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13B1 -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13B1
KR102097413B1 KR1020190083372A KR20190083372A KR102097413B1 KR 102097413 B1 KR102097413 B1 KR 102097413B1 KR 1020190083372 A KR1020190083372 A KR 1020190083372A KR 20190083372 A KR20190083372 A KR 20190083372A KR 102097413 B1 KR102097413 B1 KR 10209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upled
frame
coupl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금용
Original Assignee
강금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금용 filed Critical 강금용
Priority to KR102019008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23P19/061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for pipes or pipe-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브레이크 라인을 둘러싸는 너트 또는 볼트에 해당하는 결합구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자동으로 조인트 및 결합구를 결합시키는 조립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장치는 전방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볼트 및 너트들을 포함하는 결합구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ASSEMBLING APPARATUS FOR BRAKE LIN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라인에 해당하는 관과 조인트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라인은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유압을 통해 작동하기 때문에 오일이 이동하는 관들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와 관들 사이의 기밀한 조립성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관들 및 조인트를 연결하는 볼트 또는 나사 사이의 결합의 경우, 너트 런너의 구조 때문에 관과 조인트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공정에서 너트 런너의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0786호는 너트 런너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275호는 다축 너트런너 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관을 둘러싸는 너트 또는 볼트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며 나사결합 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078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275호
브레이크 라인을 둘러싸는 너트 또는 볼트에 해당하는 결합구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자동으로 조인트 및 결합구를 결합시키는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장치는 전방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볼트 및 너트들을 포함하는 결합구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연결된 복수의 소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상기 결합구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를 둘러싸며 밀착되어 일측에 상기 결합구가 이동 및 분리가능한 통로가 형성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는 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기어들 및 상기 제2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외측면 개구부부터 중앙까지 함몰된 장공이 형성되는 제3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3기어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장공에 위치한 상기 제3기어의 내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상기 장공을 둘러싸며 상기 결합구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어들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장치는 너트런너로 작업하기 어려운 결합구를 회전시키면서 조인트에 결합시켜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장치는 체결판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의 조립이 가능하고, 정비성이 개선되며, 복수의 조립장치들의 연결구조를 통해 대량의 조인트들을 결합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장치의 제1결합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조립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립장치의 제2결합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
도 5는 도 1의 조립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의 조립장치의 테스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테스트부의 일부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들.
도 8은 도 6의 테스트부의 일부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조립장치의 제1결합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장치(100)는 프레임(200),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들을 포함한다.
조립장치(100)는 차량의 브레이크 라인을 커버하는 관(5, 6)들 각각을 조인트(3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자동으로 나사 결합 시키는 장치로, 관(5, 6)들 각각에 의해 사용이 어려운 너트런너를 대신하여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장치(100)는 관(5)에 체결된 제1결합구(10) 및 관(6)에 체결된 제2 볼트(20)들 각각을 둘러싼 상태에서 제1 결합구(10) 및 제2 결합구(20)들 각각을 회전시키면서 조인트(30)를 향해 이동하여 제1 및 제2 결합구(10, 20)들 각각을 조인트(3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자동으로 체결한다.
프레임(200)은 전방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상부를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쪽에는 프레임(2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직사각 형태의 제1 홈(302)이 형성되어 제1 결합부(300)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프레임(200)의 타단쪽에는 프레임(2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직사각 형태의 제2 홈(402)이 형성되고, 제2 결합부(400)의 일부분은 제2 홈(402)에 삽입되어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제1 결합부(300)는 모터(310), 지지대(320), 제1 기어(330), 제2 기어(340, 342)들, 제3 기어(350), 체결판(360), 연결판(364), 회전판(370), 돌기(371), 회전센서(374), 슬라이딩부(380) 및 커버(39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300)는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결합구(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결합구(1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 결합부(300)는 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연결된 복수의 소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제1 결합구(10)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를 둘러싸며 밀착되어 일측에 제1결합구(10)가 이동가능한 통로가 형성되는 기어의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제1결합구(10)를 조인트(30)의 일단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모터(310)는 프레임(200)의 일단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모터(310)의 구동축은 프레임(200)의 타단 방향인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320)를 관통한 후 제1 기어(330)와 결합된다.
지지대(32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홈(3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 및 하단 각각은 프레임(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제1 기어(330)는 지지대(320)에서 프레임(200)의 타단쪽 방향인 제1 방향(1)쪽에 형성되고, 모터(310)의 구동축은 지지대(320)를 관통하여 제1 기어(330)의 중앙에 결합된다.
