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322B1 -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322B1
KR0182322B1 KR1019950001021A KR19950001021A KR0182322B1 KR 0182322 B1 KR0182322 B1 KR 0182322B1 KR 1019950001021 A KR1019950001021 A KR 1019950001021A KR 19950001021 A KR19950001021 A KR 19950001021A KR 0182322 B1 KR0182322 B1 KR 018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canner
self
printer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090A (ko
Inventor
미쯔노리 고노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쯔오
가부시끼가이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쯔오, 가부시끼가이샤 테크 filed Critical 구보 미쯔오
Publication of KR95002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9/00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 A47F9/02Paying counters
    • A47F9/04Check-out counters, e.g. for self-service stores
    • A47F9/046Arrangement of recording means in or on check-out coun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코드의 스캐닝입력이 곤란한 상품에 기인한 고객 및 계산원의 작업효율의 저하를, 주어진 공간하에서 조작성을 잃지않고 완화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를 제공한다. 이 체크아웃장치는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거치형 스캐너(15)와, 거치형 스캐너(15)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거치형 스캐너(15)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따라서 정산처리를 행하는 금전등록기(20A)를 구비하고, 금전등록기(20A)는 정산처리의 결과를 인쇄하는 프린터부(26)를 구비한다. 특히 이 체크아웃장치에서는 금전등록기(20A)가 상부에 있어서 노출되고 상기 거치형 스캐너(15)로써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곤란한 상품을 올려놓는 상품테이블(40)을 지니며, 노출가능하게 상기 프린터부(26)를 상기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 수용하는 하우징수단(30, 24P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체크아웃장치는 주로 슈퍼마켓같은 소매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제1도는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계산원에 의해 수행되는 종래 체크아웃장치의사시도.
제2도는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고객에 의해 수행되는 종래 체크아웃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정산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정산부의 내부에 설치된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노출시킨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정산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제1변형예의 내부에 설치된 프린터를 노출시킨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정산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제2변형예의 내부에 설치된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노출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스캐닝레인 11 : 반입테이블
12, 19 : 바구니 15 : 고정형 스캐너
18 : 반출테이블 20 : 정산부
20A, 20B : 금전등록기 24 : 키보드
24PL : 슬라이드판 26 : 프린터
27CHR : 계산원표시기 27CST : 고객표시기
28 : 서랍 30 : 하우징
40 : 상품테이블 CHR : 계산원
본 발명은 고객이 계산원을 대신해서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슈퍼마켓과 같은 대규모 소매점의 대부분이 고객의 체크아웃을 신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체크아웃장치를 도입하고 있다.
제1도는종래의 체크아웃장치를 나타낸다. 이 체크아웃장치는 바구니(BS)를 올려 놓는 2개의 테이블(TB1 및 TB2)과, 이들 테이블(TB1 및 TB2)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형 스캐너(SC)와, 스캐너(SC)의 정면에 조작자로써 배치된 계산원의 손이 미치는 범위에 설치되는 전자 금전등록기(CR)를 구비한다. 스캐너(SC)는 상품에 바코드 형식으로 부착된 상품코드를 광학적인 스캐닝에 의해 판독한다. 금전등록기(CR)는 스캐너(SC)로부터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의거해서 정산처리를 행한다. 고객이 구입하려고 하는 상품을 수용한 바구니(SC)를 테이블(TB1)에 올려 놓으면, 계산원은 이 바구니(SC)에서 1개씩 상품을 꺼내, 이 상품의 상품코드를 스캐너(SC)에 판독시킨 후,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다른 빈 바구니(BS)에 담는다. 정산처리에 있어서 금전등록기(CR)는 스캐너(SC)로부터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대응하는 상품데이터(상품명, 단가 등)를 판매데이터로서 등록하고, 이 판매데이터를 계산원 표시기(DP1) 및 고객표시기(DP2)에 표시시키는 한편, 키보드(KB)의 조작에 따라 전체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집계하고, 그 결과로서 상품명, 단가, 수량 및 합계금액등을 인쇄한 영수증을 프린터(PR)에서 발행한다. 서랍(DW)은 고객이 지불한 대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조 키보드(SKB)는 바코드를 부착하지 않은 특매품이나 야채와 같은 상품, 또는 바코드가 오염되어 있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키(key)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계산원에 의해 능숙하게 수행된다면, 고객표시기(DP2)의 표시내용이 짧은 주기로 갱신되기 때문에, 고객이 각 입력 상품코드와 동일시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단가를 고객표시기(DP2)에서 완전히 확인하기가 어렵다. 또, 혼잡시에는 서랍(DW)에 수용된 현금의 정리 및 금액확인을 행할 여유가 없어지는 한편, 체크아웃의 순번을 기다리는 고객의 대기시간이 계산원의 작업에만 거의 의존하기 때문에 계산원에게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부담을 준다.
