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94B1 -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94B1
KR101685794B1 KR1020150041401A KR20150041401A KR101685794B1 KR 101685794 B1 KR101685794 B1 KR 101685794B1 KR 1020150041401 A KR1020150041401 A KR 1020150041401A KR 20150041401 A KR20150041401 A KR 20150041401A KR 101685794 B1 KR101685794 B1 KR 10168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veying
conveying roller
guide memb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916A (ko
Inventor
박진기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위치 측정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이송부재 또는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이송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안내부재를 틸팅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 및 이송롤러의 파손을 방지하고,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는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1100 ~ 1300 ℃)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46598호(2013.05.08. 공개, 발명의 명칭: 소재 상향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재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여 소재가 이송롤러와 안내부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 또는 상기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안내부재를 틸팅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내부를 탄성 지지하는 안내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직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장부와 간섭되어 이동하는 안내부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여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연장부가 상기 안내부이동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연장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여 소재가 이송롤러와 안내부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소재 및 이송롤러의 파손 및 이송공정의 중단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롤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안내부재를 틸팅시키므로, 별도의 동력원 및 제어장치 없이 안내부재를 소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틸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소재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소재가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는 이송부재(100), 안내부재(200) 및 연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00)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10)를 포함하여 소재(S)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이송롤러(110)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측에 소재(S)가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소재(S)를 설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안내부재(200)는 이송롤러(110)의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재(200)는 안내부(21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안내부(210)는 이송롤러(110)의 사이에 위치하며, 소재(S)의 이송 방향(도 1 기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210)는 이웃하는 이송롤러(110) 사이에 이송롤러(1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며, 안내부연결축(211) 및 틸팅중심축(213)으로 연결되어 함께 틸팅된다.
지지부(230)는 안내부(210)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30)에는 틸팅중심축(2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 등의 고정물(10)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안내부(21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재(200)는 안내탄성부(250)를 더 포함한다. 안내탄성부(250)는 지지부(230)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며, 안내부(210)에 결합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안내부(210)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재(200)는 지지부(23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며, 안내부(210)를 탄성 지지하고, 소재(S)와 안내부(210)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재(S) 및 안내부(2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틸팅된 안내부(210)를 평형상태로 원복시킨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소재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에서 소재가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연동부재(300)는 이송부재(100) 또는 안내부재(200)에 구비되어, 이송롤러(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안내부재(200), 구체적으로 안내부(210)를 틸팅시킨다.
즉, 이송부재(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재(S)를 일방향(도 5 기준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안내부(2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어 소재(S)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반대로, 이송부재(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재(S)를 타방향(도 6 기준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안내부(210)는 시계 방향으로 틸팅되어 소재(S)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재(300)는 연장부(310) 및 안내부이동부(330)를 포함한다.
연장부(310)는 이송롤러(11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장부힌지(3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롤러(1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송롤러(110)의 회전에 따라 안내부이동부(33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안내부이동부(330)는 안내부재(200)에 결합되고, 이송롤러(110)의 이동에 따라 연장부(310)와 간섭되어 이동하여, 안내부(210)가 틸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이동부(330)는 안내부(21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근접한 이송롤러(110) 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331)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안내부이동부(330)는 이송롤러(110)의 회전에 따라 연장부(310)와 간섭되며, 안내부(210)와 함께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재(300)는 회전제한부(350)를 더 포함한다. 회전제한부(350)는 이송롤러(11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연장부(31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여, 이송롤러(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장부(310)가 안내부이동부(330)를 가압하도록 한다.
즉, 회전제한부(350)가 연장부(3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연장부(31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경우, 즉 도 5, 6 기준 좌측 이송롤러(110)에 장착된 연장부(3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송롤러(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장부(310)는 이송롤러(110)와 함께 회전되고, 연장부(31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안내부이동부(330)와 간섭된다.
연장부(310)가 안내부이동부(330)에 간섭되면, 연장부(310)를 일방향, 즉 연장부힌지(3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은 회전제한부(350)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결국 연장부(310)는 계속 회전되어 안내부이동부(330)를 가압, 안내부(210)를 틸팅시키게 된다.
반대로, 이송롤러(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장부(310)는 이송롤러(110)와 함께 회전되고, 마찬가지로 연장부(31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안내부이동부(330)와 간섭된다.
이 때, 연장부(310)는 안내부이동부(330)에 의하여 타방향인 연장부힌지(31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받게 되고, 연장부(310)의 타방향 회전은 제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안내부이동부(330)에 가하는 힘은 상당히 제한적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재(300)는 연장탄성부(370)를 포함한다. 연장탄성부(370)는 양단부가 연장부(310) 및 이송롤러(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연장부(310)를 탄성 지지하여 연장부(310)와 안내부이동부(330)와의 충격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회전된 연장부(310)의 위치를 원복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롤러(110)에 안착된 소재(S)는 이송롤러(110)의 회전에 따라 이송된다. 이송롤러(110) 사이에는 안내부재(200)가 구비되며, 소재(S)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여 소재(S)가 이송롤러(110)의 사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재(200)는 소재(S)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틸팅되어 소재(S)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고, 안내부재(200)와 이송롤러(110) 사이에 소재(S)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우선, 소재(S)가 우측에서 좌측(도 6 기준)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안내부재(200)의 틸팅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재(S)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롤러(110)는 상측에 소재(S)가 안착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110)의 단부에 결합된 연장부(310)가 이송롤러(110)와 함께 이송롤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장부(310)가 안내부이동부(330)에 의하여 간섭될 때, 회전제한부(3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장부(310)인 도 6 기준 좌측 이송롤러(110)에 결합되는 연장부(310)는 안내부이동부(33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반면, 도 6 기준 우측 이송롤러(110)에 결합되는 연장부(3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제한부(35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안내부이동부(330)와의 간섭 시 연장부힌지(311)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안내부이동부(330)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연장탄성부(37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반면, 소재(S)가 좌측에서 우측(도 5 기준)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이송롤러(1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110)의 단부에 결합된 연장부(310)가 이송롤러(110)와 함께 이송롤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장부(310)가 안내부이동부(330)와 간섭될 때, 회전제한부(3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장부(310)인 도 5 기준 우측 이송롤러(110)에 결합되는 연장부(310)는 안내부이동부(330)를 가압하여 안내부재(200)를 틸팅시킨다.
반면, 도 5 기준 좌측 이송롤러(110)에 결합되는 연장부(3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제한부(35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안내부이동부(330)와의 간섭 시 연장부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안내부이동부(330)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연장탄성부(37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이송장치(1)는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하여 소재(S)가 이송롤러(110)와 안내부재(20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소재(S) 및 이송롤러(110)의 파손 및 이송공정의 중단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재 이송장치(1)는 이송롤러(1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안내부재(200)를 틸팅시키므로, 별도의 동력원 및 제어장치 없이 안내부재(200)를 소재(S)의 이동 방향에 따라 틸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소재 이송장치 10: 고정물
100: 이송부재 110: 이송롤러
200: 안내부재 210: 안내부
211: 안내부연결축 213: 틸팅중심축
230: 지지부 250: 안내탄성부
300: 연동부재 310: 연장부
311: 연장부힌지 330: 안내부이동부
331: 경사면 350: 회전제한부
370: 연장탄성부 S: 소재

