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628B1 - 내복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628B1
KR102245628B1 KR1020157024365A KR20157024365A KR102245628B1 KR 102245628 B1 KR102245628 B1 KR 102245628B1 KR 1020157024365 A KR1020157024365 A KR 1020157024365A KR 20157024365 A KR20157024365 A KR 20157024365A KR 102245628 B1 KR102245628 B1 KR 10224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leep
salt
methylthioadenosine
adenosylmethio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430A (ko
Inventor
토모미 세코
타츠유키 미도리카와
노리유키 모노이
요시타카 나카무라
토시오 고키타
이쿠코 카마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6Addition of bitterness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메틸티오아데노신을 함유하는 쓴맛이 경감된 내복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 내복 조성물은,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0.05∼1000이고, (A)성분의 함유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1질량% 이상이다.

Description

내복 조성물{COMPOSITION FOR INTERNAL USE}
본 발명은, 내복(內服)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복 조성물은 경구(經口) 섭취되기 때문에, 섭취시에 쓴맛(苦味)이나 떫은맛(澁味) 등의 불쾌한 맛(呈味)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쓴맛 등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로부터, 내복 조성물에 자당 등의 감미료를 배합하여 쓴맛 등을 마스킹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내복 조성물이 필요 이상으로 달콤하게 되어 오히려 복용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쓴맛을 억제하는 효과도 충분하지 않았다.
내복 조성물의 쓴맛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5'-아데닐산(AMP) 등의 쓴맛 억제 성분을 이용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염화칼륨과 같은 강한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라도, 내복 조성물의 쓴맛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일본 특표 2008-543332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메틸티오아데노신이 우수한 수면 촉진 효과를 이루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메틸티오아데노신에는 쓴맛이 있고, 유효량을 경구 섭취할 때에는 곤란을 수반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염화칼륨의 강한 쓴맛을 억제할 수 있는 상기 특허 문헌 1 기재의 기술을 갖고서도, 메틸티오아데노신에 기인하는 쓴맛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메틸티오아데노신을 함유하는 쓴맛이 경감된 내복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한 [1]∼[5]를 제공한다.
[1]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0.05∼1000이고,
(A)성분의 함유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1질량% 이상인 내복 조성물.
[2]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1∼1000인, [1]에 기재된 내복 조성물.
[3] (A)성분의 섭취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01㎎/일(日)∼1000㎎/일인, [1] 또는 [2]에 기재된 내복 조성물.
[4] 수면 촉진용인,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복 조성물.
[5]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0.05∼1000이 되도록 혼합하는,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메틸티오아데노신을 함유하는 쓴맛이 경감된 내복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렘 수면과 논렘 수면의 일반적인 패턴을 도시하는 수면 경과도.
이하, 알맞은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내복 조성물]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A)성분/(B)성분의 질량비가 0.05∼1000이고, (A)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이 되면, 경구 섭취시의 쓴맛이 현저해지는 경향에 있다. 상세는 후술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A)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인 경우라도, (A)성분과 (B)성분을 특정 비율로 조합시켜서 사용함에 의해, 경구 섭취시의 쓴맛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A)성분>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 함유되는 (A)성분은,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이다.
본 발명에서, 메틸티오아데노신은, 5'-디옥시-5'-메틸티오아데노신을 의미한다. 5'-디옥시-5'-메틸티오아데노신은, 안티(anti)형 또는 신(syn)형의 어느 형태라도 좋다.
메틸티오아데노신의 염으로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한 특히 한정은 없고, 제형 등에 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알맞는 메틸티오아데노신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酸) 부가염(附加鹽)을 들 수 있다. 산 부가염으로서는, 무기산 부가염 및 유기산 부가염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탄산염, 인산염, 포름산염, 옥살산염, 구연산염, 아스코르빈산염, 메탄술폰산염, 1,4-부탄디술폰산염, 1,5-펜탄술폰산염 및 p-톨루엔술폰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이, 우수한 수면 촉진 효과를 이루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면은, 뇌파 패턴에 의해 렘 수면과 논렘 수면의 2종류로 분류된다. 렘 수면은, 전신은 탈력(脫力) 상태에 있지만 뇌의 일부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급속 안구 운동을 수반하는 수면 상태이다. 논렘 수면은, 대뇌가 거의 활동하지 않고, 급속 안구 운동을 수반하지 않는 수면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렘 수면 및 논렘 수면을 하룻밤중에 약 4∼5회 주기적으로 반복한다(도 1). 논렘 수면은 폴리솜노그래프 해석(뇌파, 안전도(眼電圖), 근전도(筋電圖))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뇌파로서는, 알파파(인간으로는 8-13Hz)의 감소, 및 델타파(인간으로는 0.5-4.5Hz)의 증가에 의해 논렘 수면을 판정할 수 있다. 측정한 뇌파를, SleepSign 등의 자동 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도 판정할 수 있다.
