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21A -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21A
KR20150076021A KR1020130164599A KR20130164599A KR20150076021A KR 20150076021 A KR20150076021 A KR 20150076021A KR 1020130164599 A KR1020130164599 A KR 1020130164599A KR 20130164599 A KR20130164599 A KR 20130164599A KR 20150076021 A KR20150076021 A KR 2015007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oller
frame
side pressing
mo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기
서정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021A/ko
Publication of KR2015007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6Pushing or forcing work into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소재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소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부재와, 측면가압부재의 이동경로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소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이동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여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 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로 되는 연속주조 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 공정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등의 중간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2439호(2013.01.08 공개, 발명의 명칭: 소재 상향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재의 사행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재의 폭 성형이 가능한 소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부재; 및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경로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소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이동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롤러부재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롤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기 소재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하는 프레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기 측면가압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중심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측면가압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소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보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측면가압부재 사이에서 이동롤러부재가 소재의 양측을 지지하여, 소재의 기울어짐에 따른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동롤러부를 구비하므로 이동롤러부의 부피 및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측면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이동롤러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는 이송부재(100), 측면가압부재(200) 및 이동롤러부재(300)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00)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10)를 포함하여 소재(S)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재(100)는 소재(S)가 이송롤러(11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롤러(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소재(S)를 전후 방향(도 2 기준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재(100)는 보조롤러(120)를 더 포함한다. 보조롤러(120)는 측면가압부재(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소재(S)의 하측을 지지한다. 보조롤러(120)는 소재(S)의 폭 방향 성형을 위하여 측면가압부재(200)가 소재(S) 측으로 이동될 때 측면가압부재(2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롤러(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롤러가 적용되며, 한 쌍의 측면가압부재(200)의 대략 중심에 위치한다.
측면가압부재(200)는 이송부재(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소재(S)의 측면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가압부재(200)는 측면가압프레임(210), 측면가압롤러(230) 및 측면가압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측면가압프레임(210)은 이송롤러(110)의 일측(도 3 기준 상하측)에 위치하며, 측면가압구동부(250)에 용접,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측면가압구동부(250)에 의해 소재(S) 측으로 왕복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가압프레임(210)은 "ㄷ" 모양으로 형성되어 측면가압롤러(23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면가압롤러(230)는 측면가압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가압프레임(210)의 이동에 따라 소재(S)의 측면을 가압한다.
측면가압구동부(250)는 측면가압프레임(210)에 결합되며, 유압실린더 또는 랙앤피니언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측면가압프레임(210)을 소재(S) 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측면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이동롤러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롤러부재(300)는 측면가압부재(200)의 이동경로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소재(S)를 선택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측면가압부재(200)의 이동경로는 측면가압롤러(230) 또는 측면가압프레임(210)이 소재(S)를 폭성형 하기 위하여 소재(S) 측으로 이동하거나, 소재(S)의 이동시 소재(S)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동롤러부재(300)는 측면가압부재(200)의 이동경로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가압부재(200)가 소재(S) 측으로 접근하거나 소재(S)를 가압할 때 측면가압부재(200)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즉, 이동롤러부재(300)는 측면가압부재(200)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소재(S)를 지지하기 위하여 위치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소재(S)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재(300)는 프레임부(310), 이동롤러부(330) 및 프레임구동부(35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310)는 이동롤러부재(3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이동롤러부(3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재(300)는 "Y" 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이동롤러회전축(3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부(310)의 타단부는 이송롤러(110)가 구비되는 바닥 또는 이송롤러(110)를 지지하는 프레임 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310)는 프레임회전축(311)을 포함한다. 프레임회전축(311)은 프레임부(310)의 하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프레임힌지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부(310)가 프레임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롤러부(330)는 프레임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330)는 원통 형상으로,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롤러회전축(331)이 프레임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부(310)의 이동에 따라 소재(S)의 하측에 접하여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330)는 복수 개 구비된다. 이동롤러부(330)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면, 동일한 구간을 지지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나의 이동롤러부(330)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이동롤러부(330)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이동롤러부(330) 전체 부피 및 중량이 줄어들어 이동롤러부(330) 및 프레임부(310)의 제작단가 및 이동롤러부(330)의 이동 시 필요한 힘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330)는 이송롤러(110)의 길이 중심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소재(S)에 작용하는 힘의 불균형을 방지하며, 소재(S)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소재(S)의 사행을 방지한다. 이동롤러부(330)의 개수는 소재(S)의 폭, 측면가압롤러(230)의 이동거리, 이송롤러(110)의 길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롤러부(330)는 보조롤러(1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하여 소재(S)의 하측을 지지한다.
프레임구동부(350)는 프레임부(310)에 연결되며, 프레임부(310)를 이동시켜 이동롤러부(330)가 소재(S)의 하측에 접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350)는 일단부가 프레임부(3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이송부재(100)가 장착되는 바닥, 이송롤러(110)의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프레임부(31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350)는 프레임부(310)를 일방향(도 6 기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프레임부(310) 및 이동롤러부(330)가 측면가압부재(200)의 이동경로에서 이탈되도록 이동시켜, 측면가압부재(200)의 이동시에 측면가압부재(200)와 프레임부(310) 및 이동롤러부(33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350)는 측면가압부재(200)가 소재(S)에서 이격되어 소재(S)를 가압하기 전 원위치로 복귀하면, 프레임부(310)를 타방향(도 6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롤러부(330)가 소재(S)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롤러(11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롤러(110)에 안착된 소재(S)가 이동된다. 소재(S)가 측면가압부재(200)의 사이 구간을 지나는 경우에는 프레임구동부(350)에 의하여 이동롤러부(330)가 소재(S)의 하측에 지지하도록 이동하여(도 1 내지 도 3 참조), 소재(S)가 해당 구간에서 기울어져 사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재(S)의 폭 방향 성형을 위하여 측면가압부재(200)가 소재(S)의 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프레임구동부(350)를 구동하여 프레임부(310)를 프레임힌지부(320)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도 6 기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프레임부(310)가 회전되면, 프레임부(310)에 결합된 이동롤러부(330)가 소재(S)에서 이격되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롤러부(3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측면가압구동부(250)를 작동하여 측면가압롤러(230)를 소재(S) 측으로 이동시켜 소재(S)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측면가압부재(200)와 이동롤러부재(300)의 충돌 없이 소재(S)의 폭 성형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 이송장치(1)는, 측면가압부재(200) 사이에서 이동롤러부재(300)가 소재(S)의 양측을 지지하여, 소재(S)의 기울어짐에 따른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재 이송장치(1)는 복수 개의 이동롤러부(330)를 구비하므로 이동롤러부(330)의 부피 및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소재 이송장치 100: 이송부재
110: 이송롤러 120: 보조롤러
200: 측면가압부재 210: 측면가압프레임
230: 측면가압롤러 250: 측면가압구동부
300: 이동롤러부재 310: 프레임부
311: 프레임회전축 320: 프레임힌지부
330: 이동롤러부 331: 이동롤러회전축
350: 프레임구동부 S: 소재

