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503A - 핀치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핀치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503A
KR20170021503A KR1020150115934A KR20150115934A KR20170021503A KR 20170021503 A KR20170021503 A KR 20170021503A KR 1020150115934 A KR1020150115934 A KR 1020150115934A KR 20150115934 A KR20150115934 A KR 20150115934A KR 20170021503 A KR20170021503 A KR 2017002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support
shaft
sides
upper p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영
윤현영
윤형식
이상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503A/ko
Publication of KR2017002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6Pinch rol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핀치 롤러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핀치 롤러 장치는: 지지대; 지지대에 설치되는 상부 핀치 롤러; 상부 핀치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 핀치 롤러와 함께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하부 핀치 롤러; 지지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지지대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하부 핀치 롤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 핀치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연 소재의 두께에 따라 하부 핀치 롤러와 상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치 롤러 장치{PINCH ROLLER APPARATUS}
본 발명은 핀치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갭측정 센서나 베어링부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와 하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핀치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에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및 강판이나 스트립을 만드는 압연공정이 있다. 압연공정에서는 압연 소재가 압연기에서 압연됨에 의해 스트립이 제조된다. 스트립은 코일박스에 감기며, 코일박스의 일측에는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핀치 롤러 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3305호(2015. 07. 01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갭측정 센서나 베어링부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와 하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핀치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상부 핀치 롤러; 상기 상부 핀치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와 함께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하부 핀치 롤러;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하부 핀치 롤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핀치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 소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하부 핀치 롤러와 상기 상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갭조정 장치는 상기 하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연결되고,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 샤프트;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부;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축결합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조정 장치는 상기 하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연결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의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핀치 롤러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가 결합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가이드에 끼워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치 롤러 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로드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싱; 상기 부싱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핀치 롤러가 피스톤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아래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므로, 압연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에 갭측정 센서나 베어링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와 하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일측의 웜샤프트에 연결되고, 연결 샤프트가 한 쌍의 웜샤프트를 연결하므로,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이동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부가 상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상부 핀치 롤러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댐퍼부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연 소재가 이송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부 핀치 롤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갭조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댐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조인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에서 압연 소재가 상부 핀치 롤러와 하부 핀치 롤러 사이를 통과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핀치 롤러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갭조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댐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조인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는 지지대(110), 상부 핀치 롤러(120), 하부 핀치 롤러(130), 피스톤(140) 및 갭조정 장치(150)를 포함한다.
핀치 롤러 장치의 일측에는 코일 박스(미도시)가 설치된다. 코일 박스에는 핀치 롤러 장치를 통과한 압연 소재가 감긴다.
핀치 롤러 장치의 지지대(110)는 상부 핀치 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지지대(110)는 서포트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대(110)는 상부 핀치 롤러(12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부 핀치 롤러(12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 핀치 롤러(120)는 지지대(110)에 설치된다. 상부 핀치 롤러(120)의 양측에는 상부 베어링부(123)가 설치되고, 상부 베어링부(123)는 지지대(110)에 고정된다.
하부 핀치 롤러(130)는 상부 핀치 롤러(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함께 압연 소재를 가압한다. 하부 핀치 롤러(130)의 양측에는 하부 베어링부(133)가 설치된다. 하부 핀치 롤러(130)는 상부 핀치 롤러(12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하부 핀치 롤러(130)와 상부 핀치 롤러(120) 사이로 압연 소재가 통과된다.
피스톤(140)은 지지대(110)를 지지하도록 지지대(110)의 양측에 연결된다. 피스톤(140)은 상부 핀치 롤러(1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피스톤(140)은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141)와, 실린더(141)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143)를 포함한다. 실린더(141)의 하측은 베이스(미도시)에 고정되고, 로드(143)의 단부는 지지대(110)에 연결된다.
피스톤(140)이 지지대(110)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피스톤(140)의 유체가 압연 소재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압연 소재가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를 통과할 때에, 지지대(11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상부 핀치 롤러(120)가 압연 소재를 하측으로 가압하므로, 압연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에 갭측정 센서(145)나 베어링부(123,133)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피스톤(140)의 내부에는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갭측정 센서(145)가 설치된다. 갭측정 센서(145)는 실린더(141)에서 로드(143)가 인출된 길이를 측정하여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의 갭을 측정한다. 갭측정 센서(145)는 측정된 갭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갭조정 장치(150)는 하부 핀치 롤러(13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 핀치 롤러(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연 소재의 두께에 따라 하부 핀치 롤러(130)와 상부 핀치 롤러(120) 사이의 갭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압연 소재의 두께가 32mm인 경우, 갭조정 장치(150)가 하부 핀치 롤러(130)를 이동하여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을 31mm로 정도로 조정한다. 이어,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에 압연 소재가 인입되면, 상부 핀치 롤러(12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부 핀치 롤러(12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아래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므로, 압연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에 갭측정 센서(145)나 베어링부(123,133)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갭조정 장치(150)는 이동 샤프트(151), 피니언 기어부(153), 웜휠(154), 웜샤프트(155) 및 구동부(156)를 포함한다.
이동 샤프트(151)는 하부 핀치 롤러(130)의 양측에 연결된다. 이동 샤프트(151)의 외측면에는 이동 샤프트(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부(152)가 형성된다. 이동 샤프트(151)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부(153)는 랙기어부(152)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웜휠(154)은 피니언 기어부(153)에 축결합된다. 웜휠(154)의 회전축과 랙기어부(152)의 회전축은 동축을 이룬다. 웜샤프트(155)는 웜휠(154)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웜샤프트(155)는 웜휠(154)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구동부(156)는 웜샤프트(155)를 회전시키도록 웜샤프트(155)에 연결된다. 구동부(156)가 구동되면, 웜샤프트(155)가 회전된다. 웜샤프트(155)가 웜휠(154)과 맞물려 회전되면, 피니언 기어부(153)가 랙기어부(152)와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이동 샤프트(151)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동 샤프트(15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 핀치 롤러(13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하부 핀치 롤러(130)와 상부 핀치 롤러(120) 사이의 갭이 조절될 수 있다.
