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986B1 -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986B1
KR102243986B1 KR1020197025627A KR20197025627A KR102243986B1 KR 102243986 B1 KR102243986 B1 KR 102243986B1 KR 1020197025627 A KR1020197025627 A KR 1020197025627A KR 20197025627 A KR20197025627 A KR 20197025627A KR 102243986 B1 KR102243986 B1 KR 10224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ing
support
substrate suppor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790A (ko
Inventor
츠요시 타가시라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Abstract

복수 종류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는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케이싱은, 기판 지지부와 기판 지지체를 내부에 구비한다. 기판 지지부는 제1 기판 지지부을 케이싱 내의 제1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1 지지부를 구비한다. 기판 지지체는, 제2 기판을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2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본 발명은 복수 종류의 기판에 대응하는 케이싱과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기판을 케이싱에 설치하는 기법으로, 케이싱 내부의 지지대에 기판을 설치하는 것이 있다. 그를 위한 케이싱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또한, 기판을 커넥터 및 단자의 결합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있다. 그를 위한 케이싱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2-22216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6-269632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는, 각각의 기판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에의 기판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기판의 설치를 위한 구성은 각각 대응하는 기판에만 적합한 기판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기판을 변경하는 요구가 있을 경우, 이에 즉시 대응할 수 없다.
특히, 산업용 로봇의 제어 기판을 케이싱에 설치하여 고객에게 납품하는 경우에는, 현장마다 기판에 대한 요구가 상이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장마다 필요한 기판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현장마다 다른 기판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납품시에 규격품의 제어 기판이 부착된 케이싱을 고객에게 제공하였지만, 규격품의 제어 기판으로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현장에서의 요구에 따라 커스더마이즈(customize)된 제어 기판을 납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다른 기판에의 요구에 대해 즉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복수 종류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는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싱은, 제1 기판 지지부와 제2 기판 지지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싱으로서, 제1 기판 지지부는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기판을 상기 케이싱 내의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2 기판 지지부는 제1 기판과는 다른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기판에 대응하여 기판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의 변경 요구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싱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싱이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수납한 상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a)는 도 1의 케이싱의 내부에 기판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대해 도시한 케이싱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b)는 기판에 장착된 커넥터를 케이싱의 외측에서 볼 때의 케이싱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a)는 도 3(a)에 도시된 케이싱 내부에서 지지되고,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의 기판의 평면도이고, (b)는 브라켓을 반전시킬 때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c)는 반전시킨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케이싱의 내부에서 베이스 기판에 기판 지지체가 설치된 상태에 대해 도시한 케이싱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판 지지체에서 기판 파지부에 의해 기판이 파지된 상태의 케이싱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부 기판이 기판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 기판이 기판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 대해 도시한 케이싱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는 케이싱(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뚜껑을 분리한 케이싱(100)을 도시하고 있다.
케이싱(100)은 내부에 기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0)은 특히 복수 종류의 기판을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2종류의 기판을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0)에는 기판 지지부(제1 기판 지지부)(10)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는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하는 기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지지부(10)는 케이싱(100)에 배치되는 2종류의 기판 중 1종류의 기판(제1 기판)에 대응하고, 그 기판에 대한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에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지지부(10)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에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2개의 지지부(11, 1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1, 12) 각각에 의해 기판이 지지된다.
또한, 케이싱(100)에는, 베이스 기판(제3 기판)(20)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기판(20)에는 배선 및 각종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기판(20)은 제어 회로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20)은 기판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블록 등이 베이스로서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베이스는 다른 부재라도 좋다.
또한, 베이스 기판(20)에는 후술하는 기판 지지체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保持)하는 기판 지지체 유지부(제2 기판 지지체 유지 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0)에는 기판의 설치 공간으로서의 기판 지지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40, 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100)은 수직 방향으로 상하 2개의 기판 지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기판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40, 41)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은 로봇(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로서 기능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이 로봇(60)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기판으로서 적용되었을 때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은 내부에 제어 기판(50)을 구비한다. 제어 기판(50)은 로봇(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은 로봇(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50)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60)은 다축(多軸)의 산업 로봇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에 배치될 수 있는 2종류의 기판 중 1종류의 기판(제1 기판)이 탑재된 경우의 케이싱(1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은 기판(70, 71)을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100)은 장착 가능한 2종류의 기판 중 1종류의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하 2개의 기판(70, 71)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 기판 지지 위치와 하부 기판 지지 위치에 기판(70, 71)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는 수직 방향으로 2개의 기판(70, 71)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에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2개의 지지부(11, 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판 지지부(10)는 케이싱(100) 내의 상부 기판 지지 위치(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지지부(제1 지지부)(11)와, 케이싱(100)의 하단 기판 지지 위치(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지지부(제3 지지부)(12)를 구비한다. 또한, 기판 지지부(10)는 2개의 지지부(11, 12)를 구비하도록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는 지지부(11)와 지지부(12) 각각에서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기판 지지 위치와 하부 기판 지지 위치가 상하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기판 지지 위치와 하부 기판 지지 위치가 서로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되도록 각각 케이싱(100) 내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70, 71) 각각에는 브라켓(72, 73)이 결합되어 있다.