제1 기어(330)는 제2 기어(340, 34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기어(33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제2 기어(340)는 제1 기어(330)의 일측 상부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Tooth)들은 제1 기어(33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과 맞물린다.
제2 기어(340)의 중앙에 결합된 제1중심축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3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기어(33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342)는 제1 기어(330)의 타측 상부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은 제1 기어(33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과 맞물린다.
제2 기어(342)의 중앙에 결합된 제2중심축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3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기어(33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제3 기어(350)는 제2 기어(340, 34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대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기어(340, 342)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3 기어(35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투스들은 제2 기어(340, 342)들 각각의 기어투스들과 맞물린다.
장공(352)은 제3 기어(350)의 상부 일부분이 제3 기어(35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장공(352)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기어(350)의 내측면은 반원 형태로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장공(352)의 양측 길이는 제2 기어(340, 342)들 각각의 외경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장공(352)에는 후술 될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5)이 안착된다.
따라서, 제1 기어(330)의 회전으로 제2 기어(340, 342)들 각각이 회전하면서, 장공(352)이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제2 기어(340) 또는 제2 기어(342)의 외측면에 도달하는 경우, 제2 기어(340) 또는 제2 기어(342)가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체결판(360)은 제3 기어(350)에서 제1 방향(1)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판(36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고, 체결판(360)의 중앙부터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공(362)이 형성된다.
즉 체결판(360)은 장공(362)에 삽입되는 제1 결합구(10)의 일단 외측 육각면들 일부를 둘러싸며 밀착되는 경사면들이 장공(36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고, 장공(362)은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제1 결합구(10)가 체결판(360)의 중앙으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 기능을 가진다.
장공(362)에는 관(5)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된 제1 결합구(10)의 외측의 육각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삽입되고, 제1 결합구(10)의 일단 외측 육각면들 중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체결판(36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체결판(360)에 고정된다.
장공(3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판(360)의 하부 내측면에는 제1 결합구(10)의 육각면들 중 2개의 육각면들과 밀착되는 경사면들 각각의 일단이 체결판(3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면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 중앙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들 각각의 타단은 장공(362)의 상부 개구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판(3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과 연결되고, 체결판(3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은 제1 결합구(10)의 일단 일측 및 타측면과 각각 밀착된다.
체결판(360) 및 제3 기어(350)들 각각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장공(352, 362)들 각각은 서로 연통되고, 상부에서 하강하는 제1 결합구(10) 및 관(5)들 각각은 장공(352, 362)들 각각에 삽입된다.
장공(362)의 내부에서 체결판(3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는 장공(352) 내부에서 제3 기어(35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의 사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체결판(360) 및 제3 기어(350)들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3 기어(350)의 장공(352)과 인접한 일부분은 제1 방향(1)을 향해 노출된다.
제1 방향(1)을 향해 노출되는 제3 기어(350)의 일부분은 제1 결합구(10)의 일단이 장공(362)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5)을 둘러싸는 제1 결합구(10)의 일단 가장자리의 제2 방향(2)쪽 일부분과 밀착되는 가압면(354)을 형성한다.
한편, 체결판(360) 자체는 제3 기어(3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결합구(10) 제2 방향(2)쪽 일단 외측에 형성된 육각면들의 두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연결판(364)은 지지대(320) 및 제3 기어(350)들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삽입홈(50)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은 상대적으로 외경이 축소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된다.
연결판(364)의 타측은 삽입홈(50)을 지나 후술될 회전판(370)과 결합되고, 연결판(364)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하여 중앙부터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는 장공(366)이 형성된다.
회전판(370)은 지지대(320)에서 제2 방향(2)쪽에 배치되고, 연결판(364)과 결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판(37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여 중앙부터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는 장공(372)이 형성된다.
즉, 회전판(370)은 장공(372)에 삽입되는 관(5)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밀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장공(372)은 상기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5)이 회전판(370)의 중앙으로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통로 기능을 가진다.
돌기(371)는 회전판(370)의 제2 방향(2)쪽 가장자리 상부에서 장공(372)에 인접하도록 회전판(370)에 결합되고, 제3 기어(3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370)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센서(374)는 크랭크각센서에 사용되는 인덕티브 또는 홀센서 방식의 센서로, 지지대(320)의 제2 방향(2)쪽에 결합된 브라켓과 결합되고, 실린더 형태로 돌기(371)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3 기어(350)의 회전으로 회전판(370) 및 돌기(371)들이 회전하면, 회전센서(374)는 돌기(371)를 감지하여 제3 기어(35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제3 기어(350)의 가장자리쪽에 함몰된 장공(352)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개구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기어(350)가 회전을 통해 체결판(360) 및 제1 결합구(10)들을 회전시켜 제1 결합구(10)를 조인트(30)의 일단에 나사 결합시키면, 제3 기어(350)는 자동으로 회전하여 장공(352)의 상기 개구부를 상부를 향해 위치시키고, 조인트(30) 및 관(5, 6)들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다.
