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731B1 -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731B1 KR102247731B1 KR1020190133310A KR20190133310A KR102247731B1 KR 102247731 B1 KR102247731 B1 KR 102247731B1 KR 1020190133310 A KR1020190133310 A KR 1020190133310A KR 20190133310 A KR20190133310 A KR 20190133310A KR 102247731 B1 KR102247731 B1 KR 1022477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roller
- fork
- arm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운반기기에 리프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 또는 보관장소에 반출 및 반입되는 금형을 구름 이동시켜 지지하는 한쌍의 포크어셈블리; 및 상기 포크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 링크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금형을 포크어셈블리의 상부로 진출입시키는 암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크어셈블리는 상부면에 다수의 롤러노출구가 형성되는 포크하우징과,상기 포크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직립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직장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롤러노출구를 통해 선태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판에 형성된 수직장홈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롤러와, 상기 가이드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수평 이동되어 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조립체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링크 결합되는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는 금형의 연결지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금형의 진출입 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금형 운반시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어셈블리로 금형을 반출 또는 반입하는 과정에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롤러를 통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금형을 운반시킬 때는 롤러가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는 베어링이 장착된 브라켓을 설치하여, 대차에 실린 금형을 밀어 브라켓에 옮겨서 손으로 밀어서 장착하였다.
이 경우 금형이 보통 700 내지 1200키로그램 정도 나가는 중량물이어서 취급하기 매우 어렵다.
또한 중량물인 금형이 브라켓에 옮겨질때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쫄릴 경우, 금형이 지면에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그 취급이 매우 불안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주의할 경우 취급자가 상해를 입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사출기의 원하는 정 위치에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추어 밀어 넣는 작업도 숙련자가 아니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형 교환시 금형을 전동 대차에 상차하여 사출기에 장착을 하는데 대차와 사출기의 위치를 평행하게 일치시키기도 어렵고 금형 장착시 금형 및 사출기 손상이 발생하고 금형 교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작업 편리성을 위해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스태커 들로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09602호의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등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인용문헌은 포크에 수개의 구름롤러가 결합된 다이 리프트가 설치된 것으로, 단순히 다이 리프트를 승강시켜 금형을 구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다이 리프트가 상승된 상태에서 금형을 구름이동시켜야만 하므로, 다이 리프트에 구비된 구름롤러의 높이 단차에 의한 진출입 충격이 금형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포크어셈블리로 금형을 반출 또는 반입하는 과정에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롤러를 통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금형을 운반시킬 때는 롤러가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금형의 앞부분이 포크하우징에 내부에 위치된 첫번째 롤러의 상부에 위치되면 롤러가 승강유닛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점차 상승되는 바, 금형이 상승된 상태의 롤러의 높이 단차에 의한 진입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운반기기에 리프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 또는 보관장소에 반출 및 반입되는 금형을 구름 이동시켜 지지하는 한쌍의 포크어셈블리; 및 상기 포크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 링크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금형을 포크어셈블리의 상부로 진출입시키는 암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크어셈블리는 상부면에 다수의 롤러노출구가 형성되는 포크하우징과,상기 포크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직립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직장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롤러노출구를 통해 선태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판에 형성된 수직장홈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롤러와, 상기 가이드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수평 이동되어 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조립체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링크 결합되는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는 금형의 연결지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금형의 진출입 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금형 운반시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금형의 연결지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제2암의 단부에 수평연결되는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양단에 삽입되는 연결봉과, 상기 각 연결봉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체에 형성된 절개구를 통해 노출되어 연결봉을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승강유닛은 무게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프레임을 매개로 병렬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경사프레임이 조합된 사다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제4발명에서, 상기 롤러는 양측에 돌출되는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판의 수직장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베어링이 수평프레임에서 경사프레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따르면, 포크어셈블리로 금형을 반출 또는 반입하는 과정에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롤러를 통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시켜 금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을 운반시킬 때는 롤러가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앞부분이 포크하우징에 내부에 위치된 첫번째 롤러의 상부에 위치되면 롤러가 승강유닛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점차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되는 금형을 부드럽게 반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포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작동도,
