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50B1 -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50B1
KR100936450B1 KR1020070037046A KR20070037046A KR100936450B1 KR 100936450 B1 KR100936450 B1 KR 100936450B1 KR 1020070037046 A KR1020070037046 A KR 1020070037046A KR 20070037046 A KR20070037046 A KR 20070037046A KR 100936450 B1 KR100936450 B1 KR 10093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main body
connection means
fluorescent lamp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290A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선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일일렉콤 filed Critical (주)선일일렉콤
Priority to KR102007003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타 형광등기구와 이격공간없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직렬형으로 연속 연결이 가능하고 고장수리시 타 형광등기구를 분리하지 않고 해당 형광등기구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본체에 형광등을 결합시켜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제1전원연결수단;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타 본체의 제1전원연결수단과 접속 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원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37046
형광등기구, 슬라이딩클립, 전원연결코드, 단자핀, 절연, 병렬연결

Description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Fluorescent Lighting Device Having Sliding Type Power Connection}
도1은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4a 내지 도4f는 본 발명의 일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4a는 A-A선 단면도,
도4b는 B-B선 단면도,
도4c는 C-C선 단면도,
도4d는 D-D선 단면도,
도4e는 E-E선 단면도,
도4f는 도4e의 "F"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전원연결수단의 작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과 제2전원연결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과 제2전원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0 : 제1전원연결수단
110 : 함입부 120 : 단자핀
200 : 제2전원연결수단 210 : 전원연결코드
211 : 결합돌기 212 : 매립단자
213 : 절연부 220 : 슬라이딩클립
221 : 결합홈 230 : 슬라이딩수단
231 : 단턱부 232 : 걸림부
233 : 탄성편 234 : 연장부
본 발명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타 형광등기구와 이격공간없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직렬형으로 연속 연결이 가능하고 고장수리시 타 형광등기구를 분리하지 않고 해당 형광등기구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기구는 가정에서 조명용으로 단독 사용되거나, 각종 전시 장, 진열대 등과 같이 상품 등을 전시하는 공간에서 상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조명효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나 형태에 따라 조명효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형태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조명용 형광등기구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직렬형 형광등기구 또는 모듈형 형광등기구에 있어서는, 다수의 형광등기구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전원접속장치의 전력선을 잘 정리하여 배선하는 것이 조명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깔끔해 보여 외관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형광등기구들을 직렬 형태로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전원 연결구조를 갖는 종래의 형광등기구는 이웃하는 다른 형광등기구와의 배선 연결때문에 형광등기구 사이에 불가피하게 이격공간이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기구는 중간에 삽입된 형광등기구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들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모든 형광등기구를 상호 분리하여 배선 연결을 해제한 후 수리하여야 할 형광등기구를 제거해야 하므로 형광등기구의 설치 및 보수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형광등기구를 직렬형으로 배치할 때 이웃하는 타 형광등기구와의 이격공간을 없애서 상호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개 중 어느 하나의 형광등기구의 교환시 이웃하는 타 형광등기구를 분리하지 않고 해당 형광등기구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형광등기구의 설치 및 보수관리를 간편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형광등을 결합시켜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제1전원연결수단;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타 본체의 제1전원연결수단과 접속 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원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은,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에 병렬 연결된 전원연결코드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연결코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클립은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측 양측면에 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슬라이딩클립의 양측면에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클립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코드에는 상기 결합홈에 탄성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클립에는 상기 전원연결코드가 이웃하는 타 본체의 제1전원연결수단과 접속될 때 두 본체 간의 경계부위를 감싸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된 본체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은, 타 본체의 제2전원연결수단이 삽입되는 함입부와 상기 함입부에 돌출되지만 본체 내에 수용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은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매립단자와 상기 매립단자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단자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에는 상기 단자핀이 삽입 가능하도록 매립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4a 내지 도4f는 본 발명의 일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4a는 A-A선 단면도, 도4b는 B-B선 단면도, 도4c는 C-C선 단면도, 도4d는 D-D선 단면도, 도4e는 E-E선 단면도, 도4f는 도4e의 "F"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전원연결수단의 작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과 제2전원연결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전원연결수단과 제2전원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는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구비된 제2전원연결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기(11)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외부에는 형광등(12)이 결합되어 상기 안정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점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안정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원연결수단(1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은 소정형상을 갖는 함입부(110)와, 상기 함입부(110)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핀(120)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의 구조는 특히 도4a 및 도4b에 잘 나타나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함입부(110)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타 본체(10)의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요홈이다.
