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16B1 -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16B1
KR102253916B1 KR1020200055782A KR20200055782A KR102253916B1 KR 102253916 B1 KR102253916 B1 KR 102253916B1 KR 1020200055782 A KR1020200055782 A KR 1020200055782A KR 20200055782 A KR20200055782 A KR 20200055782A KR 102253916 B1 KR102253916 B1 KR 10225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inner tube
telescopic exten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나
Original Assignee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16B1/ko
Priority to PCT/KR2021/005892 priority patent/WO20212306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tuato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관의 외주면 일측으로 파이프 가이드를 결합하고, 가이드 브라켓을 가조립하며, 타측으로 연결관 및 선단 마감캡을 결합하는 내관 조립부; 상기 파이프 가이드가 결합된 내관을 공급받아 고정하고, 고정된 상기 내관의 외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내관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상기 파이프 가이드와 결합시키는 가이드 조립부;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부; 실리콘이 도포된 상기 내관이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내관의 상기 연결관과 외관을 결합하고, 상기 외관의 타측부로 후단 마감캡 및 연결캡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부;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통전 및 밀폐 검사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외관 검사부;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lescopic extension pip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 및 내관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은 외관과, 상기 외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관과, 상기 외관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을 상호 고정되도록 잠그는 잠금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관은, 길이방향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주관체와, 분할판에 의해 상기 주관체와 구분되어, 길이방향으로 전선통로를 형성하는 부관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77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내관 및 외관의 조립시 결합되는 다양한 브라켓부들의 조립 과정을 수행해야만 하며, 이러한 브라켓 조립 과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작업의 정밀성 및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제조된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조립 불량율이 높아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텔레스포픽 연장관의 조립 공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한정된 공간 내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밀집된 상태로 배치되어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작업자들의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139호에는 진공 청소기에 구성되는 플렉시블 호스에 전선관을 융착하는 플렉시블 호스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바 형태의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전선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된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밀폐력 여부 및 통전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해야만 하는데 밀폐력 및 통전 검사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7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13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연장관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내관 및 외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들의 결합 공정 및 내관과 외관의 결합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정밀한 조립 및 제조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관의 외주면 일측으로 파이프 가이드를 결합하고, 가이드 브라켓을 가조립하며, 타측으로 연결관 및 선단 마감캡을 결합하는 내관 조립부; 상기 파이프 가이드가 결합된 내관을 공급받아 고정하고, 고정된 상기 내관의 외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내관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상기 파이프 가이드와 결합시키는 가이드 조립부;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부; 실리콘이 도포된 상기 내관이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내관의 상기 연결관과 외관을 결합하고, 상기 외관의 타측부로 후단 마감캡 및 연결캡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부;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통전 및 밀폐 검사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외관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관의 외주 일면으로 전선채널이 안착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의 양측부를 확관하여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으로 상기 연장관이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내관을 상기 내관 조립부로 공급하는 내관 제조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조립부는, 상부 일측 및 타측부와 상기 상부 일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레일부재가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성된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가이드의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 가이드를 상기 가이드 브라켓측으로 밀어주는 가이드 거치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거치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상기 파이프 가이드측으로 이동시키는 결합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 거치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내관 고정부;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구성되고, 상기 내관 고정부의 구동시 상기 결합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부; 상기 내관 고정부와 상기 결합 가이드부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내관 밀착 안내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수직한 위치에 구성되는 레일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리벳팅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거치부는, 상기 내관의 일측부를 고정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관의 일측부를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실린더와,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송블럭 및 상기 제1이송블럭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관 