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698B1 -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 Google Patents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698B1
KR101026698B1 KR1020100034347A KR20100034347A KR101026698B1 KR 101026698 B1 KR101026698 B1 KR 101026698B1 KR 1020100034347 A KR1020100034347 A KR 1020100034347A KR 20100034347 A KR20100034347 A KR 20100034347A KR 101026698 B1 KR101026698 B1 KR 10102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panel
soundproof
support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포에코
Priority to KR102010003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호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방음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음패널들; 상기 방음벽체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방음벽체를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주들; 상기 방음벽체가 상기 지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개방형 방음벽구조물{OPEN-TRANSPARENT SOUNDPROOF STRUCTURE}
본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구조물은 소음발생원(주로 도로 및 철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하여 소음측정기준점(주택지구, 학교, 기타지역 등)에서 측정 혹은 예측할 때 소음기준치(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 별표1) 이상인 대상구역에 대하여 소음기준치내의 범위로 설정코자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도시지역의 고도발달로 인하여 소음발생요소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음발생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도심지내 도로나 철도시설물 인근에 택지지구나 주택지역이 건설됨에 따라서 나날이 방음벽구조물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증가추세에 맞추어 방음벽구조물의 설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방음벽구조물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반사(투명)형 또는 흡음형의 방음패널이 설치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지주는 풍하중 등의 외부하중을 방음패널을 통해 하부기초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교축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풍하중에 대한 휨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을 하기 위해서 강성이 큰 철재로 H형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지주는 일정 간격으로 두고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토공부에서는 2~4m, 교량부에서는 2m간격으로 설치하도록 지시하고 있다(국도건설공사 설계 실무요령, 2008).
그런데, 방음벽구조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그 지주 형강의 크기가 과대해지며 시인성확보가 어려워져서, 방음벽구조물이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간주되고 있어 방음벽구조물 설치를 거부 혹은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최근에는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투명형 방음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투명형 방음패널을 설치하더라도 지주로 인하여 시인성확보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방음벽구조물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지역생활권을 단절시키는 단점을 여전히 갖고 있다.
즉, 방음벽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사하중(Dead Load)에 해당하는 자중과 활하중(Live Load)에 해당하는 풍하중(Wind Load) 및 설하중(Snow Load)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하중은 방음패널을 통해 지주로 전달되고 지주에서 하부 기초 콘크리트로 하중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하부 지반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방음패널의 경우에는 방음패널 규격크기(통상적으로1.0×2.0, 1.0×4.0)에서 발생하는 자중 및 풍하중 설하중에 대하여만 고려하여야 하므로 그 크기가 크지 않지만, 지주의 경우에는 상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방음패널에서 발생하는 하중들을 합산한 하중을 하부 기초에 전달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비대하여, 2~4m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로 인하여 시인성 저하 및 차폐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지주를 투명성이 극대화된 형태로 변경하거나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점이 없이 H형강의 간격을 넓게 설치하여 방음벽구조물 설치로 인한 시인성 저하 및 차폐성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투명한 방음패널의 경우, 유리 등과 같이 쉽게 파손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직접 지주와 결합되지 못하고 창문틀과 같이 패널프레임을 통해 지주에 결합된다. 따라서, 투명한 방음패널을 둘러싸는 패널프레임으로 인해 투명성이 더욱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인성 저하 및 조망권확보, 주변지역 단절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구조적으로 하중전달 및 풍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호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방음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음패널들; 상기 방음벽체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방음벽체를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주들; 상기 방음벽체가 상기 지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주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방음벽체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방음벽체 사이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결합된 원형 봉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3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원형 봉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연결부재는 시인성, 경관성 등을 고려하여 원형 봉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H형강 등의 기존의 형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방음벽체 및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방음벽체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에 의해 상기 방음벽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방음벽을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에 적층될 수 있도록 패널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방음패널에 밀착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결합부에 연결된 연결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지지패널 결합부; 상기 방음패널에 결합되며, 탄성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상기 지지패널 결합부와 결합되는 방음패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패널을 포함하며;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방음벽체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패널이 적층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제2연결부재의 패널, 상기 방음패널을 함께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벽 및 지주를 받치는 기초구조물 및,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방음벽체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방음벽, 상기 기초구조물을 함께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주는 원형 봉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투명한 방음패널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방음벽을 이룸으로써, 방음벽의 개방감이 극대화되어 시인성 및 시야, 조망권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주변지역 단절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연결프레임에 의해 방음벽이 지주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하중전달 및 풍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벽과 지주 사이에 방음벽를 지지할 수 있는 리브가 설치됨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한 응력분배 및 처짐, 변위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패널, 지지패널을 결속하는 결속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변위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으며 방음패널 및 지지패널, 연결프레임, 지주들 간 공차가 흡수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정면모식도.
