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405B1 - 투명 방음벽 - Google Patents

투명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405B1
KR100894405B1 KR1020080099322A KR20080099322A KR100894405B1 KR 100894405 B1 KR100894405 B1 KR 100894405B1 KR 1020080099322 A KR1020080099322 A KR 1020080099322A KR 20080099322 A KR20080099322 A KR 20080099322A KR 100894405 B1 KR100894405 B1 KR 10089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transparent
shoe
plate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주)중앙지티에스
정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7580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44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지티에스, 정병우 filed Critical (주)중앙지티에스
Priority to KR102008009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405B1/ko
Priority to PCT/KR2008/006637 priority patent/WO20100417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판으로 기능하는 투명판의 지지방식이 변경되고 허용 변위량 내에서 투명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미관이 개선된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투명판, 상기 복수의 투명판 중 서로 이웃하는 투명판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일단부와 다른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투명판을 서로 연결하고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는 가스켓, 상기 복수의 투명판 각각의 길이방향 하단부를 감싸는 슈, 상기 슈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 및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투명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이 제공된다.
방음벽, 투명방음벽, 투명판, 슈, 가스켓

Description

투명 방음벽{Sound Proof Wall using Transparency Panels}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판으로 기능하는 투명판의 지지방식이 변경되고 허용 변위량 내에서 투명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미관이 개선된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학교 등의 건물이 도로에 근접되게 위치된 곳에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소음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적인 방음벽은 H빔 지주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H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방음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적층 설치된다.
한편, 방음벽의 종류로는 흡음형, 투명형 및 반사형이 있으며, 본 발명은 투시가 가능한 투명형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투명형 방음벽에는 투명판이 사각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인접한 지주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 형태는 투명판을 통해 방음벽의 투시가 가능하나 투명판과 투명판 사이로 프레임이노출되어 마치 창과 같은 형상이 됨으로써, 운전자나 주민에게 확트인 느낌을 주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운전자나 주민이 방음벽의 존재를 최소한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의 상하부에 프레임을 생략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음벽(1)은 지주(3)와 방음판(5)을 포함하고, 여기서 방음판(5)은 투명판(7)과, 상기 투명판(7)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9)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판(5)은 인접한 지주(3) 사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진다. 상기 방음판(5)은 방음벽(1)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때까지 상기 지주(3)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적층된다. 이때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방음판(5) 사이에는 프레임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각 방음판(5)의 투명판(7)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투명판(7)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제작되고, 방음판(5)의 KS 시험 기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중 변위량 시험을 통해 중간지점에서의 변위량(도 5의 A)이 50㎜ 이내에만 들면 통과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투명판(7)의 소재가 유리인 경우에는, 동일한 시험에서 유리의 중간지점에서의 변위량이 50mm 이내에 들더라도 유리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변위량을 초과하게 되면 유리는 파손되게 된다. 따라서 유리로 투명판(7)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투명판(7)의 허용 변위량이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환경부에서 고시한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을 보면 방음벽은 전체 적으로 주변경관과 잘 조화를 이루고 미적으로 우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도시경관관련 심의기구 또는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방음벽의 유형 및 색상, 수림대 조성, 덩굴식물 식재, 투명 방음판과 불투명 방음판의 조합, 방음벽의 단부 및 연결부에 화분설치, 다양한 문양의 방음판 사용 등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방음판에서 프레임을 제거하여 투명판만으로 방음판을 구성하여 넓은 시야감을 제공할 수 있고 투명판의 변위량이 크더라도 투명판 자체의 변위량은 감소시켜 투명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가 편리한 투명 방음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투명판, 상기 복수의 투명판 중 서로 이웃하는 투명판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일단부와 다른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투명판을 서로 연결하고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는 가스켓, 상기 복수의 투명판 각각의 길이방향 하단부를 감싸는 슈, 상기 슈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 및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투명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주는 투명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켓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투명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 삽입부에는 투명판과 대면하는 부위에 투명판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슈는 투명판이 삽입되고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를 구성하는 양측면판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기초 콘크리트에 볼트로 고정되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주는 줄기부와 줄기부의 상단에서 갈라지는 복수의 가지부로 구성되어 가지부가 투명판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음판에서 프레임을 제거하여 투명판만으로 방음판을 구성함으로써 운전자 및 거주가에게 넓은 시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의 변위량이 크더라도 투명판 자체의 변위량은 감소시켜 투명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의 하단부에 슈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하지 않고도 손쉽게 파소된 투명판만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벽은 복수의 투명판(10), 투명판(10)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스켓(20), 투명판(2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슈(30), 슈(30)가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40) 및 투명 방음판(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 주(50)로 구성된다.