장공(352)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해 위치하면, 장공(362, 366, 372)들 각각의 개구부 역시 상부를 향해 위치하여 관(5) 및 제2 결합구(10)가 장공(352, 362, 366, 372)들을 통해 제1 결합부(300)의 중앙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딩부(380)는 바디(382), 실린더(384) 및 레일(386)들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80)의 일측은 지지대(3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쪽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레일(386)을 통해 프레임(200)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부(380)는 지지대(320), 제1 내지 제3 기어(330, 340, 342, 350)들 및 모터(310)와 함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제1 결합구(10)를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시켜 제1 결합구(10) 및 조인트(30)를 서로 나사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구(10)가 체결판(36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부(380)는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결합구(10)의 타단에 형성되어 관(5)을 둘러싸는 번데기너트 형태의 일부분을 조인트(30)의 일단에 삽입시키며 조인트(30)와 나사 결합시킨다.
이 때 조인트(30)는 후술될 이송부에 의해 제1 결합구(10)가 조인트(30)의 일단과 나사 결합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어 안정적인 나사 결합이 가능하다.
바디(382)의 일단은 지지대(320)의 제2 방향(2)쪽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레일(386)을 통해 프레임(200)의 일단 상부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바디(382)의 일측 상부에는 바디(38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관(5)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은 장공(352, 362, 366, 372)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5) 및 제1 결합구(10)가 상기 삽입홈 및 장공(352, 362, 366, 372)들 각각에 안착된다.
실린더(384)는 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바디(382)의 위치와 대칭이 되는 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실린더(384)의 실린더 로드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84)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3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384)의 구동으로 실린더 로드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 지지대(320), 제1 내지 제3 기어(330, 340, 342, 350)들, 모터(310), 체결판(360) 및 회전판(370)들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한다.
제1 결합부(300)가 제1 방향(1)으로 이동하는 경우, 장공(362)에 삽입된 제1 결합구(10)는 가압면(354)에 의해 제1 방향(1)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조인트(30)의 일단과 나사 결합된다.
제1 결합부(300)는 조인트(30)에 결합되는 제1 결합구(10) 및 관(5)의 크기에 따라, 체결판(360) 또는 제3 기어(350)의 분리 및 교체를 통해 조인트(30)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 또는 관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커버(390)는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제2 방향(2)을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320)의 제1 방향(1)쪽에서 지지대(320)와 결합되고, 상부 및 전면에는 제1 결합구(10)가 하강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392)이 형성된다.
장공(392)은 커버(390)의 상부면 중앙 일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장공(352, 362, 372)들 각각과 동일 수평선상에서 연통되도록 장공(352, 362, 372)들 각각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동일한 연결선상에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조립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조립장치의 제2결합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제2 결합부(400)는 모터(410), 지지대(420), 제1 기어(430), 제2 기어(440, 442)들, 제3 기어(450), 체결판(460), 회전판(470), 돌기(471), 회전센서(474), 슬라이딩부(480) 및 커버(490)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400)는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2 결합구(2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결합구(20)와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제2 결합부(400)는 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연결된 복수의 소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제2 결합구(20)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를 둘러싸며 제2 결합구(20)와 밀착되어 일측에 제2결합구(20)가 이동가능한 통로가 형성되는 기어의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제2 결합구(20)를 조인트(30)의 타단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모터(410)는 프레임(200)의 타단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모터(410)의 구동축은 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420)를 관통한 후 제1 기어(430)와 결합된다.
지지대(42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홈(4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 및 하단 각각은 프레임(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제1 기어(430)는 지지대(420)에서 프레임(200)의 일단쪽 방향인 제2 방향(2)쪽에 형성되고, 모터(410)의 구동축은 지지대(420)를 관통하여 제1 기어(430)의 중앙에 결합된다.
제1 기어(430)는 제2 기어(440, 44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기어(43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440)는 제1 기어(430)의 일측 상부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Tooth)들은 제1 기어(43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과 맞물린다.
제2 기어(440)의 중앙에 결합된 제3중심축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4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기어(43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3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442)는 제1 기어(430)의 타측 상부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은 제1 기어(43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 투스들과 맞물린다.
제2 기어(442)의 중앙에 결합된 제4중심축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4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기어(43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4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제3 기어(450)는 제2 기어(440, 44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대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기어(440, 442)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3 기어(45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투스들은 제2 기어(440, 442)들 각각의 기어투스들과 맞물린다.
