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617A - 금형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617A
KR20200140617A KR1020190067487A KR20190067487A KR20200140617A KR 20200140617 A KR20200140617 A KR 20200140617A KR 1020190067487 A KR1020190067487 A KR 1020190067487A KR 20190067487 A KR20190067487 A KR 20190067487A KR 20200140617 A KR20200140617 A KR 2020014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old
guid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492B9 (ko
KR102223492B1 (ko
Inventor
이용진
박진하
박성락
노중석
김정길
이하승
이정환
Original Assignee
한주금속(주)
재단법인 한국첨단제조기술연구원
중경산업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주금속(주), 재단법인 한국첨단제조기술연구원, 중경산업기계(주) filed Critical 한주금속(주)
Priority to KR102019006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92B1/ko
Publication of KR1022234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9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기 금형이 상기 링크부재의 수축에 의해 취출될 경우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한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금형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교환 장치{MOLD CHAN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식 운송부재를 통해 효율적인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 링크 방식의 링크부재를 통해 길이가 가변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금형을 결합 및 교환함으로써, 금형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형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조(casting)는 주로 철, 알루미늄 합금, 구리, 황동 등의 금속 재료를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탕으로 만들어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용탕의 주입 방식, 주입 형태 등에 따라 압력 주조, 중력 주조, 원심 주조, 다이캐스팅, 반응고 주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은 성형품의 형상 혹은 치수가 변경되거나, 혹은 파손되어 수리가 요구되는 경우 금형을 분리하여 교환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금형은 점점 대형화되거나, 혹은 무거운 재질(예를 들면, 금속, 세라믹 등)로 제작되어 작업자의 힘으로는 이를 교환하기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수단(예를 들면, 기중기, 크레인, 롤러 컨베이어 등)을 사용하여 교환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 기중기의 경우 체인에 금형을 걸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교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대형 기중기의 경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고 경제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을 통해 교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금형의 중량 때문에 중심을 잡기 어려워 정밀하게 위치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중 중에 주변 설비와의 간섭에 의해 금형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롤러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설비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과정이 복잡하여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476221호(2005.03.03.등록)
본 발명은 입식 운송부재를 통해 효율적인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 링크 방식의 링크부재를 통해 길이가 가변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금형을 결합 및 교환함으로써, 금형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형 교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부재를 신장시켜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을 연결부재와 연결 고정시키고, 연결부재에 결합된 금형을 링크부재의 수축시켜 취출하면서 금형의 하부를 받침부재를 통해 지지하는 방식으로 금형을 교환한 후에, 운송부재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물인 금형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의 교환 및 이송 중에 발생하는 안전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형 교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기 금형이 상기 링크부재의 수축에 의해 취출될 경우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한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부재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송부재는, 좌식 형태 또는 입식 형태로 구비되어 원하는 위치로 운행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가 지지 결합되는 지지파레트와, 상기 지지파레트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지파레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면 양하단부에 전방으로 연장 구비되는 일측받침프레임 및 타측받침프레임과, 상기 일측받침프레임 및 타측받침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부 링크부재와 하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연결로드를 통해 상기 상부 링크부재 및 하부 링크부재가 지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링크부재 및 하부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축 또는 신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에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크의 수축 또는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의 각 링크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크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고정링크 및 가이드링크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상기 일측가이드롤러 및 타측가이드롤러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링크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구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후방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링크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구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내부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금형에 결합된 연결지그에 삽입 결합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식 운송부재를 통해 효율적인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 링크 방식의 링크부재를 통해 길이가 가변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금형을 결합 및 교환함으로써, 금형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형 교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부재를 신장시켜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을 연결부재와 연결 정시키고, 연결부재에 결합된 금형을 링크부재의 수축시켜 취출하면서 금형의 하부를 받침부재를 통해 지지하는 방식으로 금형을 교환한 후에, 운송부재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물인 금형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의 교환 및 이송 중에 발생하는 안전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교환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읠 실시예에 따른 금형 