복수의 투명판(10)은 서로 연결되어 벽을 구성함으로써 소음을 반사시켜 최종적으로 수음점에 도달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투명판(10)은 글자 그대로 투명한 판재로 구성되어 도로상에 채광을 가능하게 하여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고 적설된 눈이 신속하게 녹아내릴 수 있도록 하며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투명판(10)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것이라면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강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야외에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색을 방지하기 할 수 있도록 유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국부적인 충격에 의한 전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착필름의 양쪽 면에 유리판을 접착한 접합유리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투명판(10)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외관의 다양성을 주기 위해 단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가공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가스켓(20)은 서로 이웃하는 투명판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일단부와 다른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투명판을 서로 연결한다. 즉, 서로 접합되는 2개의 투명판의 접합부에 가스켓이 설치된다. 가스켓(20)은 투명판(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21a)(21b)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 삽입부(21a)(21b)에는 투명판(10)과 대면하는 부위에 투명판(10)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2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에 의해 가스켓(20)이 변형되더라도 가스켓(20)이 투명판(10)을 연결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스켓은 풍하중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 신축하면서 탄 성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재질로는 고무를 들 수 있고, 가스켓을 고무로 구성할 경우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경화하지 않고 신축성을 유지함으로서 가스켓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가스켓으로는 신축성을 갖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지 않는 재질의 것이라면 고무 이외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판(10) 각각의 길이방향 하단부에는 슈(30)가 삽입된다. 이렇게 투명판의 하단부에 슈를 결합함으로써 투명판(10)이 파손되었을 경우 기초 콘크리트를 파괴할 필요 없이 파손된 투명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투명판을 직접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할 경우 파손된 투명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초 콘크리트 부분을 모두 파쇄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다시 시공해야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투명판의 하단부에 슈를 결합하고 이 슈를 기초 콘크리트에 끼워 고정할 경우 슈를 기초 콘크리트에서 해체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파손된 투명판을 제거할 수 있고 슈에 투명판을 삽입한 후 기초 콘크리트에 끼우면 교체가 완료된다. 따라서 방음벽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슈(30)는 금속재질로 투명판(20)이 삽입되고 기초 콘크리트(40)에 끼워지는 수용부(31)와 수용부(31)를 구성하는 양측면판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기초 콘크리트(40)에 볼트로 고정되는 받침부(32)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슈와 투명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간극에 충전재(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터)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슈는 직물재질로 구성하여 투명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한 다음 노출된 부분을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할 수도 있다.
슈(30)는 방음벽이 설치될 도로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40)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기초 콘크리트(40)에는 슈(30)가 삽입될 결합홈(41)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결합홈(41)은 삽입된 투명판 설치시 전도되지 않고 직립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슈는 기초 콘크리트에 비부착으로 설치될 수 있고 투명판 교체시 쉽게 기초 콘크리트에서 분리될 수 있다.
투명판이 풍하중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전도되지 않도록 기초 콘크리트(40) 상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복수의 지주(5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판의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투명판은 일단이 고정된 캔틸레버와 같이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판의 상단부만을 지지하도록 지주를 설치하는 것으로도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주(50)가 줄기부(51)와 줄기부(51)의 상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갈라지는 2개의 가지부(52)로 구성되어 가지부(52)가 투명판(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가스켓(20) 부분, 투명판(10) 접합부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투명판의 후면(도로를 향하는 쪽의 뒤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지주를 위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투명판의 전도를 막는 지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마치 나뭇가지가 투명판을 지지하는 것과 같은 외관을 이룸으로써 획일적인 방음벽에 변화를 주어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주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지주의 구조적 기능을 만족하면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의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지주가 지지하는 부분은 투명판의 접합부가 아닌 폭 방향의 중앙부를 직접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지주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로의 사정,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투명판의 전면 이외에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지주는 투명판 간의 접합부 마다 설치하지 않고 하나 또는 둘 건너 하나씩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투명판의 길이가 큰 경우 지주를 특별히 디자인된 형상의 것을 사용하신 대신 공지된 H형강을 사용하고 투명판의 상단부을 지지하는 대신 방음판에 밀착되게 설치한 후 투명판과 지주를 볼트 체결하는 것으로 지주가 투명판을 지지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지주(50)와 투명판(10)의 접합은 지주(50)의 가지부(52)를 이용해 투명판(10)과 볼트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지주의 형태에 볼트 또는 접합제를 이용해 접합할 수도 있다. 지주(50)를 기초 콘크리트(40)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이 베이스플레이트를 이용해 기초 콘크리트에 볼트 결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주의 하단부를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40)를 설치하고 투명판(10)의 하단부에 슈(30)를 결합한 후 기초 콘크리트(40)에 삽입하고 이웃하는 투명판(10) 사이에 가스켓(20)을 끼워 서로 연결한 다음 투명판(10)을 지지하도록 지주(5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판이 풍하중을 받아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스켓으로 서로 연결되고 지주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은 투명판 부분에 풍하중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면 투명판에는 변형이 발생한다. 그런데 투명판을 연결하 고 있는 가스켓은 신축이 가능하므로 투명판이 변형될 때 가스켓이 탄성 변형되며 각 투명판의 변형은 감소된다. 즉, 연결된 투명판(10) 전체는 도 3에서의 B(점선으로 도시된 투명판의 원상태로부터의 변형량)만큼 변형되지만, 가스켓(20)에 의해 투명판(10)간의 연결부위가 꺾임으로써 투명판(10) 자체의 변형은 감소된다. 따라서 투명판이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변형량이 작아도 탄성 변형되는 가스켓에 의해 투명판이 받게 되는 변형량은 대폭 축소되어 투명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명판(10)이 가스켓(2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21a)(21b)에는 돌기(21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투명판(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가스켓(20)이 변형되더라도 가스켓(20)은 투명판(10)을 연결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탄성 변형되는 가스켓으로 연결된 투명판은 하중 변위량 시험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변위량이 확보되므로, 풍하중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방음벽의 설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방음 및 방진(防塵) 등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판이 풍하중을 받아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이 풍하중을 받아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5)