제2도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종래의 체크아웃장치를 나타낸다. 이 체크아웃장치는 각각 제1도에 도시한 체크아웃장치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며 계산원(CHR)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스캐닝레인(L1 및 L2)을 갖는다. 단, 각 스캐닝레인의 스캐너(SC)는 제1도에 도시한 보조 키보드(SKB)를 갖기 않으며, 그 대신에 스캐닝 개시 및 종료를 명령하는 스위치부(SW)를 갖는다.
고객(CST)은 스캐닝레인(L1 및 L2)중 한쪽, 가령 레인(L1)을 선택하여, 선택한 스캐닝레인(L1)측에서 구입하려고 하는 상품을 수용한 바구니(BS)를 테이블 (TB1)에 올려 놓고, 스위치부(SW)의 조작에 의해 스캐너(SC)에 스캐닝 개시를 명령한다. 다음에 고객(CST)은 이 바구니(BS)에서 1개씩 상품을 꺼내, 이 상품의 상품코드를 스캐너(SC)에 판독시킨 후,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별도의 빈 바구니(BS)에 넣는다. 모든 상품의 상품코드를 스캐너(SC)를 사용하여 입력한 후, 고객(CST)은 스위치부(SW)의 조작에 의해 스캐너(SC)에 스캐닝 종료를 명령한다. 스캐닝레인(L1)측의 금전등록기(CR)는 스캐너(SC)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품데이터(상품명, 단가 등)를 판매데이터로써 등록하고, 이 판매데이터를 계산원표시기(DP1) 및 고객표시기(DP2)에 표시시키는 한편, 키보드(KB)의 조작에 따라 전체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집계하여, 그 결과로서 상품명, 단가 수량 및 합계금액 등을 인쇄한 영수증을 프린터(PR)에서 발행한다. 스캐너(SC)를 이용하여 상품코드를 입력하기가 곤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품에 대해서는 계산원(CHR)이 그 상품을 고객(CST)으로부터 받아서 그 상품의 상품코드를, 예를 들면 키보드(KB)를 사용해서 입력한다.
이 체크아웃장치에서는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고객에 의해 수행된다. 이 때문에 고객은 상품코드를 입력한 상품의 상품명 및 단가를 고객표시기(DP2)에서 확인한 후에, 다음 상품의 상품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계산원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상품을 꺼내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산원의 부담이 현저히 경감된다. 이 경우, 계산원은 스캐닝레인(L1 및 L2)에서 상품코드를 입력하는 고객을 감시함과 동시에 이들 고객에 대한 금전 수령에 필요한 금전등록기의 조작을 해야 되지만, 이것은 계산원에게 거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혼잡시에 서랍(DW)에 수용된 현금의정리 및 금액확인을 행할 여유가 있다. 또, 스캐너(SC)를 사용하여 상품코드를 입력하는 작업을 단순하기 때문에, 고객이 계산원 대신 이 작업을 행하여도, 혼잡시에 체크아웃의 순번을 기다리는 고객의 대기시간이 크게 증대되지 않는다. 더구나, 체크아웃의 순번이 돌아왔을 때, 고객이 입력작업을 행하는 분량만큼 계산원의 작업을 방관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객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덧붙여서, 한 사람의 계산원이 2개의 스캐닝레인(L1 및 L2)을 담당하므로, 인건비의 삭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체크아웃장치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한쪽의 스캐닝레인의 고객이 스캐너(SC)를 사용하여 상품코드를 입력하기가 어려운 상품을 계산원에게 건네주려고 할 때, 계산원이 한창 현금의 정리 및 금액확인을 하고 있다든지, 다른쪽의 스캐닝레인에 있는 고객에 응대하고 있는 일도 있다. 이런 경우에, 고객은 계산원이 한가해지기를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 상품을 계산원에게 건넨 후에도, 대부분의 고객은 계산원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코드에 따라 고객표시기(DP2)에 표시되는 상품명과 단가를 확인한 다음에 계산원이 되돌려 주는 상품을 받을 때까지 상품데이터의 입력을 재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입력작업이 중단되면, 대기한 만큼 고객의 체크아웃을 신속화할 수 없게 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코드의 스캐닝 입력이 곤란한 상품으로 인한 고객 및 계산원의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공간하에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고정형 스캐너와, 고정형 스캐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고정형 스캐너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의거하여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금전등록기를 구비하며, 이 금전등록기는 정산 처리의 결과를 인쇄하는 프린터부와, 상부가 노출되고 고정형 스캐너에 의해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것이 곤란한 상품을 올려 놓는 상품테이블을 지니며, 상품테이블이 프린터부의 하방에 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가 제공된다.