도 2는 사시도.
도 3은 일측 분해 사시도.
도 4는 타측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의 결속부재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결속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결속부재가 적용된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음벽구조물의 높이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후술할 방음벽체와 지주 간 배치방향으로 전후방향이라 하며, 방음벽구조물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호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방음벽체(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음패널(12)들과; 방음벽체(10)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방음벽체(10)를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주(20)들과; 방음벽체(10)가 지주(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방음벽체(10)와 지주(20)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방음패널(12)들이 지주(20) 및 패널프레임없이 상호 연속적으로 배열됨으로써, 방음벽은 지주(20)나 패널프레임 등에 의해 가려진 부분없이 강화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자체의 투명감을 살려 개방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20)들이 방음벽체(10)에 바로 붙지 않고 방음벽체(10)와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지주(20)가 방음벽체(10)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더라도 방음벽체(10)와 지주(20) 사이 공간을 통해 시인성이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은 연결프레임(30)을 통해 방음벽체(10)가 지주(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구조적으로 하중전달 및 풍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아울러 시인성 및 조망권, 시야 확보 등의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주변지역 간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방음패널(10)은 강화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결속부재(6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주(20)는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방음패널(12)이 끼워지는 구조가 아니므로 H형강보다는 원형 봉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시인성 및 조망권, 시야 확보 등의 측면에서 보다 이점이 될 수 있다. 물론, 지주(20)는 반드시 원형 봉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원형 봉강은 속이 꽉 찬 솔리드(solid)형일 수도 있고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일 수도 있다.
연결프레임(30)은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프레임(30)은 방음벽체(10) 및 지주(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30)이 방음벽구조물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시야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프레임(30)이 방음벽체(10)와 지주(20) 사이에 설치되더라도 시인성 및 조망권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30)은 지주(20)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32) 및, 제1연결부재(32)와 방음벽체(10)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32)와 방음벽체(10) 사이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34)가 좌우방향을 따라 지주(20)와 지주(20) 사이에 위치되더라도 용이하게 제1연결부재(32)를 통해 지주(20)에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결프레임(30)이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연결프레임(30)을 통해 방음벽체(10)가 지주(20)에 용이하게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한 구간에 복수의 제2연결부재(3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주(20)와 지주(20) 사이의 한 구간에서 방음벽체(10)의 복수 지점이 지주(20)에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방음벽체(10)가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연결부재(32) 및 제2연결부재(34)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연결부재(32)는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조망권, 시야 확보의 극대화를 위해 지주(20)와 같이 원형 봉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H형강 등의 기존의 형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32)는 제1연결부재(32)의 원형 봉강 이외에도 더 추가적으로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2)가 원형 봉강으로만 이루어지면, 구조적으로 간소할 뿐만 아니라 제1연결부재(32)로 인하여 시인성 및 조망권이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32)의 원형 봉강은 지주(2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지주(20) 및 제1연결부재(32)의 원형 봉강 모두 강재인 경우 용접에 의해 지주(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4)는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조망권, 시야 확보의 극대화를 위해 특히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34)가 패널로 형성됨에 따라, 방음벽체(10)와 지주(20) 사이의 공간이 제2연결부재(34)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연결부재(34)로 인하여 시인성 및 조망권, 또한 채광이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4)의 그림자로 인해 방음벽체(10)에 그늘이 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4)가 패널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패널(40)과 적층되어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재(34)는 제1연결부재(32)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연결부재(32) 및 제2연결부재(34) 모두 강재인 경우 용접에 의해 제1연결부재(32)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재(34)는 후술할 결속부재(6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3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4)는 후술할 제3연결부재(36)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제3연결부재 관통홀(34b)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연결부재(34)들이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경우, 제2연결부재(34)와 제2연결부재(34) 사이에 설치된 제3연결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연결부재(34)들이 제3연결부재(36)에 의해 상호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연결부재(36)에 의해 제2연결부재(34)와 제2연결부재(34) 사이 간격이 유지됨에 따라 제2연결부재(34)에 발생하는 하중 및 변위가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프레임(30)에 의한 방음벽체(1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36)는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조망권, 시야 확보의 극대화를 위해 특히 원형 봉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H형강 등의 기존의 형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제3연결부재(36)의 원형 봉강은 제2연결부재(34)와 제2연결부재(34) 사이마다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제2연결부재(34)들에 관통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벽체(10)와 상기 지주(20) 사이에 상기 방음벽체(10)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패널(4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패널(40)들이 방음벽체(10)를 리브(rib)처럼 