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199A -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 Google Patents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199A
KR20210054199A KR1020190140026A KR20190140026A KR20210054199A KR 20210054199 A KR20210054199 A KR 20210054199A KR 1020190140026 A KR1020190140026 A KR 1020190140026A KR 20190140026 A KR20190140026 A KR 20190140026A KR 20210054199 A KR20210054199 A KR 20210054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liding
lead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802B1 (ko
Inventor
한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Priority to KR102019014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8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되는 라인등하우징; 상기 라인등하우징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 중 어느 한측의 커넥터홀더를 통하여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접속커넥터;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를 인입출하기 위해 상기 라인등하우징의 하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조절부; 로 이루어지져,
다수의 라인등을 직렬 형으로 배열 배치하며 연결할 때 이격하는 타 라인등과의 이격 공간을 없애고 상호 긴밀한 밀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조명 및 인테리어 연출 효과 및, 다수개로 직렬 연결되는 라인등들 중 일부에서 수리, 교체 등의 사유가 발생되었을 때 주변의 여러 라인등을 분리하지 않고, 해당되는 라인등만을 교체할 수 있어 라인등의 설치 및 보수 관리 등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LED line lights that are installed continuously}
본 발명은 라인등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모듈을 조명원으로 하는 라인등을 연속 설치하는 구조에서 각각의 라인등의 전원부의 접속 구조에서, 접속 불량이 발생된 라인등을 선택하여 탈락시키고 재설치하는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 등 주거지역에서 실내를 조명하거나, 각종 전시장이나 진열대 등과 같이 상품을 전시하는 매장에서는 전시된 상품의 이미지를 돋보이기 위해 상품을 조명하는 데에 직·간접 조명을 위한 등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직·간접등용 등기구는 단독으로 설치되어 주거지역의 실내나 상품을 조명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다수개 상호 연결되어 조명되기도 한다.
다수의 등기구를 상호 연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어느 하나의 등기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면 다른 나머지 등기구에도 전원이 공급, 점등되기 위해 직렬로 연결하게 된다.
도 1의 경우 주로 사용되는 종래의 등기구 중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등기구(10) 양측에 전원단자(22,32)가 구비되는 전원단자 홀(21,31)을 갖는 전원단자부(20,30)가 등기구(10) 양측에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 1에 의한 구성을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등기구(10,10')를 커넥터(40)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등기구(10,10')를 커넥터 케이블(50)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서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이용하여 등기구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다.
도 4의 구성은 국내특허등록 제10-1764056호로 등기구(100)의 한 끝단에 구비된 접속 커넥터 홀더(110)와, 상기 등기구(100)의 상기 접속 커넥터 홀더(110)에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접속 커넥터(120)와, 한 끝단에 상기 접속 커넥터(120)가 구비되고 다른 한 끝단에 전원모듈이 구비되는 접속 케이블(130)과, 상기 등기구(100)의 다른 끝단에 구비되는 전원단자부(150)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은, 등기구들이 별도의 추가 커넥터 없이 상호 간에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고, 다수개의 등기구 설치시 접속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등기구와 접속 케이블이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작업시 접속 케이블의 분실 가능성을 없애고,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갖는 기술에서, 접속 커넥터(120)는 등기구(10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갖게 된다.