브라켓(72, 73)에 대해 설명한다. 브라켓(72, 73)은 각각 기판 지지부(10)에의 설치를 수행하기 위해서, 기판(70, 71)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4(a)에 브라켓(72)이 결합된 기판(7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브라켓(72)은 기판(70)에 브라켓(72)을 결합하기 위한 구멍(72a, 72b)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72a, 72b)을 통해 나사 고정을 함으로써, 브라켓(72)이 기판(7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70)에 브라켓(72)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72a, 72b)이 2개 형성되고, 2개소의 나사 고정에 의해 브라킷(72)이 기판(70)에 설치된다.
또한, 브라켓(72)은 기판(70)에 브라켓(72)을 결합하기 위한 구멍과는 다른 위치에 구멍(72c)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72c)을 통해 나사 고정을 함으로써 브라켓(72)이 케이싱(100) 측에 설치된 기판 지지부(10)에 설치된다. 브라켓(72)이 기판 지지부(10)에 나사 고정되어 고정적으로 설치됨에 따라서, 기판(70)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브라켓(72)에서 기판 지지부(10)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구멍(72c)은 기판(70)의 길이 방향(D1)에 대해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브라켓(72)이 기판 지지부(10)의 지지부(11)에 설치되고, 기판 지지부(10)의 상부 기판(70)에 대응하는 브라켓(72)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72)은, 구멍(72c)이 기판(70)의 길이 방향(D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연직 방향의 상하에 2개 도시된 기판(70, 71) 중 상부 기판(70)에 대응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70)의 길이 방향(D1)에 대한 브라켓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브라켓의 앞뒤(表裏)를 반전시킨다. 이때, 브라켓은 도 3에 표시된 연직 방향의 상하에 2개 도시된 기판(70, 71) 중 하부 기판(71)에 대응하는 브라켓(73)으로서 기능한다. 도 4(b)에 브라켓의 앞뒤를 반전시켜 연직 방향의 상하 2개의 기판(70, 71) 중 상부 기판(70)에 대응하는 브라켓(72)에서 하부 기판(71)에 대응하는 브라켓(73)으로 전환할 때의 반전에 대해 설명하는 구성도를 도시한다.
브라켓(72)이 반전함에 따라서, 브라켓(72)에서 기판 지지부(10)에 나사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한 구멍(72c)은 기판(70)의 길이 방향(D1)에 대해서 내측으로 이동하고, 하부의 기판(71)에 대응하여 지지부(12)에의 설치를 위한 구멍(73c)이 된다.
도 4(c)에 반전된 브라켓(73)이 하부 기판 지지 위치에 대응하는 브라켓(73)으로서 기판(71)에 설치되었을 때의 기판(7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73c)이 기판(70)의 길이 방향(D1)에 대해서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기판(71)에 설치되기 때문에, 브라켓(73)이 하부 기판(71)에 대응하는 지지부(12)로 기판 지지부(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브라켓(73)은 하부 기판(71)에 대응하는 브라켓(73)으로서 기판(71)에 나사 고정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브라켓(73)이 기판 지지부(10)의 지지부(12)에 나사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브라켓(73)이, 기판(71)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기판 지지부(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기판(71)이 기판 지지부(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케이싱(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72, 73)의 앞뒤를 반전시킴으로써 상부 기판(70)에 대응하는 브라켓(72)에서 하부 기판(71)에 대응하는 브라켓(73)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기판(70)과 하부 기판(71) 간에 기판의 종류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판 자체를 바꾸지 않고, 상부에 설치되는 기판(70)과 하부에 설치되는 기판(71) 간의 전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설치 위치에 기판을 배치하기 위해서, 기판마다, 기판을 각각의 설치 위치에 적합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서, 상부 기판(70)과 하부 기판(71) 간에 기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부 기판(70)과 하부 기판(71) 간에 공통의 기판이 사용되기 때문에, 기판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제어 기판(50)을 수용하는 케이싱(10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기판(70)과 하부 기판(71) 간에 기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규격품인 기판을 공통의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제어 기판(50)을 수납하는 케이싱(100)의 제조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기판(70)에서 케이싱(100)의 개구부(40)에 대향하는 면에는 커넥터(7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b)에 커넥터(74, 75)에 대해서 케이싱(100)의 외측에서 본 정면도를 도시한다. 기판(70)에 커넥터(74)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터(74)가 개구부(40)에 설치됨으로써, 기판(70)이 케이싱(1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기판(70)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단단히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기판(71)의 케이싱(100)의 개구부(41)에 대향하는 면에는 커넥터(75)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71)에 커넥터(75)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터(75)가 개구부(41)에 설치됨으로써, 기판(71)이 케이싱(1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기판(71)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단단히 지지된다.
