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432B1 -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32B1
KR102254432B1 KR1020190166843A KR20190166843A KR102254432B1 KR 102254432 B1 KR102254432 B1 KR 102254432B1 KR 1020190166843 A KR1020190166843 A KR 1020190166843A KR 20190166843 A KR20190166843 A KR 20190166843A KR 102254432 B1 KR102254432 B1 KR 10225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ce
receipt
barcode
pric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좋은세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좋은세상협동조합 filed Critical 좋은세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16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weight of goods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e.g. supermarket, P.O.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combined with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프라이스카드, 바코드라벨,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매장에서 이동되는 대차(100)와, 대차(100)에 구비되어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하는 통합출력수단(200)과, 대차(100)에 구비되어 상품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리더기(400)와, 바코드리더기(400)의 리딩을 인식하고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되도록 통합출력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Movable type sto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프라이스카드, 바코드라벨,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는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물품구매의 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판매상품에 예를 들어 프라이스카드나 바코드와 같은 스티커라벨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스티커라벨은 통상 컴퓨터가 조합된 프라이스카드 프린터 또는 바코드프린터와 같은 매장용 스티커라벨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되어 수작업에 의해 판매상품에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매장용 스티커라벨 인쇄장치는 매장 내에서 특정장소에 위치고정되어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판매상품마다 프라이스카드나 바코드를 일일이 프린트하여 판매상품이 진열된 장소로 이동하여 부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8399호(등록일2013.08.05.)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프라이스카드, 바코드라벨,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은, 매장에서 이동되는 대차(100)와, 대차(100)에 구비되어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하는 통합출력수단(200)과, 대차(100)에 구비되어 상품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리더기(400)와, 바코드리더기(400)의 리딩을 인식하고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되도록 통합출력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대차(100)는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130)와, 외측에 형성되는 브래킷(140)과, 브래킷(140)에 관통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150)과, 연결축(150)의 일단에 고정되어 외부에 충돌됨을 완화시키는 범퍼(160)와, 연결축(150)의 타단에 고정되어 바퀴(130)에 마찰되어서 바퀴(130)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패드(170)와, 브레이크패드(170)가 바퀴(130)에서 이격되도록 연결축(150)에 설치된 상태로 브래킷(140) 및 범퍼(160)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통합출력수단(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 바코드라벨배출구(212), 영수증배출구(213)가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면서 프라이스카드(10)가 감겨서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서 이격되면서 바코드라벨(20)이 감겨서 보관되는 바코드라벨보관부(23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서 이격되면서 영수증(30)이 감겨서 보관되는 영수증보관부(24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바코드를 인쇄하는 프라이스인쇄부(250)와, 프라이스인쇄부(250)에 의해 상품명, 단가, 바코드가 인쇄되는 프라이스카드(10)를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로 배출시키는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 보관되는 바코드라벨(20)에 바코드를 인쇄하는 바코드인쇄부(270)와, 바코드인쇄부(270)에 의해 바코드가 인쇄되는 바코드라벨(20)을 바코드라벨배출구(212)로 배출시키는 바코드라벨배출부(280)와, 영수증보관부(240)에 보관되는 영수증(30)에 영수증내역을 인쇄하는 영수증인쇄부(290)와, 영수증인쇄부(290)에 의해 영수증내역이 인쇄되는 영수증(30)을 영수증배출구(213)로 배출시키는 영수증배출부(30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인쇄부(250), 바코드인쇄부(270), 영수증인쇄부(290)를 구동시키는 인쇄구동부(31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를 구동시키는 배출구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500)는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선택받는 선택부(510)와,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입력받고, 바코드라벨(20)에 상품명 및 단가를 입력받고, 영수증(30)에 구매내역을 입력받는 상품정보입력부(520)와,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출력되도록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530)와, 바코드리더기(500)에서 인식되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확인하는 바코드확인부(540)와, 바코드확인부(540)에서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식되면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품명 및 단가가 확인되면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550)와, 판단부(550)에서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영수증(30)이 출력되게 하고,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프라이스카드(10)가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하는 조작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500)는 전자저울(600)에서 측정되는 무게를 인식하는 무게인식부(570)와, 측정된 무게를 미리 설정된 기준무게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준무게를 확인하는 무게확인부(580)와, 확인된 기준무게를 미리 매칭된 단가를 확인하는 단가확인부(590)와, 상품명을 입력받는 상품명입력부(501)를 포함하고, 조작부(560)는 무게확인부(580)를 통해 무게가 확인되면 입력된 상품명 및 확인된 단가가 바코드라벨(20)에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프라이스카드, 바코드라벨,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어서, 상품판매 및 상품관리 작업이 유동적이면서 노동력 및 노동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부분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출력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라이스인쇄부, 바코드인쇄부, 영수증인쇄부들 각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라이스카드를 보인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코드라벨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수증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제어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장에서 이동되는 대차(100)와, 대차(100)에 구비되어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하는 통합출력수단(200)과, 대차(100)에 구비되어 상품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리더기(400)와, 상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600)과, 바코드리더기(400)의 리딩을 인식하고 전자저울(600)의 무게를 인식하며,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출력되도록 통합출력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한다.
