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449A - 지게차용 포크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포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449A
KR20130104449A KR1020120025949A KR20120025949A KR20130104449A KR 20130104449 A KR20130104449 A KR 20130104449A KR 1020120025949 A KR1020120025949 A KR 1020120025949A KR 20120025949 A KR20120025949 A KR 20120025949A KR 20130104449 A KR20130104449 A KR 2013010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picking
product
fork member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선
Original Assignee
양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선 filed Critical 양진선
Priority to KR102012002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449A/ko
Publication of KR2013010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5Multiple forks, i.e. more than one pair mounted on a single mast or with more than one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 B66F9/19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for push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에 2개의 파레트(pallet)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운전석에서 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게차(1)의 전방부에 설치된 리프트(2); 리프트(2)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품(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 회전부재(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품(3)을 클램핑하는 다수개의 멀티포크(210)를 구비하는 멀티포크부재(20); 멀티포크부재(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품(3)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사이드포크(310)를 구비하는 사이드포크부재(30); 멀티포크부재(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클램핑하도록 포크홀더(4a)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410)를 구비하는 피킹포크부재(40); 멀티포크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품(3)을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510)를 구비하는 푸시부재(50); 회전부재(10),멀티포크부재(20),사이드포크부재(30),피킹포크부재(40) 및 푸시부재(5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재(60); 피킹포크부재(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전방을 관찰하는 카메라(70); 지게차(1)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70)에서 감지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게차용 포크장치{A fork device for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forklif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번에 2개의 파레트(pallet)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운전석에서 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한번에 1개의 파레트를 적재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운전석에서 하역작업 시 제품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에는 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지게차 운반중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제품이 낙하,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파레트에 제품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출하하였기 때문에 하역 후 파레트를 회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지게차 포크는 상술한 여러 가지 제반적인 결점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인건비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파레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한번에 2개의 파레트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운전석에서 하역작업 시 제품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에도 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하역작업 시 파레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파레트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운반중 제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제품의 낙하,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포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게차의 리프트(lift)에 제품을 회전시켜주는 회전(rotator)부재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에 제품을 클램핑(claping)하는 멀티포크(multi fork)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멀티포크부재의 양측에 제품을 지지하는 사이드포크(side fork)부재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 멀티포크부재에 2개의 파레트를 동시에 클램핑하도록 포크홀더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가 구비된 피킹포크(picking fork)부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멀티포크부재의 전방에 제품을 로딩시키는 푸시(push)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멀티포크부재,사이드포크부재,피킹포크부재 및 푸시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피킹포크부재의 양측에 전방을 관찰하는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지게차의 운전석 전방에 카메라에서 감지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게차용 포크장치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4개의 피킹포크를 이용하여 한번에 2개의 파레트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석에서 하역작업 시 제품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에도 카메라와 모니터를 통해 전방 사각지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하역작업 시 파레트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파레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운반중 제품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낙하,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측면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크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포크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킹포크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부재의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게차용 포크장치는 도 1 내지 도 11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게차(1)의 전방부에 설치된 리프트(2); 상기 리프트(2)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품(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품(3)을 클램핑하는 다수개의 멀티포크(210)를 구비하는 멀티포크부재(2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제품(3)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사이드포크(310)를 구비하는 사이드포크부재(3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클램핑하도록 포크홀더(4a)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410)를 구비하는 피킹포크부재(4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품(3)을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510)를 구비하는 푸시부재(50); 상기 회전부재(10),멀티포크부재(20),사이드포크부재(30),피킹포크부재(40) 및 푸시부재(5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재(60); 상기 피킹포크부재(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방을 관찰하는 카메라(70); 상기 지게차(1)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70)에서 감지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게차(1)의 전방부에 설치된 리프트(2)는 본 발명의 포크장치 전체를 승강시킨다.
