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226B1 -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226B1
KR101803226B1 KR1020170022450A KR20170022450A KR101803226B1 KR 101803226 B1 KR101803226 B1 KR 101803226B1 KR 1020170022450 A KR1020170022450 A KR 1020170022450A KR 20170022450 A KR20170022450 A KR 20170022450A KR 101803226 B1 KR101803226 B1 KR 10180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unit
height
load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822A (ko
Inventor
유재경
Original Assignee
유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경 filed Critical 유재경
Priority to KR102017002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2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의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력 또는 이동 차량에 의하여 적재물이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이동에 적합한 높이로 적재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는 운반물(L)이 배치되는 적재 유닛(114) 및 체결 유닛(111)을 가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11); 체결 유닛(111)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 작동 부재(121)를 작동시키는 구동 유닛(14); 작동 부재(121)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고, 리프트(11)에 고정된 이동 작동 유닛(121a); 및 체결 유닛(111)에 고정되어 리프트(11)가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A Lift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t of a Load}
본 발명은 적재물의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력 또는 이동 차량에 의하여 적재물이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이동에 적합한 높이로 적재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 중량 이상의 화물 또는 적재물의 경우 지게차와 같은 화물 운반 차량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물 또는 적재물의 운반을 위하여 적재물이 일정 높이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지게차의 경우 리프트 장치에 작동에 의한 포크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적재물의 높이에 관계없이 운반 또는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리프트 장치를 가지지 않거나 또는 수동으로 운반되는 화물 또는 적재물의 경우 운반을 위하여 직접 들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추가로 리프트 장치 수단을 가지는 운반 수단의 경우라고 할지라도 적재물의 높이가 미리 맞추어지면 운반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작업 환경에 따라 리프트 장치가 사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4-0086042는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 부분;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끝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감착되는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선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풀리는 상기 선반부의 모서리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각각 감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선반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풀리에 각각 감착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의 끝 부분에 일체로 체결되고, 상기 선반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 부분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요홈이 형성된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화물차용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042977은 자동차의 화물실용 높이 조절 가능한 화물칸을 구비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높이 조절 장치에 자동차와 같은 장치에 관련되어 작동되면서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고 높이 조절이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사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14-0086042(주식회사 유일에프에이, 2014년07월08일 공개)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10-2012-0042977(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2012년05월03일 공개) 차량의 화물실용 높이 조절 가능한 화물칸을 구비한 장치 및 차량의 높이 조절 가능한 화물칸용 홀딩 유닛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으면서 임의의 높이로 화물 또는 적재물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는 운반물이 배치되는 적재 유닛 및 체결 유닛을 가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 체결 유닛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 부재 및 유도 부재;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 유닛;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고, 리프트에 고정된 이동 작동 유닛; 및 체결 유닛에 고정되어 리프트가 작동 부재 및 유도 부재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브래킷 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동 유닛은 모터, 모터에 연결된 구동 기어 및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작동 부재에 결합된 작동 기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프트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 사용되어 화물 또는 적재물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미리 정해진 높이로 화물 또는 적재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 운반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이동성을 가지면서 적재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인력에 의한 화물 운반 또는 운반 장치에 의한 운반 수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되는 리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된 구동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는 운반물(L)이 배치되는 적재 유닛(114) 및 체결 유닛(111)을 가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11); 체결 유닛(111)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 작동 부재(121)를 작동시키는 구동 유닛(14); 작동 부재(121)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고, 리프트(11)에 고정된 이동 작동 유닛(121a); 및 체결 유닛(111)에 고정되어 리프트(11)가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는 다양한 형태의 운반물(L)의 높이 조절에 적용될 수 있고, 운반물(L)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운반물(L), 화물 또는 적재물이란 용어는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인력 또는 동력 장치에 의하여 운반될 수 있는 일정 수준의 중량을 가지는 물건을 말한다. 