고정부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와 연결되는 돌기 가이드부와, 상기 돌기 가이드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기 가이드부의 이동시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부와, 상기 돌기 가이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돌기 가이드부를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이송블럭 및 제2이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관 및 외관을 제조하는 관체 제조 단계; 제조된 내관을 이송부를 통해 내관 조립부로 공급하여 상기 내관의 일측 단부로 전선채널 및 파이프 가이드 만을 결합하고, 가이드 브라켓을 삽입하며, 상기 내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관 및 선답 마감캡을 결합하는 내관 반 조립 단계; 반 조립이 이루어진 상기 내관을 가이드 거치부 및 결합 가이드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관의 외주 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 가이드 및 가이드 브라켓을 결합하는 가이드 조립단계; 상기 가이드 조립단계 이후, 상기 내관을 실리콘 도포부로 공급하여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일정량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단계; 실리콘이 도포된 내관과 외관을 조립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단계; 및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고,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 검사를 통과한 텔레스코픽 연장관에 대한 조립 상태 및 표면 상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조립단계는, 상기 내관을 가이드 거치부 및 결합 가이드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내관 밀착 안내부를 구동시켜 상기 내관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연결관의 단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접촉시키는 단계; 리벳팅 형성부를 구동시켜 파이프 가이드와 가이드 브라켓 사이의 내관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벳팅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내관 밀착 안내부와 리벳팅 형성부를 각각 원위치로 복원시키고, 내관 고정부와 가이드 거치부가 각각 구동하면서 상기 파이프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밀어주면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장관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내관 및 외관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들의 결합 공정 및 내관과 외관의 결합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정밀한 조립 및 제조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의 가이드 조립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조립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0: In-pipe)의 외주면 일측으로 내관(10)에 연결되는 파이프 가이드(12) 및 가이드 브라켓(14)을 가조립하는 내관 조립부(100)와, 내관 조립부(100)를 통해 1차 조립이 이루어진 내관(10)의 파이프 가이드(12) 및 가이드 브라켓(14)을 완전 조립하는 가이드 조립부(200)와, 파이프 가이드(12) 및 가이드 브라켓(14)이 조립된 내관(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부(300)와, 실리콘이 도포된 내관(10)이 공급되며, 공급된 내관(10)과 외관(30)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부(400)와, 조립이 완료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통전 및 밀폐 검사부(500)와,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외관 검사부(600) 및 각 부로 내관(10)이 순차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이송하는 이송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관 조립부(100)는 내관 제조부(미도시)를 통해 제조가 이루어진 내관(10)이 공급되며, 공급된 내관(10)의 일측부로 플렉서블호스와 연결된 손잡이부 또는 진공청소기의 본체와 연결되며, 전선채널(16)의 일단부를 내관(10)에 고정시키는 파이프 가이드(12)를 결합한다.
또한, 내관 조립부(100)는 파이프 가이드(12)와 내관(1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브라켓(14)을 삽입하여 파이프 가이드(12)의 후방부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내관 조립부(100)는 상부 원주면에 형성되는 요홈(10a)에 전선채널(16)을 배치하고, 전선채널(16)이 배치된 상태에서 파이프 가이드(12)를 삽입하여 내관(10)의 일측 선단부에 고정 결합하며, 이후 가이드 브라켓(14)를 삽입하여 가이드 조립부(200)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내관 조립부(100)는 전선채널(16) 및 파이프 가이드(12) 만을 결합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이드 브라켓(14)은 단순 삽입하는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고정지그(1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지그(110)는 내관(10)이 안착되며, 안착된 내관(10)의 양단부를 고정시키는 안착지그(112)와 조립이 이루어질 부품, 예를들어 파이프 가이드(12), 가이드 브라켓(14), 전선채널(16) 등이 구비되며, 구비된 부품들을 안착지그(11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 구동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품 이송수단(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관(10)과 각 부품들(12, 14, 16) 들 간의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만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0)의 공급시 내관 제조부를 통해 원통형의 내관(10)의 외주 일면으로 전선채널(16)이 안착되는 요홈(10a)을 형성하고, 이 요홈(10a)의 양측부를 확관하여 확관부(10b)를 형성하는 확관 공정을 수행하고, 이 확관부(10b)의 외주면으로 연장관(20)이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끼움돌기(10c)를 형성한 후 내관 조립부(100)로 이송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관 조립부(10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가이드(12), 가이드 브라켓(14), 전선채널(16) 등의 결합 및 삽입이 완료되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0)의 타측부에 연결관(20) 및 선단 마감캡(32)을 결합하여 내관(10)의 1차 조립이 완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연결관(20) 및 선단 마감캡(32)의 결합은 후술할 실리콘 도포부(300)를 통해 실리콘이 도포된 이후에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이드 조립부(200)는 내관 조립부(100)로부터 1차 조립이 이루어진 내관(10)이 이송부(700)를 통해 공급되며, 공급된 내관(10)을 고정시킨 후 가이드 브라켓(14)이 내관(1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드 조립부(20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조립이 이루어진 내관(10)을 고정시키고, 외주면으로 리벳팅홈으로 이루어지는 리벳팅부를 형성하여 가이드 브라켓(14)이 내관(10) 및 파이프 가이드(12)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가이드 거치부(210), 결합 가이드부(220), 지지 프레임(230), 내관 고정부(240), 내관 밀착 안내부(250), 리벳팅 형성부(260) 및 탄성 가압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조립부(200)에는 상기 가이드 조립부(2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02)이 구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02)에는 가이드 거치부(210) 및 결합 가이드부(220)와, 내관 고정부(240), 리벳팅 형성부(260)가 각각 독립적으로 양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레일부재(204)가 구성된다.