Claims (6)

  1.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가압부재; 및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경로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소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이동롤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재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롤러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기 소재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하는 프레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측면가압부재의 이동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기 측면가압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중심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측면가압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소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KR1020130164599A 2013-12-26 2013-12-26 소재 이송장치 KR20150076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599A KR20150076021A (ko) 2013-12-26 2013-12-26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599A KR20150076021A (ko) 2013-12-26 2013-12-26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21A true KR20150076021A (ko) 2015-07-06

Family

ID=5378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599A KR20150076021A (ko) 2013-12-26 2013-12-26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0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14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EP4257259A1 (de) * 2022-04-05 2023-10-11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Rollgang einer walzanlage mit verbesserten seitenführungsrol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14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EP4257259A1 (de) * 2022-04-05 2023-10-11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Rollgang einer walzanlage mit verbesserten seitenführungsroll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675B1 (ko) 로봇을 이용한 이송장치
KR20150076021A (ko) 소재 이송장치
KR101424432B1 (ko) 연원료 이송장치
CN104384264A (zh) 折弯机
KR20170021503A (ko) 핀치 롤러 장치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4350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119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330544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CN212525826U (zh) 双钢丝输送装置和具有它的卷簧机
CN201989349U (zh) 缓冲袋折边机构
KR101204833B1 (ko) 슬립 방지장치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US10092945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 strut
KR20150113335A (ko) 롤 간격 측정장치
KR10142443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 장치
CN220862425U (zh) 用于直角折弯机的翻转折弯机构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2122657B1 (ko) 트리퍼카 위치 검출장치
KR20140069391A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330547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237083B1 (ko) 스크랩용 배출장치
KR101685794B1 (ko) 소재 이송장치
JP4004900B2 (ja) トリミング装置におけるキャメルバック
WO2015158956A1 (en) Feed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platelike pre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