받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패널(40)들에 의해 방음벽체(10) 중간중간에서 발생하는 외부하중에 대한 응력분배 및 변위, 처짐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벽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40)들을 강화유리 등과 같이 투명한 소재로 형성하여 지지패널(40)들로 인해 시인성 및 조망권이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지지패널(40)은 방음패널(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재의 특성 및 제조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방음패널(12)과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패널(40)은 방음패널(12)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속부재(60)에 의해 방음패널(12)과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방음패널(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패널(4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패널(40)는 후술할 결속부재(6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4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은 지지패널(40)을 방음패널(12)에만 구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40)을 통해 방음벽체(10)가 연결프레임(30)과 구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연결프레임(30)의 제2연결부재(34)가 지지패널(40)에 결합됨으로써 방음벽체(10)가 연결프레임(30)에 의해 가려지거나 그늘지지 않기 때문에 방음벽체(10)의 투명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방음벽체(10)가 도시적인 세련된 이미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조 상 방음벽체(10)와 연결프레임(30)의 제2연결부재(34)가 상호 교축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방음벽체(10)와 제2연결부재(34)의 직접적인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데, 지지패널(40)에 의해 방음벽체(10)와 연결프레임(30)이 용이하게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패널(40)에 의해 방음벽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패널(40)과 방음패널(12)은 결속부재(60)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패널(40)의 상부에 패널로 형성된 제2연결부재(34)가 적층된 경우, 결속부재(60)는 지지패널(40) 및 방음패널(12)을 제2연결부재(34)의 패널과 함께 결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결속부재(60a)라 한다. 또한 결속부재(60)는 단지 지지패널(40)과 방음패널(12)만을 결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결속부재(60b)라 한다. 또한 기초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결속부재(60)는 지지패널(40) 및 방음패널(12)을 기초구조물과 함께 결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결속부재(60c)라 한다. 기초구조물은 방음벽구조물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구성요소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제2,제3결속부재(60a,60b,60c)는 모두 각각의 개별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형상은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속부재(60), 즉 제1,제2,제3결속부재(60a,60b,60c)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결속부재(60)는 지지패널(40)에 적층될 수 있도록 패널로 형성되어 지지패널(40)에 결합된 제1결합부(62)와, 방음패널(12)에 밀착 결합되는 제2결합부(64)와, 제1결합부(62)로부터 돌출되며 제2결합부(64)에 연결된 연결로드(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62)는 지지패널(40)에 적층되는 패널로 형성되며 제2결합부(64)는 패널이 아닌 로드 형태의 연결로드(66)를 통해 제1결합부(62)와 연결됨으로써, 결속부재(60)로 인한 방음벽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의 방음패널(12)을 함께 지지패널(40)에 결속시킬 수 있는 바, 방음패널(12)들 결속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며 결속부재(60)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62)는 지지패널(40)(또는 지지패널(40)&제2연결부재(34) 또는 지지패널(40)&기초구조물)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탈부착이 가능토록 볼트체결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62)는 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6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64) 또한 방음패널(12)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탈부착이 가능토록 볼트체결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64) 또한 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6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60)는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4결속부재(60d)라 한다.
즉 제4결속부재(60d)는 지지패널(40)에 결합된 지지패널 결합부(100)와; 방음벽체(10)의 방음패널(12)에 결합되며, 탄성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지지패널 결합부(100)와 결합되는 방음패널 결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음패널 결합부(110)가 탄성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지지패널(40) 및 연결프레임, 방음벽체(10) 간 전후방향 공차 및 충격전달이 탄성력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서 방음벽체(10)의 구조적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방음벽체(10)와 지지패널(40), 연결프레임, 지주 간 구조적 연결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 결합부(100) 및 방음패널 결합부(110)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108)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 결합부(100)가 탄성부재(108)에 의해 방음패널 결합부(110)를 지지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지지패널 결합부(100)는 지지패널(40)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패널부(102)와, 패널부(102)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홈 구조의 내부공간(104a)이 형성된 외측 결합부(104)와, 외측 결합부(104)의 내부공간(104a)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방음패널 결합부(110)와 구조적으로 결합된 내측 결합부(106)와, 외측 결합부(104)의 내부공간(104a)에 설치되어 내측 결합부(106)를 전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음패널 결합부(110)와 결합된 내측 결합부(106)가 탄성부재(10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방음패널 결합부(110)가 내측 결합부(106)와 함께 탄성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부(102)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40)의 양쪽에 각각 적층될 수 있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 결합부(104)에는 내측 결합부(106)의 이탈방지를 위해 외측 단턱부(104b)가 구비되며, 내측 결합부(106) 또한 외측 결합부(104)의 내부공간(104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 결합부(104)의 내부공간(104a)에서 외측 단턱부(104b)에 간섭될 수 있는 내측 단턱부(106b)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결합부(106)는 방음패널 결합부(11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방음패널 결합부(110)와 볼트(112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홈(106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결속부재(60)로 인해 지지패널(40)이 방음벽체(10)에 밀착될 수 없으며, 방음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방음패널 결합부(110)는 지지패널 결합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112a)가 돌출 형성된 중앙부(112)와, 중앙부(112)로부터 돌출된 연결로드(116)와, 연결로드(116)의 끝단에 구비되며 방음패널(12)과 결합된 패널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지지부(114)는 연결로드(116)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116)에 탈부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패널지지부(114)는 연결로드(116)와 여러가지방법으로 탈부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14a)&너트(114b)방식으로 연결로드(116)와 탈부착될 수 있다. 