즉, 가이드 거치부(210), 결합 가이드부(220), 내관 고정부(240) 및 리벳팅 형성부(260)는 레일부재(204)에 결합되어 내관(10)의 조립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가이드 거치부(210)는 내관(10)의 일측부, 다시말해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이 구성되는 부분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리벳팅부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 파이프 가이드(12)를 가이드 브라켓(14)측으로 밀어주면서 가이드 브라켓(14)이 리벳팅부에서 내관(1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파이프 가이드(12)를 가이드 브라켓(14)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드 거치부(210)는 결합 가이드(220) 및 지지 프레임(230)에 안착되는 내관(10)의 일측부를 고정하는 거치 프레임(214)과, 거치 프레임(214)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고정된 내관(10)의 일측부를 내관(10)의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실린더(212)와, 거치 프레임(21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송블럭(216) 및 제1이송블럭(216)의 하부에 구성되며 레일부재(204)에 결합되어 거치 프레임(21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송 가이드 부재(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214)은 전방으로 내관(10)에 결합된 파이프 가이드(12)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거치 플랜지(214a)가 더 구성된다.
또한, 거치 프레임(214)은 후방부가 제1실린더(212)의 축 부재와 연결되어 이 제1실린더(212)의 작동 여부에 따라 내관(10)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거치 프레임(214)은 제1실린더(212)의 구동시 제1이송블럭(216) 및 제1이송 가이드 부재(218)가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이프 가이드(12)가 내관(10)을 축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합 가이드부(220)는 가이드 거치부(210)의 거치 프레임(21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내관(10)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내관(10)의 안착시 그 일측으로 가이드 브라켓(14)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관 고정부(240)의 구동시 파이프 가이드(12)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 가이드부(220)는 레일부재(204)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송 안내패널(224)과, 이송 안내패널(224)의 상부에 구성되고, 내관(10)의 외주면이 안착됨과 동시에 가이드 브라켓(14)의 일면이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내관 지지부(222) 및 일단부가 내관 고정부(240)의 제2이송블럭(24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내관 지지부(222)를 관통하면서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내관 고정부(240)의 구동시 함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내관 지지부(222)가 가이드 거치부(210)의 거치 프레임(214)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축(226)으로 구성된다.
즉, 결합 가이드부(220)는 내관 지지부(222)에 밀착된 상태의 가이드 브라켓(14)을 파이프 가이드(12)측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 거치부(210)는 고정된 파이프 가이드(12)를 가이드 브라켓(14)측으로 이동시켜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 가이드부(220)에는 이송축(226)에 결합되며, 내관 고정부(240)의 구동에 의해 이송축(226)이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때, 이송 안내패널(224)을 가압하여 가이드 브라켓(14)이 파이프 가이드(12)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부(27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 가압부(270)는 이송축(226)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패널(272)과, 이송축(2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가압패널(272)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면서 결합 가이드부(220)의 내관 지지부(222) 및 이송 안내패널(224)을 가압하여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체(274)로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체(274)는 내관 지지부(222) 및 이송 안내패널(224)의 가압시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내관 고정부(240)의 제2이송블럭(246)이 원위치로 복원될 때 압축된 탄성체(274)에 의해 내관 지지부(222) 및 이송 안내패널(224)의 급격한 위치 복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프레임(230)은 결합 가이드부(220)와 내관 밀착 안내부(250) 사이에 구성되며, 내관(10)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연결관(20)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연결관(20)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 결합홈이 개방된 상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내관 고정부(240)는 가이드 거치부(21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이송축(226)에 의해 결합 가이드부(220)와 연결되게 구성되고,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 간의 결합시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연결관(20)의 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결합 가이드부(220)를 가이드 거치부(210)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내관 고정부(240)는 내관 고정부(24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제2실린더(242)와, 이 제2실린더(242)의 축 부재와 연결되어 제2실린더(242)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축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돌기 가이드부(244)와, 돌기 가이드부(244)의 전방에 연장 형성되며, 돌기 가이드부(244)의 이동시 연결관(20)의 단부에 삽입되면서 연결관(20)을 내관 