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40B1 -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 Google Patents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40B1
KR102239240B1 KR1020190047023A KR20190047023A KR102239240B1 KR 102239240 B1 KR102239240 B1 KR 102239240B1 KR 1020190047023 A KR1020190047023 A KR 1020190047023A KR 20190047023 A KR20190047023 A KR 20190047023A KR 102239240 B1 KR102239240 B1 KR 10223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rocessed
support
scarf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914A (ko
Inventor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4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로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를 포함하는 처리부, 가공되는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되는 부산물을 차단하도록,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공기보다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피처리물을 폭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셔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장치를 이용한 스카핑 방법으로서, 피처리물을 가공할 때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Scarfing apparatus and Scarfing method}
본 발명은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카핑 공정에 중 가공되는 피처리물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주공정에서는 슬라브가 생산되는데, 이러한 슬라브는 절단되어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고, 표면 결함이 없는 경우 열연 가열로를 거쳐 열연코일 및 냉연코일로 압연된다. 슬라브에 표면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제품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표면 결함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제거되어야 하며, 슬라브의 표면 결함을 제거하는 작업을 스카핑(scarfing) 공정이라고 한다.
스카핑 공정은 슬라브 표면에 발생하는 결함을 가열, 용융 산화시킨 후, 고압의 기체 및 처리수를 분사하여 슬라브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한다. 그런데 슬라브 표면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스케일이 비산될 수 있다. 이에, 비산되는 스케일을 차단하기 위해 셔터가 마련되어 스케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한편, 스카핑 공정에서 스카핑 장치로 벤딩된 슬라브 혹은 폭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슬라브가 장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브 가공시 슬라브에 뒤틀림 현상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슬라브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연주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에는 슬라브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130250 B1
본 발명은 스카핑 공정 중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카핑 가공되는 피처리물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의 변형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피처리물을 생산할 수 있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로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를 포함하는 처리부; 가공되는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되는 부산물을 차단하도록,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공기보다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피처리물을 폭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셔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셔터 하면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셔터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고,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기; 및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와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셔터의 하면에서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 경로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지지기몸체; 상기 지지기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피처리물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기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기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부산물이 상기 지지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부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커버는, 상기 가공기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셔터는, 피처리물과 접촉시 마찰을 방지하도록 셔터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롤러는, 상기 셔터 하면의 중심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셔터의 내부로 삽입되고, 피처리물의 이동방향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에서 피처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상기 스카핑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를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셔터 하측에서 상기 피처리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을 스카핑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를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셔터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셔터의 이동과 함께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에서 상기 피처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 측정되는 값에 따라,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롤러를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은, 이송되는 피처리물이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피처리물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셔터의 하측에서 이송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설치하여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의 폭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의해 폭방향이 지지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가공하므로, 피처리물에 뒤틀림과 같은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우수한 품질의 피처리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을 지지하는 작업과 피처리물을 가공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므로, 스카핑 공정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부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 피처리물이 장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기가 피처리물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셔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기가 피처리물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는 피처리물의 표면에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피처리물은 연속주조공정시 생산되는 슬라브를 비롯한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처리물이 연속주조공정시 생산되는 슬라브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부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1000)는 피처리물(S)을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처리부(1100)와, 가공되는 피처리물(S)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차단하는 셔터(1210)를 포함하는 커버부(1200)와, 피처리물(S)을 폭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셔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0)는 셔터(1210)의 하면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셔터(1210)의 하면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부(1300)를 설명한다.