장공(452)은 제3 기어(450)의 상부 일부분이 제3 기어(45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장공(452)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기어(450)의 내측면은 반원 형태로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장공(452)의 양측 길이는 제2 기어(440, 442)들 각각의 외경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장공(452)에는 후술 될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6)이 안착된다.
따라서, 제1 기어(430)의 회전으로 제2 기어(440, 442)들 각각이 회전하면서, 장공(452)이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개구부가 제2 기어(440) 또는 제2 기어(442)의 외측면에 도달하는 경우, 제2 기어(440) 또는 제2 기어(442)가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체결판(460)은 제3 기어(450)에서 제2 방향(2)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3 기어(450)와 결합되고, 체결판(46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고, 일부는 중앙부터 체결판(460)의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장공(462)이 형성된다.
즉 체결판(460)은 장공(462)에 삽입되는 제2 결합구(20)의 일단 외측 육각면들 일부를 둘러싸며 밀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장공(462)은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제2 결합구(20)가 체결판(460)의 중앙으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 기능을 가진다.
체결판(460)은 관(6)의 제2 방향(2)쪽에 결합된 제2 결합구(20)의 일단 외측의 육각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삽입되고, 제2 결합구(20)의 일단 외측 육각면들 중 일부분은 체결판(46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체결판(460)에 고정된다.
장공(4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판(460)의 하부 내측면에서 제2 결합구(20)의 육각면들 중 2개의 육각면들과 밀착되는 경사면들 각각의 일단은 체결판(4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면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 중앙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체결판(460)의 상기 경사면들 각각의 일단은 장공(462)의 상부 개구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판(4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과 연결되고, 체결판(4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은 제2 결합구(20)의 일단 일측 및 타측면과 각각 밀착된다.
체결판(460) 및 제3 기어(450)들 각각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장공(452, 462)들 각각은 서로 연통되고, 상부에서 하강하는 제2 결합구(20) 및 관(6)들 각각은 장공(452, 462)들 각각에 삽입된다.
장공(462)의 내부에서 체결판(46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는 장공(452) 내부에서 제3 기어(45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의 사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체결판(460) 및 제3 기어(450)들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3 기어(450)의 장공(452)쪽 일부분은 제2 방향(2)을 향해 노출된다.
제2 방향(2)을 향해 노출되는 제3 기어(450)의 일부분은 제2 결합구(20)의 일단이 장공(462)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6)을 둘러싸는 제2 결합구(20)의 일단 가장자리의 제1 방향(1)쪽 일부분과 밀착되는 가압면(454)을 형성한다.
한편, 체결판(460) 자체는 제3 기어(4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구(20) 제1 방향(1)쪽 일단 외측에 형성된 육각면들의 두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연결판(464)은 지지대(420) 및 제3 기어(450)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3 기어(450)와 결합되고, 일측은 삽입홈(50)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은 상대적으로 외경이 축소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다.
연결판(464)의 타측은 삽입홈(50)을 지나 후술될 회전판(470)과 결합되고, 연결판(464)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하여 중앙부터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는 장공(466)이 형성된다.
회전판(470)은 지지대(420)에서 제1 방향(1)쪽에 배치되고, 연결판(464)과 결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판(47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고 일부분은 회전판(470)의 중앙부터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장공(472)이 형성된다.
즉, 회전판(470)은 장공(472)에 삽입되는 관(6)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밀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장공(472)은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6)이 회전판(470)의 중앙으로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통로 기능을 가진다.
돌기(471)는 회전판(470)의 제1 방향(1)쪽 가장자리 상부에서 장공(472)에 인접하도록 회전판(470)에 결합되고, 제3 기어(4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470)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센서(474)는 크랭크각센서에 사용되는 인덕티브 또는 홀센서 방식의 센서로, 지지대(420)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된 브라켓과 결합되고, 실린더 형태로 돌기(471)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3 기어(450)의 회전으로 회전판(470) 및 돌기(471)들이 회전하면, 회전센서(474)는 돌기(471)를 감지하여 제3 기어(45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제3 기어(450)의 가장자리쪽에 함몰된 장공(452)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개구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기어(450)가 회전을 통해 체결판(460) 및 제2 결합구(20)들을 회전시켜 제2 결합구(20)를 조인트(30)의 타단에 나사 결합시키면, 제3 기어(450)는 자동으로 회전하여 장공(452)의 상기 개구부를 상부를 향해 위치시키고, 조인트(30) 및 관(5, 6)들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다.