이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에서 상품테이블은 고정형 스캐너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곤란한 상품을 올려 놓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고객은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에 있어서 고정형 스캐너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곤란한 상품을 만났을 때, 이 상품을 상품테이블에 올려 놓는다. 계산원은 상품테이블에 놓여진 상품의 상품코드를 입력한다. 만일, 계산원이 예를 들면 다른 고객을 상대하고 있거나 또는 현금의 정리 및 금액확인과 같은 작업중이더라도, 고객은 이 상품을 계산원에게 직접적으로 건네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상품을 상품테이블에 올려 놓은 후, 신속히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계산원은 이 상품을 고객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건네받지 않으므로, 취급중인 다른 업무를 중단할 필요가 없다. 또, 하우징부가 프린터부를 상품테이블의 하방에 노출가능하게 수용하므로, 상품테이블의 설치공간이 금전등록기의 크기 및 프린터부의 사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를 도시한다. 이 체크아웃장치는 서로 나란히 설정된 2개의 스캐닝레인(10A 및 10B), 및 이들 스캐닝레인(10A 및 1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정산부(20)를 갖는다.
스캐닝레인(10A 및 10B)은 각기 일렬로 배열되는 반입테이블(11), 고정형 스캐너(15), 반출 테이블(18)을 갖는다. 반입테이블(11)은 고객이 구입하려는 상품을 수용한 바구니(12)를 올려 놓는 테이블이다. 고정형 스캐너(15)는 반입테이블(11)상의 바구니(12)에 수용된 상품에 바코드 형식으로 부착된 상품코드를 입력하기 위해 고객이 조작하며, 이 바구니(12)에서 차례로 꺼내지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광학적인 스캐닝에 의해 판독한다. 반출테이블(18)은 고정형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가 판독된 상품을 수용하는 별도의 바구니(19)를 올려 놓는 테이블이다. 고정형 스캐너(15)는 반입테이블(11)과 반출테이블(18)의 사이에 배치되며, 스캐닝 개시키 및 스캐닝 종료키와 같은 명령키를 포함하는 스위치부(16)와, 계산원(CHR)과 고객(CST-A 또는 CST-B)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돈을 올려 놓는 금전트레이(17)를 갖는다. 반입테이블(11)과 반출테이블(18)은 바구니(12 및 19)의 깊이에 대응하여 고정형 스캐너(15)보다 낮게 설정된다. 반출테이블(18)위에는 계산원(CHR)에 인접한 단부를 따라 격판(60)이 형성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산부(20)는 스캐닝레인(10A 및 10B)에 각기 할당된 공통의 계산원(CHR)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 이들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를 일체화하는 하우징(30),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에 공통인 서랍(28)을 갖는다. 각각의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는 제어부(21U), 키보드(24), 핸드 스캐너(25), 프린터(26), 계산원표시기(27CHR), 고객표시기(27CST), 모드스위치(5), 영수증 발행구(41) 및 상품테이블(40)을 갖는다. 하우징(30)은 좌우의 측판(31), 배면판(32), 슬라이드판(24PL), 슬라이드 안내판(33), 복수개의 유지판(34), 베이스(35), 4개의 바퀴(36) 및 격벽(42)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안내판(33)과 유지판(34)은 좌우의 측판(31) 및 배면판(32)에 고정되며, 이들 좌우의 측판(31)과 배면판(32)은 베이스(35)에 고정된다. 4개의 바퀴(36)는 정산부(20)를 스캐닝레인(10A 및 10B) 사이의 영역으로 반출입시키기 위하여 베이스(35) 하부의 구석에 부착된다. 정산부(20)의 위치는 이들 바퀴(36)에 부가된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슬라이드판(24PL)은 하우징(30)으로부터 계산원(CHR)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판(33)상에 놓인다. 이와 같은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의 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한 계산원(CHR)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에 있어서, 제어부(21U)는 유지판(34)상에 배치된다. 제어부(21U)는 CPU, ROM, RAM등으로 구성되며, 대응 스캐닝레인(10A, 10B)측의 고정형 스캐너(15)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대응하는 상품데이터(상품명, 단가 등)를 판매데이터로써 등록하고, 전체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집게하는 정산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모드처리를 행한다. 