처리부(1100)는 피처리물(S)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1110)와, 이송기(1110)로 이송되는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기(1110)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피처리물(S)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기(1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피처리물(S)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기(1110)는 피처리물(S)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롤로 구비될 수 있다. 이송기(1110)는 복수개의 롤을 회전시켜, 피처리물(S)을 지지부(130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송기(1110)는 피처리물(S)을 전진 혹은 후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기(1110)는 복수개의 롤로 구비될 뿐 아니라 벨트구조의 레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송기(1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공기(1120)는 이송기(1110)로 이송되는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기(1120)는 이송기(1110)의 외측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송기(1110)에서 피처리물(S)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S)을 가공하는 가공기(1120)는 이송기(1110)로 이송되는 피처리물(S)을 향해 화염 생성을 위한 공정 가스를 분사하여, 피처리물(S)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공정 가스는 산소 가스와 연료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가스는 LPG 또는 LNG 가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기(11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피처리물(S)의 상부의 좌측 및 우측, 하부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상부의 양측에서 피처리물(S)에 산소와 연료 가스를 분사할 수 있고, 하부의 양측에서 피처리물(S)에 산소와 연료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하지만 가공기(1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부(1200)는 가공기(1120)로 피처리물(S)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1200)는 피처리물(S)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공기(1120)보다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200)는 비산되는 부산물을 막아줄 수 있는 셔터(1210)와, 셔터(1210)를 양측에서 지지해주는 지지대(1220)와, 셔터(1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셔터(12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셔터구동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210)는 피처리물(S)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이 가공기 근처 이외의 영역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셔터(1210)는 이송기(1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대(1220)에 설치될 수 있다. 셔터(1210)는 비산되는 부산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피처리물(S)이 이송되는 이송기(1110)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셔터(1210)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기(11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10)는 직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셔터(1210)의 상측 양단에는 셔터(1210)를 관통하는 관통홀(12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셔터(1210)가 지지대(1220)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통홀(1212)은 후술하는 기둥(1221)의 고정핀 삽입홈(1221b)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셔터(1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처리물(S)과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셔터(1210)는 이동하는 피처리물(S)과 접촉시 셔터(1210)와 피처리물(S)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처리물(S)과 접촉하는 부분에 셔터롤러(1211)를 구비할 수 있다.
셔터롤러(1211)는 셔터(1210)에서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롤러(1211)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셔터롤러(1211)는 셔터(1210)의 하면의 중심부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송기(1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셔터롤러(1211)는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은 셔터(1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셔터롤러(1211)는 셔터(1210) 하면의 중심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셔터(1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셔터롤러(1211)는 셔터(1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처리물(S)과 접촉시 피처리물(S)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셔터롤러(121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내열성을 가지도록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셔터롤러(1211)를 가공기(1120)로 가공되며 고온 상태가 된 피처리물(S)과 접촉시키더라도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셔터(1210)와 셔터롤러(12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대(12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121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1220)는 셔터(1210)를 좌측 및 우측에서 지지하는 기둥(1221)과, 셔터(12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기둥(1221)을 연결해주는 들보(12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1221)은 이송기(1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221)은 직육면체의 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기둥(1221)에는 셔터(12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 홈(1221a)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21a)은 기둥(1221)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1221a)의 형성 두께는 셔터(1210)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1221a)의 상하방향 형성 길이는 셔터(1210)의 상하 방향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홈(1221a)의 상하방향 형성 길이는 셔터(1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셔터(1210)를 피처리물(S)과 접촉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홈(1221a)이 셔터(1210)의 이동거리를 반영한 길이로 형성되므로, 셔터(1210)의 적어도 일부가 기둥(1221)의 홈(1221a)에 삽입될 수 있고, 홈(12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S)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기둥(1221)의 상측에는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홈(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 삽입홈(1221b)은 셔터(1210)의 관통홀(1212)과 중심이 일치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에, 관통홀(1212)과 고정핀 삽입홈(1221b)이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관통홀(1212)과 고정핀 삽입홈(122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스카핑 장치(1000)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셔터(1210)는 고정핀을 통해 지지대(1220)에 고정되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12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들보(1222)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들보(1222)의 일측은 이송기(1110)의 좌측에 설치되는 기둥(1221)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이송기(1110)의 우측에 설치되는 기둥(1221)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들보(1222)의 중심부에는 셔터구동기(1230)가 설치될 수 있다. 셔터구동기(123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홀(1222a)이 형성될 수 있다. 홀(1222a)에는 후술하는 셔터구동기(1230)의 연결체인(1231)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들보(12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셔터구동기(1230)는 들보(1222)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셔터(1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셔터(1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구동기(1230)는 셔터(1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및 공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셔터구동기(1230)의 양측에는 연결체인(123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체인(1231)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체인(1231)은 들보(1222)에 형성된 홀(1222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셔터구동기(1230)와 셔터(12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연결체인(1231)을 통해 셔터구동기(1230)의 구동력을 셔터(1210)로 전달할 수 있고, 셔터(1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처리물(S)과 접촉시킬 수 있다. 