장공(452)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해 위치하면, 장공(462, 466, 472)들 각각의 개구부 역시 상부를 향해 위치하여 관(6) 및 제2 결합구(20)가 장공(452, 462, 466, 472)들을 통해 제2 결합부(400)의 중앙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딩부(480)는 바디(482), 실린더(484) 및 레일(486)들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부(480)의 일측은 지지대(4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쪽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레일(486)을 통해 프레임(200)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부(480)는 지지대(420), 제1 내지 제3 기어(430, 440, 442, 450)들 및 모터(410)와 함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제2 결합구(20)를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시켜 제2 결합구(20) 및 조인트(30)를 서로 나사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구(20)가 체결판(46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부(480)는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제2 결합구(20)의 타단에 형성되어 관(6)을 둘러싸는 번데기너트 형태의 일부분을 조인트(30)의 타단에 삽입시키면서 조인트(30)와 나사 결합시킨다.
바디(482)의 일단은 지지대(420)의 제1 방향(1)쪽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레일(486)을 통해 프레임(200)의 타단 상부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바디(482)의 일측 상부에는 바디(48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함몰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관(6)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홈은 장공(452, 462, 466, 472)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하강하는 관(6) 및 제2 결합구(20)가 상기 제1삽입홈 및 장공(452, 462, 466, 472)들 각각에 안착된다.
실린더(484)는 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바디(482)의 위치와 대칭이 되는 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실린더(484)의 실린더 로드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484)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4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484)의 구동으로 실린더 로드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 지지대(420), 제1 내지 제3 기어(430, 440, 442, 450)들, 모터(410), 체결판(460) 및 회전판(470)들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한다.
제1 결합부(400)가 제2 방향(2)으로 이동하는 경우, 장공(462)에 삽입된 제2 결합구(20)는 가압면(454)에 의해 제2 방향(2)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조인트(30)의 타단과 나사 결합된다.
제1 결합부(400)는 조인트(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구(20) 및 관(6)의 크기에 따라, 체결판(460) 또는 제3 기어(450)의 분리 및 교체를 통해 조인트(30)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 또는 관의 조립편의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커버(490)는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제1 방향(1)을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420)의 제2 방향(2)쪽에서 지지대(420)와 결합되고, 상부 및 전면에는 제2 결합구(20)가 하강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49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장치(100)는 중앙거치대(600)를 포함한다.
중앙거치대(600)는 제1 안착부(610) 및 제2 안착부(620)를 포함한다.
중앙거치대(600)는 프레임(200)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200)의 일단쪽에서 집게 형태로 조인트(30)의 일단 양측면을 둘러싸고, 중앙거치대(600)의 중앙부는 일단 하부 일부분이 플레이트 형태로 제2 방향(2)쪽 타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중앙거치대(600)의 타단은 중앙거치대(600)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확장되면서 제2 방향(2)을 향해 조인트(30)의 타단 양측면을 둘러싸는 집게 형태로 연장되고, 중앙거치대(600)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중앙거치대(600)의 일단과 대칭이 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중앙거치대(6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중앙홈(630)이 형성되고, 중앙홈(630)에는 조인트(30)의 중앙쪽 튜브가 형성되며, 후술될 이송부의 핑거들이 중앙홈(630)의 양측쪽에 삽입되면서 조인트(30)의 튜브를 중앙홈(630)에 안착시킨다.
제1 안착부(610)는 중앙거치대(600)의 일단쪽에서 조인트(30)의 일단 일측 및 타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인트(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거치가능한 제1안착홈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제2 안착부(620)는 중앙거치대(600)의 타단쪽에서 조인트(30)의 타단 일측 및 타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인트(30)의 타단이 삽입되어 거치가능한 제2안착홈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도 1의 조립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립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이송부(500. 502. 504)들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조립장치(100)들 각각은 각각의 프레임(200)의 연결을 통해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송부(500)는 이송프레임(510), 로드(520), 제1 핑거(530) 및 제2 핑거(540)들을 포함한다.
제1 이송부(500)는 하부에 형성된 집게들을 통해 관(5)을 잡고, 복수의 조립장치(100)들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조립장치(100)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장공(352, 362, 366, 372)들과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하강하여 관(5) 및 제1결합구(10)들을 장공(352, 362, 366, 372)들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딩부(380)의 높이를 조절하여 슬라이딩부(380)에 안착되는 관(5)의 일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인트(3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10)가 삽입되는 부분과 제1결합구(10)의 위치를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송부(500)들의 추가를 통해 복수의 제1 이송부(500)들은 조립장치(100)들 각각의 일단 상부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복수의 관(5)들 각각을 복수의 제1 결합부(300)들 각각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송프레임(510)은 슬라이딩부(380)의 상부에 형성되고, 관(5)의 양측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은 이송프레임(5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프레임(5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은 실린더 집게 형태로 이송프레임(510)의 하부에서 이송프레임(5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로드(520)들 각각의 일단은 이송프레임(510)의 상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이송프레임(51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실린더와 결합된다.
