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02B1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Google Patents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0502B1 KR101120502B1 KR1020080116035A KR20080116035A KR101120502B1 KR 101120502 B1 KR101120502 B1 KR 101120502B1 KR 1020080116035 A KR1020080116035 A KR 1020080116035A KR 20080116035 A KR20080116035 A KR 20080116035A KR 101120502 B1 KR101120502 B1 KR 101120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plate
- transparent
- plate
- soundproof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는, 방음벽을 형성하는 지주 중 서로 인접한 지주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음판을 이루는 한 쌍의 투명판의 각 타단을 연결하고, 연결된 한 쌍의 투명판 전후면의 연직방향으로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투명판의 타단 간을 탄성 변형 가능한 이음기구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투명판이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방음판의 변위량에 대해 투명판 자체의 변형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투명판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투명판, 방음벽, 탄성 변형, 변위량, 유리, 지주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판에 설치되는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판이 상하 프레임 없이 측면 프레임에만 지지되는 형태의 방음판에서 사용되는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학교 등의 건물이 도로에 근접되게 위치된 곳에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소음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적인 방음벽은 H빔 지주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H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방음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적층 설치된다.
한편, 방음벽의 종류로는 흡음형, 투명형 및 반사형이 있으며, 본 발명은 투시가 가능한 투명형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투명형 방음벽에는 투명판이 사각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인접한 지주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 형태는 투명판을 통해 방음벽의 투시가 가능하나 투명판과 투명판 사이로 프레임이노출되어 마치 창과 같은 형상이 됨으로써, 운전자나 주민에게 확트인 느낌을 주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운전자나 주민이 방음벽의 존재를 최소한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의 상하부에 프레임을 생략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음벽(1)은 지주(3)와 방음판(5)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방음판(5)은 투명판(7)과, 상기 투명판(7)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9)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판(5)은 인접한 지주(3) 사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진다. 상기 방음판(5)은 방음벽(1)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때까지 상기 지주(3)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적층된다. 이때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방음판(5) 사이에는 프레임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각 방음판(5)의 투명판(7)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투명판(7)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제작되고, 방음판(5)의 KS 시험 기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중 변위량 시험을 통해 중간지점에서의 변위량(도 2의 A)이 50㎜ 이내에만 들면 통과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투명판(7)의 소재가 유리인 경우에는, 동일한 시험에서 유리의 중간지점에서의 변위량이 50mm 이내에 들더라도 유리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변위량을 초과하게 되면 유리는 파손되게 된다. 따라서 유리로 투명판(7)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투명판(7)의 허용 변위량이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소재의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음판의 변위량이 크더라도 상기 투명판 자체의 변위량은 감소시켜 투명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판과의 조립이 용이하고 방음판의 변형에 대해 투명판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에 관한 것으로, 방음벽을 형성하는 지주 중 서로 인접한 지주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음판을 이루는 한 쌍의 투명판의 각 타단을 연결하고, 연결된 한 쌍의 투명판 전후면의 연직방향으로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주는 일반적으로 H빔 형상이지만, 방음판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부재가 일체로 장착된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지주가 H빔 형상이면 각 투명판은 프 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지주에 고정되나, 프레임 역할을 하는 부재가 지주에 일체로 장착된 경우는, 각 투명판이 프레임을 통하지 않고 직접 지주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투명판의 전후면이란, 두께로 표시되는 측면이 아닌, 실제로 투시에 사용되는 투명판의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응하는 후면을 의미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이음기구에는 상기 한 쌍의 투명판의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이음기구는 고무 재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투명판의 전후면과 대면하는 부위에 상기 투명판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기는 투명판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투명판의 전후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접하도록 그 형성위치 및 개수가 정해질 수도 있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음기구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도 삽입부와 같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음기구의 다른 부분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기초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음판은,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투명판과, 상기 각 투명판의 일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제1발명 내지 제6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은, 일단이 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투명판의 타단 간을 탄성 변형 가능한 이음기구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투명판이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방음판의 변위량에 대해 투명판 자체의 변형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투명판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기구가 고무 재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면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경화되지 않고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방음판에 대한 추가적인 유지보수 없이도 방음판이 본래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이음기구가 탄성 변형 가능할 뿐만 아니라, 투명판이 삽입되도록 이음기구에 형성된 삽입부에 상기 투명판에 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판의 조립시 또는 꺾임 거동시에 유동성이 확보되고 조립후에는 이음기구와 투명판 간에 밀착성이 향상됨으로써 조립의 편리성과 사용상 안전성이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10)은 크게 지주(20)와 방음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20)는 도로 등의 주변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 등의 기초 구조물에 설치된다.
