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489B1 -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489B1
KR102246489B1 KR1020177027923A KR20177027923A KR102246489B1 KR 102246489 B1 KR102246489 B1 KR 102246489B1 KR 1020177027923 A KR1020177027923 A KR 1020177027923A KR 20177027923 A KR20177027923 A KR 20177027923A KR 102246489 B1 KR102246489 B1 KR 102246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photocurable adhesive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441A (ko
Inventor
쇼 가네코
Original Assignee
교리쯔 가가꾸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0718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64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교리쯔 가가꾸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리쯔 가가꾸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존재 하에서 광 조사한 경우에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등한 접착 강도를 갖는 적층체를 부여하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며,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B)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광 반응 개시제,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및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본 발명은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적층체, 이를 사용한 광학 표시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에 사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면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 방지의 관점에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과 같은 표시체와 터치 패널을 직접 접합하거나, 보강을 위한, 표시체와 보호 패널 등의 전방면판, 또는 터치 패널과 전방면판을 접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접착 대상의 한쪽 기재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고 나서, 다른 쪽 기재를 접합하고, 접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 범용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계의 라디칼 중합 타입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에 의해 표면 경화성이 나쁘기 때문에, 표면에 충분히 경화되지 않은 성분이 표면에 잔류하거나, 거기에 따른 접착 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감압 하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폴리이소프렌메타크릴레이트올리고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11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5418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의 영향을 제외하기 때문에, 감압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산소 존재 하에서 광 조사한 경우에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등한 접착 강도를 갖는 적층체를 부여하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B)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광 반응 개시제,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및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2] (A) 성분이,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우레탄 구조를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3] (C) 성분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 또는 [2]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4] [1] 내지 [3] 중 어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로 접합한, 적층체.
[5] 광학 표시체인, [4]의 적층체.
[6]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이하의 공정 (I) 내지 (III):
(I) 기재(1)에, [1] 내지 [3] 중 어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II) 공정 (I)에서 얻어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III) 공정 (II)에서 얻어진 경화물 위에 기재(2)를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공정 (II)로 형성되는 경화물에 있어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이 90% 이상인, [6]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 존재 하에서 광 조사한 경우에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등한 접착 강도를 갖는 적층체를 부여하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 제공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B)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광 반응 개시제,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및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는,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한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서의 베이스 중합체이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이며, 10,000 내지 7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탄성률이 저하되고, 가요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며,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70,000 이하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산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관능수((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관능 이상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관능이 특히 바람직하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관능수가 2관능 이상이면 충분한 경화성과 피막성이 얻어진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관능수가 4관능 이하이면, 관능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탄성률의 증가가 억제된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우레탄을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은, 폴리이소프렌 및/또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고,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은, 폴리부타디엔 및/또는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한다.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을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을 골격에 갖는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시판품으로서는, TE2000(니혼 세끼유사제: 분자량 2,000)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을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을 골격에 갖는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시판품으로서는, UC(구라레사제: 분자량 25,0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을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이들 조합의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을 골격에 갖는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시판품으로서는, UA(라이트 케미컬사제), UV3630ID80(닛본고세가가꾸고교사제), UV3700B(닛본고세가가꾸고교사제) 등을 들 수 있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폴리우레탄을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는, 1종이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및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반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광 경화성 접착 조성물을 저점도화할 수 있는 성분이다.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 중에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지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히드록시-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메트)아크릴레이트는,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넨(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량이 1,000 미만이다.