로드(520)들 각각은 상부에 결합된 실린더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이송프레임(510), 제1 핑거(530) 및 제2 핑거(540)들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2 이송부(502)는 중앙거치대(600)의 직상방에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조립장치(1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복수의 제2 이송부(502)들의 추가를 통해 복수의 제2 이송부(502)들 각각은 조립장치(100)들 각각의 중앙거치대(6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502)들 각각은 제1 이송부(500)와 동일한 형태의 이송프레임(510), 로드(520)들, 제1 핑거(530) 및 제2 핑거(540)들을 포함하고, 제2 이송부(502)의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은 조인트(30)의 중앙 양측면을 둘러싸면서 조인트(30)의 중앙 일측 및 타측면과 밀착된다.
제2 이송부(502)의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에 의해 파지되는 조인트(30)의 일단, 중앙부 및 타단들 각각은 로드(520)들 각각의 하강에 의해 제1 안착부(610)의 제1안착홈, 중앙홈(630) 및 제2 안착부(620)의 제2안착홈들에 각각 삽입 및 거치된다.
또한, 제2 이송부(502)의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은 조인트(30)의 중앙 양측에 해당하는 중앙홈(630)에 삽입되면서 제1 안착부(610) 및 제2 안착부(620)들의 사이까지 하강하여 조인트(30)를 안정적으로 중앙거치대(6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제2 이송부(502)의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이 조인트(30)의 중앙 양측면을 압박하여 조인트(30)의 회전을 차단하면,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400)들 각각은 제1 결합구(10)의 일단 및 제2결합구(20)의 일단 각각을 회전시키면서 조인트(30)의 양단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결합구(10) 및 제2 결합구(20)들 각각을 조인트(3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제3 이송부(504)는 슬라이딩부(480)의 직상방에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조립장치(1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복수의 제3 이송부(504)들의 추가를 통해 복수의 제3 이송부(504)들 각각은 조립장치(100)들 각각의 슬라이딩부(48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송부(504)들 각각은 제1 이송부(500)와 동일한 형태의 이송프레임(510), 로드(520)들, 제1 핑거(530) 및 제2 핑거(540)들을 포함하고, 제3 이송부(504)의 제1 및 제2 핑거(530, 540)들 각각은 관(6)의 일측 및 타측면을 둘러싸면서 관(6)의 일측 및 타측면과 밀착된다.
제3 이송부(504)들 각각이 하강하면, 제3 이송부(504)들 각각에 파지되는 관(6)들 각각에 결합된 제2결합구(20)들 각각의 일단이 장공(462)들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판(460)들 각각과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이송부(500, 502, 504)들 각각은 동시에 하강하여 관(5), 조인트(30) 및 관(6)들 각각을 제1 결합부(300), 중앙거치대(600) 및 제2 결합부(400)들 각각에 거치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내지 제3 이송부(500, 502, 504)들 각각은 관(5), 조인트(30) 및 관(6)들이 서로 조립된 후 관(5), 조인트(30) 및 관(6)들 각각과 결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관(5), 조인트(30) 및 관(6)들 각각을 제1 결합부(300), 중앙거치대(600) 및 제2 결합부(400)들 각각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조립장치의 테스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테스트부의 일부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테스트부의 일부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장치(100)는 테스트부(800)를 포함한다.
테스트부(800)는 거치대(810, 820)들, 컨베이어벨트(830)들, 테스트프레임(840), 이동판(850), 센서(860), 푸싱유닛(870, 880)들, 실린더(890), 주입부(895) 및 안착유닛(897, 898)들을 포함한다.
테스트부(800)는 제1 내지 제3 이송부(500, 502, 504)들을 통해 이송되는 서로 조립된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이 거치되면 관(5, 6)들 중 어느 하나에 공기를 주입하여 관(5, 6)들 및 조인트(30)들 사이의 조립성을 테스트한다.
테스트부(800)는 추가로 복수의 테스트부(800)들을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시켜 동시에 복수의 조립된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의 기밀성 및 조립성을 테스트 할 수 있다.
복수의 테스트부(800)들 각각의 사이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사이의 하부에는 테스트를 완료한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이 하강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동 이송이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장치가 형성된다.