상기 회전부재(10)는 리프트(2)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파레트(4)에 적재된 제품(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부재(1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웜,웜기어하우징(101)(102)이 구비되어 상,하부후크(103)(104)를 통해 리프트(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프팅플레이트(100)와, 웜,웜기어하우징(101)(102)에 치합된 상태로 각각 내장되는 웜(110) 및 웜기어(120)와, 웜기어(120)를 멀티포크부재(20)에 결합시켜주는 메인베어링(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프팅플레이트(100)와 리프트(2)에는 후술하는 시프트실린더(600)의 양단이 브래킷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웜(110)에는 후술하는 유압모터(61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실린더(600)의 유압작동에 의해 시프팅플레이트(100)가 리프트(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부후크(103)(104)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유압모터(610)의 구동력으로 웜(110)을 구동시키면 웜(110)에 치합된 웜기어(12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웜기어(120)는 후술하는 멀티포크부재(20)의 베이스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멀티포크부재(20)는 회전부재(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파레트(4)에 적재된 제품(3)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이러한 멀티포크부재(20)는 도 7에서와 같이 회전부재(2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멀티포크(210)로 구성된다. 이러한 멀티포크부재(20)는 운반 시 제품(3)의 클램핑 및 스태빌라이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멀티포크부재(20)는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포크부재(30)는 멀티포크부재(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파레트(4)에 적재된 제품(3)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이드포크부재(30)는 도 8에서와 같이 수직플레이트(300)와, 수직플레이트(300)의 전방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사이드포크(310)와, 수직플레이트(300)의 후방 상,하부에 부착되어 측면으로 돌출되는 이동레일(320)과, 멀티포크부재(2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이동레일(320)을 안내하는 고정레일(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에는 후술하는 서포트실린더(620)의 양단이 연결되므로, 서포트실린더(620)의 유압작동에 의해 이동레일(320)이 고정레일(33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포크부재(30)는 운반 시 제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피킹포크부재(40)와 순차작동하여 진입 및 푸싱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피킹포크부재(40)는 멀티포크부재(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클램핑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킹포크부재(40)는 도 9에서와 같이 수평플레이트(400)와, 수평플레이트(400)의 전방에 부착되어 2개의 파레트(4)의 포크홀더(4a)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410)와, 수평플레이트(400)의 후방에 부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이동레일(420)과, 멀티포크부재(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이동레일(420)을 안내하는 고정레일(4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플레이트(400)와 멀티포크부재(20)에는 후술하는 클램프실린더(630)의 양단이 연결되므로, 클램프실린더(630)의 유압작동에 의해 이동레일(420)이 고정레일(43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피킹포크부재(40)에 포크홀더(4a)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410)가 구비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제품(3)이 각각 적재된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50)는 멀티포크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2개의 파레프(4)에 적재된 제품(3)을 동시에 로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푸시부재(50)는 도 10에서와 같이 멀티포크부재(20)의 전방에 결합되는 브래킷(500)과, 상기 브래킷(5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품(3)을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510)와, 링크결합되어 그 양단이 브래킷(500)과 푸시플레이트(510)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푸시암(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0)의 전방과 푸시플레이트(510)의 후방 양측에는 힌지브래킷(530) 및 가이더(540)가 대응하는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힌지브래킷(530)에는 일측 푸시암(520)의 선,후단이 힌지 결합되고 가이더(540)에는 타측 푸시암(520)의 선,후단이 롤러를 통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재(20)는 2개의 파레트(4)에 적재된 제품(3)을 동시에 로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플레이트(510)에는 시야 확보를 위한 다수개의 장공(511)들이 천공되고, 이때 브래킷(500)과 푸시암(520)의 전방부에는 후술하는 푸시실린더(640)의 양단이 연결되므로 푸시실린더(640)의 유압작동에 의해 푸시플레이트(510)가 전방으로 푸싱된다.
상기 컨트롤부재(60)는 회전부재(10),멀티포크부재(20),사이드포크부재(30),피킹포크부재(40) 및 푸시부재(5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부재(60)는 회전부재(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시프트실린더(600)와,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610)와, 사이드포크부재(3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서포트실린더(620)와, 피킹포크부재(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실린더(630)와, 푸시부재(5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시실린더(640)와, 상기 실린더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6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650)에는 시프트실린더(600),유압모터(610),클램프실린더(630) 및 푸시실린더(640)를 각각 제어하는 조이스틱스위치가 설치되며, 또한 컨트롤박스(650)에는 램프와 퓨즈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70)는 피킹포크부재(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방을 관찰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메라(70)는 피킹포크부재(40)에 구비된 수평플레이트(4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역작업 시 제품(3)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리는 사각지대를 촬영하여 모니터(80)로 감지된 화상신호를 보낸다.