고정부(240)에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부(244a)와, 레일부재(204)를 따라 돌기 가이드부(244)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제2이송블럭(246) 및 제2이송 가이드 부재(24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관 고정부(240)는 후술할 내관 밀착 안내부(250)의 밀착패널(256)이 인입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 돌기부(244a)와 밀착패널(256)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내관 밀착 안내부(250)는 가이드 거치부(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고정된 내관(10)의 후방부, 즉 연결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것으로, 내관(10)의 외주 일면으로 리벳팅부의 형성이 이루어질 때 내관(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내관 밀착 안내부(250)는 내관(10)이 가이드 거치부(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안착 및 고정이 이루어질 때 구동하며, 구동시 제2실린더(242)의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실린더(252)와, 베이스 프레임(202)에 결합되며, 제3실린더(252)의 구동시 밀착패널(256)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밀착 지지 프레임(254)과, 밀착 지지 프레임(254)을 관통하고, 제3실린더(252)의 구동에 따라 밀착 지지 프레임(254)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면서 연결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패널(25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관 밀착 안내부(250)는 리벳팅 가이드부(260)의 구동시에만 밀착패널(256)을 인출시켜 연결관(20)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하고, 리벳팅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밀착패널(256)을 인입시킨 후 내관 고정부(24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내관 고정부(2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벳팅 형성부(260)는 가이드 거치부(210)에 내관(10)의 파이프 가이드(12)가 고정되면, 고정된 내관(10)의 외주면으로 가이드 브라켓(14)이 리벳팅 결합 방식에 의해 내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레일부재(204)를 따라 내관(10)의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벳팅 형성부(260)는 내관(10)의 외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리벳팅 형성부재(265)와 리벳팅부의 형성시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267)가 구성되며, 이 리벳팅 형성부재(265) 및 에어 공급부(267)를 내관(10)의 외주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4실린더(262), 제3이송블럭(266) 및 제3이송 가이드 부재(268)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4실린더(262), 제3이송블럭(266) 및 제3이송 가이드 부재(268)는 내관(10)의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베이스 프레임(202)에 장착되며, 전술한 제1실린더(212), 제1이송블럭(216) 및 제1이송 가이드 부재(218)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실리콘 도포부(300)는 가이드 조립부(200)에 의해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의 결합이 완료된 내관(10)이 이송부(700)를 통해 공급되며, 공급받은 내관(10)의 내주면 및 외부면으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외관(30)과의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내관(10)을 고정시키는 고정지그(310)가 구성되고, 고정지그(310)에 고정된 내관(10)으로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수단(320)과, 이 실리콘 도포수단(320)을 인입 및 인출시키며, 일정량의 실리콘을 실리콘 도포수단(320)으로 주입하는 도포 구동수단(330)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포 구동수단(330)은 실리콘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일정량의 실리콘을 실리콘 도포수단(320)의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노즐 및 펌프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포 구동수단(330)은 실리콘 도포수단(3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실린더 부재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도포수단(320)은 실리콘의 주입이 이루어지면 도포 구동수단(33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을 반복하면서 내관(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대한 실리콘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중공의 파이프와, 이 중공 파이프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도포 브러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관 조립부(400)는 실리콘의 도포가 이루어진 내관(10)이 이송부(700)를 통해 공급되며, 공급된 내관(10)과 외관(30)을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외관 조립부(400)는 전술한 가이드 조립부(200)의 가이드 거치부(210), 결합 가이드부(220), 내관 고정부(240)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작동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관(10) 및 외관(30)을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이 결합 가이드부(220)에 각각 장착한 후, 실린더 부재를 구동하여 복수의 결합 가이드부(220)를 각각 밀어주면서 내관(10) 및 외관(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외관 조립부(400)는 내관(10)에 구성된 선단 마감캡(32)에 외관(30)의 일단측 선단부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선단 마갑캡(32)과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 외관(30)의 타단측 선단부에 후단 마감캡(34) 및 연결캡(36)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통전 및 밀폐 검사부(500)는 외관 조립부(400)를 통해 내관(10) 및 외관(30)이 결합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검사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구성된다.