방음판(30)은 상기 지주(20)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인접한 지주(20)에 상기 지주(20)의 높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일정 높이의 벽을 형성한다. 상기 방음판(30)은 투명판(31), 프레임(33)과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40)(이하 단순히 '이음기구'로 칭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판(31)은 통상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로 제작된다. 본 발명은 투명판(31)의 재질에 구분없이 적용될 수 있지만, 하중 변위량이 작은 유리로 투명판(31)이 제작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본 실시예에서의 투명판(31)은 유리 소재로 제작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판(31)이 하나의 방음판(30)을 이루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종래에는 하나의 투명판으로 방음판(30)을 제작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에 사용되던 투명판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 투명 판(31a, 31b)이 쌍을 이루어 하나의 방음판(30)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3)은 창문의 틀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3)에는 상기 투명판(31)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33)은, 투명판(31)의 네 측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투명판(31)의 네 측면 중 한 측면에만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33a, 33b)은, 상기 투명판(31a, 31b)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방음판(30)을 형성하며, 각 프레임(33a, 33b)에 상기 한 쌍의 투명판(31a, 31b) 각각의 일단이 장착된다.
상기 이음기구(40)는 상기 프레임(33a, 33b)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투명판(31a, 31b)의 각 타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각 투명판(31a, 31b)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된다. 상기 이음기구(40)에는 상기 투명판(31a, 31b)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투명판(31a, 31b)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41)가 상기 이음기구(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판(31a, 31b)이 꺾였을 때 상기 투명판(31a, 31b)이 상기 이음기구(4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이때 삽입부(41)의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각 투명판(31a, 31b)의 길이, 두께, 무게, 이음기구(40)의 재질 및 방음벽(10)이 설치되는 현장의 환경 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부(41)에는, 상기 투명판(31a, 31b)의 전후면과 삽입부(41)가 접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43)는 투명판(31a, 31b)의 조립시 또는 꺾임 거동시 유동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조립후에 상기 투명판(31a, 31b)과 이음기구(4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돌기(43)의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43)가 상기 삽입부(4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43)가 삽입부(41)의 상하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돌기(4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기구(40)는 상기 투명판(31a, 31b)의 변형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음기구(40)가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이음기구(40)가 고무재질로 제작되면, 방음벽(10)의 특성상 외부에 설치되는 환경하에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이음기구(40)가 경화되지 않고 신축성을 유지함으로써 이음기구(4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가 설치된 방음판에 대한 하중 변위량 시험을 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30)에 대해 하중 변위량 시험을 하기 위해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시키면 유리 소재로 된 투명판(31)의 자중에 의해 상기 투명판(31)에는 처짐이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투명판(31a, 31b)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방음판(30)을 형성하므로 투명판 하나로 방음판(30)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투명판(31a, 31b)의 길이가 짧게 된다. 더구나 일단에 프레임(33a, 33b)이 설치되는 투명판(31a, 31b)의 타단 간을 탄성 변형 가능한 이음기구(40)가 연결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험에서 투명판(31a, 31b)이 자중에 의해 변형될 때 상기 이음기구(40)가 탄성 변형되며 각 투명판(31a, 31b)의 변형은 감소된다. 즉, 방음판(30)은 도 5에서의 B(점선으로 도시된 방음판(30)의 원상태로부터의 변형량)만큼 변형되지만, 이음기구(40)에 의해 투명판(31a, 31b) 간의 연결부위가 꺾임으로써 투명판(31a, 31b)은 도 5에서의 C(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각 투명판(31a, 31b)의 원상태로부터의 변형량)만큼만 변형된다.
따라서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투명판(31a, 31b)의 경우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변형량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음기구(40)에 의해 상기 투명판(31a, 31b)이 받게 되는 변형량은 대폭 축소되어 하중에 의해 방음판(30) 전체에 큰 변위가 생겨도 투명판(31a, 31b)은 상기 이음기구(40)에 의한 꺾임에 의해 깨지지 않고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판(31a, 31b)이 상기 이음기구(4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41)에는 돌기(4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투명판(31a, 31b)의 하중에 의해 이음기구(4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이음기구(40)는 한 쌍의 투명판(31a, 31b)을 연결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은 방음판(30)은 하중 변위량 시험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변위량이 확보되므로,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방음벽(10)의 설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방음 및 방진(防塵) 등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음기구(50)는, 투명판(31a, 31b)에 대면하는 삽입부(41)와 돌기(43)를 포함하는 부분에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탄성 변형 특성을 향상시킨 연성부(51)와, 상기 연성부(51) 이외의 부분에는 경질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연성부(51)를 지지하는 경성부(53)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때 경성부(53)는 연성부(51)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연성부(51)와 경성부(53)의 소재를 특별히 고무 소재에만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연성부(51)와 경성부(53)는 상기와 같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음기구(60)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편평부(61)가 형성되고 상기 편평부(61)의 두께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이음기구(40)의 대응 부분의 두께보다 전반적으로 얇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때 상기 편평부(61)는 이음기구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형태가 변형 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이와 다른 형태로 이음기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판의 하중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하중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기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방음벽 20 : 지주