키보드(24)는 하우징(3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스라이드판(24PL)에 고정되고, 정산처리에 필요한 제어명령 및 상품코드 등을 입력하기 위해 계산원(CHR)이 조작한다. 이 키보드(24)는 합산처리를 명령하는 수령액/현금계(tendered/amount total)키, 특매품 및 야채와 같은 상품을 선택하는 복수의 PLU키, 및 각종 상품의 상품코드를 숫자로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등을 포함한다. 핸드 스캐너(25)는 키보드(24)의 계산원(CHR)측 단부에 부착되며, 특매품 및 야채와 같은 상품에 대해 바코드 테이블 시트에 인쇄된 바코드 형식의 상품코드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계산원(CHR)이 조작한다. 프린터(26)는 슬라이드판(24PL)에 고정되며, 전체 등록된 판매데이터의 집계결과를 영수증 용지에 인쇄한다. 계산원표시기(27CHR) 및 고객표시기(27CST)는 하우징(30)의 상부에 노출되어, 각기 계산원(CHR) 및 고객(CST-A 또는 CST-B)을 향하고 있으며, 각각의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표시한다. 모드스위치(5)는 키보드(24) 근방에서 슬라이드판(24PL)에 고정되며, 삽입된 키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21U)의 처리모드를 선택한다. 상품테이블(40)은 표시기(27CHR, 27CST)와 키보드(24) 사이에서 노출되어 하우징(30)의 천정판을 구성하며, 대응 스캐닝레인(10A 또는 10B)측의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기가 곤란한 상품을 일시적으로 올려 놓는데 이용된다. 이 상품테이블(40)은 스캐너(15)와 거의 같은 높이로 설정된다.
격벽(42)은 금전등록기(20A)의 상품테이블(40)과 금전등록기(20B)의 상품테이블(40)간의 경계에 설치된다. 셀로판 테이프 홀더(50)가 격벽(42)에 부착된다. 서랍(28)은 유지판(34)상에 놓이고, 금전등록기(20A 및 20B)의 각 제어부(21U)의 제어에 의해 계산원(CHR)측으로 미끄럼이동되어 개방상태로 되며, 계산원(CHR)에 의해 투입되는 현금을 수용한다.
슬라이드판(24PL)은 통상 키보드(24)의 단부가 상품테이블(40)의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26) 및 모드스위치(5)는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서 하우징(30)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면, 영수증 용지의 보급 등이 수행되는 프린터(26)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판(24PL)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되어, 키보드(24)의 단부가 상품테이블(40)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프린터(26) 및 모드스위치(5)는 하우징(30)으로부터 노출된다. [통상, 각 금전등록기는 슬라이드판(24PL)의 위치에 관계 없이 사용 가능하다.] 영수증발행구(41)는 상품테이블(40)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이며, 프린터(26)가 하우징(30)에 수용되었을 때에 프린터(26)의 영수증 배출구(26R)로부터 공급되는 영수증을 통과시켜 계산원(CHR)측으로 보낸다.
이하,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고객은 스캐닝레인(10A 및 10B)중 한쪽을 선택하여, 선택한 스캐닝레인으로 이동한다.
고객(CST-A)은 스캐닝레인(10A, 10B)에서 구입하려는 상품을 수용한 바구니(12)를 반입테이블(11)에 올려 놓고, 스캐너(15)의 정면에서 스위치부(16)의 스캐닝 개시키를 누른다. 이 조작에 따라, 금전등록기(20A)의 제어부(21U)는 스캐너(15)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고객(CST-A)은 바구니(12)에서 하나씩 상품을 꺼내, 이 상품의 상품코드를 스캐너(15)를 사용하여 입력한 후, 반출테이블(18)에 놓여 있는 별도의 빈 바구니(19)에 넣는다. 금전등록기(20A)의 제어부(21U)는 스캐너(15)로부터 차례로얻어지는 상품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품데이터를 판매데이터로써 등록하고,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계산원표시기(27CHR) 및 고객표시기(27CST)에 표시시킨다. 바구니(12)가 빈 후에, 고객(CST-A)은 스위치부(16)의 종료키를 누른다. 이 조작에 따라, 금전등록기(20A)의 제어부(21U)는 스캐너(1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계산원(CHR)이 키보드(24)에 합산처리를 위해 준비된 수령액/현금계 키를 누른다. 이 조작에 따라, 제어부(21U)는 전체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집계하여, 상품명, 단가, 수량, 합계금액과 같은 집계결과를 표시하는 영수증을 프린터(26)에 인쇄시키고, 합계금액을 계산원표시기(27CHR) 및 고객표시기(27CST)에 표시시키는 한편, 서랍(28)을 연다. 계산원(CHR)은 프린터(26)에서 인쇄되어 영수증 발행구(41)를 통해 발행되는 영수증을 고객(CST-A)에게 건네주고, 고객(CST-A)으로부터 지불되는 대금을 서랍(28)에 넣는다. 고객(CST-A)은 이렇게 해서 체크아웃을 완료하고, 소정의 장소에서 바구니(19)내의 상품을 쇼핑백에 넣은 후에 들고 돌아간다.
