와 결합 시 견고히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볼록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결합및전극연결부는,
    일측에 작동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하 결합홈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체결돌기홈에 삽입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회전체의 결합홈에 끼워지며, 상하단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극접속단;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전극접속단의 사이에는, 상단이 양측으로 갈라지며 탄성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완충홈이 형성되어 양측 전극접속단의 사이를 탄성 이격시키는 이격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레일체결뭉치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라운드 형성되는 회전체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하단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도록 삽입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의 체결돌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체결돌기작동홈이 라운드 형성되는 보조지지대가 더 결합되며, 상기 레일체결뭉치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대가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1577U 2019-04-17 2019-04-17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KR200491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77U KR200491539Y1 (ko) 2019-04-17 2019-04-17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77U KR200491539Y1 (ko) 2019-04-17 2019-04-17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539Y1 true KR200491539Y1 (ko) 2020-04-23

Family

ID=7045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77U KR200491539Y1 (ko) 2019-04-17 2019-04-17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73A (ko) * 2021-07-30 2023-02-07 동명전기 주식회사 레일형 조명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75A (ko) 2010-08-11 2012-0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93010A (ko) * 2013-01-17 2014-07-25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KR20170027570A (ko) * 2015-09-02 2017-03-10 김동환 레일 조명등
KR200486470Y1 (ko) * 2017-12-18 2018-07-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등기구용 레일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75A (ko) 2010-08-11 2012-0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93010A (ko) * 2013-01-17 2014-07-25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KR20170027570A (ko) * 2015-09-02 2017-03-10 김동환 레일 조명등
KR200486470Y1 (ko) * 2017-12-18 2018-07-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등기구용 레일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73A (ko) * 2021-07-30 2023-02-07 동명전기 주식회사 레일형 조명등기구
KR102574552B1 (ko) * 2021-07-30 2023-09-06 동명전기 주식회사 레일형 조명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443B2 (en) Directional adjustable swivel lighting-fixture
US10408392B2 (en) Outdoor lamp holder and outdoor lamp string using same
WO2018045741A1 (zh) 吸顶灯结构
KR20180071068A (ko) 조명레일용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090213621A1 (en) Luminaire profile
JP3157497U (ja) 直管形led蛍光灯のダクトレールへの取付装置
KR200491539Y1 (ko)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WO2022121757A1 (zh) 一种灯具级联装置及级联灯具
KR101325780B1 (ko) 조명기구 설치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레이스웨이용 조명기구
US6509678B2 (en) Clamping structure assembly of projection lamp
EP3591288B1 (en) Lamp
KR100982013B1 (ko) 엘이디 등기구
WO2021088631A1 (zh) 光源模组及线性灯具
KR100936450B1 (ko)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JP5030294B2 (ja) 照明器具
KR200350503Y1 (ko) 천장용 실내등의 조명커버 결합구조
KR102276440B1 (ko) 고정 위치 조절 구조의 레일 조명 장치
CN111780057A (zh) 用于安装灯具的卡扣组件及照明结构
WO2022121721A1 (zh) 一种灯具
CN211295645U (zh) 一种安插式灯头
CN209839804U (zh) 一种照明系统
CN210891288U (zh) 一种分体式安装基座的吸顶灯及其通电结构
KR200344380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CN210979438U (zh) 灯具底座组件及灯具
KR100414545B1 (ko) 형광등의 매입형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