도 5는 결합수단과 금형의 연결지그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나는 작동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포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작동도,
도 5는 결합수단과 금형의 연결지그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나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포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형을 보관장소에서 사용처로 운반하거나 또는 사용처에서 보관장소로 운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포크어셈블리로 금형을 반출 또는 반입하는 과정에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롤러를 통해 금형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금형을 운반시킬 때는 롤러가 포크어셈블리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여 금형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승강프레임(10)과, 포크어셈블리(20) 및 암조립체(3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0)은 장소에 따라 소형 전동 운반기기 또는 지계차의 전면에 리프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프레임(10)은 유압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또는 벨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리프팅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크어셈블리(20)는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처(사출기) 또는 보관장소에 반출 및 반입되는 금형(220)을 구름 이동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암조립체(30)는 상기 포크어셈블리(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10)에 링크 결합되어 유압실린더(S)에 의해 금형(220)을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로 진출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암조립체(30)는 상기 승강프레임(10)에 링크 결합되는 제1암(31)과, 상기 제1암(31)과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는 금형(220)의 연결지그(22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수단(3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암조립체(30)는 결합수단(33)을 금형(220)의 연결지그(221)에 연결시켜 제1암(31)과 제2암(32)의 펼침동작과 당김동작으로 고중량의 금형(220)을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로 자동 진출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금형(220)의 연결지그(221)에는 결합공(22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3)은 상기 결합공(221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봉(332)을 갖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33)은 제2암(32)의 단부에 수평연결되는 연결관체(331)와, 상기 연결관체(331)의 양단에 삽입되는 연결봉(332)과, 상기 각 연결봉(33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체(331)에 형성된 절개구(331a)를 통해 노출되어 연결봉(332)을 상기 결합공(221a)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조작레버(333)로 구성된다.(도 5에 도시)
상술된 암조립체(30)는 펼침동작에 의해 사용처 또는 보관장소에 있는 금형(220)을 결합수단(33)에 의해 고정시킨 후 당김동작에 의해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로 진입시켜 운반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반대로 상기 암조립체(30)는 펼침동작에 의해 운반된 금형을 사용처 또는 보관장소에 반입시키는 기능한다.
한편 상기 포크어셈블리(20)는 금형(220)을 구름 이동시키기 위해 포크하우징(21)의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롤러(23)를 갖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롤러(23)는 금형(220)의 진출입 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어 금형(220)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금형(220) 운반시 포크어셈블리(20)의 내부로 하강하여 금형(220)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포크어셈블리(20)는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포크하우징(21)과, 가이드판(22)과, 롤러(23)와, 승강유닛(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크하우징(21)은 상부면에 다수의 롤러노출구(211)가 형성되어 롤러(23)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는데 있어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22)은 상기 롤러(23)의 높낮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크하우징(21)의 내부 양측에 직립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직장홈(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23)는 상기 롤러노출구(211)를 통해 선태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판(22)에 형성된 수직장홈(22a)을 따라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4)은 상기 가이드판(22)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수평 이동되어 롤러(23)의 높낮이를 점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선형모터 또는 볼스크류 또는 벨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4)은 고중량을 금형(220)을 지탱하면서 롤러(23)의 높낮이를 점차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유닛(24)은 무게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프레임(241)을 매개로 병렬 연결되는 경사면(242a)을 갖는 다수의 경사프레임(242)이 조합된 사다리 형태이다.
아울러 상기 롤러(23)는 양측에 돌출되는 회전축(231)이 상기 가이드판(22)의 수직장홈(22a)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고, 상기 회전축(231)에 삽입되는 베어링(232)이 수평프레임(241)에서 경사프레임(242)의 경사면(242a)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3)는 수평프레임(241)에 베어링이 위치하면 높이가 낮아져서 포크하우징(21)의 내부로 하강되고, 경사프레임(242)의 경사면(242a)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정밀하게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5는 결합수단과 금형의 연결지그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나는 작동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의 금형(220)을 반출할 경우, 운반기기를 이용하여 사출기(200)의 테이블(210)의 높이와 포크어셈블리(20)의 높이가 평행한 상태로 정렬되도록 승강프레임(10)을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접이된 제1암(31)과 제2암(32)을 펼쳐 결합수단(33)이 테이블(210)에 안착된 금형(220)에 근접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결합수단(33)의 연결관체(331)를 금형(220)의 연결지그(221) 사이에 정밀하게 위치시킨 후, 조작레버(333)를 조작하여 연결봉(332)을 연결지그(221)에 형성된 결합공(221a)에 삽입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제1암(31)과 제2암(32)을 천전히 당겨 금형(220)을 포크어셈블리(20)로 상부로 진입시킨다.