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종 이상의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병용되는 경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 치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B)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유량은,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15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내지 9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 중에 2 내지 4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관능기 밀도를 높임으로써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고, 산소에 의한 저해가 있는 상태에서도, 충분한 가교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성분이다. (C) 성분의 관능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2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방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2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3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방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에 있어서의 알킬렌옥시드는,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 등의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시드를 들 수 있으며, 에틸렌옥시드가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는, 폴리올의 수산기 1몰에 대하여, 0.1 내지 10몰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3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지방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알킬렌옥시드 부가체는, 바람직한 것을 포함하며, 3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상기한 바와 같다.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량이 1,000 미만이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지방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지방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지방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지방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어도 되고, 2관능 내지 4관능의 지방족(메트)아크릴레이트여도 된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유량은,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C)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유량이,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이면 접착 강도가 더욱 향상되고, 25부 이하이면, 탄성률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D) 광 반응 개시제>
(D) 광 반응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에톡시포스핀옥시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올리고머,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올리고머,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o-벤조일벤조산메틸, [4-(메틸페닐티오)페닐]페닐메탄, 2,4-디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벤조페논, 에틸안트라퀴논, 벤조페논 암모늄염, 티오크산톤암모늄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1,4디벤조일벤젠,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키스(3,4,5-트리메톡시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벤조일나프탈렌, 4-벤조일비페닐, 4-벤조일디페닐에테르, 아크릴화벤조페논,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o-메틸벤조일벤조에이트,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에틸에스테르, 활성 터셔리아민, 카르바졸ㆍ페논계 광 반응 개시제, 아크리딘계 광 반응 개시제, 트리아진계 광 반응 개시제, 벤조일계 광 반응 개시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D) 광 반응 개시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에톡시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D) 광 반응 개시제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D) 광 반응 개시제의 양은,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이하, 「(E) 점착 부여제」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 (E) 점착 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접착 강도의 향상과 함께, 경화물의 유연화를 도모할 수 있어, 피착체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접착 강도와 유연성의 관점에서, 75 내지 1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이다.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E) 점착 부여제는, 상기의 연화점을 충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로진 에스테르 등의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석유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로진 페놀 등의 로진계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 점착 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는, 로진의 카르복실산 부분이 에스테르화되어 있기 때문에, 산 성분에 의한 피착체(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배선부 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는, 로진은 수소 첨가되기 때문에 초기 및 열에 폭로되었을 때의 착색도 방지할 수 있다.
(E) 점착 부여제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E) 점착 부여제의 양은,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100질량% 중, 5 내지 70질량%일 수 있다. 이 범위이면, 반응 성분의 양이 적절해서, 양호한 피막성이 얻어짐과 함께, 접착 강도의 발현 효과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점착 부여제는,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100질량% 중, 10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F) 액상 가소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한다. 액상이란, 대기압 하, 25℃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콘플레이트형 점도계로 1,000Paㆍs 이하의 점도(예를 들어, 0.01 내지 1,000Paㆍs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탄성률이 작고, 유연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F) 액상 가소제로서는,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헵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세바스산디옥틸, 세바스산디이소노닐,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디이소노닐 등의 다가 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의 C3 내지 C12 알킬에스테르 등);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의 C3 내지 C12 알킬에스테르 등); 고무계 중합체, 고무계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혹은 폴리부텐, 또는 이들 수소화물, 이들 양 말단에 수산기를 도입한 유도체 혹은 이들 수소화물의 양 말단에 수산기를 도입한 유도체 등);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석유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로진 페놀 등의 로진계 수지;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크실렌 수지 등;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액상인 것으로 한다.
(F) 액상 가소제로서는,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단, 액상인 것으로 함)가 바람직하고,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단, 액상인 것으로 함)가 바람직하다.
(F) 액상 가소제는,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F) 액상 가소제의 양은, (E) 점착 부여제에 의한 강도 발현의 관점에서, (E) 점착 부여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질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접착 강도와 유연성의 관점에서, 10 내지 2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15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일층 성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접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소포제, 안료, 충전제, 연쇄 이동제, 광 안정제, 표면 장력 조정제,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억포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가일층 성분은,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일층 성분의 총 함유량은,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질량부이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조제 방법>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금속, 플라스틱 용기, 교반 날개,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용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임의의 기재(1) 및 임의의 기재(2)의 접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산소의 존재 하에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재(1) 및 임의의 기재(2)의 접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재(1) 및 기재(2)는, 동일 기재이거나, 상이한 기재여도 된다. 기재(1) 및 기재(2) 중, 적어도 한쪽은, 광 투과성 부재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광 투과성 부재측에서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광 투과성 부재로서, 유리,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표시체와 터치 패널, 표시체와 전방면판, 또는 터치 패널과 전방면판의 접합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시체와 터치 패널, 표시체와 전방면판, 또는 터치 패널과 전방면판을 접합함으로써, 광학 표시체가 얻어진다.