상기 함입부(110)는 타 본체(10)의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실시하였지만, 상기 함입부(110)의 형상은 반드시 도4a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함입부(110)가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타 본체(10)의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상기 함입부(110)에 삽입될 때 꼭 맞게 되어 서로 다른 두 본체(10)간에 유동 발생이 적어지고 두개의 본체(10)가 직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
이때, 상기 함입부(11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요홈 형태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한 바, 상기 함입부(110)가 상부 개방형 요홈의 형상을 갖게 되면 서로 다른 두 본체(10)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위치 차이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가령 제조시 설계 오차나 본체(10)간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두 본체(10)간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함입부(110)가 상부 개방형 요홈의 형상을 갖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입부(11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함입부(11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핀(120)은 상기 함입부(110)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정기(11)와 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자핀(120)은 상기 함입부(110)내에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지만, 그 길이는 상기 본체(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적정하게 설정되어야 하는바, 만약 상기 단자핀(120)이 상기 본체(10) 밖으로 돌출된다면 상기 본체(10)가 이웃하는 다른 본체(10)와 직렬형으로 배치될 경우 상기 단자핀(120)에 의하여 타 본체(10)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이격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상기 단자핀(120)의 길이는 상기 함입부(110) 상에 돌출되지만 상기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구비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제2전원연결수단(200)은 상호 병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둘 중 어느 한 곳으로 전원이 공급되어도 본체(10)에 결합된 형광등(12)이 점등되며,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 또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면 별도로 마련된 전원커넥터를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 또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접속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본 체(10)로부터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접속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의 단자핀(120)과 병렬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210)와, 상기 전원연결코드(210)가 본체(10)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클립(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원연결코드(210)는 슬라이딩클립(220)을 매개로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딩클립(220)과 전원연결코드(210)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4c 및 도4f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과 상기 전원연결코드(210)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일측에는 소정형상의 결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코드(21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221)에 탄성 결합되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211)는 탄성 수축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결합홈(221)에 탄성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연결코드(210)가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에 결합되면 도6a 및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 타측에서 본체(1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본체(10)들끼리 직렬형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전원의 공급이 본체(10)의 양 끝단 중 어느 한 곳에서 이루어질 때 별도의 전원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의 단자핀(120)이나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의 전원연결코드(210)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의 공급이 본체(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질 경우, 예를 들면 전원공급원(1)이 천장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연결코드(210)를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연결코드(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다.
여기서,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의 전원연결코드(210)에는 도4c 및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단자(212)와, 상기 매립단자(212)를 감싸는 절연부(213)가 구비된다.
상기 매립단자(212)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에 구비된 단자핀(120)과 접속되는 구성으로, 실질적으로는 동일 본체(10) 내에서 단자핀(120)과 병렬 연결되고, 상기 매립단자(212) 주변을 전기가 통하지 않는 상기 절연부(213)가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코드(210)가 본체(10)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형상은 도4e 및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이와 함께 도3, 도6a, 도6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은 슬라이딩수단(230)을 매개로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수단(230)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 일예로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단턱부(231)와, 상기 단턱부(231)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에 형성된 걸림부(232)를 마련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단턱부(231)는 상기 본체(10)의 타측 양측면 상에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단턱부(231) 쪽으로 탄성편(233)이 연장 형성되고, 그 탄성편(233) 끝단에 상기 단턱부(231)에 걸리는 걸림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이 본체(10)로부터 빠지지 않고 본체(10)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는 상기 탄성편(233)을 약간 벌려서 상기 걸림부(232)가 상기 단턱부(231)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은 도4f, 도6b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접속될 때 두 본체(10)간의 경계 부위를 감싸서 두 본체(10)의 결속력을 높일수 있도록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의 전원연결코드(21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돌출될 때 소정부분 같이 돌출되는 연장부(2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이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전원연결코드(210)가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의 함입부(110)로 삽입될 때 상기 연장부(234)는 상기 본체(10) 끝단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두 본체(10)간의 경계부위를 감싸서 두 본체(10)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되고, 두 부재간에 미세하게 생기는 간격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다.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연장부(234)가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쪽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되어 전원연결코드(210)가 타 본체(10)의 함입부(110)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사용자가 그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234)의 선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돌기(234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이 구비된 본체(10)에서 상기 걸림돌기(234a)에 대응하는 곳에는 걸림홈(10a)이 형성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에는 돌출된 단자핀(120)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에는 상기 단자핀(120)이 삽입되는 매립단자(212)가 구비되었지만, 이들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변경이 가능하다.
즉, 슬라이딩되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단자핀(240)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에 상기 단자핀(240)이 삽입되는 매립단자(14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벽체 또는 천장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고정클립을 벽체 또는 천장에 부착한 다음 상기 고정클립의 내부에 본체(10)를 밀어넣어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벽체나 천장에 설치된 형광등기구를 하나만 사용할 경우에는 본체(1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 제1전원연결수단(100)이나 제2전원연결수단(200)에 알맞은 전원커넥터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특히, 형광등기구가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전원공급원(1) 역시 천장에 있는 경우라면 제1전원연결수단(100)보다는 제2전원연결수단(20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에는 슬라이딩클립(220)을 본체(10)로부터 탈거하고 슬라이딩클립(220)과 전원연결코드(210)를 분리하여 상기 전원연결코드(210)를 직접 전원공급원(1)에 연결하는 것이 편리하다.