셔터구동기(1230)와 연결체인(12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1300)는 피처리물(S)을 피처리물(S)의 폭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0)는 셔터(1210)의 하면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300)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0)는 셔터(1210)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310)와, 피처리물(S)과 접촉하는 지지기(1320)와, 지지기(13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기(1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10)는 셔터(1210)의 하면에 설치되며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310)는 셔터(1210) 하면의 양단부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10)는 지지기(13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1311)과, 가이드레일(1311)의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부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1)은 셔터(1210)의 하면에서 셔터(1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1311)은 셔터(1210) 하면의 단부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1)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3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11)은 철 레일 혹은 슬라이딩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레일(13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부재(1312)는 가이드레일(13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1312)는 가이드레일(1311)에 형성된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이동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312)가 이동경로를 이동하며 지지기(1320)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재(1312)는 이동 경로 상에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312)는 롤러로 마련될 수 있고, 롤러의 종류는 'U' 형상의 롤러 혹은 'ㄷ' 형상의 롤러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부재(13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기(1320)는 가이드부재(1310)와 연결되고, 피처리물(S)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S)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기(1320)는 이동부재(1312)와 연결되고, 이동부재(1312)의 이동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피처리물(S)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기(1320)는 이동부재(1312)와 연결되는 지지기몸체(1321)와, 피처리물(S)과 접촉하여 피처리물(S)을 가압 지지하는 지지롤러(1322) 및 지지롤러(132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몸체(1321)는 지지기(132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기몸체(1321)는 내부에 지지롤러(1322) 및 회전축(1323)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지지기몸체(132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기몸체(1321)는 지지기몸체(1321)의 상부에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21a)와, 지지기몸체(1321)에서 'l'자 형태로 형성되는 중앙몸체(1321b)와, 지지기몸체(1321)의 하부에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321c)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몸체(1321a)는 상면에 이동부재(1312)와 상부몸체(1321a)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32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몸체(1321a)의 하면에는 회전축(132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회전축(1323)을 감싸는 베어링(1323a)이 설치될 수 있다. 중앙몸체(1321b)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부몸체(1321a)와 연결되며 타측이 하부몸체(1321c)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몸체(1321b)의 상하 방향 길이는 회전축(1323) 및 지지롤러(1322)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1321c)의 상면에는 회전축(132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회전축(1323)을 감싸는 베어링(1323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1321a)와 하부몸체(1321c) 사이의 거리는 지지롤러(1322)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322)가 피처리물(S)과 접촉하여 회전할 경우, 상부몸체(1321a) 혹은 하부몸체(1321c)와 부딪히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부몸체(1321a), 중앙몸체(1321b) 및 하부몸체(132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지지기몸체(1321)에는 피처리물(S)까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1324)가 구비될 수 있다. 측정센서(1324)는 상부몸체(1321a)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측정센서(1324)는 상부몸체(1321a)에서 피처리물(S)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측정센서(1324)는 상부몸체(1321a)에서부터 피처리물(S) 측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센서(1324)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따라 지지부(1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1324)는 상부몸체(1321a)에서 피처리물(S) 측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 혹은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측정센서(1324)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롤러(1322)는 피처리물(S)과 접촉하며, 피처리물(S)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지지롤러(1322)는 지지기몸체(1321)의 상부몸체(1321a)와 하부몸체(132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롤러(1322)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롤러(1322)는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기몸체(132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ㄷ' 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기몸체(1321)에서 개방된 부분으로 지지롤러(1322)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롤러(1322)의 회전 중심은 상부몸체(1321a)와 하부몸체(1321c)의 중심을 기준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롤러(1322)는 내열성을 가지도록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322)를 고온의 피처리물(S)과 접촉시키더라도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지지롤러(13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회전축(1323)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323)은 지지롤러(1322)의 중심을 관통하며, 지지롤러(1322)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1323)의 양단은 각각 상부몸체(1321a) 및 하부몸체(1321c)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1323)과 상부몸체(1321a) 및 하부몸체(1321c)의 사이에는 베어링(1323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회전축(1323)이 상부몸체(1321a) 및 하부몸체(1321c)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132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기(1330)는 지지기(1320)를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1330)는 구동기몸체(1331), 중앙몸체(1321b)와 연결되는 로드(1332), 구동기몸체(1331)에 가스를 공급하는 유체라인(13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몸체(1331)는 구동기(1330)의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로드(1332)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동기몸체(1331)의 상면에는 셔터(1210)의 하면과 구동기몸체(1331)의 상면을 연결하는 구동기고정바(1331a)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기몸체(1331)는 구동기고정바(1331a)를 통해 셔터(1210)의 하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구동기(1330)가 셔터(1210)의 하면에 고정 지지되어 지지기(1320)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몸체(1331)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로드(133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로드(1332)는 적어도 일부가 구동기몸체(13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구동기몸체(13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기몸체(1321)의 중앙몸체(132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로드(1332)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지지기몸체(1321)가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라인(1333)은 