대차(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어부재(500)가 수용되어서 보관될 수 있고, 상부에 선반(110)이 형성되어 통합출력수단(200)과, 바코드리더기(400)와, 전자저울(600)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대차(100)의 내부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대차(100)는 일측에 손잡이(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대차(100)를 밀거나 끌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선반(110)은 일정한 넓이를 갖는 강판(111)과, 강판(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통합출력수단(200)과, 바코드리더기(400)와, 전자저울(600)의 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거치판(112)을 포함한다.
강판(111)은 사각형태의 합판으로 구성되어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거치판(112)은 연질의 고무판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통합출력수단(200)과, 바코드리더기(400)와, 전자저울(600) 및 제어부재(5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대차(100)는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130)와, 외측에 형성되는 브래킷(140)과, 브래킷(140)에 관통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150)과, 연결축(150)의 일단에 고정되어 외부에 충돌됨을 완화시키는 범퍼(160)와, 연결축(150)의 타단에 고정되어 바퀴(130)에 마찰되어서 바퀴(130)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패드(170)와, 브레이크패드(170)가 바퀴(130)에서 이격되도록 연결축(150)에 설치된 상태로 브래킷(140) 및 범퍼(160)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80)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차(1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매장의 진열대에 접촉되거나 충돌되는 경우, 범퍼(160)에 의해 충돌이 감소되고 브레이크패드(170)가 바퀴(130)에 마찰되어서 대차(100)가 정지되므로, 전체적인 충돌충격이 최소화되어 대차(100) 및 진열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통합출력수단(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 바코드라벨배출구(212), 영수증배출구(213)가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면서 프라이스카드(10)가 감겨서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서 이격되면서 바코드라벨(20)이 감겨서 보관되는 바코드라벨보관부(23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서 이격되면서 영수증(30)이 감겨서 보관되는 영수증보관부(24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바코드를 인쇄하는 프라이스인쇄부(250)와, 프라이스인쇄부(250)에 의해 상품명, 단가, 바코드가 인쇄되는 프라이스카드(10)를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로 배출시키는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 보관되는 바코드라벨(20)에 바코드를 인쇄하는 바코드인쇄부(270)와, 바코드인쇄부(270)에 의해 바코드가 인쇄되는 바코드라벨(20)을 바코드라벨배출구(212)로 배출시키는 바코드라벨배출부(280)와, 영수증보관부(240)에 보관되는 영수증(30)에 영수증내역을 인쇄하는 영수증인쇄부(290)와, 영수증인쇄부(290)에 의해 영수증내역이 인쇄되는 영수증(30)을 영수증배출구(213)로 배출시키는 영수증배출부(30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인쇄부(250), 바코드인쇄부(270), 영수증인쇄부(290)를 구동시키는 인쇄구동부(31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를 구동시키는 배출구동부(320)를 포함한다.
먼저, 프라이스카드(10)는 상품명에 대한 문자 및 단가에 대한 숫자가 인쇄되면서, 상품명 및 단가와 함께 프라이스카드정보를 갖는 바코드도 인쇄된 상태로 매장에서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프라이스카드(10)를 통해 문자 및 숫자를 읽어서 상품명 및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바코드라벨(20)에는 상품명 및 단가에 대한 정보를 갖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어서 바코드리더기(400)에 의해 리딩될 수 있다. 이때, 바코드라벨(20)은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테이프형태로 구성되므로 상품에 부착될 수 있다.