다음으로,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과는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을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은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과는 다른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한다.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을 설치하는 경우, 기판 지지체 유지부(30)에 기판 지지체(제2 기판 지지부)(80)가 설치된다.
도 5는 기판 지지체 유지부(30)에 기판 지지체(80)가 설치된 때, 케이싱(100) 내부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기판 지지체(80)는 베이스 기판(20)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지지체(80)는 배선과 소자 등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으로서 기능을 한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80)의 주면(主面)이 베이스 기판(20)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80)의 주면이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제1 기판, 제2 기판)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체(80)에는, 기판(제2 기판)을 지지할 수 있는 기판 파지부(기판 파지 수단)(81, 82)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을 상부 기판 지지 위치(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기판 파지부(제2 지지부)(81)와 하부 기판 지지 위치(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기판 파지부(제4 지지부)(82)를 구비한다. 기판 파지부(81, 82)는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이 설치되는 위치와 공통되는 위치에서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을 파지한다. 즉,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은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이 설치되는 위치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판 지지체(80)는 기판을 상부 기판 지지 위치 및 하부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다. 따라서, 공통되는 기판 지지 위치에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과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파지되는 기판의 양방에 대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의 기판 지지 위치와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2 기판)의 기판 지지 위치를 공통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이 설치되는 위치는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의 설치되는 위치와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위치라면 좋다.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의 위치와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의 지지 위치의 일부와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의 지지 위치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있으면 좋다.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과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 사이에서 기판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공유되어 있으면 좋다.
기판 파지부(81, 82)는 커넥터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기판 파지부(81, 82)에 의해 기판이 파지된 경우에는 기판 파지부(81, 82)에 의해 파지된 기판과 기판 파지부(81, 82)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로서의 기판 파지부(81, 82)에 기판이 연결됨으로써 기판 파지부(81, 82)가 기판을 파지한다.
도 6은 기판 파지부(81, 82)에 의해 기판(76, 77)이 파지된 상태의 케이싱(100)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76, 77)이 커넥터로서의 기판 파지부(81, 8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기판(76, 77)이 기판 파지부(81, 82)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파지부(81, 82)는 연직 방향으로 수평 배열된 2 개의 기판(76, 77)을 파지하고 있다. 상부 기판 파지부(81)가 기판(76)을 파지하고 하부 기판 파지부(82)가 기판(77)을 파지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기판(20)은 케이싱(100)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체 유지부(30)는 베이스 기판(2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 유지부(30)에 대해 커넥터에 의한 체결에 의해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기판 파지부(81, 82)는 기판 지지체(8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판(76, 77)은 기판 파지부(81, 82)에 대해 커넥터에 의한 체결에 의해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기판(76, 77)은 케이싱(100)에 단단히 설치된다.