구동기몸체(1331)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구동기몸체(1331)는 유체라인(1333)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로드(1332)를 밀어 이동시킴으로 지지기(1320)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몸체(1331), 로드(1332) 및 유체라인(133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300)는 피처리물(S)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이 지지부(1300)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부커버(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커버(1340)는 가공기(1120)에 대항하는 방향을 커버하도록 가공기(1120)와 지지부(130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기(13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지지부커버(1340)는 적어도 일부가 지지기(1320)의 상면에서 가공기(1120)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커버(1340)는 단면이 반원형, 반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커버(1340)는 내열성을 가지도록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커버(1340)는 고온의 부산물이 비산되어도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커버(13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 피처리물이 장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기가 피처리물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셔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장치에서 지지기가 피처리물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이송기(1110) 상에서 이송되는 피처리물(S)을 지지부(1300)로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지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피처리물(S)은 이송기(1110)에 안착되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처리물(S)은 셔터(1210)의 하측으로 장입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피처리물(S)이 셔터(1210)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셔터구동기(1230)는 셔터(12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셔터(121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셔터(1210)의 하면의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롤러(1211)를 피처리물(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셔터롤러(1211)는 이동하는 피처리물(S)과 접촉함에 따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S)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셔터롤러(1211)는 셔터롤러(1211)를 좌측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셔터롤러(1211)는 피처리물(S)과 접촉할 경우 피처리물(S)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속도를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셔터(12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셔터롤러(1211)가 피처리물(S)과 접촉함에 따라, 셔터(1210) 하면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부(1300)도 셔터(1210)의 이동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피처리물(S)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300)가 피처리물(S)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0)가 피처리물(S)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면, 측정센서(1324)는 상부몸체(1321a)에서 피처리물(S) 측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센서(1324)가 피처리물 측면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 지지기(1320)는 측정된 값에 따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셔터(1210)의 하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지지기(1320)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셔터(1210)의 하면에서 우측에 배치된 지지기(1320)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기(1330)는 유체라인(1333)에서 가스를 공급받아 구동기몸체(1331)의 내부에 배치된 로드(1332)를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로드(1332)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및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로드(1332)의 이동에 따라 로드(1332)와 연결된 지지기(1320)도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의 양측면에서 지지기(1320)가 피처리물(S)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지지기(1320)를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및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기(13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 지지롤러(1322)가 각각 피처리물(S)의 측면과 양쪽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가압될 수 있다. 즉, 피처리물(S)은 폭방향에서 가압되며 폭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지지롤러(1322)가 피처리물(S)과 접촉하면, 지지롤러(1322)는 피처리물(S)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S)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셔터(1210)의 하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지지롤러(1322)는 시계 방향으로, 셔터(1210)의 하면에서 우측에 배치된 지지롤러(13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롤러(1322)는 회전속도를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은 지지롤러(1322)에 의해 폭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처리물(S)은 이송되며 가공기로(1120)로 표면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피처리물(S)은 하측이 이송기(1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이 셔터(1210)의 셔터롤러(121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양측면이 지지롤러(1322)에 의해 가압 지지된 상태에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은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이 지지됨에 따라, 종래에 상, 하, 좌, 우 유격으로 인해 가공시 피처리물(S)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던 문제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은 셔터(1210)와 지지부커버(13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부산물이 가공기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스카핑 장치(1000)는 이동하는 피처리물(S)을 셔터(1210)의 하측에서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이 폭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고, 폭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처리물(S)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을 가공하면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부(1300)로 피처리물(S)의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피처리물(S)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공기(1120)로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하므로 피처리물(S)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S)을 지지하는 작업과 피처리물(S)을 가공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므로 스카핑 공정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방법은 스카핑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의 표면에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스카핑 방법은 피처리물(S)을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과정(S110), 스카핑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1210)를 피처리물(S)과 접촉시키는 과정(S120), 셔터(1210)의 하측에서 피처리물(S)이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처리물(S)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S130) 및 피처리물(S)을 스카핑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처리물은 연속주조공정시 생산되는 슬라브를 비롯한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S)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기(1320)는 셔터(1210)의 하면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스카핑 방법을 좌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30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이송기(1110)를 이용하여 피처리물(S)을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카핑 공간은 스카핑 장치(1000)의 가공기(1120)에 의해 피처리물(S) 표면이 가공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송기(1110)는 피처리물(S)을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 혹은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피처리물(S)을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할 수 있다.