논렘 수면은, 수면의 깊이에 의해, 수면이 얕은 순서로, I층, Ⅱ층, Ⅲ층, 및 Ⅳ층의 4단계로 나눠진다. 수면의 깊이가, I층부터 Ⅳ층 중, Ⅲ층 및 Ⅳ층에 있는 수면을, 특히 「심(深)수면」이라고 한다.
취침으로부터 논렘 수면 출현까지의 시간(입면잠시(入眠潛時)이 길거나, 논렘 수면의 시간이 짧거나, 깊은 논렘 수면을 얻을 수가 없거나, 중도 각성(覺醒)이 일어나거나 한 경우 등은, 인간은 불만족스러운 수면이라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은, 자연수면에서 논렘 수면, 특히 심수면을 촉진하는 효과를 이룬다.
여기서 「자연수면」이란, 정향(正向) 반사 소실이 생기지 않는 수면인 것을 말한다. 「정향 반사」란, 두부(頭部)를 중력의 방향에 대해 정상의 위치를 회복하도록 하는 반사 운동이고, 직립반사(righting reflex)라고 한다.
마우스 또는 래트에서의 정향 반사 소실은, 예를 들면, 앙와위(仰臥位) 또는 배위(背位)에 놓여진 마우스 또는 래트가, 30초 이내에 복위(腹位)로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로서 확인할 수 있는다. 수면 상태에 있는 마우스 또는 래트를 앙와위 또는 배위로 둔 때에, 즉석에서 수면으로부터 깨거나, 또는 신속하게 복위로 되돌아오거나 하는 경우, 그 수면은, 정향 반사를 소실하지 않은 수면이다. 인간에게는, 동물에서 정의되어 있는 「정향 반사」에 상당하는 말은 없다. 그렇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정향 반사를 소실하지 않는』 상태는, 어깨를 두드린 때에 곧바로 깨어나는 등, 용이하게 각성 가능한 수면이 이것에 해당하고, 자연수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자연수면에 대해, 마취는 정향 반사 소실을 야기한다. 마우스 또는 래트에서의 정향 반사 소실은, 마취 효과의 평가 지표로서 알려져 있다. 펜토바르비탈 등의 마취약 또는 기타의 약제에 의한 마취 효과는, 상기한 정향 반사 소실 동물수의 증가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마취 또는 종래의 의약품으로서의 수면약에 의한 수면시,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을 사용하지 않는 수면시의 뇌파에 관해, 푸리에 변환 해석에 의한 주파수의 분포 해석을 행하면,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에 의한 최면과, 이들을 사용하지 않은 수면에서는, 함께 델타파(0.5∼4.5Hz)의 뇌파가 증가하지만,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에 의한 최면에서는, 15∼20Hz로,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을 사용하지 않은 수면시에는 보여지지 않는 주파수대의 뇌파의 증가가 관찰된다.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을 사용하지 않은 수면시에는 보여지지 않는 주파수대의 뇌파가 무엇에 유래하고 있는지에 관해서는, 현재 밝혀져 있지 않지만, 마취 또는 종래의 수면약에 의한 눈뜸의 어려움 등과의 관련성이 추찰된다.
「논렘 수면을 촉진한다」란, 대비되는 상태(예를 들면,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섭취 전의 상태)에 비하여, 1)논렘 수면의 상태가 보다 장시간 관찰되는 것, 2)논렘 수면의 깊이가 보다 깊어지는 것, 또는, 3)논렘 수면으로의 이행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는 것의 어느 하나의 효과가 관찰되는 것을 말한다.
알맞은 상태에서,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은, 자연수면에서 심수면을 촉진하는 효과를 이룬다.
