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530Y1 -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530Y1
KR200432530Y1 KR2020060024219U KR20060024219U KR200432530Y1 KR 200432530 Y1 KR200432530 Y1 KR 200432530Y1 KR 2020060024219 U KR2020060024219 U KR 2020060024219U KR 20060024219 U KR20060024219 U KR 20060024219U KR 200432530 Y1 KR200432530 Y1 KR 200432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undproof
plate
couple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메리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리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4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fitted in grooves of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방음판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방음판의 부분파손시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개별창이 없이 하나의 투명방음판이 설치됨으로써 시야확보가 용이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방음을 하고자 하는 지역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기초; 상기 기초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고 기초의 내부로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 상기 기초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홈을 형성하는 방음판지지부; 상기 지주의 양측면부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ㄱ 형상의 지지대고정브래킷; 상기 지지대고정브래킷의 타측면 상부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투명방음판에 결합되어 투명방음판을 고정해주는 L형상의 횡방향지지대; 상기 방음판지지부의 지지홈에 하단부가 끼워지고 상단부는 상기 횡방향지지대에 결합되며 양측면부는 지주의 전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투명방음판; 상기 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투명방음판을 상기 지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투명방음판, 지주,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 방음판지지부, 조립, 시야,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Assembly Soundproofing wall which can be easily taken a maintenance}
도 1 은 종래의 투명방음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투명방음판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도 3 의 A 부분에 있어 투명방음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도 3 의 A 부분에 있어 투명방음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은 도 3 의 A 부분에 있어 투명방음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20) : 지주
(21) : 지지판 (22) : 앵커
(23) : 앵커보호캡 (30) : 투명방음판
(40) : 방음판지지부 (41) : L형앵글
(41a) : 수직부 (41b) : 수평부
(42) : 지지홈 (43) : 연장부
(50) :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 (51) : 결합부
(52) : 누름부 (60) : 횡방향지지대
(61) : 지지대 고정브래킷 (70) : 볼트
(71) : 너트 (72) : 피스
본 고안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프레임이 필요 없는 투명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의 전면에 적층식이 아닌 조립식으로 투명방음판을 각각 설치해줌으로써 투명방음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투명방음판의 부분 파손시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투명방음판의 연결부부을 커버해줌으로써 소음을 차단하며, 프레임을 최소화하여 시야확보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변의 지면이나 교량의 가장자리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H형 지주를 세우고 그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방음판을 끼워 적층시켜 설치함으로써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게 된다.
즉, 종래의 방음벽은, 도 1 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되어 도로의 외측에 배열되는 H형 지주(100)와, 상기 H형 지주(100)의 마주하는 플랜지사이로 양단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적층되되,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102)이 구비되는 방음판(101)과, 상기 방음판(101)이 H형 지주(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져 도로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소음을 반사 및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음판(101)을 적층하여 방음벽을 형성할 경우에는 차량에 의해 일부분의 방음판(101)이 파손되면, 파손된 방음판(101)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부에서부터 차례대로 방음판(101)을 하나씩 제거한 후 파손된 방음판(101)을 제거한 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H형 지주의 플랜지 사이가 협소하고, 고정구가 방음판의 후면에 있기 때문에 분리/교체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투명방음판의 테두리에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어 답답한 느낌을 주고, 프레임의 설치시 조립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방음판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방음판의 부분파손시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개별창이 없이 하나의 투명방음판이 설치됨으로써 시야확보가 용이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방음을 하고자 하는 지역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기초; 상기 기초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고 기초의 내부로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 상기 기초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홈을 형성하는 방음판지지부; 상기 지주의 양측면부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ㄱ 