전방면판으로서는, 유리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어 아크릴판(편면 또는 양면 하드 코팅 처리나 AR 코팅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판, PET판, PEN판 등의 투명 플라스틱판을 들 수 있다. 전방면판을 보호 패널로 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식, 정전 용량식, 전자기 유도식, 또는 광학식의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표시체로서는, LCD, EL디스플레이, EL 조명, 전자 페이퍼 및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전방면판, 터치 패널 및 표시체는 단차를 가져도 되고, 또한 차광부를 가져도 된다. 여기서, 차광부란, 접착면에 도포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경화에 필요한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이 닿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적층체)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도 본 발명의 대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는, 임의의 기재(1) 및 임의의 기재(2)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는, 광학 표시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기재(1)와 기재(2)가,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개재시켜 적층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이하의 공정 (I) 내지 (III):
(I) 기재(1)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II) 공정 (I)에서 얻어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III) 공정 (II)에서 얻어진 경화물 위에 기재(2)를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한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기재(1) 및 기재(2)는,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광학 표시체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는, 광학 표시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I)>
공정 (I)은, 기재(1)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기재(1)에 적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이 코터, 디스펜서,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500㎛로 할 수 있고, 30 내지 350㎛가 바람직하다.
<공정 (II)>
공정 (II)는, 공정 (I)에서 얻어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에너지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사용할 수 있다. 에너지선은, 자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자외선(UV)이 발해지는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수은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펄스 크세논 램프, LED 등을 들 수 있다. LED의 피크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65㎚, 405㎚, 375㎚, 385㎚ 및 395㎚를 들 수 있다. LED 이외의 광원으로부터 발해지는 광은, 광학 필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의 파장의 광으로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300㎚ 이하의 파장 광을 커트하는 광학 필터 및/또는 500㎚ 이상의 파장 광을 커트하는 광학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에너지선의 조사는,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이 30 내지 15,000mJ/㎠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적산 광량은, 50 내지 12,0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0,000m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II)에 있어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측에서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1)가 광 투과성 부재인 경우, 에너지선은,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광 투과성 부재측에서 조사하여, 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에너지선의 조사는, 산소 존재 하에서, 감압 하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행할 수 있다.
공정 (II)에서 형성되는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률이 90% 이상이면 접합 후에 한층 더 조사를 행하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가 발현되기 때문에, 공정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한, 경화하지 않고 잔류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에 의한 다른 부재로의 침투나 손상, 경화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의 우려가 없고, 적층체에 광이 투과하지 않는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전혀 광이 투과하지 않는 기재의 접합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반응률은,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전후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감소율로 정의되고, FT-I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모두 반응한 경우를 100%로 한다.
<공정 (III)>
공정 (III)은, 공정 (II)에서 얻어진 경화물 위에 기재(2)를 접합하고, 적층체를 얻는 공정이다. 경화물을 형성한 기판(1) 위에 경화물에 접하도록 기판(2)을 적재하고, 기판(1)과 기판(2)을 접합할 수 있다. 기재(2)는, 공정 (I)에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 적용되지 않은 기재이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기재(1), 기재(2) 및 그들 사이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합체를 가압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가압 처리를 포함함으로써, 적층체의 접착 강도가 더 향상된다. 가압 처리는, 고무 롤러, 평판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부, 질량%이다.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시예ㆍ비교예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실시예ㆍ비교예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특성을 측정했다.
<탄성률>
탄성률은, JISZ1702에 준거해 No.3 덤벨 시험편(두께 1㎜t)을 제작하고, 인장 압축 시험기(미네베아제, 테크노 그래프 TG-2kN)를 사용하여 10㎜/min의 속도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덤벨 시험편은, 컨베이어형 메탈 할라이드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 200mW/㎠)를 사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6000mJ/㎠로 경화시킨 경화물로부터 제작했다.
<OPEN 강도 및 CLOSE 강도>
하기와 같이 OPEN 강도 및 CLOSE 강도의 측정 시험편을 얻었다.
<<OPEN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
기재(1)(26㎜×75㎜×1.1㎜t, 유리)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도포 부분이 20㎜ 폭이 되도록, 셀로판 테이프(50㎛t) 3매를 사용하여 제작한 150㎛t의 두께의 스페이서를 붙이고, 금속 스퀴지를 사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컨베이어형 메탈 할라이드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 200mW/㎠)에 의해, 3,000mJ/㎠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측에서 광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했다. 기재(3)(26㎜×150㎜×0.1㎜t, PET)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에 적재하여, 접합시켜 OPEN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을 얻었다.
<<CLOSE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
기재(1)(26㎜×75㎜×1.1㎜t, 유리)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도포 부분이 20㎜ 폭이 되도록, 셀로판 테이프(50㎛t) 3매를 사용하여 제작한 150㎛t의 두께의 스페이서를 붙이고, 금속 스퀴지를 사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기재(2)(26㎜×75㎜×0.05㎜t, 이형PET)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적재하고, 접합시킨 후, 컨베이어형 메탈 할라이드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 200mW/㎠)에 의해, 3,000mJ/㎠로 기재(1) 너머에 광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했다. 기재(2)를 박리하고, 기재(3)(26㎜×150㎜×0.1㎜t, PET)를, 기재(2)를 박리한 면에 적재하여, 접합시켜 CLOSE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을 얻었다.