복수의 테스트부(800)들 각각에는 거치된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을 일측 또는 타측 상부를 향해 밀어내는 장치가 형성되어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의 조립성 테스트가 완료되면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을 테스트부(800)들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낸다.
거치대(810, 820)들 각각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쪽에 낙하공간(8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낙하공간(801)에는 컨베이어 벨트(830)들이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들 쪽에 각각 배치된다.
테스트프레임(840)은 일단은 거치대(8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거치대(8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거치대(810, 820)들 각각의 상부를 연결한다.
이동판(850)은 거치대(810)의 상부에서 테스트프레임(840) 또는 거치대(810)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센서(860)는 테스트프레임(840)의 타단 상부에 형성되어 관(6)의 끝단에 결합되고, 관(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체크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푸싱유닛(870, 880)들 각각은 실린더(872) 및 푸싱로드(874)들을 포함한다.
푸싱유닛(870, 880)들 각각은 거치대(810, 820)들 사이에 해당하는 낙하공간(801)의 상부에서 테스트프레임(840)의 일단쪽 및 타단쪽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관(5, 6)들 및 조인트(30) 사이의 조립성 테스트 후에 일부분이 상승하여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을 낙하공간(801)을 향해 밀어낸다.
구체적으로, 실린더(872)들 각각은 낙하공간(801)의 상부에서 테스트프레임(840)의 일단쪽 및 타단쪽에 각각 형성되고, 실린더(872)들 각각의 실린더 로드들은 각각 테스트프레임(840)을 각각 관통하여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테스트프레임(840)의 일단쪽 및 타단쪽 각각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된 상기 실린더 로드들 각각은 푸싱로드(874)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되고, 실린더(872)의 구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푸싱로드(874)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을 향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 하부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관(5, 6)들 각각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872)들 각각의 구동으로 상기 실린더 로드들 각각이 상승하면, 푸싱로드(874)들 각각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면이 관(5, 6)들 각각을 일측 상부를 향해 밀어내어 낙하공간(801)으로 관(5, 6)들 및 조인트(30)들을 낙하시킨다.
실린더(890)는 이동판(850)의 상부에 결합되고, 실린더(890)에 결합된 실린더로드는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실린더(890)의 구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한다.
주입부(895)는 실린더(890)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실린더(890)의 구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 방향(1)을 향한 이동에 따라 테스트프레임(840)에 안착된 관(5)의 끝단과 연결된다.
주입부(895)는 주입부(895)의 측면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가스가 주입되면 관(5)의 내부를 향해 가스를 주입시키고, 관(5)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조인트(30) 및 관(6)을 거쳐 센서(860)를 향해 이동한다.
센서(860)는 조인트(30) 및 관(5, 6)들 사이의 연결부위의 이물질 또는 파손에 의한 가스의 누출로 가스의 압력 감소를 감지하면, 조인트(30) 및 관(5, 6)들의 조립상태를 낮게 평가하여 푸싱유닛(870, 880)들을 통해 조인트(30) 및 관(5, 6)들을 낙하공간(801)으로 이동시키거나 이송부(500, 502, 504)들을 통해 조인트(30) 및 관(5, 6)들을 정비를 위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안착유닛(897, 898)들 각각은 테스트프레임(840)의 중앙 쪽에서 조인트(3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양측면을 둘러싸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테스트프레임(840)과 결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장치 200: 프레임
300: 제1결합부 400: 제2결합부
500: 제1이송 600: 중앙거치대
800: 테스트부

Claims (5)

  1. 제1방향의 일단에서 제2방향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결합되고, 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 관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들 각각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들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부들;
    일단은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의 일단 양측면을 둘러싸고, 중앙부는 일단 하부 일부분이 플레이트 형태로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 일부가 상부로 확장되며 집게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의 타단 양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중앙거치대; 및
    승강, 하강,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 형성된 핑거를 통해 상기 중앙거치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조인트의 중앙부를 파지하여 상기 조인트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 각각은,
    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연결된 복수의 소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들 각각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를 둘러싸며 밀착되어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들 각각이 이동 및 분리가능한 통로가 형성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는 모터들 각각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기어들; 및