즉 등기구와 등기구를 직렬로 연결 배치할 때 접속 커넥터(120) 부분이 등기구와 등기구 사이에 접속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지는데, 직렬로 다수개를 연결하는 전시장 등의 조명 특성상 특히 라인등으로 형성되어지는 전시장 등의 조명에서는 등기구와 등기구의 단락 현상에 의해 조명빛이 일자 형태로 완전히 연결되어 조사되기 보다는 등기구의 길이만큼 조명 되고 등기구와 등기구의 연결부위인 상기 접속 커넥터(120) 부분은 조명이 단절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어, 라인등으로서의 역할은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를 예상하여 접속 커넥터(120)를 완전히 등기구(100) 내부로 인입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는 제안 및 개시 가능성등이 상기한 특허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을 때, 해당 특허는 접속 커넥터(120)의 완전한 등기구 내부 인입 상태는 개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주로 직선상 또는 곡선상 연결에 주요 해결 과제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내특허등록 제10-1764056호 (2017.08.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LED를 조명원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등기구를 라인등으로 적용하여, 다수의 라인등을 직렬 형으로 배열 배치하며 연결할 때 이격하는 타 라인등과의 이격 공간을 없애고 상호 긴밀한 밀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직렬 연결되는 라인등들 중 일부에서 수리, 교체 등의 사유가 발생되었을 때 주변의 여러 라인등을 분리하지 않고, 해당되는 라인등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라인등의 설치 및 보수 관리 등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되는 라인등하우징;
상기 라인등하우징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 중 어느 한측의 커넥터홀더를 통하여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접속커넥터;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를 인입출하기 위해 상기 라인등하우징의 하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조절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라인등을 직렬 형으로 배열 배치하며 연결할 때 이격하는 타 라인등과의 이격 공간을 없애고 상호 긴밀한 밀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조명 및 인테리어 효과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직렬 연결되는 라인등들 중 일부에서 수리, 교체 등의 사유가 발생되었을 때 주변의 여러 라인등을 분리하지 않고, 해당되는 라인등만을 교체할 수 있어 라인등의 설치 및 보수 관리 등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인등하우징에서 슬라이딩조절부와 인입출접속커네턱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라인등하우징이 상하로 분리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개괄적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인입출접속커넥터측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인등을 직렬로 다수 연결한 상태에서 교체 대상이 되는 라인등을 분리하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인등의 슬라이딩조절부를 이용하여 인입출접속커넥터의 이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조절부 누름시 인입출접속커넥터가 스프링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라인등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의한 실시예의 개괄적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슬라이딩조절부를 눌렀을 때, 록킹구가 결합공으로부터 해제되는 순간 스프링부재의 복원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딩조절부와 인입출접속커넥터가 전진 이송되어 인입출접속커넥터가 인접하는 다른 라인등하우징의 제1커넥터홀더에 구비되는 고정접속단자와 분리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서의 인입출접속커넥터를 라인등하우징 내부로 인입출하기 위한 슬라이딩조절버튼을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 몸체부 측면에 구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보듯이 라인등하우징(100), 제1,2커넥터홀더(200,300), 인입출접속커넥터(420), 슬라이딩조절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라인등하우징(100)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구분되어 결합되고 상부케이스(110)는 투명수지 또는 불투명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선택하여 사출 성형되어 하부케이스(120)의 상단부측과 접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하나의 공정으로 사출 성형하여 라인등하우징(100)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각각 분리되는 라인등하우징(100)의 형태이건, 하나의 소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라인등하우징(100)의 형태이건 본 발명에서는 조명원의 발원에 의해 외부로 빛이 조사될 수 있는 케이스를 상부케이스(110)라 칭하고, 인입출접속커넥터(420) 및 슬라이딩조절부(500)가 구비되는 영역의 케이스를 하부케이스(120)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명칭상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지칭하였다 하여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만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구분하기 위하여 라인등하우징(100)의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재(121)가 구성되고, 상기 구획부재(121)의 중앙영역으로 LED기판(140)이 내입되기 위한 LED기판고정홈(122)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LED기판고정홈(122)의 일측단에는 상기 LED기판으로부터 연결되어 고정접속단자(410)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경로가이드(123)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홀더(200,300)는 제1커넥터홀더(200)와 제2커넥터홀더(300)로 이루어져, 라인등하우징(100)의 개구되는 양단측에 각각 결합된다.
제1커넥터홀더(200)는 전면 외측 하단으로 타 라인등하우징(100)의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접속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접속홈(210)에는 단자공(211)이 천공되어 고정접속단자(41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커넥터홀더(300)는 전면 외측 하단으로 전원접속부(400)의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인입출 되기 위한 인입공(310)이 천공된다.