상기 모니터(80)는 지게차(1)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니터(80)는 카메라(70)에서 감지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하역작업 시 제품(3)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 모니터(80)를 통해 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상기 모니터(80)와 카메라(70)는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1)의 운전석에서 하역작업 시 제품(3)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에도 카메라(70)와 모니터(80)를 통해 전방 사각지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11a에서와 같이 4개의 피킹포크(410)를 2개의 파레트(4)의 포크홀더(4a)내로 동시에 진입시킨다. 이때, 피킹포크(410)의 좌,우 진입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시프트실린더(600)를 이용하여 시프트플레이트(100)를 좌,우로 이송시켜 피킹포크(410)의 정확한 위치를 맞춘다.
둘째, 도 11b에서와 같이 클램프실린더(630)를 이용하여 피킹포크(410)를 상승시켜 2개의 파레트(4)에 각각 적재된 제품(3)을 피킹포크(410)와 멀티포크(210) 사이에 클램프시킨다. 이때, 양측 사이드포크(310)는 서포트실린더(620)에 의해 도 11c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제품(3)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서포팅되고, 이에 의해 2개의 파레트(4)에 각각 적재된 제품(3)은 틈새가 없도록 서로 밀착된다.
셋째, 도 11d에서와 같이 2개의 파레트(4)에 각각 적재된 제품(3)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회전부재(10)의 웜(110)을 구동시켜 웜기어(120)를 통해 멀티포크부재(20)를 180°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멀티포크부재(20)의 180°회전 후 제품(3)은 도 11e에서와 같이 멀티포크(210) 위에 있게 되며, 2개의 파레트(4)는 제품(3)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사이드포크(310)는 회전 시 제품(3)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트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도 11e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카메라(70)를 통해 전달되는 전방의 사각지대를 모니터(80)로 관찰하면서 지게차(1)를 로딩 장소로 안전하게 이동시킨다. 이때, 기기조작이 익숙하면 이동 중에 클램핑 및 로테이팅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므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섯째, 도 11f에서와 같이 제품(3)을 로딩할 위치에 위치시킨 후 클램핑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2개의 파레트(4)는 제품(3)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여섯째, 도 11g에서와 같이 푸시실린더(640)를 이용하여 푸시부재(50)의 푸시플레이트(510)를 푸시시켜, 즉 제품(3)을 밀어내어 제품(3)을 원하는 위치에 로딩시키면서 지게차(1)는 후진하여 빠져나온다. 이때, 2개의 파레트(4)는 4개의 피킹포크(410)에 포킹된 상태로 회수한다. 여기서, 실제 제품(3)은 정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지게차(1)만 후진하면서 푸시기능을 동시에 작동시켜 충격이나 마찰에 의한 제품(3)의 파손을 방지하며, 파레트(4)가 작업에 불편할 만큼 규격보다 크거나 공간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동과정에서 파레트(4)를 미리 회수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포크장치는 구조적으로 4개의 피킹포크(410)를 이용하여 한번에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적재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크장치는 지게차(1)의 운전석에서 하역작업 시 제품(3)에 의해 시야가 가릴 경우에도 카메라(70)와 모니터(80)를 통해 전방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포크장치는 진입 시 피킹포크(41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하역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하역작업 시 파레트(4)를 회수할 수 있어 파레트(4)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운반 중 사이드포크(310)와 멀티포크(210) 및 피킹포크(410)에 제품(3)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제품(3)이 낙하,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하역작업에 적용되는 제품은 PP, PE, ABS등 기초유분, 비료, 시멘트, 제분, 제당, 사료, 곡물류 등 백(bag)으로 포장된 제품이나 타일, 섬유, 단열재 등 박스로 포장된 제품 또는 타이어, 튜브 등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 제품이 바람직하다.
