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080B1 - 흡음보드 - Google Patents
흡음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080B1 KR102012080B1 KR1020170104606A KR20170104606A KR102012080B1 KR 102012080 B1 KR102012080 B1 KR 102012080B1 KR 1020170104606 A KR1020170104606 A KR 1020170104606A KR 20170104606 A KR20170104606 A KR 20170104606A KR 102012080 B1 KR102012080 B1 KR 102012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absorbing
- absorbing material
- frame
- protrusion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1469 Cry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52—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peripheral frame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는 복수개의 프레임바가 연결된 프레임 내부에 흡음재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흡음재를 덮는 시트를 포함하는 흡음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바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1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1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주보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제1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음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나 영화관에 등에는 흡음보드가 설치되어 소음을 상쇄 또는 소멸시킨다.
실내에 발생되는 소음들은, 기본 골조인 콘크리트나 시멘트 층에 설치되는 카펫트 또는 쿠션 객석에 의해 소음이 상쇄되나, 벽면의 경우에는 소음 진동 또는 반사음이 공연장 내부의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 될 수 있어, 벽면에 값비싼 특수 자재 또는 흡음보드를 사용하여 벽을 두껍게 시공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종래 시공성과 경제성 문제로, 대다수의 영화관 등 벽체에는 흡음보드가 주로 시공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흡음보드는 나무 또는 MDF로 이루어진 프레임안에 흠음재를 끼워넣어 제작된다.
그러나, 다중이용시설인 공연장이나 영화관 등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될 수 있어, 최근 소방 기준이 점점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내장재는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시공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소방기준을 충족하면서도 시공성이 향상된 흡음보드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소방 기준을 충족하는 흡음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는 복수개의 프레임바가 연결된 프레임 내부에 흡음재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흡음재를 덮는 시트를 포함하는 흡음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바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1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1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주보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제1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된 상면에 상기 제1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상면에서, 상기 돌출턱과 제2 공간을 둔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보다 높게 돌출되어 선단이 상기 프레임바의 제2 측면으로 기울어져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상기 시트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흡음재 및 상기 제1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흡음재보다 강도가 높은 제1 흡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는, 상기 흡음재와 접촉하는 면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바 사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턱의 돌출길이는, 상기 상면에서 돌출된 상기 절곡부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보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바의 상기 중공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는,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소방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흡음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흡음보드와 인접한 흡음보드를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흡음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흡음보드와 인접한 흡음보드를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음보드(1)는 실내의 벽면에 밀집하게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바(100)가 각각 연결되어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는 닫힌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보드(1)는 복수개의 프레임바(100)로 형성된 프레임 내부에 흡음재(10)가 결합되고, 그 외관을 시트(20)가 덮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프레임바(100)가 연결되어 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의 내부에는 흡음재(10)가 위치하고, 흡음재(10) 상면에는 시트가 연결될 수 있다. 시트(20)는 프레임의 4변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바(100)는 인접한 프레임바(100)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음재(10)는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흡음재(10)는 프레임바(100)와 프레임바(100) 사이에 위치된다. 흡음재(10)는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이루어진다. 실내에서 발생된 소음은 흡음재(10)에서 흡수될 수 있다.
시트(20)는 흡음재(10)와 프레임바(100)를 덮으면서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20)는 프레임바(100)를 측면을 감싸면서 뒷면으로 이어져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음재(1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흡음보드(1)는 벽면의 마감재 역할을 하게 되어 미관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20)의 재질 및 패턴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수요자 또는 고객들에게 심미적인 감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음보드(1)는 프레임바(100) 및 프레임바와 프레임바를 연결하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음보드(1)는 상하좌우 각각 4변에 구비되는 프레임바(100)가 연결되어 프레임이 형성되며, 각 프레임바(100) 사이는 결합부재(200)로 연결될 수 있다.