교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교환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읠 실시예에 따른 금형 교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교환 장치는 운송부재(110), 받침부재(120), 링크부재(130), 연결부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부재(110)는 링크부재(130) 및 받침부재(12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금형의 교환(10)을 위한 운송을 담당하는 것으로, 운송수단(111), 지지파레트(112), 승강수단(도시 생략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송수단(111)은 좌식 형태 또는 입식 형태로 구비되어 원하는 위치로 운행하는데 이용되며, 통상의 지게차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구동 방식으로 엔진 구동 방식, 전기 구동 방식,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즉, 엔진 구동 및 전기 구동의 동시 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파레트(112)는 링크부재(130) 및 받침부재(120)가 지지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운송수단(111)의 진행 방향(즉,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파레트(112)에는 링크부재(130) 및 받침부재(1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수단(도시 생략됨, 예를 들어 구동모터, 기어 등을 포함함)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송부재(110)에 포함되는 운송수단(111), 지지파레트(112) 및 승강수단의 경우 종래에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받침부재(120)는 연결부재(140)에 결합된 금형(10)이 링크부재(130)의 수축에 의해 취출될 경우 금형(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21), 일측받침프레임(122), 타측받침프레임(123), 일측가이드롤러(124), 타측가이드롤러(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플레이트(121)는 지지파레트(112)에 결합되는데, 복수의 고정구(121a)를 통해 지지파레트(112)의 전방면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구(121a)는 지지플레이트(121)의 후방면에 4개가 사각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구(121a)는 상하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고정홈(121b)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은 지지플레이트(121)의 전방면 양하단부에 전방으로 연장 구비되는데, 금형(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은 지지플레이트(121)의 전방면 일측하단부와 전방면 타측하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에는 일측가이드롤러(124) 및 타측가이드롤러(125)가 각각 구비되어 금형(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일측가이드롤러(124) 및 타측가이드롤러(125)는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의 각 전단부에서 금형(10)을 이동시키는 위치까지 복수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플레이트(121)의 후방면에 구비된 4개의 고정구(121a)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21b)이 운송부재(110)의 지지파레트(112)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홈(121b)은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구(121a)에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구(121a)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지지파레트(1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21)의 전방면에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전방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이 결합 고정될 수 있고, 일측받침프레임(122)과 타측받침프레임(123)에는 일측가이드롤러(124)과 타측가이드롤러(125)가 각각 복수개 구비됨으로써, 링크부재(130)의 수축을 통해 금형(10)이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받침부재(120)에 금형(1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물론, 링크부재(130)의 신장을 통해 금형(10)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받침부재(120)에 금형(1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링크부재(130)는 연결부재(140)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금형(10)의 교환을 위해 연결부재(14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것으로, 상부 링크부재(130a), 하부 링크부재(130b)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링크부재(130a) 및 하부 링크부재(130b)는 각각 고정링크(131), 가이드링크(132), 유압실린더(133), 이동플레이트(134), 후방 가이드구(135), 전방 가이드구(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링크부재(130a) 및 하부 링크부재(130b)는 복수의 연결로드(130c)를 통해 지지 결합되는데, 후방 가이드구(135)와 전방 가이드구(136)에 결합되는 가이드링크(122)의 각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로드(130c), 고정링크(121)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로드(13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링크(131)는 지지플레이트(121)에서 수축 또는 신장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링크(132)는 고정링크(131)에 교차도록 각 링크 부분이 결합되어 고정링크(131)의 수축 또는 신장을 가이드하며, 유압실린더(133)는 고정링크(131)의 각 링크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링크(131)를 수축 또는 신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134)는 고정링크(131) 및 가이드링크(132)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일측가이드롤러(124) 및 타측가이드롤러(125)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하고, 후방 가이드구(135)는 지지플레이트(121)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링크(132)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며, 전방 가이드구(136)는 이동플레이트(134)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링크(132)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링크(131)는 지지플레이트(121)의 전방면 일측상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플레이트(134)의 후방면 일측상부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링크(131)는 제 1 후방링크와 제 1 전방링크가 하나의 관절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길이가 수축되거나 혹은 신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링크(131)의 길이가 수축되거나 혹은 신장될 수 있도록 제 1 후방링크와 제 1 전방링크에 유압실린더(133)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금형(10)의 전방 이동 또는 후방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크(132)는 지지플레이트(121)의 전방면 타측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후방 가이드구(135)에 일단부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플레이트(124)의 후방면 타측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전방 가이드구(136)에 타단부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링크(132)는 제 2 후방링크와 제 2 전방링크가 하나의 관절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링크(132)의 제 2 후방링크는 고정링크(131)의 제 1 후방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가이드링크(132)의 제 2 전방링크는 고정링크(131)의 제 1 전방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고정링크(131)의 수축에 따라 가이드링크(132)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타측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링크(131)의 수축에 따라 가이드링크(132)도 함께 수축될 수 있다.
