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397B1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397B1 KR101657397B1 KR1020150041389A KR20150041389A KR101657397B1 KR 101657397 B1 KR101657397 B1 KR 101657397B1 KR 1020150041389 A KR1020150041389 A KR 1020150041389A KR 20150041389 A KR20150041389 A KR 20150041389A KR 101657397 B1 KR101657397 B1 KR 101657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 belt
- unit
- guide
-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 낙하되는 이송물을 벨트부로 안내하는 덕트부와, 덕트부에 내장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가이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와, 덕트부에 설치되고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여 회전조절부를 이동시키는 감지구동부를 포함하여, 이송물의 낙하지점 조절을 통해 벨트부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덕트 형상을 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904호(2008.11.21 등록, 발명의 명칭: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낙하되는 이송물을 벨트부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에 내장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 및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조절부를 이동시키는 감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이송물을 안내하고, 상기 회전조절부가 통과하도록 판홀부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부; 및 상기 확장판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부에 낙하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이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판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축부; 및 상기 고정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조절부와 연결되어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안내판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판홀부를 관통하는 조절막대부; 상기 상판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절막대부를 연결하는 조절연결부; 및 상기 조절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감지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연결부를 이동시키는 조절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구동부는: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는 구동고정부; 상기 구동고정부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구동관통부; 상기 구동관통부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사행발생시 상기 벨트부에 밀려 이동되는 구동감지부; 및 상기 구동관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구동부는: 상기 구동관통부에 형성되는 구동지지부; 및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구동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구동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벨트부의 사행 발생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벨트부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감지구동부가 벨트부에 밀려 생성된 동력을 가이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구동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부의 사행이 해소되면 감지구동부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덕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회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감지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좌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우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덕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회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감지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좌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우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는 덕트부(10)와, 가이드부(20)와, 회전조절부(30)와, 감지구동부(40)를 포함한다.
덕트부(10)는 낙하되는 이송물을 하방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100)로 안내한다. 일 예로, 벨트 컨베이어(100)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벨트고정부(101)와, 벨트고정부(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벨트롤러부(102)와, 벨트롤러부(102)에 지지되어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목적지로 안내하는 벨트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덕트부(10)는 이송물을 저장하는 호퍼에 연결되어 이송물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20)는 덕트부(10)에 내장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한다. 일 예로, 가이드부(20)는 덕트부(10)의 내벽에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조절부(30)는 덕트부(10)에 설치되고, 가이드부(2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감지구동부(40)는 덕트부(10)에 설치되고, 벨트부(103)의 사행을 감지하여 회전조절부(30)를 이동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덕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10)는 상판부(11)와, 확장판부(12)와, 가이드판부(13)를 포함한다.
상판부(11)는 벨트부(103)의 상방에 위치되고, 벨트부(103)로 이송물을 안내한다. 상판부(11)에는 회전조절부(30)가 통과하기 위한 판홀부(111)가 형성된다. 일 예로, 상판부(11)는 사각덕트 형상을 할 수 있다. 판홀부(111)는 사각 형상의 상판부(11)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판홀부(111)는 회전조절부(30)와 간섭되지 않도록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판부(12)는 상판부(11)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로, 확장판부(12)는 상판부(11)에서 벨트부(103)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판부(13)는 확장판부(12)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벨트부(103)에 낙하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한다. 일 예로, 가이드판부(13)는 벨트부(103)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는 고정부(21)와, 고정축부(22)와, 안내판부(23)를 포함한다.
고정부(21)는 상판부(11)의 내벽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장착되고, 고정축부(22)는 각각의 고정부(21)에 형성된다. 일 예로, 고정축부(22)는 벨트부(103)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판부(23)는 고정축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조절부(30)와 연결되어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한다. 일 예로, 안내판부(23) 상단부는 고정축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안내판부(23)의 하단부는 회전조절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회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30)는 조절막대부(31)와, 조절연결부(32)와, 조절작동부(33)를 포함한다.