영수증(30)은 상품명, 단가, 수량, 금액, 부가세, 합계 등의 내역으로 이루어지는 영수증내역이 인쇄되어 있어서 고객이 자신이 구매한 상품 및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라이스카드케이스(210)는 하부에서 상부가 분리되면 내부공간을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프라이스카드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 바코드라벨보관부(230), 영수증보관부(240)가 함께 구비되므로 편리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스카드케이스(210)에는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 바코드라벨배출구(212), 영수증배출구(213)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 바코드라벨보관부(230), 영수증보관부(24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프라이스카드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릴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릴에는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감겨서 보관된다.
프라이스인쇄부(250), 바코드인쇄부(270), 영수증인쇄부(290)는 각각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201)와, 잉크저장부(201)에 저장된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헤드(202)와, 인쇄헤드(202)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인쇄유동부(2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부들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에 각각 잉크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지만, 이와 다르게 토너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스인쇄부(250)에 의해 인쇄헤드(202) 및 인쇄유동부(203)가 구동되어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바코드가 인쇄되고, 바코드인쇄부(270)에 의해 인쇄헤드(202) 및 인쇄유동부(203)가 구동되어 바코드라벨(20)에 바코드가 인쇄되며, 영수증인쇄부(290)에 의해 인쇄헤드(202) 및 인쇄유동부(203)가 구동되어 영수증(30)에 영수증내역이 인쇄된다.
프라이스카드배출부(24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는 각각 프라이스카드(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밀착되는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라이스카드배출부(240)의 모터가 구동되면 롤러가 회전되므로 프라이스카드(10)가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바코드라벨배출부(280)의 모터가 구동되면 롤러가 회전되므로 바코드라벨(20)이 바코드라벨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영수증배출부(300)의 모터가 구동되면 롤러가 회전되므로 영수증(30)이 영수증배출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프라이스카드배출부(24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는 각각 읠 릴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모터들이 해당 릴을 회전시키면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명, 단가, 바코드가 인쇄된 프라이스카드(10)를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에 거치하면, 고객이 상품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거치된 프라이스카드(10)를 통해 상품에 대한 상품명 및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라벨(20)을 상품에 부착된 상태에서 고객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사용자가 바코드리더기(400)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라벨(20)을 리딩하여 해당 상품의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배출된 영수증(30)을 통해 자신이 구매한 상품, 수량, 단가, 합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인쇄구동부(310)는 프라이스인쇄부(250), 바코드인쇄부(270), 영수증인쇄부(290)를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배출구동부(320)는 프라이스카드배출부(24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를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바코드리더기(400)는 프라이스카드(10)나 바코드라벨(20)에 인쇄된 바코드정보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재(5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리딩된 바코드정보는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 일 수 있다.
전자저울(600)은 상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재(500)로 전송한다.
제어부재(500)는 모니터가 연결되는 PC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선택받는 선택부(510)와,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입력받고, 바코드라벨(20)에 상품명 및 단가를 입력받고, 영수증(30)에 구매내역을 입력받는 상품정보입력부(520)와,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출력되도록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530)와, 바코드리더기(400)에서 인식되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확인하는 바코드확인부(540)와, 바코드확인부(540)에서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식되면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품명 및 단가가 확인되면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550)와, 판단부(550)에서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영수증(30)이 출력되게 하고,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프라이스카드(10)가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하는 조작부(560)를 포함한다.
