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02A -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 Google Patents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02A
KR20160109602A KR1020150034349A KR20150034349A KR20160109602A KR 20160109602 A KR20160109602 A KR 20160109602A KR 1020150034349 A KR1020150034349 A KR 1020150034349A KR 20150034349 A KR20150034349 A KR 20150034349A KR 20160109602 A KR20160109602 A KR 2016010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tacker
mold
side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조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준 filed Critical 조현준
Priority to KR102015003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602A/ko
Publication of KR2016010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소형 금형 등을 보관장소에서 사용처로 운반하거나 또는 사용처에서 보관장소로 운반 및 리프팅 시키는 기능성을 갖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게차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중소형 금형 등을 쉽게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캐스트가 구비된 메인바디의 상부 양측으로 마스터를 세우고, 전방 양측으로 보조바퀴가 결합된 수평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양측 마스터 사이에는 수평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는 포크를 포함하는 포크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중소형 중량물인 금형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한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에 있어서; 상기 양쪽 포크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안치홈을 형성하고, 안치홈에는 수개의 구름롤러가 결합된 다이 리프트(die lifter)를 설치하여, 다이 리프트가 미 작동시에는 구름롤러가 포크의 상부면 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다이 리프트가 작동된 상태일 때 구름롤러가 포크 상측으로 노출되어 중소형 중량물을 포크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Stacker for mold exchange and transfer}
본 발명은 중소형 금형 등을 보관장소에서 사용처로 운반하거나 또는 사용처에서 보관장소로 운반 및 리프팅 시키는 기능성을 갖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게차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중소형 금형 등을 쉽게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중소형 금형 등을 보관장소에서 사용처로 운반하거나 또는 사용처에서 보관장소로 운반 및 리프팅 시키는 작업은 주로 크레인, 지게차 또는 스태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스태커의 경우 화물을 승강시킨 뒤 작업자가 밀고 다니면서 화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지게차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태커는 대부분 유압모터 방식이었다. 즉, 스태커의 양측으로 마스터가 구비되고, 마스터 사이로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를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양쪽으로 체인이 연결되어 화물이 놓인 포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근자에는 작업 편리성을 위해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스태커 들로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4-0102440호(2014.08.22.)의 이동식 전동 스태커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스태커의 경우 포크가 실린더등에 의해 작동하는 구성이어서, 선반 등에 안치되어 있는 금형을 인출하거나 리프팅시 공간 확보가 어려운 장소에서 금형등을 이동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포크에 올려진 중소형 금형을 2~5mm 리프팅 시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1020140102440 A 2014.08.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스태커들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태커에 구비되어 있는 포크에 프레스의 금형 또는 다이 세트 등의 교환시에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다이 리프터(die lifter)를 적용하여 특히 지게차나 크레인 사용이 어려운 장소나 금형 보관대에 적층식으로 보관되어 있는 중소형 금형을 쉽게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캐스트가 구비된 메인바디의 상부 양측으로 마스터를 세우고, 전방 양측으로 보조바퀴가 결합된 수평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양측 마스터 사이에는 수평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는 포크를 포함하는 포크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중소형 중량물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한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에 있어서; 상기 양쪽 포크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안치홈을 형성하고, 안치홈에는 수개의 구름롤러가 결합된 다이 리프트(die lifter)를 설치하여, 다이 리프트가 미 작동시에는 구름롤러가 포크의 상부면 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다이 리프트가 작동된 상태일 때 구름롤러가 포크 상측으로 노출되어 중소형 중량물인 금형을 포크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를 사용할 경우 중소형 금형 아래쪽으로 포크를 삽입한 상태에서 다이 리프트를 이용하여 금형을 조금만 상승시킨 상태에서 포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게차나 크레인 사용이 어려운 장소나 금형 보관대에 적층식으로 보관되어 있는 금형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처로 운반할 수 있는 사용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포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다이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1)는 캐스트(3)가 구비된 메인바디(2)의 상부 양측으로 마스터(4)를 세우고, 전방 양측으로 수평지지대(5)를 길게 도출시키고, 선단에는 보조바퀴(6)가 결합하여 이동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스태커(1)의 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측 마스터(4) 사이에는 포크어셈블리(10)를 설치한다.
포크어셈블리(10)는 마스터(4)에 마련된 레일(4a)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차(11)의 전방 양측으로 수평지지대(5)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포크(12)를 설치한다.
포크어셈블리(10)는 마스터(4)를 따라서 승강되며, 승강수단으로는 모터구동식 또는 실린더 작동식 등이 제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후자인 실린더 작동식에 의해 포크어셈블리(1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실린더 작동식의 예로는 마스터(4)에 지지되도록 양측 마스터(4) 사이에 유압실린더(13)를 설치하고, 유압실린더(13)의 로드 상측으로는 리프팅 드라이브(14)(lifting driver)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팅 드라이브(14)와 포크어셈블리(10)의 승강대차(11)를 견인줄(17)로 상호 연결하여 유압실린더(13)에 의해 리프팅 드라이브(14)가 상승할 때 승강대차(11)의 롤러(11a)가 양측 마스터(4)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4a)를 따라서 상승하고, 반대로 유압실린더(13)에 의해 리프팅 드라이브(14)가 하강할 때 승강대차(11)가 양측 마스터(4)를 따라서 하강하게 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13)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유닛(15)은 메인바디(2)의 상측에 설치되며, 유압유닛(15)은 메인바디(2)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16)의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유압유닛(15)은 유압펌프, 유압탱크, 분배기 등이 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1)를 구성함에 있어서, 포크(12)에 유압으로 작동하는 다이 리프트(20)를 더 적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12)에 다이 리프트(20)를 적용하는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포크(12)에 길이방향으로 안치홈(14a)을 형성하고, 안치홈(14a)에는 수개의 구름롤러(22)가 결합된 다이 리프트(20)(die lifter)를 설치한다. 다이 리프트(20)는 볼스터(21)에 구름롤러(22)를 내장시킨 바 등을 넣고 이 바를 뜨게 함으로서 구름롤러(22) 위의 중량물을 반입 반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성품을 사용토록 한다.
상기 다이 리프트(20)가 유압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선택하여 적용토록 하며, 상기 메인바디(2)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유닛(15)과 배관 연결하여 유압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이 리프트(20)를 포크(12)에 적용할 경우 다이 리프트(20)를 하강(미 작동)시에는 구름롤러(22)가 포크(12)의 상부면 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다이 리프트(20)가 상승(작동)된 상태일 때 구름롤러(22)가 포크(12)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1)를 이용하여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이나 지게차가 진입할 수 없는 좁은 지역에서 금형 등의 리프팅 및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포크(12)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 리프트(2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중소형 중량물인 금형(100)의 상판 아래쪽으로 포크(12)를 삽입한다.
포크(12)가 금형의 아래쪽으로 완전히 내입되면 다이 리프트(20)를 상승시킨다. 다이 리프트(20)가 상승되면 다이 리프트(20)에 구비되어 있는 구름롤러(22)들이 포크(12)의 상측으로 2~5mm 노출되면서 금형을 리프팅 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금형을 메인바디(2) 쪽으로 밀면 구름롤러(22) 위에 놓인 금형(100)을 이동시킨 후 다이 리프트(20)를 하강시킨 후 금형(100)을 사용처로 이용한 후 상기와 역순으로 금형을 내리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중소형 중량물용 스태커 2:메인바디
3:캐스트 4:마스터
4a:레일 5:수평지지대
6:보조바퀴 10:포크어셈블리
11:승강대차 12:포크
12a:안치홈 13:유압실린더
14:리프팅 드라이브 15:유압유닛
16:배터리 17:견인줄
20:다이 리프트 21:볼스터
22:구름롤러