이와 같이 제1커넥터홀더(200)와 제2커넥터홀더(300)는 각각 라인등하우징(100)의 양단측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고, 상기 라인등하우징(100)의 중앙 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121) 하단의 영역 즉 하부케이스(120)의 영역으로 상기한 전원접속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접속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부재(121)의 상면측으로 구성되는 LED기판고정홈(122)에 구비되는 LED기판(14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전원접속부(4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측으로 고정접속단자(410)가 구비되어 전술한 제1커넥터홀더(200)의 삽입접속홈(210)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를 갖고, 타측으로 인입출접속커넥터(420)를 구비하여 라인등하우징(100)의 제2커넥터홀더(300) 인입공(310)을 통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인입출접속커넥터(420)를 인입출하기 위해 상기 라인등하우징(100)의 하부 양측으로 슬라이딩조절부(50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딩조절부(500)는 인입출접속커넥터(420)와 결속 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조절부(500)를 전방향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전방향으로 전진하여 다른 라인등하우징(100)의 제1커넥터홀더(200)의 삽입접속홈(210)으로 삽입되며 고정접속단자(410)와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라인등하우징(100)을 직렬상으로 길게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조명 설치의 구조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되는 라인등하우징(100)들 중에서 중간부위 영역 중 조명이 들어오지 않는 라인등하우징(100)이 발생되었을 때 전체 조명장치를 모두 해체하는 번잡하고 번거로운 작업 없이, 교체하고자 하는 라인등하우징(100)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한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라인등하우징(100)의 선단측에서 후방측으로 후퇴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되어 인입출접속커넥터(420)도 후퇴 이송되며, 라인등하우징(100)과 라인등하우징(100)의 접속 연결상태가 해제, 분리되어진다.
즉, 교체되기 위한 해당 라인등하우징(100)의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다른 라인등하우징(100)의 제1커넥터홀더(200)의 삽입접속홈(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속 상태가 해제되면서, 교체되기 위한 해당 라인등하우징(100) 내부로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함입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교체되기 위한 라인등하우징(100)을 손쉽게 전체적으로 일자 형태로 직렬 연결되는 다른 라인등하우징(100)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본 발명에서 라인등하우징(100)과 라인등하우징(100)들이 복수개 직렬 연결 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를 이용하여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전후 슬라이딩 이송에 의한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의 작동을 위하여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이러한 슬라이딩조절부(500)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에 의한 슬라이딩조절부(500)의 원할한 작동을 위해, 라인등하우징(100)의 양측 하단으로 각각 슬라이딩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공(130)의 선단측 외주연으로 결합공(131)이 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공(130)에 상기한 슬라이딩조절부(50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공(130)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결합 된다.
한편 슬라이딩조절부(500)의 선단측에는 갈고리 형태의 록킹구(510)를 형성하고, 슬라이딩조절부(500)의 내측으로 인입출접속커넥터(42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결속돌기(5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슬라이딩조절부(500)와의 연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몸체부(421) 외주면 상하로 각각 요홈(42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요홈(422)으로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의 결속돌기(52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슬라이딩조절부(500)의 전후 슬라이딩 이송에 따라 인입출접속커넥터(420)도 동일 거리를 연동하며 전후 슬라이딩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구(510)는 라인등하우징(100)의 슬라이딩공(130) 선단측 외주연으로 결합공(131)과 체결되어, 슬라이딩조절부(50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게 되고 슬라이딩조절부(500)의 후방측을 누르게 되면 텐션 작용에 의해 록킹구(510)가 상기한 슬라이딩공(130)의 결합공(131)으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딩조절부(500)의 후진 이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결속돌기(520)는 슬라이딩조절부(500)의 내측에서 각각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요홈(422)에 강제 압입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도면 전체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조절부(500)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조절부(500)의 내측에서 결속돌기(520)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요홈(422)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부가, 대향되는 슬라이딩조절부(5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홈(53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돌기(520)와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몸체부(421)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422)과의 결속에 의해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라인등하우징(100)의 슬라이딩공(130)을 통하여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누른 후 후진 이송시킬 때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며 후방향으로 이송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프링부재(540)를 이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 에서와 같이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몸체부(421) 외측으로 격벽부(42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격벽부(423) 일면으로 스프링부재(540)를 구성하여 상기 