「심수면」이란, 인간의 경우, 수면의 깊이가 일정 이상의 수면인 것을 말하고, 논렘 수면을 I∼Ⅳ층의 4단계로 분류한 때의 Ⅲ층 이상의 깊이에 있는 수면 상태인 것을 말한다. Ⅲ층 및 Ⅳ층의 수면 중은, 뇌파 전체(0.5∼20Hz)에 대한 델타파(0.5∼4.5Hz)의 점유율이 일정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데, 점유율이 높을수록 델타 파워값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수면이란 델타 파워값이 높은 수면이라고도 정의할 수도 있다. 델타 파워값은, 예를 들면, 폴리솜노그래피 검사 장치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수면의 깊이와 시간의 적산(積算)인 「심수면의 크기」는 델타 파워값에 시간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마우스나 모르모트의 수면에는, 인간의 Ⅲ층 및 Ⅳ층의 수면에게 대응한 일반적인 판정 기준은 없기 때문에, 마우스나 모르모트의 수면에는 델타 파워값 그 자체를 이용하여, 또한 델타 파워값에 시간을 곱한 값을, 심수면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심수면을 촉진한다」란, 대비되는 상태(예를 들면,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섭취 전의 상태)에 비하여, 1) 심수면의 상태가 보다 장시간 관찰되는 것, 2) 심수면의 깊이가 보다 깊어지는 것, 또는, 3) 심수면으로의 이행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는 것의 어느 하나의 효과가 관찰되는 것을 말한다. 즉, 마우스나 모르모트를 이용한 실험계에서는, 상기한 델타 파워값에 시간을 곱한 값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A)성분의 유래 및 그 제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 형태에서, (A)성분은, 화학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이라도 좋다. 화학 합성의 방법은,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을 합성할 수 있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A)성분은, 생물에 유래하는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생물에 유래하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으로부터, 메티오닌 부위의 분자내환화(分子內環化) 반응 등을 경유하여,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A)성분은, 특정한 유래,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유래, 제법이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A)성분은,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은, 예를 들면, 시그마-알도리치사 등의 공급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A)성분의 함유량은,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1질량% 이상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A)성분과 (B)성분을 특정 비율로 조합시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는, (A)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인 경우라도, 경구 섭취시의 쓴맛을 억제할 수 있다.
(A)성분과 (B)성분을 특정 비율로 조합시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는, 경구 섭취시의 쓴맛의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A)성분의 함유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은,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5질량% 이상, 1질량% 이상, 2질량% 이상, 3질량% 이상, 4질량% 이상, 5질량% 이상, 6질량% 이상, 7질량% 이상, 8질량% 이상, 9질량% 이상, 10질량% 이상, 11질량% 이상, 12질량% 이상, 13질량% 이상, 14질량% 이상, 또는 15질량% 이상으로까지 높여도 좋다.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5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은, (A)성분의 유래, 제법에 의하지 않고, 또한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의 환산량이다. 또한, (A)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공지의 순서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경구 섭취시의 쓴맛의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A)성분을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함유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A)성분이 이루는 효과를 유리하게 향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성분의 수면 촉진 효과를 보다 높은 레벨로 얻는 관점에서,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다.
<(B)성분>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 함유되는 (B)성분은,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이다.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아데노신과 메티오닌이 메틸술포닐 결합을 통하여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메티오닌의 광학 이성체에는 L체, D체, DL체가 있다. 본 발명에서,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구조 중의 메티오닌은 상기 광학 이성체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L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염으로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한 특히 한정은 없고, 제형 등에 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알맞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 부가염 및 할로겐화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p-톨루엔술폰산염(토실산염), 황산·p-톨루엔술폰산염,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4-부탄디술폰산, 1,5-펜탄술폰산, 인산염, 염화물, 브롬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염산염 또는 토실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B)성분의 유래 및 그 제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 형태에서, (B)성분은, 화학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이라도 좋다. 화학 합성의 방법은,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합성할 수 있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B)성분은, 생물에 유래하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이라도 좋다. 그 생물로서는, 예를 들면,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균체(菌體) 등을 들 수 있다.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균체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본래 함유하는 균체라도 좋다. 이러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균체는, 그대로 (B)성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그 균체를 건조하고 얻어지는 건조 균체를 (B)성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그 균체로부터 분리 정제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B)성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또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균체는, 본래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지 않는 또는 미량을 함유하는데 지나지 않지만, 후천적으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산생(産生)시킴에 의해,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게 된 균체라도 좋다. 