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30A -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 Google Patents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30A
KR20140051530A KR1020120117619A KR20120117619A KR20140051530A KR 20140051530 A KR20140051530 A KR 20140051530A KR 1020120117619 A KR1020120117619 A KR 1020120117619A KR 20120117619 A KR20120117619 A KR 20120117619A KR 20140051530 A KR20140051530 A KR 2014005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absorbing
pres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화
Original Assignee
유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화 filed Critical 유은화
Priority to KR102012011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530A/ko
Publication of KR2014005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Abstract

본 발명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흡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널에 흡음홀과 흡음홈을 함께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홀에 의해 흡음재가 흡음홀을 막지 않아 패널과 흡음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재에 패턴을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여,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시공을 위해 나사 체결 시 흡음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ACOUSTIC ABSORPTION AND FINISH PANEL OF CEILING AND WALL}
본 발명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흡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콘크리트 건축물 등의 천장 마감 처리를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천장의 미관 개선과 함께 단열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미관 개선 및 단열 기능만 수행할 뿐,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79623호(2006.07.06.)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245785호(1999.12.01.)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음홀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흡음홀과 대향하는 면에 흡음 패턴이 형성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일면에서 흡음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흡음홈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홈은 상기 흠음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홈과 접하여 상기 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흡음 패턴은 상기 흡음재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흡음 패턴은 삼각 톱니 형상, 사각 톱니 형상, 직삼각 톱니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클립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체결면은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제 1 절곡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곡부에는 클립이 체결되어 천장에 구비된 클립바에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된 나사홈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패널에는 흡음홈 또는 흡음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 흡음홈은 상기 흠음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홈과 접하여 상기 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흡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흡음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흡음 패턴은 삼각 톱니 형상, 사각 톱니 형상, 직삼각 톱니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에 흡음홀과 흡음홈을 함께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홀에 의해 흡음재가 흡음홀을 막지 않아 패널과 흡음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재에 패턴을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여,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시공을 위해 나사 체결 시 흡음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에서 취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B-B`에서 취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홈(114)과 흡음홈(114)이 형성된 패널(100)과, 패널(100)에 내장된 흡음재(200)를 포함한다.
패널(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몸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적으로 흡음재(200)를 내장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직사각 박스 형상의 패널(100)을 예시한다. 이러한 패널(100)은 흡음홀(112)과 흡음홈(114)이 형성되는 베이스면(110)과, 베이스면(110)의 일측 및,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된 클립 체결면(120)과, 일측과 타측 사이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130)을 포함한다.
베이스면(110)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가 천장에 시공되면 실내에 노출되는 면으로서, 패널(100)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면(110)에는 흡음홀(112)과 흡음홈(114)이 형성된다.
흡음홀(112)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가 설치된 실내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흡음홀(112)은 예시적으로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홀 이외에 타원형홀과, 삼각형홀 및 사각형 홀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홀 일 수 있다.
흡음홈(114)은 흡음홀(112)과 함께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반구형 흡음홈(114)은 후술될 흡음재(20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흡음홀(112)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원형 대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흠음홀(112)과 흡음홈(114)이 함께만 구비된다면 그 배치는 흡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하나의 흡음홀(112) 주위에 다수개의 흡음홈(114)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흡음홈(114) 주위의 다수개의 흡음홀(1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개수의 흡음홀(112)과 흡음홀(112)이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불특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서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클립 체결면(120)은 클립을 체결하여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이 체결될 수 있도록 패널(100)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절곡된 제 1 절곡부(122a, 122b)와 제 2 절곡부(124a, 124b)를 포함한다. 즉, 클립은 실질적으로는 제 1 절곡부(122a, 122b)에 체결되며 제 2 절곡부(124a, 124b)는 클립이 클립 체결면의 일정 높이 이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클립 체결면(120) 사이에 형성된 절곡면(130)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절곡면(130) 대신 클립 체결면(1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2개의 클립 체결면(120a, 120b)과 2개의 클립 체결면(130a, 130b) 사이에 절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나, 절곡면(130) 대신 클립 체결면(120)을 사용하여 모두 4개의 클립 체결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흡음재(200)는 흡음홀(112)을 통해 전달된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직사각 형상의 평평한 흡음재(200)를 예시한다. 이러한 흡음재(200)는 패널(100)의 베이스면(110)과 전체면이 접할 경우, 흡음홀(112)을 막게 되어 소음 흡수 효과가 크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이스면(110)에 흡음홈(114)이 형성되며, 이러한 흡음홈(114)이 흡음재(2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면(110)과 흠음재 사이에는 공간(G)이 형성되며, 흡음홀(112)을 통해 유입된 소음은 상기 공간(G)에서 충분히 흡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흡음재(200)로 직사각 형상의 평평한 흡음재(200)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흡음재(200)의 흡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흡음재(200)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20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2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톱니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톱니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삼각 톱니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된 패턴들이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흡음재(200)에 패턴을 쉽게 형성하기 위해서, 평평한 흡음재 상에 패턴을 부착하여 흡음재를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흡음재(200)의 일면, 즉, 베이스면(110)과 대향하는 면에만 패턴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패턴은 흡음재(200)의 베이스면(110)과 대향하는 면 및 이의 반대면을 포함하는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음재(200)는 실내의 소음뿐만 아니라 건물의 상층에서 전달되는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패턴에 의해 소음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2개의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가 서로 접하고 클립(300)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클립(300)은 제 2 절곡부(124a, 124b)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 1 절곡부(122a, 122b)에 끝단이 접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클립(300)의 텐션에 의해 서로 접하는 제 2 절곡부(124a, 124b)가 이격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00)의 돌출된 형상에 따라 앵커볼트(20)에 고정된 캐링채널(10)에 설치된 클립 체결바(50)에 끼워져 천장에 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패널에 흡음홀과 흡음홈을 함께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흡음홀에 의해 흡음재가 흡음홀을 막지 않아 패널과 흡음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흡음재에 패턴을 형성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은 클립 체결 대신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홈(112)이 형성된 패널(100)과, 패널(100)에 내장된 흡음재(200)를 포함한다.
패널(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몸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적으로 흡음재(200)를 내장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직사각 박스 형상의 패널(100)을 예시한다. 이러한 패널(100)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가 천장에 시공되면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베이스면(110)과, 베이스면(110)의 일측 및,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된 클립 체결면(120)과, 일측과 타측 사이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130)을 포함한다.
베이스면(110)은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가 천장에 시공되면 실내에 노출되는 면으로서, 패널(100)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베이스면(110)에 나사홈(112)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선 B-B'에서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나사홈(112)은 나사 체결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직사각 형상의 패널(100) 모서리 영역에 4개가 형성된다. 물론, 나사홈(112)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패널(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00)이 삼각형일 경우 나사홈(112)은 3개이며, 오각형일 경우 나사홈(112)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사홈(112)은 패널(100) 모서리 영역 뿐만 아니라 천장 시공을 위해 필요하다면 그 이외의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홈(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면(1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나사홈(112)에 체결되는 나사는 흡음재(200)를 누르는 일이 없이 나사홈(112)에 삽입되어 천장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시공 후 나사홈(111)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홈(111)에 삽입되는 캡(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캡은 삽입 시 베이스면(110)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추후,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교체 등의 이유로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를 탈거할 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홈(111)에도 캡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삽입 시 실내로 노출되는 캡의 머리 부분에는 일자 또는 십자 등의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베이스면(110)에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흡음홀(112)과 흡음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음재(200) 역시 전술된 제 1 실시예와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나사 체결에 의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이스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여,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의 시공을 위해 나사 체결 시 흡음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패널 110: 베이스면
112: 흠음홀 114: 흡음홈
120: 클립 체결면 130: 절곡면
200: 흡음재 300: 클립
G: 공간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음홀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흡음홀과 대향하는 면에 흡음 패턴이 형성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서 흡음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흡음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음홈은 상기 흠음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홈과 접하여 상기 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패턴은 상기 흡음재의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패턴은 삼각 톱니 형상, 사각 톱니 형상, 직삼각 톱니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클립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체결면은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제 1 절곡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곡부에는 클립이 체결되어 천장에 구비된 클립바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7.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된 나사홈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흡음홈 또는 흡음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음홈은 상기 흠음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홈과 접하여 상기 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흡음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흡음 패턴은 삼각 톱니 형상, 사각 톱니 형상, 직삼각 톱니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KR1020120117619A 2012-10-23 2012-10-23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KR20140051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19A KR20140051530A (ko) 2012-10-23 2012-10-23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19A KR20140051530A (ko) 2012-10-23 2012-10-23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30A true KR20140051530A (ko) 2014-05-02