조절막대부(31)는 안내판부(23)에 각각 결합되어 판홀부(111)를 관통한다. 조절연결부(32)는 상판부(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조절막대부(31)를 연결한다. 일 예로, 조절막대부(31)의 일단부는 안내판부(2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조절막대부(31)의 타단부는 조절연결부(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절작동부(33)는 조절연결부(32)에서 연장되고, 감지구동부(4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조절연결부(32)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조절작동부(33)는 조절연결부(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감지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구동부(40)는 구동고정부(41)와, 구동관통부(42)와, 구동감지부(43)와, 구동제공부(44)를 포함한다.
구동고정부(41)는 덕트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구동고정부(41)는 확장판부(12)에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동고정부(41)는 하단부가 확장판부(12)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구동관통부(42)는 구동고정부(41)를 관통하여 이동된다. 일 예로, 구동관통부(42)의 일부는 구동고정부(41)를 관통하여 벨트부(103)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구동감지부(43)는 구동관통부(42)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벨트부(103)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구동감지부(43)는 벨트부(103)의 사행발생시 벨트부(103)에 밀려 이동된다. 일 예로, 구동감지부(43)는 진행하는 벨트부(103)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공부(44)는 구동관통부(42)에 형성되고, 회전조절부(30)에 연결되어 회전조절부(30)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구동제공부(44)의 중앙부에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고, 조절작동부(33)가 구동제공부(44)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동제공부(44)가 좌우로 이동되면, 조절작동부(33)가 가이드부(20)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구동부(40)는 구동지지부(45)와 구동탄성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지지부(45)는 구동관통부(42)에 형성된다. 일 예로, 구동지지부(45)는 각각의 구동고정부(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탄성부(46)는 구동지지부(45)와 구동고정부(41)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지지부(45)를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해 벨트부(103)의 사행이 해소되면 신속하게 감지구동부(4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좌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벨트부가 우측으로 사행될 때 가이드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벨트부(103)가 좌측으로 사행될 때, 이송물이 벨트부(103)의 좌측으로 편적되도록 유도되어 벨트부(103)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부(103)가 우측으로 사행될 때, 이송물이 벨트부(103)의 우측으로 편적되도록 유도되어 벨트부(103)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덕트부(10)에 가이드부(20)가 내장되어 이송물을 안내하고, 덕트부(10)의 확장판부(12)에는 감지구동부(40)가 장착되어 벨트부(103)의 사행을 감지한다. 감지구동부(40)는 회전조절부(30)에 동력을 제공하고, 회전조절부(30)는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부(20)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벨트부(103)의 사행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벨트부(103)의 우측 편적에 의해 벨트부(103)가 좌측으로 사행되면, 감지구동부(40)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감지구동부(4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감지구동부(40)와 연결된 회전조절부(30)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회전조절부(3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안내판부(23)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좌측에 배치되는 안내판부(23)의 회전각이 작아지고, 우측에 배치되는 안내판부(23)의 회전각이 커져서, 벨트부(103)의 좌측으로 이송물 편적을 유도할 수 있다. 벨트부(103)의 좌측 편적이 유도되면, 좌측으로 사행되던 벨트부(103)가 이송물 하중에 의해 사행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벨트부(103)의 좌측 편적에 의해 벨트부(103)가 우측으로 사행되면, 감지구동부(4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감지구동부(4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감지구동부(40)와 연결된 회전조절부(3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회전조절부(3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안내판부(23)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우측에 배치되는 안내판부(23)의 회전각이 작아지고, 좌측에 배치되는 안내판부(23)의 회전각이 커져서, 벨트부(103)의 우측으로 이송물 편적을 유도할 수 있다. 벨트부(103)의 우측 편적이 유도되면, 우측으로 사행되던 벨트부(103)가 이송물 하중에 의해 사행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는 벨트부(103)의 사행 발생시 가이드부(20)가 회전되어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함으로써, 벨트부(103)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는 한 쌍의 가이드부(20)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는 감지구동부(40)가 벨트부(103)에 밀려 생성된 동력을 가이드부(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는 구동탄성부(46)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부(103)의 사행이 해소되면 감지구동부(40)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덕트부 11 : 상판부
12 : 확장판부 13 : 가이드판부
20 : 가이드부 21 : 고정부
22 : 고정축부 23 : 안내판부
30 : 회전조절부 31 : 조절막대부
32 : 조절연결부 33 : 조절작동부
40 : 감지구동부 41 : 구동고정부