물론, 고정링크(131)의 신장에 따라 가이드링크(132)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일측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링크(131)의 신장에 따라 가이드링크(132)도 함께 신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링크(131)과 가이드링크(132)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만 설명하여지만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은 복수의 연결로드(130c)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인 이동력(즉, 수축력 및 신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후방 가이드구(135)와 전방 가이드구(136)에는 가이드홈(도시 생략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홈에 가이드링크(132)의 돌출된 일단부 및 돌출된 타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10)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41), 연결구(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41)는 이동플레이트(134)의 전방면에 결합되고, 연결구(142)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41)의 전방 내부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금형(10)에 결합된 연결지그(20)에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금형(10)의 후방에는 연결부재(140)와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지그(2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지그(20)의 상부에는 금형(10)의 후방에 체결수단(예를 들면, 볼트, 나사 등)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20a)이 전후방으로 형성되고, 연결지그(20)의 하부에는 연결부재(140)의 연결구(142)가 돌출되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공(2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41)는 이동플레이트(134)의 후방에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3개의 수직플레이트(141a)와 이동플레이트(134)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3개의 수직플레이트(141a)의 전방선단을 연결하는 평행플레이트(14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수직플레이트(141a)의 내부에는 중앙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구(142)가 2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구(142)는 원형실린더(142a)에 'ㄷ'자 형태의 걸림구(142b)가 형성되고, 원형실린더(142a)의 내부에 연결로드(142c)가 결합되며, 연결로드(142c)의 외주면에 걸림구(142b)의 꺽인 내측단부에 걸거나 혹은 꺽인 외측단부에 걸어 걸어 삽입된 상태 또는 돌출된 상태로 연결로드(142c)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14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142)를 통해 링크부재(130)를 신장시켜 평행플레이트(141b)를 금형(10)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금형(10)에 장착된 연결지그(20)의 연결공(20b)에 연결로드(142c)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142d)를 걸림구(142b)의 외측단부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금형(10)을 연결부재(140)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후에, 링크부재(130)의 수축을 통해 금형(10)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식 운송부재를 통해 효율적인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차 링크 방식의 링크부재를 통해 길이가 가변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금형을 결합 및 교환함으로써, 금형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형 교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부재를 신장시켜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을 연결부재와 연결 고정시키고, 연결부재에 결합된 금형을 링크부재의 수축시켜 취출하면서 금형의 하부를 받침부재를 통해 지지하는 방식으로 금형을 교환한 후에, 운송부재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물인 금형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의 교환 및 이송 중에 발생하는 안전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금형 20 : 연결지그
110 : 운송부재 111 : 운송수단
112 : 지지파레트 120 : 받침부재
121 : 지지플레이트 122 : 일측받침프레임
123 : 타측받침프레임 124 : 일측가이드롤러
125 : 타측가이드롤러 130 : 링크부재
130a : 상부 링크부재 130b : 하부 링크부재
130c : 복수의 연결로드 131 : 고정링크
132 : 가이드링크 133 : 유압실린더
134 : 이동플레이트 135 : 전방 가이드구
136 : 후방 가이드구 140 : 연결부재
141 : 복수의 연결플레이트 142 : 연결구

Claims (5)

  1. 교체하고자 하는 금형과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기 금형이 상기 링크부재의 수축에 의해 취출될 경우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금형의 교환을 위한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부재
    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부재는,
    좌식 형태 또는 입식 형태로 구비되어 원하는 위치로 운행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가 지지 결합되는 지지파레트와,
    상기 지지파레트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재 및 받침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지파레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면 양하단부에 전방으로 연장 구비되는 일측받침프레임 및 타측받침프레임과,
    상기 일측받침프레임 및 타측받침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부 링크부재와 하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연결로드를 통해 상기 상부 링크부재 및 하부 링크부재가 지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링크부재 및 하부 링크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축 또는 신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에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크의 수축 또는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링크와,
    상기 고정링크의 각 링크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크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고정링크 및 가이드링크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상기 일측가이드롤러 및 타측가이드롤러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링크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구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후방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링크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구
    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의 전방 내부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금형에 결합된 연결지그에 삽입 결합시키는 연결구
    를 포함하는 금형 교환 장치.