Family

ID=5088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19A KR20140051530A (ko) 2012-10-23 2012-10-23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5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29B1 (ko) * 2016-04-26 2016-10-17 주식회사 진흥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패널의 고정조립체
KR20210087654A (ko)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젠픽스 천장 어셈블리
KR20220014023A (ko) * 2020-07-28 2022-02-04 더원산업 주식회사 헬름홀츠 공명원리를 이용한 천정방음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29B1 (ko) * 2016-04-26 2016-10-17 주식회사 진흥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패널의 고정조립체
KR20210087654A (ko)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젠픽스 천장 어셈블리
KR20220014023A (ko) * 2020-07-28 2022-02-04 더원산업 주식회사 헬름홀츠 공명원리를 이용한 천정방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816B2 (en) Ceiling system
RU2658954C2 (ru) Система полносбор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егородок, подвесных потолков и т.п., несущий профиль для таких элементов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полносбор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2284791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KR101751666B1 (ko) 건식 벽체용 차음 스터드 구조
AU2010352423B2 (en) Building panel or building panel set, fastening system for a building panel, and method for fastening a building panel
KR20140051530A (ko)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WO2010038920A1 (en) Roof ceiling panel combining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function
KR10144829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마감패널
KR101045941B1 (ko) 건축물의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100757687B1 (ko) 건축물의 내장용 마감판
KR101552651B1 (ko) 마감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KR20140002535U (ko)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KR100874427B1 (ko) 건축물 내부 바닥구조
KR20190024234A (ko) 바닥패널 고정구
JP6933472B2 (ja) 基礎パッキン
JPS5838815Y2 (ja) 建築物又は構築物の面構造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KR100442980B1 (ko) 칸막이판넬용 하부 고정부재
KR20050090167A (ko) 다층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
JP2009133154A (ja) 外壁材、及び該外壁材を備える外壁
KR2003436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클램프
JP2000027333A (ja) 構造物の内装装置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20050109034A (ko)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