이러한 균체는, 예를 들면, 균체를 배양하여, 균체 내(세포 내)에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산생시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균체를 이용하는 경우,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있으면, 얻어지는 배양물, 배양액, 배양 후에 회수되는 균체, 그 균체를 건조하고 얻어지는 건조 균체, 배양물 또는 배양액을 정제하여 얻어지는 균체 정제물, 및 균체 정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 균체 정제물의 어느 것을 (B)성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균체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효모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모의 종류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산생하고, 경구 섭취 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효모로서는, 예를 들면,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속 효모, 시조사카로미세스(Shizosaccharomyces)속 효모를 들 수 있고, 사카로미세스·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ciae ; 발아 효모), 시조사카로미세스·폼베(Shizosaccharomyces pombe ; 분열 효모)가 알맞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B)성분은, 특정한 유래,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유래, 제법이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A)성분이 이루는 수면 촉진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A)성분에 기인하는 쓴맛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B)성분으로서는, 화학 합성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균체, 그 건조물 또는 그 배양물이 바람직하고, 화학 합성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효모, 그 건조물 또는 그 배양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은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은, 예를 들면, 시그마-알도리치사 등의 공급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효모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제의 「SAMe 고함유건조효모(상품명)」, 이타리아구노시스사제의 「스파에세(상품명)」, 이와타화학공업주식회사제의 「아미(상품명)」 등이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B)성분의 함유량은,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성분/(B)성분)가 0.05∼1000의 범위에 있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복 조성물에서의 (B)성분의 함유량은, (B)성분의 유래, 제법에 의하지 않고, 또한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환산량이다. 또한, (B)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공지의 순서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에서,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성분/(B)성분)의 하한은, (A)성분에 기인하는 쓴맛을 억제하면서, 수면 촉진 효과 등의 (A)성분 유래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 관점에서, 0.0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또는 2 이상이다.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성분/(B)성분)의 상한은, (A)성분에 기인하는 쓴맛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상기한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는,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이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본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는 한, (A)성분 및 (B)성분 이외의 성분(이하, 「임의 성분」이라고도 한다.)을 또한 함유하여도 좋다. 이러한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코팅제, 착색제, 발색제, 교미제, 착향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정미제(呈味劑), 산미제, 감미제, 강화제, 비타민제, 팽창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용제 등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의 효과, 제제에 필요한 여러 특성(예를 들면, 제제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최종 제품(예를 들면,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영양 보조 제품(서플리먼트) 등)의 제형에 응한 첨가제를 선택할 수 있는다. 이러한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따라서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과,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A)성분/(B)성분의 질량비가 0.05∼1000이고, (A)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또한, 논렘 수면을 촉진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여도 좋다. 여기서 논렘 수면을 촉진할 수 있는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면 개선제, 수면 유발제 등으로 칭하여지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단, 정향 반사 소실이 생기는 종류 또는 양의 성분과의 혼합 형태는 제외되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수면 촉진 효과를 이루는 (A)성분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수면 촉진용의 내복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연수면에서의 논렘 수면 촉진용의 내복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연수면에서의 심수면 촉진용의 내복 조성물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액제), 시럽상(시럽제), 고형상(정제), 캡슐상(캡슐제), 분말상(과립, 세립), 소프트 캡슐상(소프트 캡슐제), 반(半)액체상, 크림상, 페이스트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을 음식품에 이용하는 경우, 그 음식품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음료(청량 음료, 탄산 음료, 영양 음료, 분말 음료, 과실 음료, 유(乳) 음료, 젤리 음료 등), 과자류(쿠키, 케이크, 껌, 캔디, 태블릿, 구미, 만두, 양갱, 푸딩, 젤리, 아이스크림, 셔벗 등), 수산 가공품(어묵, 생선살 꼬치구이, 한펜 등), 축산 가공품(햄버거, 햄, 소시지, 윈나, 치즈, 버터, 요구르트, 생크림, 마가린, 발효유 등), 수프(분말상 수프, 액상 수프 등), 주식류(밥류, 면(건면수, 생면), 빵, 시리얼 등), 조미료(마요네즈, 쇼트닝, 드레싱, 소스, 양념장, 간장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서플리먼트),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의료용 식품, 환자용 식품, 유아용 식품, 간호용 식품, 고령자용 식품 등의 음식품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제형의 하나로서, 츄어블정(錠)을 들 수 있다. 물 없이 섭취되는 츄어블정에서는, 섭취시에 쓴맛이 보다 지각되기 쉽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A)성분에 기인하는 쓴맛을 현저하게 억제 가능하고, 유효량의 (A)성분을 함유하고 섭취시의 쓴맛이 없는 츄어블정를 실현할 수 있다.