다른쪽의 고객(CST-B)은 스캐닝레인(10B)측의 스캐너(15)를 사용해 고객(CST-A)과 마찬가지로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을 수행한다. 금전등록기(20B)는 스캐닝레인(10B)측의 스캐너(15)로부터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대해서, 금전등록기(20A)와 동일한 정산처리를 수행한다. 또, 계산원(CHR)은, 고객(CST-B)을 위해서 금전등록기(20B)에 대하여 금전등록기(20A)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한다.
정산부(20)는 상술한 금전등록기(20A 및 20B)에 의해서 고객(CST-A 및 CST-B)의 정산처리를 병행하여 수행한다.
여기에서, 예컨대 고객(CST-A)의 구입상품에 특매품 및 야채와 같이 바코드 형식의 상품코드가 부착되지 않은 상품이나 바코드 형식의 상품코드가 오염되어 있는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고정형 스캐너(15)가 이와 같은 상품으로부터 상품코드를 판독하기가 곤란하므로, 계산원(CHR)이 이 상품의 상품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이 경우, 고객(CST-A)은 고정형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곤란한 상품을 상품테이블(40)에 올려 놓는다. 계산원(CHR)은 상품테이블(40)에 놓인 상품에 대해서 상품코드를 키보드(24)나 핸드 스캐너(25)를 사용해 입력하고,이 상품을 고객(CST-A)에게 돌려준다. 고객(CST-A)은 계산원(CHR)이 입력한 상품코드에 의거하여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계산원표시기(27CHR) 및 고객표시기(27CS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테이블(40)은 고정형 스캐너(15)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곤란한 상품을 올려놓기 위해 금전등록기(20A 및 20B)의 각각에 설치된다. 고객(CST-A 또는 CST-B)이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중에 이러한 상품을 대했을 때, 계산원(CHR)이 예를 들어 다른 고객에 대한 응대나 현금정리 및 금액확인과 같은 업무처리중이라서 이 상품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 상품이 상품테이블(40)에 놓이면, 계산원(CHR)이 여유가 생긴 시점에서 이 상품의 상품코드를 입력하게된다. 따라서, 고객(CST-A 또는 CST-B)은 고정형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기가 곤란한 상품을 상품테이블(40)에 올려 놓은 후, 신속히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즉,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중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상품코드의 입력작업이 중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계산원(CHR)은 이 상품을 고객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달받지 않으므로, 취급중인 다른 업무를 무리하게 중단할 필요가 없다. 또, 슬라이드판(24PL)과 하우징(30)이 프린터(26)를 상품테이블(40)의 하방으로 노출가능하게 수용하므로, 상품테이블(40)의 설치공간이 대응 금전등록기의 크기 및 프린터(26)의 사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표시기(26CST 및 27CHR), 상품테이블(40), 키보드(24)는 상품의 흐름방향(XA 또는 XB)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이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것은 다음의 경우보다 실용적이다.
(1) 계산원(CHR)의 양팔에 상품테이블을 설치한 경우: 계산원(CHR)은 불편한 생각을 하게 되며, 고객(CST-A 또는 CST-B)은 손을 뻗어서 상품을 상품테입르에 올려 놓지 않으면 안된다.
(2) 표시기(27CST 및 27CHR)보다 상류에 상품테이블을 설치한 경우: 표시기(27CST 및 27CHR)가 상품테이블을 가리기 때문에 계산원(CHR)이 그 위의 영역에 놓인 상품을 못 볼 가능성이 있으며, 이 상품을 잡을 때에 표시기(27CST 및 27CHR)의 방해를 받는다.