외관 검사부(600)는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가 완료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조립 상태 및 표면 상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불량 상태를 검사하고, 불량 객체가 발생하지 않은 완전 제품에 해당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40) 만을 배출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외관 검사부(600)는 육안에 의해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부에 대한 이미지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각 부를 연결하며, 내관(10) 및 외괸(30)을 이송하고, 조립이 완료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이송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부(700)가 더 구성되며, 이송부(700)는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방법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 제조 단계(S110), 내관 반 조립 단계(S120), 가이드 조립단계(S130), 실리콘 도포단계(S140), 외관 조립단계(S150) 및 검사단계(S160)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관체 제조 단계(S110)는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을 이루는 내관(10) 및 외관(30)을 제조하는 단계로, 내관 제조부를 통해 내관(10)의 외주 일면에 요홈(10a)과 확관부(10b) 및 끼움돌기(10c)를 형성하는 내관 제조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관체 제조 단계(S110)는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외형을 이루는 외관(30)을 조립하는 외관 제조단계를 수행하며, 외관 제조단계는 압출에 의해 외관(30)의 형상이 하부에는 원형을 이루며 내관(1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조하고, 외관(30)의 상부로는 전선채널(16)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며, 이후 외관(30)의 상부 일측부를 관통하여 잠금뭉치가 결합되는 결합공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내관 반 조립 단계(S120)는 제조된 내관(10)을 이송부(700)를 통해 내관 조립부(100)로 공급하여 내관(10)의 일측 단부로 전선채널(16) 및 파이프 가이드(12) 만을 결합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이드 브라켓(14)은 단순 삽입하는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조립하는 단계이다.
또한, 내관 반 조립 단계(S120)는 내관(10)의 타측 단부에 연결관(20) 및 선답 마감캡(32)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가이드 조립단계(S130)는 내관 반 조립 단계(S120) 이후 수행하는 것으로, 이송부(700)를 통해 공급되는 내관(10)을 고정시키고, 파이프 가이드(12) 및 가이드 브라켓(14) 사이의 내관(10)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리벳팅 형성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가이드 조립단계(S130)는 리벳팅 형성단계의 수행시 가이드 조립부(200)의 가이드 거치부(210), 결합 가이드부(220) 및 지지 프레임(230)에 내관(10)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내관 밀착 안내부(250)를 구동시켜 밀착패널(256)의 인출 작동에 의해 내관(10)에 결합된 연결관(20)의 단부가 밀착패널(256)에 밀착을 이루도록 하고, 파이프 가이드(12)를 가이드 거치부(210)에 고정시킨 후, 결합 가이드부(220)와 가이드 브라켓(14)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리벳팅 형성부(260)를 구동시켜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 사이의 내관(10)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 조립단계(S130)는 리벳팅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내관 밀착 안내부(250)와 리벳팅 형성부(260)가 각각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한다. 즉, 내관 밀착 안내부(250)는 밀착패널(256)의 인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리벳팅 형성부(260)는 레일부재(204)를 따라 내관(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가이드 조립단계(S130)는 내관 밀착 안내부(250)와 리벳팅 형성부(260)의 위치 복원이 완료되면, 내관 고정부(240)와 가이드 거치부(210)가 각각 구동하면서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을 밀어주면서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내관 고정부(240)는 결합 가이드부(220)를 밀어주면서 가이드 브라켓(14) 만이 내관(10)의 외주면을 따라 파이프 가이드(12)측으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이드 거치부(210)는 파이프 가이드(12) 및 내관(10)을 가이드 브라켓(14)측으로 밀어주면서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리콘 도포단계(S140)는 가이드 조립단계(S130) 이후, 이송부(700)를 통해 이송되는 내관(10)을 실리콘 도포부(300)로 공급하여 내관(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일정량의 실리콘이 일정 두께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관(30)과의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내관(10)에 결합된 연결관(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실리콘을 도포한다.