선택부(51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입력되는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서 모니터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품정보입력부(5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입력되는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부(510)를 통해 프라이스카드(10)를 선택하고, 상품정보입력부(520)를 통해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530)가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므로,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쇄된 프라이스카드(10)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부(510)를 통해 바코드라벨(20)을 선택하고, 상품정보입력부(520)를 통해 상품명, 단가를 입력하면 제어부(530)가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므로, 상품명, 단가에 대한 정보가 바코드로 인쇄된 바코드라벨(20)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부(510)를 통해 영수증(30)을 선택하고, 상품정보입력부(520)를 통해 구매내역을 입력하면 제어부(530)가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므로, 구매내역이 인쇄된 영수증(30)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코드리더기(400)를 이용하여 프라이스카드(10)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면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식되므로, 인식된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쇄된 프라이스카드(1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바코드리더기(4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프라이스카드(10)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코드리더기(400)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라벨(20)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면 상품명, 단가가 인식되므로, 인식된 상품명, 단가 및 합계가 인쇄된 영수증(3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바코드리더기(4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영수증(3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500)는 전자저울(600)에서 측정되는 무게를 인식하는 무게인식부(570)와, 측정된 무게를 미리 설정된 기준무게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준무게를 확인하는 무게확인부(580)와, 확인된 기준무게를 미리 매칭된 단가를 확인하는 단가확인부(590)와, 상품명을 입력받는 상품명입력부(5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조작부(560)는 무게확인부(580)를 통해 무게가 확인되면 입력된 상품명 및 확인된 단가가 바코드라벨(20)에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단가가 미리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상품명 및 단가가 인쇄된 바코드라벨(20)을 출력시켜서 해당 상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소나 육류 또는 어류 등의 무게에 따라 단가가 결정되므로 전자저울(600)을 이용하여 바코드라벨(20)을 출력시켜서 사용하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매장에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프라이스카드, 바코드라벨,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라이스카드 20 : 바코드라벨
30 : 영수증 100 : 대차
110 : 선반 120 : 손잡이
130 : 바퀴 140 : 브래킷
150 : 연결축 160 : 범퍼
170 : 브레이크패드 180 : 탄성체
200 : 통합출력수단 210 : 케이스
211 : 프라이스카드배출구 212 : 바코드라벨배출구
213 : 영수증배출구 220 : 프라이스카드보관부
230 : 바코드라벨보관부 240 : 영수증보관부
250 : 프라이스인쇄부 260 : 프라이스카드배출부
270 : 바코드인쇄부 280 : 바코드라벨배출부
290 : 영수증인쇄부 300 : 영수증배출부
310 : 인쇄구동부 320 : 배출구동부
400 : 바코드리더기 500 : 제어부재
510 : 선택부 520 : 상품정보입력부
530 : 제어부 540 : 바코드확인부
550 : 판단부 560 : 조작부
570 : 무게인식부 580 : 무게확인부
590 : 단가확인부 501 : 상품명입력부

Claims (5)

  1. 매장에서 이동되는 대차(100)와,
    대차(100)에 구비되어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하는 통합출력수단(200)과,
    대차(100)에 구비되어 상품에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리더기(400)와,
    바코드리더기(400)의 리딩을 인식하고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출력되도록 통합출력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고,
    대차(100)는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130)와,
    외측에 형성되는 브래킷(140)과,
    브래킷(140)에 관통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150)과,
    연결축(150)의 일단에 고정되어 외부에 충돌됨을 완화시키는 범퍼(160)와,
    연결축(150)의 타단에 고정되어 바퀴(130)에 마찰되어서 바퀴(130)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패드(170)와,
    브레이크패드(170)가 바퀴(130)에서 이격되도록 연결축(150)에 설치된 상태로 브래킷(140) 및 범퍼(160)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80)를 포함하고,
    대차(100)의 상부에는 선반(110)이 형성되어 통합출력수단(200)이 거치되고,
    선반(110)은 일정한 넓이를 갖는 강판(111)과, 강판(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통합출력수단(200)의 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거치판(112)을 포함하고,
    강판(111)은 사각형태의 합판으로 구성되어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고,
    거치판(112)은 연질의 고무판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통합출력수단(200)을 보호할 수 있고,
    통합출력수단(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 바코드라벨배출구(212), 영수증배출구(213)가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면서 프라이스카드(10)가 감겨서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서 이격되면서 바코드라벨(20)이 감겨서 보관되는 바코드라벨보관부(23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서 이격되면서 영수증(30)이 감겨서 보관되는 영수증보관부(240)와,
    프라이스카드보관부(220)에 보관되는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바코드를 인쇄하는 프라이스인쇄부(250)와,