  1. 복수의 투명판;
    상기 복수의 투명판 중 서로 이웃하는 투명판 중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일단부와 다른 하나의 투명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투명판을 서로 연결하고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는 가스켓;
    상기 복수의 투명판 각각의 길이방향 하단부를 감싸는 슈;
    상기 슈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 및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투명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슈는 투명판이 삽입되고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를 구성하는 양측면판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기초 콘크리트에 볼트로 고정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투명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투명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 삽입부에는 투명판과 대면하는 부위에 투명판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줄기부와 줄기부의 상단에서 갈라지는 복수의 가지부로 구성되어 가지부가 투명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KR1020080099322A 2008-10-09 2008-10-09 투명 방음벽 KR10089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2A KR100894405B1 (ko) 2008-10-09 2008-10-09 투명 방음벽
PCT/KR2008/006637 WO2010041787A1 (en) 2008-10-09 2008-11-11 Sound proof wall using transparency pa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2A KR100894405B1 (ko) 2008-10-09 2008-10-09 투명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405B1 true KR100894405B1 (ko) 2009-04-20

Family

ID=4075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322A KR100894405B1 (ko) 2008-10-09 2008-10-09 투명 방음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4405B1 (ko)
WO (1) WO201004178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64B1 (ko) * 2010-12-02 2011-10-11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1120502B1 (ko) * 2008-11-21 2012-02-29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168573B1 (ko) * 2009-10-16 2012-07-25 (주) 화랑월드 방음벽의 하부마감 보호대
KR101429076B1 (ko) * 2013-10-30 2014-08-12 (주)신행건설 강재 절감형 변단면 지주를 가진 방음벽 구조
KR20200083093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이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패널
KR102164235B1 (ko) 2019-06-13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탈부착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KR102175801B1 (ko) 2019-06-1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716B1 (da) * 2016-01-20 2019-04-10 Sørensen Allan Støjvær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07U (ja) * 1992-09-21 1994-04-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式防音壁
KR100511682B1 (ko) * 2002-09-09 2005-08-31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 고정용 아답터
KR200432530Y1 (ko) * 2006-09-08 2006-12-0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20070034154A (ko) * 2005-09-23 2007-03-28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449A (en) * 1994-05-18 1995-07-04 Baatz; Guenter A. Rubber adaptor for highway guardrail
JP2001081732A (ja) * 1999-09-14 2001-03-27 Nitto Boseki Co Ltd 遮音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07U (ja) * 1992-09-21 1994-04-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式防音壁
KR100511682B1 (ko) * 2002-09-09 2005-08-31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 고정용 아답터
KR20070034154A (ko) * 2005-09-23 2007-03-28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KR200432530Y1 (ko) * 2006-09-08 2006-12-0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502B1 (ko) * 2008-11-21 2012-02-29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168573B1 (ko) * 2009-10-16 2012-07-25 (주) 화랑월드 방음벽의 하부마감 보호대
KR101071664B1 (ko) * 2010-12-02 2011-10-11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1429076B1 (ko) * 2013-10-30 2014-08-12 (주)신행건설 강재 절감형 변단면 지주를 가진 방음벽 구조
KR20200083093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아이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패널
KR102164235B1 (ko) 2019-06-13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탈부착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KR102175801B1 (ko) 2019-06-1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1787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405B1 (ko) 투명 방음벽
KR100869337B1 (ko) 방음터널용 철골지주와 방음판의 연결장치
CN103547856B (zh) 带有太阳能电池面板的柱
KR101553400B1 (ko) 방음패널용 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102051774B1 (ko) 방음터널용 누수차단 지붕패널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시공 방법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KR200396762Y1 (ko) 투명 방음판넬
KR10100103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터널
KR20190050389A (ko) 터널 방음벽의 루프용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1388799B1 (ko) 지주가림판과 블록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벽
KR20130069708A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KR200444417Y1 (ko) 흡음기능을 가진 방음벽용 방음패널
ES2278191T3 (es) Sistema de pared de proteccion contra el ruido constituido por un zocalo y un suplemento sobrepuesto transparente.
KR10103987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200432530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101120502B1 (ko)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1157194B1 (ko) 흡음형 경관 지주를 겸비한 방음벽
KR102577909B1 (ko)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EP0962593A1 (en) Sound-damping wall for arrangement alongside a railroad or highway
KR100908491B1 (ko) 방음벽
KR200416629Y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1441809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28

Effective date: 201011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726

Effective date: 201212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