Claims (6)

  1.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 또는 상기 안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안내부재를 틸팅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직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장부와 간섭되어 이동하여, 상기 안내부재가 틸팅되도록 하는 안내부이동부; 및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여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연장부가 상기 안내부이동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내부를 탄성 지지하는 안내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연장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장치.
KR1020150041401A 2015-03-25 2015-03-25 소재 이송장치 KR10168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401A KR101685794B1 (ko) 2015-03-25 2015-03-25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401A KR101685794B1 (ko) 2015-03-25 2015-03-25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16A KR20160114916A (ko) 2016-10-06
KR101685794B1 true KR101685794B1 (ko) 2016-12-12

Family

ID=5716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401A KR101685794B1 (ko) 2015-03-25 2015-03-25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1556A (ja) * 2007-02-22 2008-09-04 Bridgestone Corp コンベヤベルトのモニタリング装置
KR101399528B1 (ko) * 2012-08-10 2014-05-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브의 절단설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1556A (ja) * 2007-02-22 2008-09-04 Bridgestone Corp コンベヤベルトのモニタリング装置
KR101399528B1 (ko) * 2012-08-10 2014-05-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브의 절단설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16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87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685794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675671B1 (ko) 트리퍼카의 이송벨트용 가압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213311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67566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928180B1 (ko)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KR101615023B1 (ko) 이송물의 역류 차단 장치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65739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675679B1 (ko) 하중 분산형 벨트 컨베이어장치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908227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5291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388038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4004208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KR102213966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609152B1 (ko) 소재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443102B1 (ko) 소재 만곡 조정장치
KR10246072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편적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