운반물(L)은 단일 물건이 되거나 다수 개의 물건이 수용된 박스 형태가 되거나 또는 포장된 형태가 될 수 있고, 물건은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운반물(L)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에 의하여 운반이 용이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리프트(11)는 운반물(L)의 적재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리프트(11)는 체결 유닛(111) 및 운반물(L)의 적재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적재 유닛(1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유닛(111)은 작동 부재(121) 또는 유도 부재(122a, 122b)에 결합이 되어 적재 유닛(114)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체결 유닛(111)에 작동 부재(121)와 결합되는 제1 브래킷 홀더(112) 및 유도 부재(122a, 122b)가 결합되는 제2 및 3 브래킷 홀더(113a, 113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2 및 3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는 평면 플레이트 형상의 체결 유닛(111)의 뒷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관통 홀에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가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11)는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에 의하여 유도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 부재(12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4)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프트(11)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트(11)는 예를 들어 작동 부재(121)와 결합되는 볼 스크루와 같은 이동 작동 유닛(121a)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 부재(121)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이동 작동 유닛(121a)이 회전되면서 작동 부재(121)를 따라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면서 리프트(11)가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작동 부재(121) 또는 이동 작동 유닛(121a)은 서로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랙 기어, 피니언 기어 또는 웜 기어 구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는 볼트와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B1, B2, B3)에 의하여 하부 베이스 부재(151) 및 상부 베이스 부재(15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하부 베이스 부재(151) 및 상부 베이스 부재(152)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부재(161, 16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하부 베이스 부재(151)은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10)의 전체 프레임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재 유닛(114)의 아래쪽에 받침 플레이트(117)가 배치될 수 있고, 리프트(10)에 캐스터와 같은 이동 수단(115)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 부재(151)에 스토퍼(154)를 가진 캐스터(15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수단(115) 및 캐스터(153)에 의하여 리프트 장치(10)는 이동 가능하면서 정해진 장소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동을 위하여 리프트(11) 또는 프레임 부재(161, 162)에 손잡이(H)가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11)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LS1, LS2)가 하나의 프레임 부재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리프트(11)가 제한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적재 유닛(114)의 위쪽 면에 수용 유닛(18)이 설치되어 운반물(L)이 적재 유닛(114)의 위쪽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적재 유닛(114)의 양쪽 측면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64)가 설치되어 운반물(L)의 적재가 적재 유닛(114)에 대한 적재가 유도되도록 한다. 운반물(L)이 적재 과정 또는 이동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적재 유닛(114)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이 리프트(11)에 추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부가 유닛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프레임 부재(161, 162)는 하부 베이스 부재(151) 및 상부 베이스 부재(15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상부 베이스 부재(152)에 위에서 설명된 유도 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 홀(22a, 22b)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61, 162)는 판형 블록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 부재(161, 162)의 안쪽에 가이드 플레이트(164, 16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서 프레임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되는 리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는 운반물의 적재를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적재 유닛(114) 및 적재 유닛(1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체결 유닛(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 유닛(111)의 뒷면에 작동 부재 및 유도 부재가 결합되는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가 배치될 수 있다. 작동 부재 및 유도 부재는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에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 유닛(114)의 아래쪽에 한 쌍의 받침 플레이트(117)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117)은 적재 유닛(114) 및 체결 유닛(111)을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받침 플레이트(117)는 리프트의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을 위한 것이므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된 구동 유닛(14)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14)은 구동 모터(141), 구동 모터(141)를 하부 베이스 부재(151)에 고정하는 모터 서포터(142) 및 구동 모터(141)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기어(143)는 작동 부재(121)에 고정된 작동 기어(127)에 맞물리고, 작동 기어(127)는 하부 베이스 부재(151)에 고정된 기어 고정 유닛(4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리프트에 작동 부재(121)에 결합된 볼 스크루와 같은 이동 작동 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작동 기어(127)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 부재(121)가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 작동 유닛이 회전되면서 작동 부재(121)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모터(141)는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모터(141)의 회전에 따른 이동 높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적절한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고, 작동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의 상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구동 모터(141)의 작동 및 그에 따라 리프트의 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트 장치(10)는 하부 베이스 부재(151)의 아래쪽에 설치된 캐스터(153)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한 쌍의 프레임 부재(161, 162)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H)를 이용하여 리프트 장치(10)가 정해진 장소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운반물(L)은 운반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독립적으로 리프트에 적재될 수 있다. 