제2커넥터홀더(300)와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540)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재(540)를 구성하는 경우, 슬라이딩조절부(500)가 라인등하우징(100)의 슬라이딩공(130) 전면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돌출되어 다른 라인등하우징(100)의 제2커넥터홀더(300)에 구비되는 고정접속단자(410)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 있게 되고, 특정 라인등을 교체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눌러 록킹구(510)가 결합공(131)과 해제되는 순간 상기 스프링부재(540)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딩조절부(500)는 후방향으로 자동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슬라이딩조절부(500)를 누른 상태에서 후방향 이송을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매우 편리하게 교체, 교환하고자 하는 라인등하우징(10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5 내지 도 18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 가능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딩조절부의 구성을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한 예를 제시한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딩조절부(50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슬라이딩조절부를 구성하기 보다는, 인입출접속커넥터(42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딩조절부는 앞서 설명한 슬라이딩조절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지만, 인입출접속커넥터(420)에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 도면부호를 이와 달리 적용하여, 도면부호 430으로 차별화하여 기재하고 명칭도 슬라이딩조절버튼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도면에서 보듯이 슬라이딩조절버튼(430)은 인입출접속커넥터(420)를 이루는 몸체부(421)의 양측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431)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431)의 외측으로 연하여 형성되는 텐션부(432)와, 상기 텐션부(432)의 전면측에 구비되는 누름구(433)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구(433)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시버튼(4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인입출접속커넥터(4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부(431) 양측면에 구비되는 누름구(433)를 누르게 되면 누름구(433)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한 관통부(431)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현상인 텐션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구(433)를 눌러 텐션을 주도록 함으로써, 누름구(433)의 양측방 인입출에 의해 라인등하우징(1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공(130) 양단에 결속 및 해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의 슬라이딩공(130)은 땅콩 모양으로 길게 천공되도록 하여 누름구(433)의 결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공(130)은 도 15 및 도 17에서 보듯이 양측으로 각각 원형상의 원형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통공(132)간을 연결하는 직선통로(133)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통로(133)의 높이는 원형통공(13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게 되고, 상기 원형통공(132) 내주면에 상기 누름구(433)의 외주면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누름구(433)를 누르게 되면 관통부(431)에 의해 텐션 가능하도록 형성된 텐션부(432)가 밀려나며 상기 원형통공(132) 내주면과 접촉되어 있던 누름구(433)의 외주면이 상기 원형통공(132) 내주면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해제 상태에 이르도록 한 후 즉, 누름구(433)를 누른 상태에서 인입출접속커넥터(420)를 슬라이딩공(130)의 직선통로(133)를 따라 후방향으로 후퇴시킨 다음 상기 직선통로(133) 후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통공(132)의 위치에서 누르고 있는 누름구(433)의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누름구(433)는 외측으로 탄성 복귀되어 누름구(433)의 외주면과 상기 직선통로(133) 후방향의 원형통공(132) 내주면과 접촉되며 인입출접속커넥터(420)가 라인등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는 라인등하우징(100)들이 복수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문제시 되는 라인등하우징(100) 즉 파손되거나 점등불량으로 판단되는 특정된 라인등하우징(100)만을 타 라인등하우징(100)들은 그대로 둔 채 분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누름구(433)를 눌러 라인등하우징(100) 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공(130)의 원형통공(132)과의 접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 16 에서 보는 것과 같은 공구(6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구(600)는 작업자가 소지한 상태에서, 직렬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라인등 중 교체하고자 하는 라인등을 분리할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누름구(430)의 전면측으로 연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도 17 내지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한 푸시버튼(434)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시버튼(434)을 눌러 전기한 작동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라인등하우징
110; 상부케이스 120; 하부케이스
121; 구획부재 122; LED기판고정홈
123; 접속경로가이드 130; 슬라이딩공
131; 결합공 132; 원형통공
133; 직선통로 140; LED기판
200; 제1커넥터홀더
210; 삽입접속공 211; 단자공
300; 제2커넥터홀더
310; 인입공
400; 전원접속부
410; 고정접속단자 420; 인입출접속커넥터
421; 몸체부 422; 요홈
430; 슬라이딩조절버튼 431; 관통부
432; 텐션부 433; 누름구
434; 푸시버튼
500; 슬라이딩조절부
510; 록킹구 520; 결속돌기
530; 체결홈 540; 스프링부재

Claims (9)

  1. 양단이 개구되고 양측 하단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공을 갖는 라인등하우징;
    상기 라인등하우징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 중 어느 한측의 커넥터홀더를 통하여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접속커넥터;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를 인입출하기 위해 상기 라인등하우징의 하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공을 따라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조절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2. 양단이 개구되고 양측 하단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딩공을 갖는 라인등하우징;