한편, 벽체나 천장에 고정된 형광등기구에 인접하여 또 다른 형광등기구를 직렬형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본체(10)들 간에 이격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되게 고정시키고, 고정이 완료되면 제2전원연결수단(200)을 제1전원연결수단(100) 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이웃하는 형광등기구끼리 전원 연결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광등기구를 직렬형으로 배치하는 것은 그 개수에 관계없이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광등기구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킨 후, 제2전원연결수단(200)을 슬라이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전원연결이 매우 간편하다.
뿐만 아니라, 직렬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형광등기구 중 중간에 배치된 형광등기구가 고장이 나서 그 고장난 형광등기구를 새것으로 교환하고자 할 때에도 이웃하는 다른 형광등기구를 함께 분리할 필요없이 제2전원연결수단(200)만 원래의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면 고장난 형광등기구와 이웃하는 형광등기구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고장난 형광등기구만을 간편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개의 형광등기구를 직렬형으로 연결하는데 있어 별도의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슬라이딩시키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웃하는 형광등기구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형광등기구간의 경계부위를 별도로 감싸게 되므로 외관이 개선되면서 형광등기구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전원연결코드를 본체 및 슬라이딩클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원의 위치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다수개의 형광등기구를 직렬형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중간에 있는 형광등기구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전원연결코드만을 간단하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타 형광등기구와의 연결이 해제되므로 형광등기구의 보수관리가 매우 간편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본체(10)에 형광등을 결합시켜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전원연결수단(100);
    상기 본체(10)의 타측에서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접속 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원연결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은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에 병렬 연결된 전원연결코드(21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연결코드(210)와 결합된 슬라이딩클립(220)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일측에는 결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코드(210)에는 상기 결합홈(221)에 탄성결합되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은 슬라이딩수단(230)을 매개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230)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양측면에 본체(10)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부(231)와,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양측면에 상기 단턱부(231)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에는 상기 전원연결코드(210)가 이웃하는 타 본체(10)의 제1전원연결수단(100)과 접속될 때 두 본체(10) 간의 경계부위를 감싸는 연장부(2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34)의 선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이 구비된 본체(10)에는 상기 걸림부(232)에 걸리는 걸림홈(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은,
    타 본체(10)의 제2전원연결수단(200)이 삽입되는 함입부(110)와 상기 함입부(110)에 돌출되지만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단자핀(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은,
    상기 단자핀(120)과 접속되는 매립단자(212)와 상기 매립단자(212)를 감싸는 절연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연결수단(200)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단자핀(2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수단(100)에는 상기 단자핀(240)이 삽입 가능하도록 매립단자(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20070037046A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093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46A KR100936450B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46A KR100936450B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90A KR20080093290A (ko) 2008-10-21
KR100936450B1 true KR100936450B1 (ko) 2010-01-13

Family

ID=4015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46A KR100936450B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056B1 (ko) * 2016-03-25 2017-08-14 용은지 조명장치
KR20170003314U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조명장치
KR20210054199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379U (ko) 1974-06-14 1976-03-27
KR20040104047A (ko) * 2003-06-02 2004-12-10 남민영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KR200425692Y1 (ko) * 2006-06-14 2006-09-13 양 흐시엔-린 슬라이드형 전원어댑터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379U (ko) 1974-06-14 1976-03-27
KR20040104047A (ko) * 2003-06-02 2004-12-10 남민영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KR200425692Y1 (ko) * 2006-06-14 2006-09-13 양 흐시엔-린 슬라이드형 전원어댑터 플러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14U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85977Y1 (ko) * 2016-03-15 2018-03-19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64056B1 (ko) * 2016-03-25 2017-08-14 용은지 조명장치
KR20210054199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KR102280802B1 (ko) * 2019-11-05 2021-07-22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90A (ko)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599B1 (en)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JP5981657B2 (ja) 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US20110086542A1 (en) Power strip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3157497U (ja) 直管形led蛍光灯のダクトレールへの取付装置
KR101764056B1 (ko) 조명장치
US20170012256A1 (en) Battery box and a neckla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080032940A (ko) 형광 램프
RU2399834C1 (ru) Ламповое гнездо и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с таким гнездом
KR100936450B1 (ko)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20160055575A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2292015B1 (ko) 간편 장착 및 전원 연결구조를 갖는 레일조명
US20090085487A1 (en) Light sets
KR100731839B1 (ko)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JP5030294B2 (ja) 照明器具
KR200491539Y1 (ko)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JP3118854U (ja) ダクトレール用の電気プラグ
CN208794173U (zh) 一种可拼接组合灯具
KR100636701B1 (ko) 광고판용 램프 지지장치
CN207316567U (zh) 线条灯
KR20090092564A (ko) 형광등기구
KR20100088475A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KR101155781B1 (ko) 벽등
KR20170113480A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