이 때 도 6의 (a)와 같이, 금형(220)의 앞부분이 포크하우징(21)에 내부에 위치된 첫번째 롤러(23)의 상부에 위치되면 도 6의 (b)와 같이, 승강유닛(24)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롤러(23)의 베어링(232)이 승강유닛(24)의 경사면(242a)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점차 상승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되는 금형(220)이 상승된 롤러(23)의 높이 단차에 의한 진입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승강유닛(24)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면 롤러(23)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바, 상기 금형(220)은 진입 충격과 이동 충격 없이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로 구름 이동되게 된다.
금형(220) 전체가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에 진입되면 승강유닛(24)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롤러(23)의 베어링(232)을 수평프레임(241)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롤러(23)는 포크하우징(21)의 내부로 하강된다.
그러면 상기 금형(220)은 롤러(23)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가 아니라 포크하우징(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가 되므로, 금형(220)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운반시킬 수 있게 된다.
금형을 반출시킬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일련을 과정을 반대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에 설명하지 않았지만, 포크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사출기의 테이블과 평행하게 자동으로 위치를 정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포크하우징의 내부 역시 금형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롤러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승강프레임
20: 포크어셈블리 21: 포크하우징 211: 롤러노출구
22: 가이드판 22a: 수직장홈
23: 롤러 231: 회전축
232: 베어링 24: 승강유닛
241: 수평프레임 242: 경사프레임
242a: 경사면
30: 암조립체 31: 제1암 32: 제2암
33: 결합수단 331: 연결관체
331a; 절개구 332: 연결봉
333: 조작레버
100: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200: 사출기 210: 테이블 220: 금형
221: 연결지그 221a: 결합공
S: 유압실린더
20: 포크어셈블리 21: 포크하우징 211: 롤러노출구
22: 가이드판 22a: 수직장홈
23: 롤러 231: 회전축
232: 베어링 24: 승강유닛
241: 수평프레임 242: 경사프레임
242a: 경사면
30: 암조립체 31: 제1암 32: 제2암
33: 결합수단 331: 연결관체
331a; 절개구 332: 연결봉
333: 조작레버
100: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200: 사출기 210: 테이블 220: 금형
221: 연결지그 221a: 결합공
S: 유압실린더
Claims (4)
- 운반기기에 리프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프레임(10);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사용처 또는 보관장소에 반출 및 반입되는 금형(220)을 구름 이동시켜 지지하는 한쌍의 포크어셈블리(20); 및
상기 포크어셈블리(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10)에 링크 결합되어 유압실린더(S)에 의해 금형(220)을 포크어셈블리(20)의 상부로 진출입시키는 암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크어셈블리(20)는 상부면에 다수의 롤러노출구(211)가 형성되는 포크하우징(21)과,상기 포크하우징(21)의 내부 양측에 직립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직장홈(22a)이 형성되는 가이드판(22)과, 상기 롤러노출구(211)를 통해 선태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판(22)에 형성된 수직장홈(22a)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롤러(23)와, 상기 가이드판(22)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 수평 이동되어 롤러(23)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조립체(30)는 상기 승강프레임(10)에 링크 결합되는 제1암(31)과, 상기 제1암(31)과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는 금형(220)의 연결지그(22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수단(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23)는 금형(220)의 진출입 정도 또는 진출입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어 금형(220)의 진출입을 충격을 최소화하고, 금형(220) 운반시 포크어셈블리(20)의 내부로 하강하여 금형(220)을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220)의 연결지그(221)에는 결합공(22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3)은 제2암(32)의 단부에 수평연결되는 연결관체(331)와, 상기 연결관체(331)의 양단에 삽입되는 연결봉(332)과,