<<OPEN 강도 및 CLOSE 강도의 측정>>
OPEN 강도 및 CLOSE 강도는, 인장 압축 시험기(미네베아제, 테크노 그래프 TG-2kN)를 사용하여 300㎜/min의 속도에 의해 측정했다.
<강도 변화율>
상기의 OPEN 강도 및 CLOSE 강도의 강도 변화율을 구했다. 강도 변화율이 20% 이하인 때를 「○」로 하고, 20% 초과인 때를 「×」로 평가했다.
<반응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은,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에너지선 조사 전후의 아크릴로일기의 감소율로서 FT-IR(Perkin Elmer사제, Spectrum 100)에 의해 측정했다. 감소율은, 에너지선 조사 전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의 FT-IR 측정 차트에서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800 내지 820㎝-1의 흡수 피크 높이(X)와 에너지선 조사 후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 FT-IR 측정 차트에서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800 내지 820㎝-1의 흡수 피크 높이(Y)를 이하의 수식 (1)에 대입함으로써 구했다.
반응률(%)={(X-Y)/X}×100...(1)
<<OPEN 경화의 반응률 측정>>
기재(1)(26㎜×75㎜×1.1㎜t, 유리)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도포 부분이 20㎜ 폭이 되도록, 셀로판 테이프(50㎛t) 3매를 사용하여 제작한 150㎛t의 두께의 스페이서를 붙이고, 금속 스퀴지를 사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컨베이어형 메탈 할라이드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 200mW/㎠)에 의해, 3,000mJ/㎠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측에서 광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했다. 기재(3)(26㎜×150㎜×0.1㎜t, PET)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에 적재하여, 접합시켜 OPEN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을 얻었다. OPEN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 중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에 대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을 측정했다.
<<CLOSE 경화의 반응률 측정>>
기재(1)(26㎜×75㎜×1.1㎜t, 유리)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도포 부분이 20㎜ 폭이 되도록, 셀로판 테이프(50㎛t) 3매를 사용하여 제작한 150㎛t의 두께의 스페이서를 붙이고, 금속 스퀴지를 사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기재(2)(26㎜×75㎜×0.05㎜t, 이형PET)를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적재하고, 접합시킨 후, 컨베이어형 메탈 할라이드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 200mW/㎠)에 의해, 3,000mJ/㎠로 기재(1) 너머에 광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했다. 기재(2)를 박리하고, 기재(3)(26㎜×150㎜×0.1㎜t, PET)를, 기재(2)를 박리한 면에 적재하여, 접합시켜 CLOSE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을 얻었다. CLOSE 경화의 강도 측정 시험편 중의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에 대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정리한다.
Figure 112017095688615-pct00001
UV3630ID80: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2관능)(닛본고세가가꾸고교사제, 분자량 35,000)
L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4-HBA: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A-TMMT: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4관능)(신나카무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K에스테르)
A-TMPT-3EO: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시드(EO)부가)(3관능)(신나카무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K에스테르, 분자량: 428, 1분자당 에틸렌옥시드 단위 3몰)
1,9ND-A: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I-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I-TPO: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KE311: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연화점 95℃)(아라까와 가가꾸사제)
ME-D: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액상)(아라까와 가가꾸사제)
실시예 1 내지 3은, 강도 변화율이 0(즉, OPEN 경화와 CLOSE 경화의 강도차가 없다)이었다. 즉,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산소 존재 하에서 광 조사한 경우에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등한 접착 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2관능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 광 조사한 경우의 접착 강도에 비하여, 산소 존재 하에서 광 조사한 경우의 접착 강도는 저하되었다.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은, 적층체, 특히 광학 표시체 및 광학 표시체의 접착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이하의 공정 (I) 내지 (III):
    (I) 기재(1)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II) 공정 (I)에서 얻어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산소 존재 하에서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III) 공정 (II)에서 얻어진 경화물 위에 기재(2)를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공정 (II)에서 형성되는 경화물에 있어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이 90% 이상이고,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B)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광 반응 개시제,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및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성분이,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우레탄 구조를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 성분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층체가 광학 표시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적층체가 광학 표시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이하의 공정 (I) 내지 (III):
    (I) 기재(1)에,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II) 공정 (I)에서 얻어진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층에 산소 존재 하에서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III) 공정 (II)에서 얻어진 경화물 위에 기재(2)를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공정 (II)에서 형성되는 경화물에 있어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의 반응률이 90% 이상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이며,