1 : 지게차 2 : 리프트
3 : 제품 4 : 파레트
4a : 포크홀더 10 : 회전부재
20 : 멀티포크부재 30 : 사이드포크부재
40 : 피킹포크부재 50 : 푸시부재
60 : 컨트롤부재 70 : 카메라
80 : 모니터 210 : 멀티포크
310 : 사이드포크 410 : 피킹포크
510 : 푸시플레이트

Claims (1)

  1. 지게차(1)의 전방부에 설치된 리프트(2); 상기 리프트(2)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품(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품(3)을 클램핑하는 다수개의 멀티포크(210)를 구비하는 멀티포크부재(2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제품(3)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사이드포크(310)를 구비하는 사이드포크부재(3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2개의 파레트(4)를 동시에 클램핑하도록 포크홀더(4a)내로 진입하는 4개의 피킹포크(410)를 구비하는 피킹포크부재(40); 상기 멀티포크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품(3)을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510)를 구비하는 푸시부재(50); 상기 회전부재(10),멀티포크부재(20),사이드포크부재(30),피킹포크부재(40) 및 푸시부재(5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재(60); 상기 피킹포크부재(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방을 관찰하는 카메라(70); 상기 지게차(1)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70)에서 감지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를 포함하는 지게차용 포크장치.
KR1020120025949A 2012-03-14 2012-03-14 지게차용 포크장치 KR20130104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49A KR20130104449A (ko) 2012-03-14 2012-03-14 지게차용 포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49A KR20130104449A (ko) 2012-03-14 2012-03-14 지게차용 포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449A true KR20130104449A (ko) 2013-09-25

Family

ID=4945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949A KR20130104449A (ko) 2012-03-14 2012-03-14 지게차용 포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44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78B1 (ko) * 2015-01-09 2016-06-24 권희택 탱크로리
KR20170143123A (ko) *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CN108313935A (zh) * 2018-03-29 2018-07-24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堆垛酒曲托盘搬运的agv
CN109225926A (zh) * 2018-09-12 2019-01-1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物料筛检及分拣装置
CN110697633A (zh) * 2019-09-26 2020-01-17 广西贺州市华鸿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酸钙生产用叉车的辅助推料机构及配套托盘
CN112299313A (zh) * 2020-09-23 2021-02-02 北京特种机械研究所 筒段上装模块及筒段移载机器人
KR102247731B1 (ko) * 2019-10-24 2021-05-04 울산광역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CN114516549A (zh) * 2022-02-24 2022-05-20 哈工大机器人(合肥)国际创新研究院 具有平移机构的物料装车系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78B1 (ko) * 2015-01-09 2016-06-24 권희택 탱크로리
KR20170143123A (ko) *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CN108313935A (zh) * 2018-03-29 2018-07-24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堆垛酒曲托盘搬运的agv
CN109225926A (zh) * 2018-09-12 2019-01-1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物料筛检及分拣装置
CN109225926B (zh) * 2018-09-12 2020-05-2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物料筛检及分拣装置
CN110697633A (zh) * 2019-09-26 2020-01-17 广西贺州市华鸿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酸钙生产用叉车的辅助推料机构及配套托盘
KR102247731B1 (ko) * 2019-10-24 2021-05-04 울산광역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금형 교환장치
CN112299313A (zh) * 2020-09-23 2021-02-02 北京特种机械研究所 筒段上装模块及筒段移载机器人
CN112299313B (zh) * 2020-09-23 2022-08-23 北京特种机械研究所 筒段上装模块及筒段移载机器人
CN114516549A (zh) * 2022-02-24 2022-05-20 哈工大机器人(合肥)国际创新研究院 具有平移机构的物料装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4449A (ko) 지게차용 포크장치
ES266078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nsportar estanterías de carga por medio de un vehículo de transporte sobre una superficie de suelo desigual
TWI418505B (zh) Items storage equipment
US7575407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US5366431A (en) Automated press brake die transfer system
CA2882355C (en) Vehicle restrain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JP4541953B2 (ja) トンネル用の天井板の脱着作業車
US11014793B2 (en) Side loading attachment for forklift trucks
EP2618974B1 (en) Support and handling apparatus of slab and method for feeding slabs to a machine for machining the same
JP5765577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9980071881A (ko) 지게차용 포크장치
US6543986B2 (en) Apparatus with upper displacement member for handling articles
CN209853662U (zh) 叉车
CN110028021B (zh) 叉车
JP5376248B2 (ja) 荷受台
KR102526988B1 (ko)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KR20120057852A (ko) 부품박스 적재대
KR101803226B1 (ko)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JP2007062891A (ja) パレット積み降ろし装置
KR200483972Y1 (ko)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EP3066037A1 (en) Dynamic sensor system and method
JP3835594B2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140059715A (ko)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US11139627B2 (en) Cable processing apparatus
JP3153216U (ja) 規制標識積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