42 : 구동관통부 43 : 구동감지부
44 : 구동제공부 45 : 구동지지부
46 : 구동탄성부 111 : 판홀부
12 : 확장판부 13 : 가이드판부
20 : 가이드부 21 : 고정부
22 : 고정축부 23 : 안내판부
30 : 회전조절부 31 : 조절막대부
32 : 조절연결부 33 : 조절작동부
40 : 감지구동부 41 : 구동고정부
42 : 구동관통부 43 : 구동감지부
44 : 구동제공부 45 : 구동지지부
46 : 구동탄성부 111 : 판홀부
Claims (6)
- 낙하되는 이송물을 벨트부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에 내장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 및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조절부를 이동시키는 감지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구동부는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는 구동고정부;
상기 구동고정부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구동관통부;
상기 구동관통부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사행발생시 상기 벨트부에 밀려 이동되는 구동감지부; 및
상기 구동관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이송물을 안내하고, 상기 회전조절부가 통과하도록 판홀부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부; 및
상기 확장판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부에 낙하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이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판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축부; 및
상기 고정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조절부와 연결되어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안내판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판홀부를 관통하는 조절막대부;
상기 상판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절막대부를 연결하는 조절연결부; 및
상기 조절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감지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조절연결부를 이동시키는 조절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구동부는
상기 구동관통부에 형성되는 구동지지부; 및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구동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구동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389A KR101657397B1 (ko) | 2015-03-25 | 2015-03-25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389A KR101657397B1 (ko) | 2015-03-25 | 2015-03-25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397B1 true KR101657397B1 (ko) | 2016-09-13 |
Family
ID=5694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1389A KR101657397B1 (ko) | 2015-03-25 | 2015-03-25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3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8178B1 (ko) | 2017-04-21 | 2018-12-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403U (ko) * | 1997-08-29 | 1999-03-15 | 이구택 | 벨트 컨베어의 스커트 지지장치 |
KR20010112580A (ko) * | 2000-06-09 | 2001-12-20 | 이구택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
-
2015
- 2015-03-25 KR KR1020150041389A patent/KR1016573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0403U (ko) * | 1997-08-29 | 1999-03-15 | 이구택 | 벨트 컨베어의 스커트 지지장치 |
KR20010112580A (ko) * | 2000-06-09 | 2001-12-20 | 이구택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8178B1 (ko) | 2017-04-21 | 2018-12-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0837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 |
KR101802633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 제어장치 | |
JP2017075049A (ja) | シートの送り出し方向制御機構 | |
KR101657397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20130046565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20120121547A (ko) |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 |
KR102177869B1 (ko) | 벨트컨베이어 | |
KR101277490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20120110321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101675668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
TWI554460B (zh) | 線材進料量調整裝置 | |
KR101295744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CZ200799A3 (cs) | Zarízení pro dopravu materiálu v podobe archu | |
KR101928180B1 (ko) |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 |
KR101388016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
KR20140042085A (ko) |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 |
KR101429441B1 (ko) | 원단 이송용 편향보정장치 | |
KR20130088401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
KR101481017B1 (ko) |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보정장치 | |
JP2016210544A5 (ko) | ||
KR101355546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
TW201402440A (zh) | 片材導向系統 | |
KR101606998B1 (ko) |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 |
KR101377519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 |
KR102224866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