형상의 지지대고정브래킷; 상기 지지대고정브래킷의 타측면 상부에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투명방음판에 결합되어 투명방음판을 고정해주는 L형상의 횡방향지지대; 상기 방음판지지부의 지지홈에 하단부가 끼워지고 상단부는 상기 횡방향지지대에 결합되며 양측면부는 지주의 전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투명방음판; 상기 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투명방음판을 상기 지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판지지부는, 기초에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L형앵글 한 쌍이 수직부가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지지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형앵글은, 수직부의 양측단 상부 일부분이 지지판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여 투명방음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투명방음판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5, 6은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고, 도 7, 8, 9는 도 3 의 A 부분에 있어 투명방음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방음벽은 방음하고자 하는 구간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10)와, 기초(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22)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투명방음판(30)을 지지하며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지주(20)와, 상기 지주(20)와 인접하는 다른 지주(20)와의 사이에서 기초(1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지지홈(42)을 형성하는 방음판지지부(40)와, 상기 지주(10)의 양측면부에 일측면이 용접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ㄱ 형상의 지지대고정브래킷(61)과, 상기 방음판지지부(40)에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고 감소시켜주는 투명방음판(30)과, 상기 투명방음판(30)의 후면 폭방향으로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대고정브래킷(61)의 상부에 결합되는 L 형상의 횡방향지지대(60)와, 상기 지주(20)의 전면부에 피스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투명방음판(30)이 상기 방음판지지부(4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주(20)의 전면부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20)에 의해 지주(20)의 외면 에 횡방향지지대(60)와, 지지대고정브래킷(61) 및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의 설치가 용이하여 투명방음판(30)을 지주(20)의 전면부에 조립하는 것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1)을 기초(10)에 고정하는 앵커(22)에는 앵커보호캡(23)을 설치하여 앵커(22)를 보호해줌으로써 앵커(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음판지지부(40)는, 기초(10)의 상부에 피스(72)를 통해 결합되는 수평부(41b)와, 상기 수평부(41b)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수직부(41a)로 이루어진 한 쌍의 L형앵글(41)로서, 이 L형앵글(41)의 수직부(41a)가 서로 인접하도록 마주하고, 마주하는 수직부(41a)들 사이에 상기 투명방음판(30)이 끼워지는 지지홈(4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부(41a)는 지지판(21)의 두께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투명방음판(30)의 하단부가 지지판(21)에 안착되면서 지지홈(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41a)는 양측단의 상부 일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21)의 상부에 놓여지는 연장부(43)를 더 구비한다. 이 연장부(43)에 의해 지지판(21)의 상부에도 지지홈(4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은 상기 지주(20)에 밀착되어 피스(72)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투명방음판(30)의 두께만큼 지주(20)와 이격되어 상하단이 고정된 투명방음판(30)의 양측면을 지주(20)에 고정해주는 누름부(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은 지주(20)의 전면부에 설치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을 고정함과 동시에 투명방음판(30)의 이음부위를 가려줌으로써 방음벽의 외관이 미려하게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횡방향지지대(60)는 투명방음판(30)의 상부에 볼트(70) 및 너트(71)에 의해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투명방음판(30)을 보강해주고 지주(2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연결브래킷(61)과 볼트(70) 및 너트(7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의 상부가 지주(2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시공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음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구간을 따라 기초(10)를 시공하며, 상기 기초(10)에 앵커(22)를 이용하여 지지판(21) 및 지주(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21) 및 지주(2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초(10)상에 방음판지지부(40)를 설치한다.
상기 방음판지지부(40)는 한 쌍의 L형앵글(41)의 수직부(41a)가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시켜 기초의 상부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지지홈(42)을 형성하고 연장부(43)가 지지판(21)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렇게 방음판지지부(40)가 설치되면 지주(20)의 양측면부에 지지대고정브래킷(61)을 용접 설치하고, 투명방음판(30)의 후면에 횡방향지지대(60)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투명방음판(30)의 하단부를 방음판지지부(40)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홈(42)에 삽입하여 지지판(21)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횡방향지지대(60)를 상기 지지대고정브래킷(61)의 상부에 볼트(70) 및 너트(71)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의 상하부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투명방음판(30)이 설치되면 지주(20)의 전면부에 높이방향으로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을 결합한다.