피처리물(S)이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되면, 스카핑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1210)를 피처리물(S)에 접촉시킬 수 있다(S120). 이를 위해, 셔터구동기(1230)를 이용하여 셔터(12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셔터(12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셔터(1210)의 하면의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롤러(1211)를 피처리물(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셔터롤러(1211)는 피처리물(S)과 접촉시, 피처리물(S)의 이동에 따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S)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셔터롤러(1211)는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셔터롤러(1211)를 좌측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셔터롤러(1211)는 회전속도를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에 동일하게 할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와 셔터롤러(1211)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피처리물(S)과 셔터롤러(1211)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셔터(121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기(1320)도 셔터(1210)의 이동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지지기(1320)는 피처리물(S)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피처리물(S)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1320)가 피처리물(S)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면, 지지기(1320)는 셔터(1210)의 하측에서 피처리물(S)이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S)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S130). 즉, 지지기(1320)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기(1320)가 이동하기 전에, 측정센서(1324)를 이용하여 지지기(1320)에서 피처리물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카핑 공간으로 장입되는 피처리물은 피처리물마다 폭방향 형 성 길이가 다르거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피처리물이 장입될 수 있다. 또한, 이송기(1110)로 이송되면서 이송기(1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위치가 틀어질 수도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기(1320)에서 피처리물(S) 표면까지의 거리와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기(1320)에서 피처리물(S) 표면까지의 거리가 다를 수 있다. 이에, 측정센서(1324)는 서로 다르게 측정되는 좌측 및 우측에서의 측정값에 따라, 지지기(1320)를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좌측에 배치된 지지기(1320)와 우측에 배치된 지지기(1320)가 각각 측정된 측정값만큼 이동시키므로, 피처리물(S)과 지지기(1320)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지지기(1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기(1320)가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기(13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롤러(1322)를 피처리물(S)의 측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기(1320)를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기(1320)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롤러(1322)를 피처리물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피처리물(S)은 양측면에서 지지롤러(1322)의해 가압되며 폭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은 하측은 이송기(1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은 셔터(1210)의 셔터롤러(121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양측면은 지지롤러(13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피처리물(S)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에서 지지된 상태로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롤러(1322)가 피처리물(S)에 접촉하게 되면, 지지롤러(1322)를 피처리물(S)의 이동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롤러(1322)와 피처리물(S) 접촉시, 피처리물(S)의 이동 방향에 따라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지롤러(13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S)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롤러(1322)를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된 지지롤러(13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우측에 배치된 지지롤러(13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322)의 회전방향을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 피처리물(S)이 지지롤러(13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에 따라 지지롤러(1322)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지지롤러(1322)의 회전속도를 지지기(1320)를 통과하는 피처리물(S)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322)의 회전속도를 피처리물(S)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하므로,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피처리물(S)과 지지롤러(1322) 사이의 마찰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피처리물(S)이 지지롤러(1322)에 의해 가압 지지되면, 가공기(1120)가 피처리물(S)의 표면을 스카핑 할 수 있다(S140). 즉,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피처리물(S)은 하측은 이송기(1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은 셔터(1210)의 셔터롤러(121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양측면은 지지롤러(1322)에 의해 가압 지지된 상태에서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하며 가공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S)은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이 지지됨에 따라 종래에 상, 하, 좌, 우의 유격으로 인해 가공시 피처리물(S)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던 문제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부산물을 차단하는 셔터(1210)의 하측에서 피처리물(S)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피처리물(S)을 지지하므로, 피처리물(S)의 폭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처리물(S)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을 가공하면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셔터(1210)와 지지부(1300)로 피처리물(S)의 상하 방향 및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피처리물(S)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공기(1120)로 피처리물(S)의 표면을 가공하므로 피처리물(S)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우수한 품질의 피처리물(S)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스카핑 장치 1100: 처리부
1100: 이송기 1120: 가공기
1200: 커버부 1210: 셔터
1300: 지지부 1310: 가이드부재
1320: 지지기 1322: 지지롤러
1330: 구동기 1340: 지지부커버

Claims (16)

  1.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로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를 포함하는 처리부;
    가공되는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되는 부산물을 차단하도록,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공기보다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측 상단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셔터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피처리물을 폭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셔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부산물이 상기 지지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기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지지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셔터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셔터를 상하로 구동시킬 수 있는 셔터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홀, 양측 상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 및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고정핀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셔터구동기는, 상기 홀에 삽입되고 상기 셔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체인을 구비하는 스카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셔터 하면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스카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셔터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고,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기; 및
    상기 지지기를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와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셔터의 하면에서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 경로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지지기몸체;
    상기 지지기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피처리물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기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기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피처리물과 접촉시 마찰을 방지하도록 셔터롤러를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셔터롤러는, 상기 셔터 하면의 중심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셔터의 내부로 삽입되고, 피처리물의 이동방향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카핑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피처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스카핑 장치.