외관 조립단계(S150)는 실리콘이 도포된 내관(10)과 외관(30)을 조립하는 것으로, 내관(10)에 구성된 선단 마감캡(32)에 외관(30)의 일단측 선단부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선단 마갑캡(32)과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 외관(30)의 타단측 선단부에 후단 마감캡(34) 및 연결캡(36)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검사단계(S160)는 외관 조립단계(S150) 이후 수행되는 것으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고,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 검사를 통과한 텔레스코픽 연장관(40)에 대한 조립 상태 및 표면 상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불량 상태를 검사하고, 불량 객체가 발생하지 않은 완전 제품에 해당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40) 만을 배출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내관 12: 파이프 가이드
14: 가이드 브라켓 16: 전선채널
20: 연결관 30: 외관
40: 텔레스코픽 연장관 100: 내관 조립부
200: 가이드 조립부 210: 가이드 거치부
220: 결합 가이드부 230: 지지 프레임
240: 내관 고정부 250: 내관 밀착 안내부
260: 리벳팅 형성부 270: 탄성 가압부
300: 실리콘 도포부 310: 고정지그
320: 실리콘 도포수단 330: 도포 구동수단
400: 외관 조립부 500: 통전 및 밀폐 검사부
600: 외관 검사부 700: 이송부

Claims (7)

  1. 내관(10)의 외주면 일측으로 파이프 가이드(12)를 결합하고, 가이드 브라켓(14)을 가조립하며, 타측으로 연결관(20) 및 선단 마감캡(32)을 결합하는 내관 조립부(100);
    상기 파이프 가이드(12)가 결합된 내관(10)을 공급받아 고정하고, 고정된 상기 내관(10)의 외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이 상기 내관(10)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을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와 결합시키는 가이드 조립부(200);
    상기 연결관(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부(300);
    실리콘이 도포된 상기 내관(10)이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내관(10)의 상기 연결관(20)과 외관(30)을 결합하고, 상기 외관(30)의 타측부로 후단 마감캡(34) 및 연결캡(36)을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부(400);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통전 및 밀폐 검사부(500); 및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40)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외관 검사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에는,
    상기 내관(10)의 외주 일면으로 전선채널(16)이 안착되는 요홈(10a)과, 상기 요홈(10a)의 양측부를 확관하여 확관부(10b)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10b)의 외주면으로 상기 연결관(20)이 결합되는 끼움돌기(10c)를 형성하며, 상기 내관(10)을 상기 내관 조립부(100)로 공급하는 내관 제조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조립부(200)는,
    상부 일측 및 타측부와 상기 상부 일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레일부재(204)가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202);
    상기 베이스 프레임(202)의 상부 일측에 구성된 레일부재(204)에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의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 가이드(12)를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측으로 밀어주는 가이드 거치부(210);
    상기 레일부재(204)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거치부(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을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측으로 이동시키는 결합 가이드부(220);
    상기 가이드 거치부(21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20)의 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를 이동시키는 내관 고정부(240);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에 구성되고, 상기 내관 고정부(240)의 구동시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를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부(270);
    상기 내관 고정부(240)와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20)의 단부가 밀착되는 내관 밀착 안내부(25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수직한 위치에 구성되는 레일부재(204)와 결합되고, 상기 내관(10)의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리벳팅 형성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거치부(210)는,
    상기 내관(10)의 일측부를 고정하는 거치 프레임(214)과,
    상기 거치 프레임(214)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관(10)의 일측부를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실린더(212)와,
    상기 거치 프레임(21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송블럭(216) 및
    상기 제1이송블럭(216)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재(204)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21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송 가이드 부재(2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부(240)는,
    제2실린더(242)와,
    상기 제2실린더(242)와 연결되는 돌기 가이드부(244)와,
    상기 돌기 가이드부(244)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기 가이드부(244)의 이동시 상기 연결관(20)의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부(244a)와,
    상기 돌기 가이드부(244)가 결합되며, 상기 돌기 가이드부(244)를 상기 레일부재(204)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이송블럭(246) 및 제2이송 가이드 부재(2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6.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를 이용한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관(10) 및 외관(30)을 제조하는 관체 제조 단계;
    제조된 내관(10)을 이송부(700)를 통해 내관 조립부(100)로 공급하여 상기 내관(10)의 일측 단부로 전선채널(16) 및 파이프 가이드(12) 만을 결합하고, 가이드 브라켓(14)을 삽입하며, 상기 내관(10)의 타측 단부에 연결관(20) 및 선답 마감캡(32)을 결합하는 내관 반 조립 단계;
    반 조립이 이루어진 상기 내관(10)을 가이드 거치부(210) 및 결합 가이드부(220)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관(10)의 외주 일면으로 리벳팅부를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 가이드(12) 및 가이드 브라켓(14)을 결합하는 가이드 조립단계;
    상기 가이드 조립단계 이후, 상기 내관(10)을 실리콘 도포부(300)로 공급하여 상기 연결관(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일정량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단계;
    실리콘이 도포된 내관(10)과 외관(30)을 조립하여 텔레스코픽 연장관을 제조하는 외관 조립단계; 및
    상기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고, 통전 검사 및 밀폐성 여부 검사를 통과한 텔레스코픽 연장관에 대한 조립 상태 및 표면 상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조립단계는,
    상기 내관(10)을 가이드 거치부(210) 및 결합 가이드부(220)에 고정시키는 단계;
    내관 밀착 안내부(250)를 구동시켜 상기 내관(10)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연결관(20)의 단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을 상기 결합 가이드부(220)에 접촉시키는 단계;
    리벳팅 형성부(260)를 구동시켜 파이프 가이드(12)와 가이드 브라켓(14) 사이의 내관 외주면에 리벳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벳팅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내관 밀착 안내부(250)와 리벳팅 형성부(260)를 각각 원위치로 복원시키고, 내관 고정부(240)와 가이드 거치부(210)가 각각 구동하면서 상기 파이프 가이드(12)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14)을 밀어주면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방법.