KR1020190067487A 2019-06-07 2019-06-07 금형 교환 장치 KR10222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87A KR102223492B1 (ko) 2019-06-07 2019-06-07 금형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87A KR102223492B1 (ko) 2019-06-07 2019-06-07 금형 교환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17A true KR20200140617A (ko) 2020-12-16
KR102223492B1 KR102223492B1 (ko) 2021-03-04
KR102223492B9 KR102223492B9 (ko) 2021-07-26

Family

ID=7404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87A KR102223492B1 (ko) 2019-06-07 2019-06-07 금형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881A (ko) * 1998-04-04 1998-10-26 양대근 지게차용 포크장치
KR100476221B1 (ko) 2002-11-20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금형의 교환 장치
US20130195592A1 (en) * 2010-04-08 2013-08-01 Gebr. Meijer St. Jabik B.V. Push-Pull Device, Fork-Lift Truck and Method for Displacing Goods
KR20160109602A (ko) * 2015-03-12 2016-09-21 조현준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KR101798383B1 (ko) * 2016-05-30 2017-11-16 한국타이어(주) 중량 가류몰드 교체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881A (ko) * 1998-04-04 1998-10-26 양대근 지게차용 포크장치
KR100476221B1 (ko) 2002-11-20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금형의 교환 장치
US20130195592A1 (en) * 2010-04-08 2013-08-01 Gebr. Meijer St. Jabik B.V. Push-Pull Device, Fork-Lift Truck and Method for Displacing Goods
KR20160109602A (ko) * 2015-03-12 2016-09-21 조현준 금형 교환 및 이송용 스태커
KR101798383B1 (ko) * 2016-05-30 2017-11-16 한국타이어(주) 중량 가류몰드 교체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492B9 (ko) 2021-07-26
KR102223492B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538B1 (ko) 수직형 원심 주조장치
CN210392017U (zh) 一种工业电气设备用运输箱体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102223492B1 (ko) 금형 교환 장치
CN110745691B (zh) 一种立式轧机万向轴检修工装及检修方法
CN114102813A (zh) 一种电杆生产模具
CN220263587U (zh) 模块化帐篷包装箱
CN110077842B (zh) 一种鹰爪式卸货机
CN215439308U (zh) 一种汽车部件设备吊装架
CN210732952U (zh) 一种立式橡胶机的换模机构
CN211310557U (zh) 一种用于紧密空间的起重吊架
CN212634063U (zh) 一种便于模具拆装的液压折弯机
CN111037168B (zh) 一种横梁电动换模车
CN113042707A (zh) 一种镁合金棒材自动化成型装置
CN208883343U (zh) 一种轻质墙板吊板机
CN105215337B (zh) 悬链套箱压铁和环形运模车的同步机构
CN213135523U (zh) 一种新型电缆接头焊接模具
CN220463825U (zh) 一种便于上料的模具加工工作台
KR101798383B1 (ko) 중량 가류몰드 교체설비
CN219703427U (zh) 一种方便出模的组合式锭模装置
CN219233809U (zh) 一种钢棒墩头组件
CN220245379U (zh) 一种车间模具转运小车
CN215037358U (zh) 一种硬质合金成型模具的存放装置
CN219316365U (zh) 塔底水冷系统散热器装卸工装
FI20185248A1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perustuksen siirtä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