상기 각 연결봉(33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체(331)에 형성된 절개구(331a)를 통해 노출되어 연결봉(332)을 상기 결합공(221a)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조작레버(3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24)은 무게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평프레임(241)을 매개로 병렬 연결되는 경사면(242a)을 갖는 다수의 경사프레임(242)이 조합된 사다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3)는 양측에 돌출되는 회전축(231)이 상기 가이드판(22)의 수직장홈(22a)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고, 상기 회전축(231)에 삽입되는 베어링(232)이 수평프레임(241)에서 경사프레임(242)의 경사면(242a)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점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310A KR102247731B1 (ko) | 2019-10-24 | 2019-10-24 |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310A KR102247731B1 (ko) | 2019-10-24 | 2019-10-24 |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731B1 true KR102247731B1 (ko) | 2021-05-04 |
Family
ID=7591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310A KR102247731B1 (ko) | 2019-10-24 | 2019-10-24 |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73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03949A (zh) * | 2021-05-16 | 2021-07-13 | 张保华 | 一种基于托盘放置的货物转移运输车 |
CN114799018A (zh) * | 2022-05-25 | 2022-07-29 | 陈宁宁 | 一种锻压件模具更换装置 |
CN114919985A (zh) * | 2022-06-09 | 2022-08-19 |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 物流用顶升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48758A2 (de) * | 2009-05-06 | 2010-11-10 | STILL GmbH | Flurförderzeug, insbesondere Gegengewichtsgabelstapler |
KR20110128982A (ko) * | 2010-05-25 | 2011-12-01 | 은병희 | 금형운반용 리프트 |
KR20130104449A (ko) * | 2012-03-14 | 2013-09-25 | 양진선 | 지게차용 포크장치 |
KR20160109602A (ko) | 2015-03-12 | 2016-09-21 | 조현준 |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
-
2019
- 2019-10-24 KR KR1020190133310A patent/KR1022477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48758A2 (de) * | 2009-05-06 | 2010-11-10 | STILL GmbH | Flurförderzeug, insbesondere Gegengewichtsgabelstapler |
KR20110128982A (ko) * | 2010-05-25 | 2011-12-01 | 은병희 | 금형운반용 리프트 |
KR20130104449A (ko) * | 2012-03-14 | 2013-09-25 | 양진선 | 지게차용 포크장치 |
KR20160109602A (ko) | 2015-03-12 | 2016-09-21 | 조현준 |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03949A (zh) * | 2021-05-16 | 2021-07-13 | 张保华 | 一种基于托盘放置的货物转移运输车 |
CN114799018A (zh) * | 2022-05-25 | 2022-07-29 | 陈宁宁 | 一种锻压件模具更换装置 |
CN114799018B (zh) * | 2022-05-25 | 2024-04-19 | 东莞市世辉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锻压件模具更换装置 |
CN114919985A (zh) * | 2022-06-09 | 2022-08-19 |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 物流用顶升装置 |
CN114919985B (zh) * | 2022-06-09 | 2024-04-19 |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 物流用顶升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7731B1 (ko) |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 |
US10059539B2 (en) |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 |
US7461722B2 (en) | Elevating transport apparatus | |
JP5184184B2 (ja) | 上下コンベア間の荷移載装置 | |
JPS6331908A (ja) | スタツカクレ−ンのキヤリツジ | |
KR20150087915A (ko) | 물품 이송장치 및 방법 | |
CN113148658A (zh) | 一种基于压力传动往复送料的送料装置及其送料方法 | |
JP2010006503A (ja) | 段積み装置 | |
CN110155856B (zh) |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 |
CN217837342U (zh) | 一种自动化物料升降梯对接机 | |
JP5601531B2 (ja) | 物品搬送装置 | |
JP2014114110A (ja) | パレット供給装置 | |
JP2002356223A (ja) | 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倉庫 | |
CN110712917B (zh) | 一种行李搬运装置 | |
KR102236143B1 (ko) |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 |
CN210944717U (zh) | 一种气动升降机 | |
GB2594516A (en) | Transport device and method of moving vacuum system components in a confined space | |
JP7032914B2 (ja) | パレット処理装置 | |
JP2973817B2 (ja) |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 |
JP2006151524A (ja) | 昇降型の搬送受け渡し装置 | |
JP2008037591A (ja) | 移載機の位置決め機構 | |
JP2947014B2 (ja) | 吊下搬送装置 | |
JPH0644908Y2 (ja) | 垂直搬送装置 | |
JP2502916B2 (ja) | 物品搬送用のボックスマガジン | |
CN215709698U (zh) | 图书馆还书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