흡음보드(1)는 프레임바(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흡음재(10) 및 프레임과 흡음재(10)를 덮는 시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100)는 내부에 중공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바(100)는 철 또는알루미늄 일 수 있다. 즉, 프레임바(100)는 소방 기준을 충족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불에 타지 않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100)는 제1 측면(11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프레임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100)는 제1 돌출부(111)와 제1 공간(112)을 둔 상태에서 제1 돌출부(111)와 마주보며 돌출된 제2 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돌출부(111)의 돌출 길이는 제2 돌출부(113)의 돌출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음재(10)가 제1 돌출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바(100)의 제1 측면(110)과 수직하게 연결된 상면(120)에는, 제2 돌출부(113)와 수직하고, 제1 측면(110)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100)의 상면(120)에는, 돌출턱(121)과 제2 공간(122)을 둔 상태에서 돌출턱(121)이 돌출된 길이 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선단이 프레임바(100)의 제2 측면(130)으로 기울어져 연결되는 절곡부(123)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바(100)가 상하좌우 4변에 각각 마련되고, 프레임바(100)의 중공부(140)에 결합부재(200)가 결합되면서,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된 액자 형태의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재(10)는 프레임바(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흡음재(10)는 프레임바(100)의 제1 돌출부(111)와 제2 돌출부(113)가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공간(11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프레임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드와 같은 인화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흡음재(10)를 프레임바(100)와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흡음재(10)는 프레임으로부터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못이나 본드와 같은 결속하기 위한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아 프레임바(100)에 흡음재(10)를 연결시,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결속을 위한 인화물질이 없어 소방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시트(20)는 흡음재(10)와 프레임바(100)를 감싸며, 마감재 역할을 하게 되는 흡음보드(1)의 전체적인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시트(20)는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시트(20) 표면에는 색상 또는 패턴이 형성되어 흡음보드(1)의 심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음보드(1)는 프레임바(100), 흡음재(10) 및 시트(20)로 이뤄질 수 있다.
먼저, 흡음재(10)는 제1 흡음재(10)와 제2 흡음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음재(10a)는 제1 돌출부(111)와 제2 돌출부(113) 사이의 제1 공간(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흡음재(10a)의 후면부는 제1 돌출부(111)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제1 흡음재(10a)의 전면부는 제2 돌출부(113)의 하단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흡음재(10b)의 후면부는 제2 돌출부(113) 상단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고, 제2 흡음재(10b)의 전면부는 시트(20)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음보드(1)는 별도의 결속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흡음재(10)를 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시공성 및 원가비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음재(10)는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음재(10)는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음재(10)는 준불연의 폴리보드(Poly board)일 수 있다. 폴리보드(Poly board)는 부드럽고 가벼우며, 습기에 강하고 수분배출이 뛰어나다. 또한, 곰팡이나 진드기의 서식이 불가능하며, 내후성 내화학성이 뛰어난 무공해 자재이다. 이러한 폴리보드(Poly board)를 흡음재(10)의 제1 흡음재(10a)와 제2 흡음재(10b)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제1 흡음재(10a)는 제2 흡음재(10b)보다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반면, 제2 흡음재(10b)는 제1 흡음재(10a) 보다 두께가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제2 흡음재(10b)의 두께는 예를 들면, 프레임의 제2 돌출부(113)와 시트(20) 사이의 거리만큼의 두께일 수 있다.
시트(20)는 프레임바(100)의 절곡부(123) 및 제2 측면(130)에 밀착되어 프레임바(100)의 제1 돌출부(111) 뒤로 이어질 수 있다. 