    상기 제2기어들과 기어 연결되고, 외측면 개구부부터 중앙까지 함몰된 장공이 형성되는 제3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3기어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장공에 위치한 상기 제3기어의 내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상기 장공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들 각각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기어들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KR1020190083372A 2019-07-10 2019-07-10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KR10209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372A KR102097413B1 (ko) 2019-07-10 2019-07-10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372A KR102097413B1 (ko) 2019-07-10 2019-07-10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13B1 true KR102097413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372A KR102097413B1 (ko) 2019-07-10 2019-07-10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4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16B1 (ko) * 2020-05-11 2021-05-20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53927B1 (ko) * 2020-05-11 2021-05-20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CN114043234A (zh) * 2021-12-01 2022-02-15 云南善硕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管道下料、套丝及管件装配全自动一体组装装置
KR102403423B1 (ko) * 2021-12-23 2022-05-31 주식회사 볼드엔지니어링 수소 공급을 이용한 반도체 유해가스 처리장치의 에너지 효율 개선 시스템
WO2022216007A1 (ko) * 2021-04-07 2022-10-13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FR3139171A1 (fr) * 2022-08-30 2024-03-01 Psa Automobiles Sa Fourchette anti-rotation pour tuyau de système de freinage d’un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563B1 (ko) * 1996-10-10 1999-06-15 박실조 탁상용 파이프조임장치
KR100610786B1 (ko) 2004-07-07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런너
KR101173493B1 (ko) * 2011-01-19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피팅 조립장치
KR20130039809A (ko) *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두모리엠앤티 너트 중간을 가로지르는 케이블이 있는 너트의 자동 체결장치
KR101795275B1 (ko) 2016-06-20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축 너트런너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821174B1 (ko) * 2014-02-18 2018-01-23 트랜스오션 세드코 포렉스 벤쳐스 리미티드 해저 호스 교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563B1 (ko) * 1996-10-10 1999-06-15 박실조 탁상용 파이프조임장치
KR100610786B1 (ko) 2004-07-07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런너
KR101173493B1 (ko) * 2011-01-19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피팅 조립장치
KR20130039809A (ko) *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두모리엠앤티 너트 중간을 가로지르는 케이블이 있는 너트의 자동 체결장치
KR101821174B1 (ko) * 2014-02-18 2018-01-23 트랜스오션 세드코 포렉스 벤쳐스 리미티드 해저 호스 교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95275B1 (ko) 2016-06-20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축 너트런너 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16B1 (ko) * 2020-05-11 2021-05-20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53927B1 (ko) * 2020-05-11 2021-05-20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WO2021230625A1 (ko) * 2020-05-11 2021-11-18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21230626A1 (ko) * 2020-05-11 2021-11-18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WO2022216007A1 (ko) * 2021-04-07 2022-10-13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시스템
CN114043234A (zh) * 2021-12-01 2022-02-15 云南善硕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管道下料、套丝及管件装配全自动一体组装装置
CN114043234B (zh) * 2021-12-01 2024-02-20 云南善硕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管道下料、套丝及管件装配全自动一体组装装置
KR102403423B1 (ko) * 2021-12-23 2022-05-31 주식회사 볼드엔지니어링 수소 공급을 이용한 반도체 유해가스 처리장치의 에너지 효율 개선 시스템
FR3139171A1 (fr) * 2022-08-30 2024-03-01 Psa Automobiles Sa Fourchette anti-rotation pour tuyau de système de freinage d’un vé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13B1 (ko) 브레이크 라인용 조립장치
CN105834711A (zh) 一种多工位快速接头自动装配机
TW201417966A (zh) 夾鉗裝置
CN215239157U (zh) 一种螺纹拧紧机构及螺纹拧紧装置
CN111590287A (zh) 驱动器丝杠生产自动化组装系统和组装方法
CN105762603B (zh) 插排组装机的插排开关上料装置
CN112872784A (zh) 一种调模丝母自动抓取预拧机
CN111843416A (zh) 扭簧装配机
CN105048244A (zh) 二次接线辅助装置
CN105414966A (zh) 一种水箱自动装配设备
CN115338617B (zh) 锻钢闸阀组装生产线
CN110014282A (zh) 插管外套自动装配机
CN108213932B (zh) 螺母安装机构及螺母安装装置
CN205497537U (zh) 一种手套箱互联多通仓
CN109712758A (zh) 一种线缆处理装置
CN206375303U (zh) 一种过滤器阀体生产线的夹紧装置
KR102353000B1 (ko) 파이프 피팅부를 조립하는 장치 및 방법
CN210756325U (zh) 自协调多柔性并行装配装置
CN111331355B (zh) 一种蓄氧氧气袋的对接管自动组装设备
CN104325315B (zh) 用于制造led套件的转盘装置以及led套件自动组装机
CN212158932U (zh) 歧管气密性检测用定位夹具
CN210959328U (zh) 电路板自动生产线
CN211030064U (zh) 连杆夹管机构
CN209533278U (zh) 一种油管自动装入设备
CN209280303U (zh) 一种节流阀压力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