(A)성분의 수면 촉진 효과를 유리하게 향수할 수 있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취침 전에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섭취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을 섭취하는 생체의 연령, 상태 등의 요인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섭취량은, 1일당의 메틸티오아데노신의 섭취량(㎎/일)으로서,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이고,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의 섭취 대상자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섭취 대상자로서는, 예를 들면, 잠이 얕은, 기상시에 아직 졸리는, 잠들기가 나쁜, 숙면감이 충분하지 않고(깊게 잘 수 없는), 꿈이 나쁘다, 수면 후에도 피곤이 없어지지 않는 등, 주관적 수면감에 불만이 있는 대상자, 피로감을 느끼고 있고 주관적 수면감을 향상시키고 싶은 대상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한 문제가 없는 대상자도, 양호한 수면의 유지, 수면 장애의 예방, 자연수면에서 논렘 수면(특히 심수면)을 보다 촉진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다.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수면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연수면하에서의 논렘 수면 촉진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연수면하에서의 심수면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을 수면 촉진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수면 촉진제의 투여 시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취침 전에 투여되고, 취침 3시간 전부터 취침까지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취침 2시간 전부터 취침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취침 1시간 전부터 취침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취침 1시간 전에 투여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을 수면 촉진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면 촉진제는, 수면 중의 논렘 수면 시간을 본 발명의 수면 촉진제가 투여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논렘 수면 시간의 단축 또는 논렘 수면의 깊이의 감소, 또는 그 양쪽에 의한 수면의 질 저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은, 자연수면하에서 논렘 수면(특히 심수면)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수면 유발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자연수면을 유발한다」란, 정향 반사 소실이 일어나지 않는 수면을 유발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을 자연수면 유발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자연수면하에서 논렘 수면(특히 심수면)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 또는 흐트러져 버린 수면 패턴을 양호한 수면 패턴으로 회복하는 것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특정한 질량비로 혼합함에 의해,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에 기인하는 쓴맛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은,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0.05∼1000이 되도록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성분, (B)성분에 관해서는 선술한 바와 같고, (A)성분/(B)성분의 질량비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도 선술한 바와 같다.
(A)성분과 (B)성분의 혼합 방법은, (A)성분/(B)성분의 질량비가 0.05∼1000이 되도록 (A)성분과 (B)성분을 혼합할 수 있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혼합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내복 조성물의 경구 섭취시의 쓴맛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은,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내복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내복 조성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0.05∼1000이 되도록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내복 조성물에서의 (A)성분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에 관해서는, 선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A)성분의 함유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1질량% 이상인 내복 조성물에서도,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에 기인하는 쓴맛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례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하기 실시례에서 사용한 주된 원료를 하기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A)성분>
·메틸티오아데노신
시그마-알도리치사제
「5'-Deoxy-5'-(methylthio)adenosine」
<(B)성분>
·S-아데노실메티오닌
시그마-알도리치사제
「S-(5'-Adenosyl)-L-methionine chloride dihydrochloride」
<(B')성분>((B)성분의 비교 성분)
·5'-아데닐산(AMP)
시그마-알도리치사제
「Adenosine 5'-monophosphate monohydrate」
<기타의 성분>
·결정 셀룰로스
아사히화성케미즈주사제 「세오라스FD-101」
·메틸셀룰로스
시그마-알도리치사제
「Methyl cellulose」
(20℃의 2% 수용액의 점도 : 25cP)
실시례 1∼7 및 비교례 1∼4
(A)성분, (B)성분(비교례 1에 관해서는 (B')성분), 및 결정 셀룰로스를, 하기 표 1에 표시하는 배합량으로 분말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에 관해, 하기 순서에 따라, 경구 섭취시의 쓴맛 및 수면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경구 섭취시의 쓴맛의 평가)
10명의 피험자에 있어서, 실시례 및 비교례로 조제한 조성물 약 50㎎을 경구 섭취한 때의 쓴맛의 정도에 관해 앙케이트를 행하고, 하기 스코어 기준에 의거하여 스코어(1∼5점)를 붙여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스코어의 평균치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경구 섭취시의 쓴맛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즈음해서는 메틸티오아데노신 그 자체의 쓴맛을 기준으로 하고, 이것을 1점으로서 평가하였다.