    프라이스인쇄부(250)에 의해 상품명, 단가, 바코드가 인쇄되는 프라이스카드(10)를 프라이스카드배출구(211)로 배출시키는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와,
    바코드라벨보관부(230)에 보관되는 바코드라벨(20)에 바코드를 인쇄하는 바코드인쇄부(270)와,
    바코드인쇄부(270)에 의해 바코드가 인쇄되는 바코드라벨(20)을 바코드라벨배출구(212)로 배출시키는 바코드라벨배출부(280)와,
    영수증보관부(240)에 보관되는 영수증(30)에 영수증내역을 인쇄하는 영수증인쇄부(290)와,
    영수증인쇄부(290)에 의해 영수증내역이 인쇄되는 영수증(30)을 영수증배출구(213)로 배출시키는 영수증배출부(30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인쇄부(250), 바코드인쇄부(270), 영수증인쇄부(290)를 구동시키는 인쇄구동부(310)와,
    제어부재(5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프라이스카드배출부(260), 바코드라벨배출부(280), 영수증배출부(300)를 구동시키는 배출구동부(320)를 포함하고,
    제어부재(500)는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을 선택받는 선택부(510)와,
    프라이스카드(10)에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입력받고, 바코드라벨(20)에 상품명 및 단가를 입력받고, 영수증(30)에 구매내역을 입력받는 상품정보입력부(520)와,
    프라이스카드(10), 바코드라벨(20), 영수증(30)이 출력되도록 인쇄구동부(310) 및 배출구동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530)와,
    바코드리더기(500)에서 인식되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를 확인하는 바코드확인부(540)와,
    바코드확인부(540)에서 상품명, 단가, 프라이스카드정보가 인식되면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품명 및 단가가 확인되면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550)와,
    판단부(550)에서 바코드라벨(20)을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영수증(30)이 출력되게 하고, 프라이스카드(1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면 프라이스카드(10)가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하는 조작부(560)와,
    전자저울(600)에서 측정되는 무게를 인식하는 무게인식부(570)와,
    측정된 무게를 미리 설정된 기준무게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준무게를 확인하는 무게확인부(580)와,
    확인된 기준무게를 미리 매칭된 단가를 확인하는 단가확인부(590)와,
    상품명을 입력받는 상품명입력부(501)를 포함하고,
    조작부(560)는 무게확인부(580)를 통해 무게가 확인되면 입력된 상품명 및 확인된 단가가 바코드라벨(20)에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제어부(53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6843A 2019-12-13 2019-12-13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KR10225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43A KR102254432B1 (ko) 2019-12-13 2019-12-13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43A KR102254432B1 (ko) 2019-12-13 2019-12-13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32B1 true KR102254432B1 (ko) 2021-05-24

Family

ID=7615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843A KR102254432B1 (ko) 2019-12-13 2019-12-13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956A (ja) * 1984-12-28 1986-07-14 Teraoka Seiko Co Ltd ラベル・レシ−トプリンタ
KR0182322B1 (ko) * 1994-01-21 1999-04-15 구보 미쯔오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KR20130005587U (ko) * 2012-03-15 2013-09-25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이동식 계산대
KR200474896Y1 (ko) * 2014-07-07 2014-10-22 (주)캐스터 무진동, 무소음, 무충격 및 무독성 기능을 모두 구비한 캐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956A (ja) * 1984-12-28 1986-07-14 Teraoka Seiko Co Ltd ラベル・レシ−トプリンタ
KR0182322B1 (ko) * 1994-01-21 1999-04-15 구보 미쯔오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KR20130005587U (ko) * 2012-03-15 2013-09-25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이동식 계산대
KR200474896Y1 (ko) * 2014-07-07 2014-10-22 (주)캐스터 무진동, 무소음, 무충격 및 무독성 기능을 모두 구비한 캐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54044A1 (en) Self-checkout guidance systems and methods
US20110184798A1 (en)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CA2578239A1 (en) Rf point of purchas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5245480B2 (ja) セルフレジスタ装置
JPH01501738A (ja) セルフサービス・チエツクアウト・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044117B (zh) 购入商品登记装置及方法
KR102254432B1 (ko)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JP2012155446A (ja) 精算システム及び容器
JP4964692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US201101806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937088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3371821B2 (ja) 取り降ろし秤及び計量販売システム
US20060071068A1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JPH0773380A (ja) Posシステム
JPH04287163A (ja) フレキシブル購入品勘定・在庫管理システム
JP3816692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21026713A (ja) 登録決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170884B2 (ja) プリンタ及び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855166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2002150434A (ja) 値下ラベル及びその商品処理システム
JP2000321120A (ja) 取り降ろし計量装置
JP2512128B2 (ja) カ―ドレジスタ
JP2001134841A (ja) 会計端末装置及び物品載置台
JPS63128493A (ja) 電子キヤツシユレジスタ
JPS6356758A (ja) Pos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