    (A)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B)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C) 2 내지 4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광 반응 개시제, (E) 연화점이 70 내지 150℃인 점착 부여제, 및 (F) 액상 가소제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A) 성분이, (수소 첨가)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우레탄 구조를 골격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C) 성분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KR1020177027923A 2015-04-06 2016-02-15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KR102246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7838A JP6528103B2 (ja) 2015-04-06 2015-04-06 光硬化型接着組成物
JPJP-P-2015-077838 2015-04-06
PCT/JP2016/054271 WO2016163152A1 (ja) 2015-04-06 2016-02-15 光硬化型接着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441A KR20170134441A (ko) 2017-12-06
KR102246489B1 true KR102246489B1 (ko) 2021-04-30

Family

ID=5707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923A KR102246489B1 (ko) 2015-04-06 2016-02-15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28103B2 (ko)
KR (1) KR102246489B1 (ko)
CN (1) CN107406722B (ko)
TW (1) TWI706016B (ko)
WO (1) WO2016163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5109B2 (ja) * 2017-04-14 2022-05-25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
KR20210104056A (ko) * 2018-12-21 2021-08-2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전자 부품용 접착제, 및 표시 소자용 접착제
JP7149041B2 (ja) * 2019-03-15 2022-10-06 日本化薬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封止剤
JP2020196829A (ja) * 2019-06-04 2020-12-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426203B2 (ja) 2019-08-02 2024-02-01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
WO2021026208A1 (en) * 2019-08-06 2021-02-11 Henkel IP & Holding GmbH Radiation transmissive fillers improving the depth of cure in high optical density light curable materials
CN117083308A (zh) 2021-06-02 2023-11-1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紫外线固化性组合物
CN116940646A (zh) 2021-06-02 2023-10-2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紫外线固化型粘合剂组合物及粘合剂
WO2022255317A1 (ja) 2021-06-02 2022-12-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放熱性樹脂組成物、放熱性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547A (ja) 1998-07-24 2000-02-08 Mitsubishi Rayon Co Ltd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2014031453A (ja) 2012-08-03 2014-02-20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積層体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光学積層体
JP2014118450A (ja) * 2012-12-14 2014-06-30 Dexerials Corp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237745A (ja) 2013-06-06 2014-12-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7696B2 (ja) * 2006-08-11 2009-04-02 Dic株式会社 光ディスク中間層用紫外線硬化型組成物、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5736614B2 (ja) * 2011-01-12 2015-06-17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多官能アクリレート化合物を含む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740536B1 (ko) * 2011-01-12 2017-05-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CN102898958B (zh) * 2011-07-25 2016-11-02 汉高股份有限公司 一种粘合剂组合物
JP5817354B2 (ja) * 2011-09-07 2015-11-18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
JP5733175B2 (ja) * 2011-11-28 2015-06-10 東亞合成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JP5304922B1 (ja) * 2012-05-09 2013-10-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4069134A1 (ja) * 2012-10-31 2014-05-08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物、光学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18802B1 (ja) 2012-11-13 2013-06-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WO2014109223A1 (ja) * 2013-01-10 2017-01-19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物、光学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87510B2 (ja) * 2014-11-20 2018-09-12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547A (ja) 1998-07-24 2000-02-08 Mitsubishi Rayon Co Ltd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2014031453A (ja) 2012-08-03 2014-02-20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積層体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光学積層体
JP2014118450A (ja) * 2012-12-14 2014-06-30 Dexerials Corp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237745A (ja) 2013-06-06 2014-12-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28103B2 (ja) 2019-06-12
TWI706016B (zh) 2020-10-01
WO2016163152A1 (ja) 2016-10-13
CN107406722A (zh) 2017-11-28
TW201638279A (zh) 2016-11-01
KR20170134441A (ko) 2017-12-06
JP2016196607A (ja) 2016-11-24
CN107406722B (zh)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489B1 (ko)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KR102246492B1 (ko) 광 경화형 접착 조성물
TWI624514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122759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5764040B2 (ja) 光学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表示装置
JP6035241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634602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930864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20120056788A (ko) 광학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표시장치
KR102312162B1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16199663A (ja)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471527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TWI709630B (zh)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積層體
JP6273193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8187627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