[스코어 기준]
5점 : 쓴맛을 느끼지 않는다
4점 : 쓴맛을 약간 느끼다
3점 : 쓴맛을 느낀다
2점 : 쓴맛을 강하게 느끼다
1점 : 쓴맛을 견디기 어렵게 느낀다
[평가 기준]
◎ : 평균치 4점 이상
○ : 평균치 3점 이상 4점 미만
× : 평균치 3점 미만
(수면 촉진 효과의 평가)
실시례 및 비교례로 조제한 조성물 90㎎을,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 10㎖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현탁액을 얻었다.
일본SLC에서 구입한 8주령 웅성(雄性) C57BL/6 마우스에게, 뇌파 및 근전용의 전극을 장착하였다. 전극 장착 후, 회복 챔버에 10일간 회복시켰다. 그 후, 기록용 챔버로 옮기고, 케이블을 접속하였다. 뇌파 해석 소프트인 SleepSign(등록상표) Ver 3.0(키세이콤텍주식회사)에서 뇌파 판별이 가능한 마우스를, 3일간 순화시켰다. 또한, 그 후, 뇌파를 24시간 측정하고, 수면 각성 리듬이 유지되어 있는 마우스에 대해, 투여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투여군은, 상기로 조제한 각 현탁액을 10㎖/㎏ 투여한 9개의 군과, 컨트롤 용액을 10㎖/㎏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각 투여군의 마우스는 8필로 하였다(n=8). 컨트롤 용액은,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암기(暗期) 시작 직전에, 상기 현탁액 또는 컨트롤 용액을 각 마우스에게 강제 경구 투여하고, 24시간 뇌파를 기록하였다. 기록 후, 뇌파를 SleepSign(등록상표) Ver 3.0에 의해 자동 해석을 행하고, 평가 실시자가 그 자동 해석의 결과를 확인하고, 각성, 렘 수면 및 논렘 수면의 각 수면 스테이지로 분류하였다.
뇌파 측정 시작부터 4시간 후까지의 논렘 수면 시간의 총 적산량(단위 : sec)을 산출하고, 같은 개체의 비투여시(baseline)의 논렘 수면량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였다. 각 투여군에 관해 백분율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수면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평균치 150% 이상
○ : 평균치 110% 이상 150% 미만
△ : 평균치 100% 이상 110% 미만
× : 평균치 100% 미만
(종합 평가)
경구 섭취시의 쓴맛과 수면 촉진 효과의 평가 결과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종합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
◎ : 경구 섭취시의 쓴맛과 수면 촉진 효과의 양쪽의 평가 결과가 「○」 또는 「◎」
○ : 경구 섭취시의 쓴맛의 평가 결과가 「○」 또는「◎」이고, 수면 촉진 효과의 평가 결과가 「△」
× : 경구 섭취시의 쓴맛과 수면 촉진 효과의 어느 하나의 평가 결과가 「×」
[표 1]
Figure 112015086734457-pct00001
또한, 뇌파 측정을 행한 날(日)과는 다른 날에, 각 현탁액을 10㎖/㎏ 투여한 실시례 및 비교례의 모든 마우스에 있어서, 앙와위로 시키기 위해 접촉한 때, 각성(覺醒)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이들의 수면은, 「정향 반사를 소실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례 8 및 비교례 5
<평가 샘플의 조제>
메틸티오아데노신(MTA) 함유 효모는,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시판의 S-아데노실메티오닌 함유 효모 배양물 분말(메이커 명 : 미쓰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 상품명 : SAMe함유건조효모)을 120℃에서 20분간 가열 처리하였다. 얻어진 효모 배양물 중의 메틸티오아데노신 함유량은 320㎎, 효모 배양물(MTA를 포함한다)의 건조 중량은 5000㎎, MTA 이외의 효모 배양물의 건조 중량은 4680㎎이였다. 즉, 효모 배양물에 대한 메틸티오아데노신 함유량의 질량비는 6.4질량%였다.