(3) 스캐닝레인(10A, 10B) 사이에서 정산부(20)의 양측에 상품테이블을 설치한 경우: 이것은 고객(CST-A 또는 CST-B)과 고객표시기(27CST)간의 거리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고객(CST-A 또는 CST-B)과 고객표시기(27CST)의 표시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또, 고객(CST-A, CST-B)간의 거리도 증대되므로, 계산원(CHR)은 고객(CST-A, CST-B)에 의해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없다. 이것은 상품코드의 판독을 생략하여 상품을 바구니(19)에 넣는 것과 같은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표시기(27CST)의 표시내용은 고정형 스캐너915)를 사용하여 다음 상품의 상품코드를 입력하지 않는 한 변경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고객(CST-A 또는 CST-B)은 각 입력 상품코드와 동일시되는 상품의 상품명 및 단가 등을 고객표시기(27CST)에서 완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영수증 발행구(41)가 상품테이블(4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영수증이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서 키보드(24)측으로 도입되는 경우에 비해서 쉽고 원활한 영수증 발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프린터(26)의 레이아웃이 슬라이드판(24PL)상에서 제약받지 않는다.
정산부(20)는 바퀴(36)를 사용함으로써 손으로 밀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닝레인(10A 및 10B) 사이에서 정산부(20)와 고정형 스캐너(15)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린터(26)는 슬라이드판(24PL)을 계산원(CHR)측으로 인출하는 것만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계산원(CHR)은 영수증 용지의 보급과 같은 프린터(26)의 유지관리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모드스위치(5)는 통상 하우징(30)내에 수용되는 슬라이드판(24PL)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계산원(CHR)의 오조작이나 타인의 무단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도에 도시한 바구니(12 및 19)는 잡화대와 같은 형식의 반입테이블(11) 및 반출테이블(18)에 놓여져 있으나, 예를 들어 바구니를 사용하지 않지 않는 경우에, 이들 반입테이블(11)과 반출테이블(18)을 손수레나 벨트콘베이어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5도에 도시한 슬라이드판(24PL)의 저면 및 슬라이드 안내판(33) 상면의 한쪽 및 다른쪽에 차륜 및 레일을 부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드판(24PL)이 슬라이드 안내판(33)에 직접 놓여지는 경우보다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이 얻어진다.
상품테이블(40)에 보다 많은 상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품테이블(40)을 프린터(26)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린터(26)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나머지를 덮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전자 금전등록기(20A 및 20B)는 단일 하우징(30)과 일체화되었으나, 독립된 2개의 하우징과 각기 일체화시켜도 좋다.
제4도에 도시한 정산부(20)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 변형예는 제5도에 도시한 슬라이드판(24PL) 및 슬라이드 안내판(33)을 구비하지 않는다. 프린터(26) 및 키보드(24)는 슬라이드판(24PL)의 위치에 설치되는 유지판에 고정된다. 표시기(27CST 및 27CHR)와 상품테이블(4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게 하우징(30)의 상부에서 노출된다. 상품테이블(40)은 2개의 테이블판(40U 및 40D)과,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40S)로 구성된다. 테이블판(40U)은 하우징(30)에 고정되며, 테이블판(40D)은 영수증 발행구(41)를 지닌 덮개로서 하우징(30)위에 놓이게 된다. 테이블판(40D)은 통상 테이블판(40U)과 동일 평면을 구성하는 상태로 설정되며, 프린터(26)의 사용시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힌지(40S)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테이블판(40U)에 겹치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셀로판 테이프 홀더(50) 및 격벽(42)은 테이블판(40D)을 회동시킬 때에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슬라이드판(24PL)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30)내에 고정된 프린터(26)를 일시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코스트가 저감된다. 또한, 상품테이블(40)은 상품의 흐름방향(XA 또는 XB)으로 펼쳐지는 힌지를 사용하여 계산원(CHR)의 우측이나 좌측으로 회동가능한 구조, 또는 하우징(3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이어도 좋다.