시트(20)는 흡음재(10)를 보호하고, 흡음보드(1)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트(20)가 흡음보드(1)의 외관을 감쌀 때, 프레임바(100) 상면(120)에 형성된 절곡부(123)가 프레임바(100)의 제2 측면(130), 즉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시트(20)는 보다 팽팽하게 흡음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절곡부(123)를 통해 흡음보드(1)의 사변이 보다 날렵하다는 미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시트(20)를 절곡부(123)를 따라 프레임바(100)를 감싸도록 하여 시트(20)에 장력을 가해 보다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20)가 흡음보드(1)의 내부로 살짝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흡음재(10b)는 시트(20)가 놓여지는 면까지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흡음보드(1)의 외관을 덮는 시트(20)의 표면이 흡음보드(1)의 내부로 우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고, 접촉 시의 촉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돌출턱(121)의 돌출된 길이가 프레임바(100)의 상면(120)에 돌출된 절곡부(123)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 시트(20)의 양쪽 사이드를 돌출턱(121)과 절곡부(123)의 선단이 잡아주게 되어 시트(20) 표면이 우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흡음보드와 인접한 흡음보드를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음보드(1)에 직진하여 들어오는 소음은 1차적으로 흡음보드(1)의 외관을 덮은 시트(20)를 통과하면서, 시트(20)에 의하여 미세하게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2차적으로 소음의 일부가 흡음보드(1)의 돌출턱(121)과 절곡부(123)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공간(122)에 잠시 머물게 되어 소음의 간섭이 유도되고, 이로 인해 소음의 세기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제2 공간(122)에는 또 다른 재질의 흡음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세기가 저감된 소음은 3차적으로 흡음보드(1)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서로 다른 두께와 강도를 갖는 이중구조의 흡음재(10a, 10b)에 순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우선, 세기가 저감된 소음은 제1 흡음재(10a) 보다 두께가 넓은 제2 흡음재(10b)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흡음재(10b)에서는 저음역의 소음들까지 흡수할 수 있다. 제2 흡음재(10b)를 통과하여 미세하게 잔존하는 소음들은, 제2 흡음재(10b) 보다 강도가 높은 제1 흡음재(10a)를 통과하게 되고, 제1 흡음재(10a) 내부의 마찰에 의하여 진동 에너지를 잃게 되어 소멸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의 양은 판의 질량, 장력 및 공기 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흡음재(10)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흡음재(10)의 후면부의 공기 층(150)을 넓게 형성할수록 저음역의 흡음률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흡음보드(1)는 흡음재(10)의 후면부에 공기 층(150)이 형성되어 있어 흡음의 효과가 더욱 더 뛰어나다.
또한, 프레임바(100), 흡음재(10) 및 시트(20)는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이 므로, 화재가 발생 시에도 안전하며, 소음의 흡음은 물론이고, 무공해 자재로써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3에 나타낸 흡음보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 프레임바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흡음보드(1)의 프레임바(100)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내용을 생략하고, 프레임바(100)의 특징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프레임바(100)의 내부에 이탈방지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돌기(124)는 흡음재(1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12)에 결합되는 제1 흡음재(10a)와, 제2 돌출부(113)와 시트(2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흡음재(10b)는 프레임의 내부에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내부에서 흔들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돌기(124)가 흡음재(1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이탈방지돌기(124)는 예를 들면,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바(100) 상면(120)에서 제1 측면(11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121)에는 제2 돌출부(113)와 마주보는 걸림턱(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1a)은 제2 돌출부(113)와 이격공간을 두고 마주볼 수 있다.
제2 흡음재(10b)가 걸림턱(121a)과 제2 돌출부(113)의 사이에 결합되고, 걸림턱(121a)이 제2 흡음재(10b)의 전면부를 지지함으로써, 제2 흡음재(10b)가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바(100) 상면(120)에 돌출되어 선단이 제2 측면(130)으로 기울어져 제2 측면(130)과 연결되는 절곡부(123)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음보드(1)의 외관을 덮는 시트(20)가 프레임 내부로 더욱 더 울지않고 시트(20)를 팽팽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진하여 들어오는 소음이 만곡된 절곡부(123)에 닿으면서, 난반사가 이루어지고, 소음의 간섭을 더 많이 유도시킴으로, 결론적으로, 소음을 상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흡음보드(1)의 외관을 덮는 시트(20)를 그림, 사진 및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장식효과를 주어 실내의 미관을 좀 더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프레임바(100) 내부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바(100)의 내부면에서 중공부(140)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30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0a)는 프레임바(100) 중공부(140)에 끼워지는 결합부재(200)를 가압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바(100)는 인접한 프레임바(100)와 결합부재(20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결합부재(200)는 프레임바(100)로부터 억지끼움이 된다. 프레임바(100)와 인접한 프레임바(100)와의 결속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 프레임바(100) 내부면에 결합돌기(130a)를 형성하고, 억지끼움되는 결합부재(200)를 보다 가압시켜, 프레임바(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 흡음보드 10: 흡음재
10a: 제1 흡음재 10b: 제2 흡음재
20: 시트 100: 프레임바
110: 제1 측면 111: 제1 돌출부
112: 제1 공간 113: 제2 돌출부
120: 상면 121: 돌출턱
121a: 걸림턱 122: 제2 공간
123: 절곡부 124: 이탈방지돌기