KR1020200055782A 2020-05-11 2020-05-11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5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82A KR102253916B1 (ko) 2020-05-11 2020-05-11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CT/KR2021/005892 WO2021230625A1 (ko) 2020-05-11 2021-05-11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82A KR102253916B1 (ko) 2020-05-11 2020-05-11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916B1 true KR102253916B1 (ko) 2021-05-20

Family

ID=7614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82A KR102253916B1 (ko) 2020-05-11 2020-05-11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3916B1 (ko)
WO (1) WO20212306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211B1 (ko) * 2021-04-07 2022-10-06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86B1 (ko) * 2009-05-25 2012-03-23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신축 흡입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신축 흡입파이프
KR101173493B1 (ko) * 2011-01-19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피팅 조립장치
KR101302139B1 (ko) 2011-11-28 2013-08-30 주식회사 서광 전선 내장형 플렉시블 호스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렉시블 호스
KR102065775B1 (ko) 2018-10-29 2020-01-13 은성전자 주식회사 전선내장 신축관
KR102097413B1 (ko) * 2019-07-10 2020-04-07 강금용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289B (zh) * 2018-12-06 2024-03-01 上海威可特汽车热交换器制造有限公司 一种管式机油冷却油冷器生产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86B1 (ko) * 2009-05-25 2012-03-23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신축 흡입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신축 흡입파이프
KR101173493B1 (ko) * 2011-01-19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피팅 조립장치
KR101302139B1 (ko) 2011-11-28 2013-08-30 주식회사 서광 전선 내장형 플렉시블 호스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렉시블 호스
KR102065775B1 (ko) 2018-10-29 2020-01-13 은성전자 주식회사 전선내장 신축관
KR102097413B1 (ko) * 2019-07-10 2020-04-07 강금용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211B1 (ko) * 2021-04-07 2022-10-06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WO2022216007A1 (ko) * 2021-04-07 2022-10-13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25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916B1 (ko)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738051B (zh) 波纹管气密性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JP2003505836A (ja) 電気機器の試験に用いる自動調心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2253927B1 (ko)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KR101606569B1 (ko) 차량용 케이블의 검사장치
JPH0366793B2 (ko)
KR100939733B1 (ko) 프리몰드 고무슬리브의 전기성능 시험장치
US9550218B2 (en) Receptacle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CN216462865U (zh) 一种内芯插接组装装置及金属插接件组装设备
JP3624279B2 (ja) 孔明き部品の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装置と溶接方法
KR101719679B1 (ko) 주름관 균열 테스트 장치
KR100217390B1 (ko) 유체도포장치
KR102450211B1 (ko)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KR20220104567A (ko) 철도차량용 연결기 시험장치
CN111146661A (zh) 套环站
KR20140129717A (ko) 차량 에어컨 배관용 호스파이프의 누설검사 장치
CN116358788A (zh) 一种可以对多个独立腔室同时进行气密性测试的方法
CN109227437B (zh) 一种兼容多产品的恒力夹具装置及上料方法
CN115533413A (zh) 用于封装器件平行封焊的通用装夹方法及装置
CN110125276B (zh) 金属扣全自动整形检测设备
CN113997043A (zh) 一种内芯插接组装装置及金属插接件组装设备
CN220398819U (zh) 氦气检漏装置
KR101477777B1 (ko) 에어 커플러의 조립방법
CN108481238B (zh) 一种汽车桥架固定夹具
CN216116608U (zh) 一种新能源汽车高压线束气密性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