또, 스캐닝레인(10A 및 10B)의 한쪽은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레인(10B)이 생략된 경우, 정산부(20)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금전등록기를 구비하도록 변형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판(24PL)이 프린터(26)를 노출시키기 위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코드의 스캐닝 입력이 곤란한 상품에 기인한 고객 및 계산원의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공간하에서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고객의 작업에 의해 판독하는 고정형 스캐너(15)와, 이 고정형 스캐너(15)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고정형 스캐너(15)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의거하여 계산원의 작업에 의해 정산처리를 행하는 금전등록기(20A)를 구비하고, 상기 금전등록기(20A)는 정산처리의 결과를 인쇄하는 프린터부(26)와 상기 고정형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기가 곤란한 상품을 올려 놓는 상품테이블(40)을 지니며, 상기 프린터부(26)를 상기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 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부(30, 24PL)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상기 하우징부의상부에서 노출되고, 계산원 및 고객의 손이 공통으로 도달하도록 상기 고정형 스캐너(15)의 바로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상기 고정형 스캐너(15)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상기 프린터부(26)에 의해 상기 정산처리의 결과가 인쇄된 영수증을 통과시키는 영수증 발행구(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30, 24PL)는 상기 프린터부(26)를 보유하며, 상기 프린터부(26)가 상기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 설치된 위치로부터 인출가능한 인출부(24PL)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전등록기(20A)는 정산처리에 필요한 제어명령 및 상품코드를 입력하는 키보드부(24)와, 등록된 판매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7CHR, 27CST)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부(24) 및 상기 표시부(27CHR, 27CST)는 상기 하우징 수단(30, 24PL)의 상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상기 표시부(27CHR, 27CST) 및 상기 키보드부(24)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30, 24PL)는 상기 키보드부(24) 및 상기 프린터부(26)를 보유하며, 상기 프린터부(26)는 상기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 설정되는 위치로부터 인출가능한 인출부(24PL)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제1 및 제2테이블판(40U, 40D)과, 이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40S)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테이블판(40U, 40D)의 한쪽만이 하우징부(30, 24PL)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테이블(40)은 상기 하우징부(30, 24PL)에 탈착가능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제2고정형 스캐너(15)와, 상기 제2고정형 스캐너(15)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형 스캐너(15)로부터 차례로 얻어지는 상품코드에 의거하여 정산처리를 행하는 제2금전등록기(20B)를 구비하며, 상기 제2금전등록기(20B)는 정산처리의 결과를 인쇄하는 프린터부(26)와, 상부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2고정형 스캐너(15)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곤란한 상품을 올려 놓는 상품테이블(40)을 지니며, 상기 프린터부(26)를 상기 상품테이블(40)의 하방에 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부(30, 24P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전등록기(20B)의 하우징부(30, 24PL)는 상기 제1금전등록기(20A)의 하우징부(30, 24PL)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KR1019950001021A 1994-01-21 1995-01-21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KR0182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418 1994-01-21
JP94-005418 1994-01-21
JP6005418A JP3012133B2 (ja) 1994-01-21 1994-01-21 セルフスキャン方式のチェックアウ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90A KR950024090A (ko) 1995-08-21
KR0182322B1 true KR0182322B1 (ko) 1999-04-15

Family

ID=1161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021A KR0182322B1 (ko) 1994-01-21 1995-01-21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60450A (ko)
EP (1) EP0664529B1 (ko)
JP (1) JP3012133B2 (ko)
KR (1) KR0182322B1 (ko)
DE (1) DE6952626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32B1 (ko) * 2019-12-13 2021-05-24 좋은세상협동조합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833B2 (ja) * 1993-11-29 1999-12-27 富士通株式会社 Posシステム
US5923017A (en) * 1997-01-23 1999-07-1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Moving-light indicia reader system
US5920056A (en) * 1997-01-23 1999-07-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Optically-guided indicia reader system for assisting in positioning a parcel on a conveyor
US5967264A (en) 1998-05-01 1999-10-19 Ncr Corporation Method of monitoring item shuffling in a post-scan area of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US6497361B1 (en) * 1998-10-15 2002-12-24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activating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in a retail self-checkout terminal
US6325290B1 (en) * 1998-12-04 2001-12-04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out large items with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US6363355B1 (en) * 1998-12-21 2002-03-26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elf-service checkout system having a number of retail terminals associated therewith
US6507352B1 (en) * 1998-12-23 2003-01-14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with an interactive retail terminal
US6286758B1 (en) 1999-02-17 2001-09-11 Ncr Corporation Reconfigurable checkout system
US6213395B1 (en) 1999-11-02 2001-04-10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scanner which is rotatable between an assisted scanner position and a self-service scanner position
US6390363B1 (en) 1999-11-02 2002-05-21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convertible checkout system which has a customer side and a personnel side