130: 제2 측면 130a: 결합돌기
140: 중공부 200: 결합부재
10a: 제1 흡음재 10b: 제2 흡음재
20: 시트 100: 프레임바
110: 제1 측면 111: 제1 돌출부
112: 제1 공간 113: 제2 돌출부
120: 상면 121: 돌출턱
121a: 걸림턱 122: 제2 공간
123: 절곡부 124: 이탈방지돌기
130: 제2 측면 130a: 결합돌기
140: 중공부 200: 결합부재
Claims (10)
- 복수개의 프레임바가 연결된 프레임 내부에 흡음재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흡음재를 덮는 시트를 포함하는 흡음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바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1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1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주보며 돌출된 제2 돌출부;
상기 제1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된 상면에 상기 제1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상면에서, 상기 돌출턱과 제2 공간을 둔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보다 높게 돌출되어 선단이 상기 프레임바의 제2 측면으로 기울어져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제1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되는 흡음보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상기 시트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흡음재; 및
상기 제1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흡음재보다 강도가 높은 제1 흡음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상기 흡음재와 접촉하는 면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바 사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의 돌출길이는,
상기 상면에서 돌출된 상기 절곡부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마주보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흡음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만곡지게 형성되는 흡음보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바의 상기 중공부에 결합되는 흡음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606A KR102012080B1 (ko) | 2017-08-18 | 2017-08-18 | 흡음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606A KR102012080B1 (ko) | 2017-08-18 | 2017-08-18 | 흡음보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528A KR20190019528A (ko) | 2019-02-27 |
KR102012080B1 true KR102012080B1 (ko) | 2019-08-19 |
Family
ID=6556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606A KR102012080B1 (ko) | 2017-08-18 | 2017-08-18 | 흡음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208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140B1 (ko) * | 2019-03-21 | 2020-07-23 | (주)에스공사 | 프로파일을 이용한 방음패널 |
KR102260456B1 (ko) * | 2019-05-30 | 2021-06-04 | 주식회사 에스아이디어코스틱 | 흡음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8551Y1 (ko) * | 2000-12-13 | 2001-06-15 | 주식회사광국실업 | 흡음판 |
KR101113204B1 (ko) * | 2007-08-10 | 2012-02-15 | 니스코 주식회사 | 방음판 |
KR101120502B1 (ko) * | 2008-11-21 | 2012-02-29 |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8614B1 (ko) * | 2010-02-17 | 2012-06-22 | 임구재 | 경량 패널의 보강재 |
KR101786847B1 (ko) * | 2016-02-03 | 2017-10-18 | (주)밴엔지니어링 | 액자형 흡음패널 |
-
2017
- 2017-08-18 KR KR1020170104606A patent/KR1020120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8551Y1 (ko) * | 2000-12-13 | 2001-06-15 | 주식회사광국실업 | 흡음판 |
KR101113204B1 (ko) * | 2007-08-10 | 2012-02-15 | 니스코 주식회사 | 방음판 |
KR101120502B1 (ko) * | 2008-11-21 | 2012-02-29 |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528A (ko) | 2019-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2080B1 (ko) | 흡음보드 | |
JP2010053617A (ja) | 外装材 | |
JP6463321B2 (ja) |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 |
KR100777422B1 (ko) | 목질계 방화도어 | |
KR101126353B1 (ko) |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 |
KR100797761B1 (ko) | 목질계 방화도어 | |
KR20110100187A (ko) | 방화문 | |
KR101868211B1 (ko) | 건축용 판넬 | |
KR100913942B1 (ko) |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20763Y1 (ko) | 조립식 건축용 패널 | |
KR100977168B1 (ko) |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 |
KR2010004684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TWM470127U (zh) | 具耐燃防火隔熱功能之輕質隔間牆組合結構 | |
US20090151279A1 (en) | Log house construction element | |
KR101456979B1 (ko) | 조립식 판넬장치 | |
JP5451172B2 (ja) | 畳 | |
KR20060118839A (ko) | 건축용 조립식 패널 | |
KR200426098Y1 (ko) | 난연성 보드의 벽체구조 | |
CN213143672U (zh) | 一种仿釉阻燃型pvc扣板 | |
KR20150069236A (ko) | 층간소음 방지 부재 | |
KR101354205B1 (ko) | 조립이 편리한 캡형 문 | |
KR100804091B1 (ko) |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 |
JPS6023387Y2 (ja) | サイデイングボ−ド | |
KR100568057B1 (ko) | 불연성 문틀 | |
KR20170021988A (ko) | 목재 차열 방화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