실시례 8의 샘플로서, 상기한 MTA 함유 효모를 배합한 정제(4정 중의 메틸티오아데노신 함유량 : 21㎎)를 준비하였다. 또한, 비교례 5의 샘플로서, MTA 함유 효모를 포함하지 않는 플라세보의 정제를 준비하였다. 각 조성의 상세는,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표 2]
Figure 112015086734457-pct00002
<수면 촉진 효과의 평가>(인간에게서의 평가)
6명의 피험자에게 상기 실시례 8의 샘플의 정제 4정를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시키고, 2전극 방식의 휴대형 뇌파 측정기(슬리프웰(주)사제 「뇌파계 슬립 스코프」)를 장착하고, 피험자의 수면 중에 있어서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또한, 똑같이 하고, 같은 피험자 6명에게 상기 비교례 5의 샘플의 정제 4정를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시키고, 2전극 방식의 휴대형 뇌파 측정기(슬리프웰(주)사제 「뇌파계 슬립 스코프」)를 장착하고, 피험자의 수면 중에 있어서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각 피험자에 대해, 실시례 8의 샘플 및 비교례 5의 샘플 각각에 관해, 투여 및 뇌파 측정을 4회 행하였디.
또한, 상기 투여 및 뇌파 측정과는 다른 기회에, 각 샘플을 같은 피험자 6명에게 경구 섭취시키고, 피험자가 취침 후, 피험자의 어깨를 두드렸다. 그 결과, 피험자가 용이하게 눈을 뜨는 것, 즉 각 샘플(실시례 8 및 비교례 5의 샘플)을 각 피험자에게 경구 섭취시킨 후의 수면은, 자연수면인 것을 각 피험자에 관해 확인하였다.
(뇌파 해석)
뇌파는, 슬리프웰(주)에 의뢰하여 해석하였다. 수면의 깊이는 수면 중 뇌파의 델타 파워값에 의해 알 수 있고, 델타 파워값이 클수록 수면의 깊이는 깊다. 일반적으로, 취침 직후에 논렘 수면이 출현하고, 그 후 렘 수면이 출현한다. 본 실험으로는, 취침 직후에 출현한 논렘 수면 중의 델타 파워값(즉, 취침 후 일단 논렘 수면에 들어간 그 후에 렘 수면이 출현할 떼까지의 델타 파워값)를, 수면 초기의 델타 파워값으로 하였다.
델타 파워값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실시례 8의 샘플 또는 비교례 5의 샘플을 경구 섭취시킨 후의, 수면 초기의 델타 파워값을 피험자마다 4회 측정하고, 4 회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피험자마다, 플라세보(비교례 5의 샘플) 섭취의 델타 파워값에 대한, MTA 함유 효모(실시례 8의 샘플) 섭취 후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값의 변화율(%)을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하였다.
[식(1)]
델타 파워값의 변화율(%) =
{(실시례 8의 샘플 섭취 후의 델타 파워값의 평균치)/(비교례 5의 샘플 섭취 후의 델타 파워값의 평균치)}×100
표 3에 델타 파워값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델타 파워값의 변화율은, 피험자 6인의 평균치이다.
[표 3]
Figure 112015086734457-pct00003
표 3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메틸티오아데노신과 S-아데노실메티오닌을 특정 비율에 함유시킨 정제를 경구 섭취시킨 실시례 8에서는, 플라세보정을 경구 섭취시킨 비교례 5에 비하여, 수면 초기의 델타 파워값이 크다. 이것은, 본 발명의 내복 조성물이 수면 초기의 논렘 수면을 충분히 깊게 할 수 있는 것, 이에 의해, 수면을 촉진할 수 있고, 양호한 자연수면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5)

  1.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1∼1000이고,
    (A)성분의 함유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1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성분의 섭취량이 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 0.01㎎/일∼100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식품 조성물.