기판(76, 77)에서 케이싱(100)의 개구부(40, 41)에 대향하는 면에는 커넥터(78, 79)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76)에 커넥터(78)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터(78)가 개구부(40)에 설치됨으로써 기판(76)이 케이싱(1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기판(76)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단단히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기판(77)에 커넥터(79)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터(79)가 개구부(41)에 설치됨으로써 기판(77)이 케이싱(1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기판(77)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단단히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지지체(80)는 기판(76, 77)과 베이스 기판(20)에 연결되는 기판(제4 기판)이다.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기판(76, 77)이 지지된 경우에는 기판 지지부(80)를 통해 기판(76, 77)과 베이스 기판(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76, 77)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적용되는 데 필요한 회로가 형성된 기판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케이싱(100)에 의하면,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의 설치 위치와 중복되는 위치에 다른 종류의 다른 기판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하는 기판의 종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기판의 종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의 변경에 대한 요구가 있을 경우에 이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0)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판의 설치 방법에 따르면,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을 케이싱(10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판을 기판 지지부(10)에 지지시킨다. 기판 파지부(81, 82)에 의해 파지되는 기판을 케이싱(10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판 지지체 유지부(30)에 의해 유지된 기판 지지체(80)에 기판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서,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판을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로봇의 제어 기판을 수용한 케이싱을 고객에게 납품하는 경우에는 로봇 주변의 환경이 현장마다 다르기 때문에 현장마다 사용하는 기판의 종류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서 로봇의 주변 환경에 따라 그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변경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케이싱 내부의 제어 기판을 변경시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납품시 규격품의 제어 기판이 설치된 케이싱을 고객에게 납품하였지만, 규격품의 제어 기판으로는 현장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으면, 현장에서의 요구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된 제어 기판을 납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0)은 쉽게 제어 기판을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제어 기판의 변경 요구가 있을 경우, 기판의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마다 케이싱(100)의 사양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케이싱(100) 및 제어 기판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객이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 지지체(80)가 기판인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이 아닌 판형의 부재여도 좋다. 또한, 기판 지지체(80)는 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2개의 기판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 수단을 2개의 기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면 기판 지지체(80)는 기판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 파지부(81, 82)가 커넥터인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 지지체(80)에 설치되는 기판 파지부는, 예를 들어, 기판을 클램프에 의해 파지하는 클램프부 등이어도 좋다. 또한, 기판을 파지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의 기판 파지부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기판 설치 위치와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동일한 종류의 기판이 설치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과 하부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 사이에서 다른 종류의 기판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 7은 상부 기판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과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 사이에서 다른 종류의 기판이 사용된 케이싱(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다. 도 7에서는, 상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이 설치되고,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파지되는 기판(제2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00)의 내부에 2개의 기판 설치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기판이 설치되어도 좋다.
여기서, 도 7에서는, 상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이 설치되고,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파지되는 기판(제2 기판)이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기판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과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기판 사이의 관계는 반대라도 좋다. 즉, 상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체(80)에 의해 파지되는 기판(제2 기판)이 설치되고, 하부 기판 설치 위치에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이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기판(20)에 기판 지지체 유지부(30)가 형성된 기판 지지체(80)가 기판 지지체 유지부(30)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 지지체(80)는 베이스 기판(20)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케이싱(100)에 직접 고정되어도 좋다. 기판 지지체(80)는 베이스 기판(20)과 케이싱(100)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 위치가 상하로 2개 설치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싱은 3개 이상의 복수의 공통된 위치에 다른 종류의 기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케이싱은 하나의 공통된 위치에 다른 종류의 기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각각 기판을 설치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싱은 같은 높이의 복수의 위치에 기판을 설치하는 구성을 구비하여도 좋다. 공유하는 공간에 종류가 다른 기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같은 높이의 복수의 위치에 기판을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80)의 주면이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제1 기판, 제2 기판)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80)의 주면이, 케이싱(100) 내에 설치되는 기판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에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기판 지지체(80)는 기판 지지체(80)의 주면이 기판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른 종류의 기판(제2 기판)이 기판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제1 기판)과 공통된 지지 위치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기판 지지체(80)의 주면과 기판의 주면이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있지 않아도 좋다.
10: 기판 지지부
20: 베이스 기판
30: 기판 지지체 유지부

Claims (10)

  1. 제1 기판 지지부와, 제2 기판 지지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싱으로서,