Claims (1)

  1. 캐스트(3)가 구비된 메인바디(2)의 상부 양측으로 마스터(4)를 세우고, 전방 양측으로 보조바퀴(6)가 결합된 수평지지대(5)를 설치하며, 상기 양측 마스터(4) 사이에는 수평지지대(5) 사이에 위치되는 포크(12)를 포함하는 포크어셈블리(10)를 설치하여 중소형 중량물인 금형(100)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한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1)에 있어서;
    상기 양쪽 포크(12)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향 개구된 안치홈(12a)을 형성하고, 안치홈(12a)에는 수개의 구름롤러(22)가 결합된 다이 리프트(20)(die lifter)를 설치하여, 다이 리프트(20)가 미 작동시에는 구름롤러(22)가 포크(12)의 상부면 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다이 리프트(20)가 작동된 상태일 때 구름롤러(22)가 포크(12) 상측으로 노출되어 중소형 중량물(100)을 포크(12)의 길이방향으로 구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KR1020150034349A 2015-03-12 2015-03-12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KR20160109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49A KR20160109602A (ko) 2015-03-12 2015-03-12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49A KR20160109602A (ko) 2015-03-12 2015-03-12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02A true KR20160109602A (ko) 2016-09-21

Family

ID=5708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49A KR20160109602A (ko) 2015-03-12 2015-03-12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6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617A (ko) * 2019-06-07 2020-12-16 한주금속(주) 금형 교환 장치
KR20210047184A (ko) *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KR102247731B1 (ko) 2019-10-24 2021-05-04 울산광역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CN114516605A (zh) * 2021-12-25 2022-05-20 米亚斯物流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超重载的伸缩货叉及其载荷计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440A (ko) 2013-02-14 2014-08-22 정양자 이동식 전동 스태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440A (ko) 2013-02-14 2014-08-22 정양자 이동식 전동 스태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617A (ko) * 2019-06-07 2020-12-16 한주금속(주) 금형 교환 장치
KR20210047184A (ko) * 2019-10-21 2021-04-29 김성원 베일 오프너에 베일을 투입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
KR102247731B1 (ko) 2019-10-24 2021-05-04 울산광역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CN114516605A (zh) * 2021-12-25 2022-05-20 米亚斯物流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超重载的伸缩货叉及其载荷计算方法
CN114516605B (zh) * 2021-12-25 2023-11-24 米亚斯物流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超重载的伸缩货叉及其载荷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0707B2 (ja) リフトスォーク式荷役装置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KR20160109602A (ko)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CN204251278U (zh) 一种起升装置及侧面式叉车
CN203033363U (zh) 可变位多功能转运小车
CN109384050B (zh) 一种铝型材生产的叠空框输送机构
JP2006001661A (ja) 重量物移動装置と重量物移動台車および立体駐車場
CN202671139U (zh) 一种液压搬运车
CN207276149U (zh) 一种连铸辊上下料对中装置
CN114057137B (zh) 一种利用货架承重的叉车头及三向叉车
CN102101571A (zh) 应用于卷状物件的搬运装置
CN113618684A (zh) 一种模块化工作站
CN110861872B (zh) 一种双工位卷材转运装置及方法
CN204281184U (zh) 双门架升降装置
CN204097010U (zh) 手动上料小车
JP3912785B2 (ja) 立体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CN210552084U (zh) 一种换模车
CN216512701U (zh) 一种磁瓦码盘转运用小车
JP6291249B2 (ja) 搬送台車
CN218025251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物流搬运设备
CN104649176A (zh) 一种吊钩搬运车
CN216888674U (zh) 气动举升辊床
KR20130007045U (ko) 선박 지지용 핀지그 이송 캐리어
CN207330259U (zh) 一种半电动车架
CN213141279U (zh) 物流升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