  11. 피처리물을 스카핑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상기 스카핑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 상단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셔터를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셔터 하측에서 상기 피처리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을 스카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스카핑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부산물로부터 상기 피처리물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부분을 지지부커버로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셔터에 연결된 연결체인으로 상측에서 상기 셔터를 지지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스카핑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셔터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의 상부로 상기 셔터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지지대의 고정핀 삽입홈과 상기 관통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양측에서 상기 셔터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카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셔터의 이동과 함께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카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에서 상기 피처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
    측정되는 값에 따라,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카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기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롤러를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카핑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카핑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과정은,
    이송되는 피처리물이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피처리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피처리물을 가압하는 스카핑 방법.

KR1020190047023A 2019-04-23 2019-04-23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KR10223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23A KR102239240B1 (ko) 2019-04-23 2019-04-23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23A KR102239240B1 (ko) 2019-04-23 2019-04-23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4A KR20200123914A (ko) 2020-11-02
KR102239240B1 true KR102239240B1 (ko) 2021-04-12

Family

ID=7339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23A KR102239240B1 (ko) 2019-04-23 2019-04-23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71B1 (ko) 2021-05-18 2022-10-12 삼덕기계공업주식회사 내구성이 증대된 슬라브 스카핑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03B1 (ko) 2006-03-31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232U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스카핑 머신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0413283B1 (ko) * 1999-08-30 2003-12-31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머신의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KR100829937B1 (ko) * 2001-11-30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장치
KR20140142509A (ko) * 2013-06-03 2014-12-12 김재민 철강 슬라브 자동절단 시스템
KR20150076021A (ko) * 2013-12-26 2015-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이송장치
KR101719514B1 (ko) * 2015-07-21 2017-03-24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결함방지유닛,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03B1 (ko) 2006-03-31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71B1 (ko) 2021-05-18 2022-10-12 삼덕기계공업주식회사 내구성이 증대된 슬라브 스카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4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4793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ляба
JP6269608B2 (ja) H形鋼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KR102239240B1 (ko)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KR100729803B1 (ko) 슬라브 정렬 장치
JP2008229639A (ja) 鋼矢板の矯正方法および鋼矢板用矯正装置
KR102042552B1 (ko) 업루퍼 시스템
JP2010510887A (ja) ロールスタンド
KR101883381B1 (ko) 감지 장치 및 절단 장치
JP4959399B2 (ja) 連続鋳造設備のロール回転異常検出装置及びロール回転異常検出方法
JP5009088B2 (ja) 連続鋳造開始時の鋳型内湯面変動の防止方法
KR101330296B1 (ko) 주편의 스카핑 방법
KR20120122071A (ko) 교정기의 철강 제품 가이드 장치
KR20110108986A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JP7332995B2 (ja) デフレクターロール及びそのデフレクターロールを用いた鋼板の製造方法
KR101570581B1 (ko) 오일 와이핑 장치
KR102400467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US6648059B2 (en) Method for detecting a roller failure
KR102075212B1 (ko) 슬래브 이송장치
US6615904B2 (en) Method for detecting a misaligned roller portion of a roller
KR20160002238A (ko) 플라즈마 절단부를 포함하는 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판 제조공정
JP6323291B2 (ja) H形鋼の仕上曲げ加工機
KR101424463B1 (ko) 가이드블록 중심 측정장치
KR101482438B1 (ko) 복수의 두께 프로파일을 이용한 압연재의 하이 스폿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973911B1 (ko) 압연소재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