운반물(L)은 다양한 방법으로 리프트에 적재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운반물(L)의 적재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운반물(L)이 리프트에 적재되면, 구동 유닛(14)이 작동되어 리프트를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14)의 작동에 따라 작동 부재(121)가 회전될 수 있고, 작동 부재(121)의 회전에 따라 체결 유닛(111)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리프트가 상승될 수 있다. 리프트는 체결 유닛(111)의 뒤쪽에 배치된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에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된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는 하부 베이스 부재(151) 및 상부 베이스 부재(152)에 적절한 고정 수단(B1, B2, B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리프트의 구동 유닛(14)의 작동에 따라 작동 부재121)의 임의의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의 상하 이동은 프레임 부재(161)에 설치된 리미트 센서(LS1, LS2)에 의하여 탐지되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 사용되어 화물 또는 적재물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미리 정해진 높이로 화물 또는 적재물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 운반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이동성을 가지면서 적재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인력에 의한 화물 운반 또는 운반 장치에 의한 운반 수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리프트 장치 11: 리프트
14: 구동 유닛 18: 수용 유닛
22a, 22b: 고정 홀 111: 체결 유닛
112: 제1 브래킷 홀더 113a, 113b: 제2, 3 브래킷 홀더
114: 적재 유닛 115: 이동 수단
117: 받침 플레이트 121: 작동 부재
121a: 이동 작동 유닛 122a, 122b: 유도 부재
127: 작동 기어 141: 구동 모터
142: 모터 서포터 143: 구동 기어
151: 하부 베이스 부재 152: 상부 베이스 부재
153: 캐스터 154: 스토퍼
161, 162: 프레임 부재 164, 165: 가이드 플레이트
411: 기어 고정 유닛 B: 고정 수단
H: 손잡이 L: 운반물
LS1, LS2: 리미트 센서

Claims (1)

  1. 운반물(L)이 배치되는 적재 유닛(114) 및 체결 유닛(111)을 가지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프트(11);
    상기 체결 유닛(111)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작동 부재(121) 및 유도 부재(122a, 122b);
    상기 작동 부재(121)를 작동시키는 구동 유닛(14);
    상기 작동 부재(121)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고, 리프트(11)에 고정된 이동 작동 유닛(121a);
    상기 체결 유닛(111)에 고정되어 상기 리프트(11)가 상기 작동 부재(121) 및 상기 유도 부재(122a, 122b)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브래킷 홀더(112, 113a, 113b); 및
    리프트(11)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센서(LS1, LS2)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 유닛(114)의 아래쪽에 이동수단(115)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부재(121) 및 상기 유도 부재(122a, 122b)가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 부재(151)에 스토퍼(154) 및 캐스터(153)가 설치되며,
    상기 적재 유닛(114)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유닛(111)은 상기 적재 유닛(1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재 유닛(114)의 아래쪽에 한 쌍의 받침 플레이트(117)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수단(115), 상기 캐스터(153) 및 상기 스토퍼(154)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정해진 장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1020170022450A 2017-02-20 2017-02-20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10180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0A KR101803226B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0A KR101803226B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741A Division KR20160138648A (ko) 2015-05-26 2015-05-26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22A KR20170021822A (ko) 2017-02-28
KR101803226B1 true KR101803226B1 (ko) 2017-12-28

Family

ID=5854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50A KR101803226B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45B1 (ko) * 2020-06-29 2020-12-11 (주)진영산업 제함기 포장박스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394A (ja) * 2003-01-16 2004-08-05 Sugikuni Kogyo Kk 荷扱い用のリ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2892A1 (de) 2009-07-13 2011-01-20 Volkswagen Ag Vorrichtung mit einem höhenverstellbaren Ladeboden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es sowie Halteeinrichtung für einen höhenverstellbaren Ladeboden eines Fahrzeuges
KR101422672B1 (ko) 2012-12-28 2014-07-23 주식회사 유일에프에이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394A (ja) * 2003-01-16 2004-08-05 Sugikuni Kogyo Kk 荷扱い用の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22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827B1 (ko) 경사 조절가능한 카트장치
US2678746A (en) Industrial lifting truck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US2611497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KR101803226B1 (ko)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100342254B1 (ko)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JP542103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US20160340154A1 (en) Attachment for forklift
WO2001056835A1 (en) Flat goods clamp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KR20100112855A (ko) 자동 수직 적재 장치
JP5115483B2 (ja) 移載装置
US6247887B1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KR20170013547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60138648A (ko)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US20150003946A1 (en) Platform for order picker
KR101642333B1 (ko) 클린룸용 픽업 크레인장치
KR20150002139U (ko) 컨베이어가 구비된 고소작업대
KR20120067011A (ko) 이동식 가변피치 파형 격벽용 작업대
KR102218596B1 (ko)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KR20090132882A (ko) 선체블록 맨홀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US3863971A (en) Adjustable support for a material handling fork
KR200386100Y1 (ko) 물품 운반구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