30 : 방음판 31 : 투명판
33 : 프레임 40, 50, 60 : 이음기구
41 : 삽입부 43 : 돌기
51 : 연성부 53 : 경성부
61 : 편평부
Claims (7)
- 방음벽을 형성하는 지주 중 서로 인접한 지주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음판을 이루는 한 쌍의 투명판의 각 타단을 연결하고, 연결된 한 쌍의 투명판 전후면의 연직방향으로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이음기구로서,상기 이음기구에는 상기 한 쌍의 투명판의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되,상기 삽입부는,상기 이음기구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판의 전후면과 대면하는 부위에 상기 투명판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음기구의 다른 부분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음기구는 고무 재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기초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있어서,상기 방음판은,유리 소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투명판; 상기 각 투명판의 일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음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6035A KR101120502B1 (ko) | 2008-11-21 | 2008-11-21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6035A KR101120502B1 (ko) | 2008-11-21 | 2008-11-21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7145A KR20100057145A (ko) | 2010-05-31 |
KR101120502B1 true KR101120502B1 (ko) | 2012-02-29 |
Family
ID=4228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6035A KR101120502B1 (ko) | 2008-11-21 | 2008-11-21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050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Z304102B6 (cs) * | 2012-04-06 | 2013-10-23 | Aerolux, S.R.O. | Bezpecnostní prvek únikového východu |
KR20190019528A (ko) * | 2017-08-18 | 2019-02-27 | 김진섭 | 흡음보드 |
KR102395161B1 (ko) * | 2022-01-12 | 2022-05-09 | 주식회사 에코프랜 | 분할형 투명판의 슬라이딩을 이용해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0093B1 (ko) * | 2010-07-27 | 2011-04-20 | (주)성소엔지니어링 | 투명 방음벽 |
KR101276344B1 (ko) * | 2011-12-28 | 2013-06-18 | 서영관 | 방음패널 결합용 구조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6336A (ja) * | 2002-07-08 | 2004-02-05 | Takechi Kogyo Gomu Co Ltd | 枠用ガスケット、板材の固定構造および板材の装着方法 |
KR100894405B1 (ko) * | 2008-10-09 | 2009-04-20 | (주)중앙지티에스 | 투명 방음벽 |
-
2008
- 2008-11-21 KR KR1020080116035A patent/KR1011205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6336A (ja) * | 2002-07-08 | 2004-02-05 | Takechi Kogyo Gomu Co Ltd | 枠用ガスケット、板材の固定構造および板材の装着方法 |
KR100894405B1 (ko) * | 2008-10-09 | 2009-04-20 | (주)중앙지티에스 | 투명 방음벽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Z304102B6 (cs) * | 2012-04-06 | 2013-10-23 | Aerolux, S.R.O. | Bezpecnostní prvek únikového východu |
KR20190019528A (ko) * | 2017-08-18 | 2019-02-27 | 김진섭 | 흡음보드 |
KR102012080B1 (ko) * | 2017-08-18 | 2019-08-19 | 김진섭 | 흡음보드 |
KR102395161B1 (ko) * | 2022-01-12 | 2022-05-09 | 주식회사 에코프랜 | 분할형 투명판의 슬라이딩을 이용해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7145A (ko) | 2010-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0502B1 (ko) |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 |
KR101113204B1 (ko) | 방음판 | |
KR200412251Y1 (ko) | 태양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 구조물 | |
KR102100156B1 (ko) | 창호용 면진 시스템 | |
KR102119256B1 (ko) | 방음벽의 리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폼 공법 | |
KR100894405B1 (ko) | 투명 방음벽 | |
KR102245237B1 (ko) | 내진단열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체 | |
KR102163271B1 (ko) |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적벽체패널모듈을 이용한 건축 공법 | |
KR101991807B1 (ko) | 내진 방음판 프레임 구조 | |
KR102142192B1 (ko) |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 |
JP2011012399A (ja) | 遮音壁 | |
KR101042911B1 (ko) | 투명방음판용 프레임 | |
JP2007169956A (ja) | パネル取り付け構造 | |
KR101014387B1 (ko) | 굴절형 차단벽을 위한 풍압력 완화장치 | |
KR100903206B1 (ko) | 전면부가 노출되지 않는 투명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08441B1 (ko) | 방음벽 프레임 | |
KR101553402B1 (ko) | 패널이 장착된 프레임, 이를 이용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90515B1 (ko) | 내진 보강 구조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 |
KR100822594B1 (ko) | 철탑주주재의 보강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 |
KR102185142B1 (ko) | 잔류변형 제어기능 및 면내거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탄소성 거동식 강재 댐퍼 | |
KR101161785B1 (ko) | 내진성능을 갖는 일체형 창호시스템 | |
JP2001081732A (ja) | 遮音壁 | |
KR20100090948A (ko) | 방음패널 | |
KR20100057146A (ko) | 방음벽의 하단 마감용 패드 | |
KR20090004550U (ko) | 방음판 설치 고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