패널지지부(114)는 방음패널(12)이 끼워지는 끼움홈(114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음패널(114)에 결속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특수가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미설명부호 '70'은 제4결속부재(60d)가 지지패널(40) 및/또는 연결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볼트형 체결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방음벽구조물은 기초구조물과 방음패널(12)들과 사이에는 방음패널(12)의 손상 방지를 위해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된 패킹(packing)이 개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방음벽체 12; 방음패널
20; 지주 30; 연결프레임
32; 제1연결부재 34; 제2연결부재
36; 제3연결부재 40; 지지패널
50; 기초구조물 60; 결속부재

Claims (12)

  1.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호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투명한 방음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음패널들;
    상기 방음벽체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방음벽체를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주들;
    상기 방음벽체가 상기 지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방음벽체 및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방음벽체와 상기 지주 사이에 상기 방음벽체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며,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의해 상기 방음벽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방음벽체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주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방음벽체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방음벽체 사이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결합된 원형 봉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3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원형 봉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에 적층될 수 있도록 패널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방음패널에 밀착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결합부에 연결된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지지패널 결합부;
    상기 방음패널에 결합되며, 탄성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상기 지지패널 결합부와 결합되는 방음패널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패널 및 상기 방음패널과 함께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패널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체 및 지주를 받치며,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패널 및 상기 방음패널과 함께 결속되는 기초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주는 원형 봉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20100034347A 2010-04-14 2010-04-14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102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47A KR101026698B1 (ko) 2010-04-14 2010-04-14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47A KR101026698B1 (ko) 2010-04-14 2010-04-14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698B1 true KR101026698B1 (ko) 2011-04-08

Family

ID=4404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347A KR101026698B1 (ko) 2010-04-14 2010-04-14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19B1 (ko) 2011-07-29 2013-09-30 에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화된 투명방음벽의 풍압조절가능한 고정시스템
CN110056107A (zh) * 2019-04-26 2019-07-26 南方雄狮创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性强的幕墙支撑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21A (ja) * 2001-01-16 2002-07-3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遮音壁
KR200432530Y1 (ko) * 2006-09-08 2006-12-0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21A (ja) * 2001-01-16 2002-07-3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遮音壁
KR200432530Y1 (ko) * 2006-09-08 2006-12-0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19B1 (ko) 2011-07-29 2013-09-30 에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화된 투명방음벽의 풍압조절가능한 고정시스템
CN110056107A (zh) * 2019-04-26 2019-07-26 南方雄狮创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性强的幕墙支撑结构
CN110056107B (zh) * 2019-04-26 2024-02-20 南方雄狮创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性强的幕墙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rnas et al. Performance of industrial buildings during the Emilia earthquakes in Northern Italy and recommendations for their strengthening
KR100860478B1 (ko) 철골구조물의 보
KR10100103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터널
KR20200107153A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26698B1 (ko)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1222550B1 (ko)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JP5759608B1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体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JP3153965U (ja) ソーラーパネル一体型背面防音パネルを用いた防音壁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1587273B1 (ko) 완충과 용이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방음 시설 및 이 시공 방법
JP3162410U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構造体
KR101071664B1 (ko) 개방형 방음벽구조물
KR100718796B1 (ko) 조립식 경량 터널 방음벽
KR200429277Y1 (ko) 방음벽용 지주
KR20050080092A (ko) 구멍강판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부분매입형 합성바닥판시스템
CN212405745U (zh) 一种空间组合桁架结构及建筑
CN103669592A (zh) 抗弯部件以及梁柱连接节点
KR101098939B1 (ko) 교량의 방호벽 조인트에서 수평 변위 적응을 위한 슬라이드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고정 구조물
KR20120091533A (ko) 방음구조물
JP5648398B2 (ja) 防音壁
CN212358626U (zh) 一种具有预防水平剪力功能的建筑用抗震支座
KR102341094B1 (ko)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5671312U (zh) 一种利用楼座结构可拆卸可周转使用的安全防砸棚系统
KR102655207B1 (ko) 지붕패널 누수방지 구조가 적용된 방음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