US6427914B1 (en) 1999-11-02 2002-08-06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number of port expander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US6540137B1 (en) 1999-11-02 2003-04-01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which has a number of payment devices for tendering payment during an assisted checkout transaction
US6296184B1 (en) 1999-11-02 2001-10-02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security scale for providing security during an assisted checkout transaction
US6427915B1 (en) 1999-11-02 2002-08-06 Ncr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checkout system having modular construction
US6354497B1 (en) 1999-11-02 2002-03-12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number of interface terminals associated therewith
US6409081B1 (en) 1999-11-02 2002-06-25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n item set-aside shelf which is movable between a number of shelf positions
US6296185B1 (en) 1999-11-02 2001-10-02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display monitor which displays both transaction information and customer-specific messages during a checkout transaction
US6530520B1 (en) 1999-11-02 2003-03-11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n RF transmitter for communicating to a receiver associated with an intercom system
US6343739B1 (en) 1999-11-02 2002-02-05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video camera for enhancing security during operation thereof
US6502749B1 (en) 1999-11-02 2003-01-07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n RF transmitter for communicating to a number of wireless personal pagers
US6598791B2 (en) * 2001-01-19 2003-07-29 Psc Scanning, Inc. Self-checkou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item buffer for item security verification
US6588549B2 (en) 2001-07-06 2003-07-08 Ncr Corporation Checkout system convertible between assisted and non-assisted configurations
JP3626738B2 (ja) * 2002-03-22 2005-03-0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データ読取装置
US7967112B2 (en) * 2006-12-02 2011-06-28 Royston, LLC. Check stand with a two belted input and a slidable scanner
US20090119152A1 (en) * 2007-11-02 2009-05-07 Royston, Llc Method of designing, manufacturing and standardizing custom-built check stands of different sizes and configurations
JP4482710B2 (ja) * 2008-02-04 2010-06-1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Pos装置
CN104473512A (zh) * 2014-12-18 2015-04-01 苏州麦佳宜商业设备有限公司 收银台结构
USD917942S1 (en) * 2019-10-31 2021-05-04 Walmart Apollo, Llc Modular self-checkout un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000A (en) * 1977-07-08 1979-02-06 Bel Air Mart Checkout counter
US4618032A (en) * 1984-03-16 1986-10-21 The Kroger Co. Two belted supermarket checkout system
DE3516855A1 (de) * 1985-05-10 1986-11-13 Johannes Rittel Bildschirmtisch
US5195613A (en) * 1988-09-20 1993-03-23 Tokyo Electric Co., Ltd. Commodity data reader
US5316107A (en) * 1989-06-20 1994-05-31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Device for checking out goods
US5019694A (en) * 1989-09-29 1991-05-28 Ncr Corporation Overhead scanning terminal
US5178234A (en) * 1990-03-15 1993-01-12 Tokyo Electric Co., Ltd. Checkout apparatus
IT1251551B (it) * 1991-09-05 1995-05-17 Awax Progettazione Mobile cassa per supermercati incorporante una coppia di dispositivi erogaborse provvisti di scanner con relativo monitor, nonche' un registratore di cassa ad essi collegato.
JP2731310B2 (ja) * 1992-01-07 1998-03-25 株式会社テック 商品売上登録装置
DE9211226U1 (ko) * 1992-08-21 1992-10-29 Karl Gutmann Kg, 7731 Unterkirnach, De
IT1264463B1 (it) * 1993-06-08 1996-09-23 Awax Progettazione Mobile cassa per supermercat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32B1 (ko) * 2019-12-13 2021-05-24 좋은세상협동조합 이동식 매장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4529A3 (en) 2000-01-26
EP0664529B1 (en) 2002-04-10
JP3012133B2 (ja) 2000-02-21
US5560450A (en) 1996-10-01
DE69526269D1 (de) 2002-05-16
KR950024090A (ko) 1995-08-21
JPH07210755A (ja) 1995-08-11
EP0664529A2 (en) 1995-07-26
DE69526269T2 (de)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322B1 (ko) 셀프 스캐닝 체크아웃장치
KR0182323B1 (ko) 체크아웃장치
JP6551474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CA2197042C (en) Self-service checkout system
JP5817628B2 (ja) Posシステム
JPH02284293A (ja) ポータブル・チエツクアウト・システム
US6325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out large items with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JPS62226299A (ja) 販売登録装置
JP2519784B2 (ja) 商品販売デ―タ処理装置
JP2005242728A (ja) Posシステム
JP2007108868A (ja) 商品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7120520A (ja) Posシステム、及び登録カウンター
JPH03172995A (ja) 商品チェックアウト・ワークステーション
JP2019191834A (ja) Posシステム、登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精算装置
JPS60205773A (ja) 商品デ−タ入力装置
JPH0956548A (ja) チェックアウトカウンター装置
JP2005235044A (ja) Posシステム
JP2506425B2 (ja) カ―ドレジスタ
JPH06266956A (ja) セルフスキャニング方式の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2533155B2 (ja) 電子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3049532U (ja) レジカウンター
JPH04245593A (ja) 商品売上登録装置
JPH05325035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714072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6266954A (ja) セルフスキャニング方式のチェックアウ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