    제1 기판 지지부는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기판을 상기 케이싱 내의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2 기판 지지부는 제1 기판과는 다른 소정의 위치에 피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 지지부는 상기 제1 기판을 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3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 지지부는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4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와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 중 어느 곳에서 지지될지 여부를 반전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와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지지부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4. 제3항에 있어서,
    제3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기판에 대해 상기 제2 기판 지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지지부는 제4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판은, 주면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에 지지되는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에 지지되는 기판 사이에서 기판의 종류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8. 제1 기판을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기판 지지부와, 상기 제1 기판과는 다른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한 제2 기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 지지부는 상기 제1 기판을 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3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 지지부는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제4 지지부를 구비하는 케이싱에 기판을 설치하는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시키고,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케이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하고,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1 기판 지지 위치와 상기 제2 기판 지지 위치 중 어느 곳에서 지지될지 여부를, 상기 제1 기판에 설치된 브라켓을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97025627A 2017-02-27 2018-02-26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KR102243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4990A JP6985802B2 (ja) 2017-02-27 2017-02-27 筐体及び基板の筐体への設置方法
JPJP-P-2017-034990 2017-02-27
PCT/JP2018/007011 WO2018155691A1 (ja) 2017-02-27 2018-02-26 筐体及び基板の筐体へ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790A KR20190112790A (ko) 2019-10-07
KR102243986B1 true KR102243986B1 (ko) 2021-04-26

Family

ID=6325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627A KR102243986B1 (ko) 2017-02-27 2018-02-26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13135B2 (ko)
EP (1) EP3589096B1 (ko)
JP (1) JP6985802B2 (ko)
KR (1) KR102243986B1 (ko)
CN (1) CN110326375B (ko)
WO (1) WO20181556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5567A1 (en) * 2007-08-24 2009-02-26 Richard Chen Device for assemblying transversal pci expansion cards and a compute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093U (ko) * 1987-09-07 1989-07-27
JPH04107505U (ja) * 1991-03-04 1992-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取付金具
JPH0715155A (ja) * 1993-06-25 1995-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基板固定具
JP2730464B2 (ja) * 1993-12-20 1998-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構造
US6261104B1 (en) * 1999-08-16 2001-07-17 Micron Electronics, Inc. Riser card assembly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JP3068461U (ja) * 1999-10-25 2000-05-12 船井電機株式会社 樹脂成形キャビネット
ITMI20010868A1 (it) * 2001-04-24 2002-10-24 Abb Ricerca Spa Dispositivo di assemblaggio di schede per circuiti stampati
JP2002353662A (ja) * 2001-05-28 2002-12-06 Nec Computertechno Ltd 回路基板の固定構造
JP3678724B2 (ja) * 2002-12-11 2005-08-03 Tdk株式会社 表面実装部品用ケースおよび表面実装電子部品
JP4408826B2 (ja) 2005-03-23 2010-02-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回路基板収容箱
JP5217908B2 (ja) * 2008-10-29 2013-06-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及び電子機器
JP2011071342A (ja) * 2009-09-25 2011-04-07 Aisin Seiki Co Ltd 基板保持装置
CN201654636U (zh) * 2009-11-16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201681332U (zh) * 2010-03-17 2010-12-22 东莞栢能电子科技有限公司 Mini PCI-E设备的活动式安装结构
CN102213981B (zh) * 2010-04-08 2015-03-25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扩充卡安装架
JP2012222168A (ja) 2011-04-11 2012-11-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子モジュール
CN202838147U (zh) * 2012-10-12 2013-03-2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转接装置及转接装置与扩展卡的组合件
DE102015101308B3 (de) * 2015-01-29 2016-06-09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Haltevorrichtung, Anordnung mit einer Haltevorrichtung und Rackservereinschub
TWI554192B (zh) * 2015-11-06 2016-10-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轉接卡旋轉模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5567A1 (en) * 2007-08-24 2009-02-26 Richard Chen Device for assemblying transversal pci expansion cards and a comput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26375A (zh) 2019-10-11
EP3589096A1 (en) 2020-01-01
KR20190112790A (ko) 2019-10-07
WO2018155691A1 (ja) 2018-08-30
JP2018142584A (ja) 2018-09-13
US20200008313A1 (en) 2020-01-02
US11013135B2 (en) 2021-05-18
JP6985802B2 (ja) 2021-12-22
EP3589096B1 (en) 2023-04-26
CN110326375B (zh) 2021-01-15
EP3589096A4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702B2 (en) KVM switch, mounting bracket and system
KR102243986B1 (ko) 케이싱 및 기판의 케이싱에의 설치 방법
CN108738250B (zh) 用于联接至模块装置的电子模块及模块装置
JP6361842B1 (ja) インバータ装置
JP6960573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モータ駆動装置
JP2014183711A (ja) モータ駆動装置
WO2011093049A1 (ja) 薄型表示装置
US10487978B2 (en) Rail mounted assembly and method of securing and releasing components of the assembly
JP2017022183A (ja) 電子部品ユニット用基板、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JP6599077B1 (ja) バックプレーン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ユニット
JP2023028308A (ja) コントローラ
JP5987649B2 (ja) ユニット取付構造
CN210351759U (zh) 加固框架、结构组件和模块设备
JP6807549B2 (ja) 筐体およびリモコン装置
CN210678736U (zh) 机器人控制柜及用于机器人控制柜的框架
KR200450808Y1 (ko) 필드버스
JP2004037596A (ja) 機材取付板、機材取付板を有する棚、及び機材取付板を有する光接続トレイ
JP2014064343A (ja) モータ駆動装置
US20190230784A1 (en) Electronic component of an adjustable furniture system, furniture system,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component
JPH0735428Y2 (ja) プリント基板収納ラックへのコネクタ取付装置
JP2023028305A (ja) コントローラ
JP2001077555A (ja) 信号処理装置の入出力線の接続構造
JP2020187934A (ja) 照明制御盤
JP2000069070A (ja) ハブ装置
JP2017195079A (ja) 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