이때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의 결합부(51)는 피스(72)에 의해 지주(10)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누름부(52)는 투명방음판(30)을 지주(20)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방음판(30)이 파손될 경우 기존의 방음벽 후방에서 투명방음판(30)을 해체하는 것을 탈피해 방음벽의 전면에서 피스(72)를 풀어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을 지주(20)의 전면에서 분리하고, 투명방음판(3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횡방향지지대(60)를 지지대고정브래킷(61)에서 분리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의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설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투명방음판(30)이 적층식이 아닌,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지주(20)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50)에 의해 지주(20)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개별창이 없는 하나의 투명방음판(30) 만으로 지주(20)에 고정됨으로써 시야가 간섭받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방음판이 지주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됨으로써, 교체가 쉬워 방음판의 부분 파손시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방음판의 상,하부 및 양측면을 보강해줌으로써 투명방음판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줄여주며, 각각의 개별창을 만들어 H 형 지주에 삽입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개별창이 없는 하나의 투명방음판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시야의 확보가 용이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별창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의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방음을 하고자 하는 지역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기초;
    상기 기초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고 기초의 내부로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
    상기 기초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홈을 형성하는 방음판지지부;
    상기 지주의 양측면부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ㄱ 형상의 지지대고정브래킷;
    상기 방음판지지부에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고 감소시켜주는 투명방음판;
    상기 투명방음판의 후면 폭방향으로 일측면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대고정브래킷의 상부에 결합되는 L 형상의 횡방향지지대;
    상기 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투명방음판을 상기 지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방음판 고정 지주가림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지지부는, 기초에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L형앵글 한 쌍이 수직부가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지지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형앵글은, 수직부의 양측단 상부 일부분이 지지판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여 투명방음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2020060024219U 2006-09-08 2006-09-08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200432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219U KR200432530Y1 (ko) 2006-09-08 2006-09-08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219U KR200432530Y1 (ko) 2006-09-08 2006-09-08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530Y1 true KR200432530Y1 (ko) 2006-12-05

Family

ID=4178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219U KR200432530Y1 (ko) 2006-09-08 2006-09-08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53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05B1 (ko) * 2008-10-09 2009-04-20 (주)중앙지티에스 투명 방음벽
WO2009149366A2 (en) * 2008-06-06 2009-12-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sound panel
KR100989574B1 (ko) 2008-07-31 2010-10-25 주식회사 세원리버텍 덧댐식 리모델링 방음벽의 시공 방법
KR101026698B1 (ko) * 2010-04-14 2011-04-08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LU101257B1 (en) * 2018-12-12 2020-06-12 Univ Yancheng Teachers Construction isolating device used for urban traffic
KR20220052589A (ko) * 2020-10-21 2022-04-28 이석 방음벽의 목재 지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9366A2 (en) * 2008-06-06 2009-12-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sound panel
WO2009149366A3 (en) * 2008-06-06 2010-02-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sound panel
US7705522B2 (en) 2008-06-06 2010-04-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sound panel with electroactive actuators
KR100989574B1 (ko) 2008-07-31 2010-10-25 주식회사 세원리버텍 덧댐식 리모델링 방음벽의 시공 방법
KR100894405B1 (ko) * 2008-10-09 2009-04-20 (주)중앙지티에스 투명 방음벽
WO2010041787A1 (en) * 2008-10-09 2010-04-15 Joongang Gts Co., Ltd. Sound proof wall using transparency panels
KR101026698B1 (ko) * 2010-04-14 2011-04-08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LU101257B1 (en) * 2018-12-12 2020-06-12 Univ Yancheng Teachers Construction isolating device used for urban traffic
KR20220052589A (ko) * 2020-10-21 2022-04-28 이석 방음벽의 목재 지주
KR102562787B1 (ko) * 2020-10-21 2023-08-01 이석 방음벽의 목재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530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100869337B1 (ko) 방음터널용 철골지주와 방음판의 연결장치
KR200396762Y1 (ko) 투명 방음판넬
KR101359394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101016820B1 (ko) 실내 설치가 가능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및 프레임 본체
KR101178175B1 (ko)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KR100724761B1 (ko) 안전 복합 프레임
KR20140100820A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20170123792A (ko) 방음판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1247503B1 (ko)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KR200430968Y1 (ko) 안전 복합 프레임
JP2009108554A (ja) 防音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防音構造
KR20110009307A (ko) 단열재 패널의 설치를 위한 상,하 연결형 가드 트랙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0676862B1 (ko) 방음펜스
KR101335673B1 (ko) 구조가 개선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20130084085A (ko) 일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100979552B1 (ko) 방음벽용 방음판 체결장치
JP2004346681A (ja) 透光型防音壁への改修方法
KR100648377B1 (ko) 방음벽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KR101309180B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1912711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