  3. (A)성분 :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과, (B)성분 : S-아데노실메티오닌 또는 그 염을, (A)성분(메틸티오아데노신으로서)/(B)성분(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의 질량비가 1∼1000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티오아데노신 또는 그 염의 쓴맛을 억제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57024365A 2013-04-05 2014-04-03 내복 조성물 KR102245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9561 2013-04-05
JP2013079561 2013-04-05
PCT/JP2014/059867 WO2014163150A1 (ja) 2013-04-05 2014-04-03 内服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430A KR20150143430A (ko) 2015-12-23
KR102245628B1 true KR102245628B1 (ko) 2021-04-28

Family

ID=516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365A KR102245628B1 (ko) 2013-04-05 2014-04-03 내복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4628B2 (ko)
KR (1) KR102245628B1 (ko)
CN (1) CN105101974B (ko)
WO (1) WO2014163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7143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Nrlファーマ 抑うつ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356A (ja) 2001-11-22 2005-05-19 グノーシス・エツセ・エルレ・エルレ S−アデノシルメチオニンを含む錠剤の調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034A (en) * 1973-02-01 1976-06-08 Ajinomoto Co., Inc. Method for producing s-adenosylmethionine or methylthioadenosine by yeast
IE39517B1 (en) * 1973-06-27 1978-10-25 Bioresearch Sas Double salts of s-adenosyl-l-methhionine
IT1193529B (it) * 1980-04-22 1988-07-08 Bioresearch Srl Derivati adenosinici ad attivita' antinfiammatoria ed analgesica e composizioni terapeutiche che li contengono come principio attivo
JP2001112474A (ja) * 1999-10-14 2001-04-24 Kansai Tlo Kk 変異型サッカロミセス・セレビシエ
US20030181713A1 (en) * 2002-03-04 2003-09-25 Srirangam Jayaram Kasturi Processes for the synthesis of chloroadenosine and methylthioadenosine
BR0317586A (pt) * 2002-12-20 2005-11-22 Mclean Hospital Corp Compostos para normalização do ciclo sono/vigìlia
US7455872B2 (en) 2005-06-20 2008-11-25 Redpoint Bio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salty taste in foods or beverages
EP2116593B1 (en) * 2007-01-25 2017-12-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dry yeast containing s-adenosyl-l-methionine and having excellent storage stability,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and molded composition of the dry yeast
US8329208B2 (en) * 2009-07-28 2012-12-11 Methylation Sciences International Srl Pharmacokinetics of S-adenosylmethionine formulations
CN103313718B (zh) * 2011-03-04 2016-09-14 狮王株式会社 生长激素分泌促进剂
JP5989319B2 (ja) * 2011-10-06 2016-09-07 ライオン株式会社 睡眠の質改善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356A (ja) 2001-11-22 2005-05-19 グノーシス・エツセ・エルレ・エルレ S−アデノシルメチオニンを含む錠剤の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4628B2 (ja) 2017-10-18
CN105101974B (zh) 2018-07-03
WO2014163150A1 (ja) 2014-10-09
KR20150143430A (ko) 2015-12-23
JPWO2014163150A1 (ja) 2017-02-16
CN105101974A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974B1 (ko) 수면의 질 개선제
WO2018052020A1 (ja) 睡眠障害改善剤及び睡眠障害の改善方法
KR101912481B1 (ko) 조성물, 및 당대사 개선제, 및 당대사 개선방법
KR20150145262A (ko) 에너지 소비의 촉진 및/또는 에너지 소비 기능 저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또는 방법
JP6991092B2 (ja) 睡眠の質改善剤
JP5563285B2 (ja) 飲食品、医薬品、又は医薬部外品、並びに、プロトパナキサトリオールの安定化方法、及びプロトパナキサジオールの安定化方法
KR102245628B1 (ko) 내복 조성물
JP2011157328A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向上剤
JP2015214518A (ja) 睡眠の質を改善する方法及び睡眠の質の改善用の経口用組成物
JP6650852B2 (ja) ドコサヘキサエン酸を含有する睡眠の質改善剤
JP6226962B2 (ja) ノンレム睡眠促進剤、深睡眠促進剤、自然睡眠誘発剤、および睡眠初期デルタパワー向上剤
JP2019189572A (ja) 運動バランス向上剤、及び敏捷性向上剤
JP6294870B2 (ja) 酵母培養物を有効成分とする睡眠促進剤、睡眠促進用内服組成物及び睡眠促進用食品組成物
JP2019006717A (ja) 経口睡眠改善剤
JP2006137746A (ja) オレキシン誘導組成物
JP6329317B1 (ja) 血圧降下用組成物
JP2004292355A (ja) 抗ストレス剤
JP2016188234A (ja) 睡眠障害改善剤
JP2023132041A (ja) 睡眠の質向上剤及び睡眠の質向上用組成物、日中の生産性向上剤及び日中の生産性向上用組成物、並びに集中力向上剤及び集中力向上用組成物
JP2015218119A (ja) 睡眠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た飲食品
TW201618767A (zh) 治療不寧腿症候群及腿痙攣的組成物及方法
JP5546854B2 (ja) ダンマラン系トリテルペン類含有飲食品組成物及び呈味改善方法
JP2024025139A (ja) 短鎖脂肪酸受容体gpr41活性化剤及び短鎖脂肪酸受容体gpr41活性化用組成物
JP2019156834A (ja) 体質改善剤
JP2013133295A (ja) 時計遺伝子発現調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