    상기 라인등하우징 양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홀더;
    상기 커넥터홀더 중 어느 한측의 커넥터홀더를 통하여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접속커넥터;
    상기 인입출접속커네턱의 하부 양측으로 구비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공으로부터 결속 또는 해제됨에 따라 고정 또는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조절버튼;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공의 선단측 외주연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상기 슬라이딩조절부가 상기 슬라이딩공에 결합되어 전후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딩공 선단측으로 구비되는 록킹구에 의해 상기 결합공과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의 몸체부 외주면 상하로 각각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조절부의 내면측으로 형성되는 결속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조절부의 전후 슬라이딩 이송에 따라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접속커넥터의 몸체부 외주면 상하로 각각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등하우징의 대향되는 슬라이딩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조절부 내측에서 결속돌기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요홈을 관통하고,
    대향되는 슬라이딩조절부의 내측으로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돌기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조절버튼은 상기 인입출접속커넥의 몸체부 양측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의 외측으로 연하여 형성되는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 전면측에 구비되는 누름구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시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공은 땅콩 모양으로 길게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공은 양측으로 각각 원형상의 원형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통공간을 연결하는 직선통로를 구성하되, 상기 직선통로의 높이는 원형통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KR1020190140026A 2019-11-05 2019-11-05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KR10228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26A KR102280802B1 (ko) 2019-11-05 2019-11-05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26A KR102280802B1 (ko) 2019-11-05 2019-11-05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99A true KR20210054199A (ko) 2021-05-13
KR102280802B1 KR102280802B1 (ko) 2021-07-22

Family

ID=7591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26A KR102280802B1 (ko) 2019-11-05 2019-11-05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218A (ko) 2021-07-22 2023-01-31 이정효 연속 연결이 가능한 엘이디 라인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494B1 (ko) * 2022-06-10 2022-12-15 이피코리아(주)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3Y1 (ko) * 1999-07-29 2000-02-1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플러그지지부가슬라이딩되는어댑터
KR200285200Y1 (ko) * 2002-04-30 2002-08-13 강동성 단자 가동식 플러그
KR20080093290A (ko) * 2007-04-16 2008-10-21 (주)선일일렉콤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1764056B1 (ko) 2016-03-25 2017-08-14 용은지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3Y1 (ko) * 1999-07-29 2000-02-1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플러그지지부가슬라이딩되는어댑터
KR200285200Y1 (ko) * 2002-04-30 2002-08-13 강동성 단자 가동식 플러그
KR20080093290A (ko) * 2007-04-16 2008-10-21 (주)선일일렉콤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0936450B1 (ko) * 2007-04-16 2010-01-13 (주)선일일렉콤 슬라이딩방식의 전원연결부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1764056B1 (ko) 2016-03-25 2017-08-14 용은지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218A (ko) 2021-07-22 2023-01-31 이정효 연속 연결이 가능한 엘이디 라인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802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00B2 (en) LED linear lamp with up and down illumination
CN103906971B (zh) 用于保持至少一个平面的面光灯的保持元件、由多个灯座和多个长的保持体构成的成套设备和发光器
US9347657B2 (en) LED Christmas lamp structure
KR20210054199A (ko) 연속 설치되는 led 라인등
KR101931013B1 (ko) 엘이디 조명기구
TW201625879A (zh) 模組高架照明系統以及提供照明的方法
EP2986888B1 (en) Retrofi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light source
US20140126211A1 (en) Structure of christmas lamp
US10677433B2 (en) Lighting device
KR101853187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702378B1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조명등의 다방향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
US9140434B2 (en) Structure combining soft core with soft head for LED christmas light with four connection pins
KR200495550Y1 (ko) 연속 설치 가능한 led 라인등 결합 구조
KR100959789B1 (ko) 착탈식 엘이디 조명등
KR101809668B1 (ko) 다용도 조명장치
KR101762171B1 (ko) 가변 점등 구조를 갖는 등기구용 엘이디 광원체
KR102035550B1 (ko)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등
CN102859628A (zh) 发光插件和电布线开关
KR100956495B1 (ko) 조명타일
US7731404B2 (en) Light source
KR20090000022U (ko) 대상물과의 용이한 체결작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램프
KR20150128122A (ko) 가설용 조명기구
KR200496429Y1 (ko) 탈착이 자유로운 직렬 연결형태의 led 조명등
EP3203145A1 (en) A lighting device
KR101729771B1 (ko) 장착 편리성을 구비한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