갭조정 장치(150)는 하부 핀치 롤러(130)의 양측에 배치되는 웜샤프트(155)에 연결되어 웜샤프트(155)를 회전시키는 연결 샤프트(157)를 더 포함한다. 연결 샤프트(157)는 웜샤프트(155)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연결 샤프트(157)가 하부 핀치 롤러(13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웜샤프트(155)에 연결되므로, 하나의 구동부(156)가 한 쌍의 웜샤프트(155)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6)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부(156)는 일측의 웜샤프트(155)에 연결된다. 구동부(156)가 일측의 웜샤프트(155)에 연결되고, 연결 샤프트(157)가 한 쌍의 웜샤프트(155)를 연결하므로, 하나의 구동부(156)를 이용하여 한 쌍의 이동 샤프트(15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56)로는 모터부가 적용된다.
핀치 롤러 장치는 지지대(110)에 설치되고, 상부 핀치 롤러(120)의 양측에 결합되는 댐퍼부(160)를 더 포함한다. 댐퍼부(160)가 상부 핀치 롤러(120)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상부 핀치 롤러(12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댐퍼부(160)에 흡수된다. 따라서, 압연 소재가 이송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부 핀치 롤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부(160)는 고정 가이드(161), 이동 블록(163) 및 탄성부재(165)를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161)는 지지대(110)에 고정되고, 피스톤(140)의 로드(143)에 대향되게 각각 배치된다. 고정 가이드(161)는 지지대(110)에서 하측으로 봉형태로 연장되고, 고정 가이드(161)의 단부에는 걸림부(161a)가 형성된다. 이동 블록(163)은 고정 가이드(16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블록(163)에는 상부 핀치 롤러(120)의 양측이 결합된다. 탄성부재(165)는 이동 블록(163)을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 가이드(161)에 끼워진다. 탄성부재(165)는 이동 블록(163)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165)의 하측은 고정 가이드(161)의 걸림부(161a)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핀치 롤러(120)로부터 이동 블록(163)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될 때에, 탄성부재(165)가 이동 블록(163)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압연 소재가 이송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부 핀치 롤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치 롤러 장치는 지지대(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피스톤(140)의 로드(143)가 연결되는 조인트부(170)를 더 포함한다. 피스톤(140)의 로드(143)가 조인트부(170)에 의해 지지대(110)의 양측에 연결되므로, 피스톤(140)의 로드(143)가 지지대(11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인트부(170)는 로드(143)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싱(171)과, 부싱(17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축부(173)와, 축부(173)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 리브(175)를 포함한다. 부싱(171)이 고정 리브(175)에 위치된 후 축부(173)가 고정 리브(175)와 부싱(171)을 관통하므로, 피스톤(140)이나 상부 핀치 롤러(120)가 지지대(1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축부(173)가 부싱(171)과 고정 리브(175)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피스톤(140)이나 상부 핀치 롤러(120)가 보다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실린더(141)의 하부는 조인트부(17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된다. 조인트부(170)는 상기한 부싱(171), 축부(173) 및 고정 리브(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치 롤러 장치에서 압연 소재가 상부 핀치 롤러와 하부 핀치 롤러 사이를 통과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갭조정 장치(150)가 압연 소재의 두께에 따라 하부 핀치 롤러(1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구동부(156)가 구동되면, 웜샤프트(155)가 웜휠(154)과 맞물려 회전된다. 피니언 기어부(153)가 랙기어부(152)와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이동 샤프트(151)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동 샤프트(15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부 핀치 롤러(13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하부 핀치 롤러(130)와 상부 핀치 롤러(120) 사이의 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연 소재의 두께가 32mm인 경우, 갭조정 장치(150)가 하부 핀치 롤러(130)를 이동하여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을 31mm로 정도로 조절한다.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에 압연 소재가 인입되면, 상부 핀치 롤러(12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부 핀치 롤러(12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아래로 가압하므로, 압연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에 갭측정 센서(145)나 베어링부(123,133)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압연 소재가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압연 소재의 진동이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에 전달된다. 이때, 상부 핀치 롤러(120)로부터 이동 블록(163)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될 때에, 탄성부재(165)가 이동 블록(163)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압연 소재가 이송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부 핀치 롤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핀치 롤러(120)가 피스톤(140)의 유압에 의해 압연 소재를 아래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므로, 압연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에 갭측정 센서(145)나 베어링부(123,133) 등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상부 핀치 롤러(120)와 하부 핀치 롤러(130) 사이의 갭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6)가 일측의 웜샤프트(155)에 연결되고, 연결 샤프트(157)가 한 쌍의 웜샤프트(155)에 연결되므로, 하나의 구동부(156)를 이용하여 한 쌍의 이동 샤프트(15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부(160)가 상부 핀치 롤러(120)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상부 핀치 롤러(12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댐퍼부(160)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연 소재가 이송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부 핀치 롤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지지대 120: 상부 핀치 롤러
123: 상부 베어링부 130: 하부 핀치 롤러
133: 하부 베어링부 140: 피스톤
141: 실린더 143: 로드
145: 갭측정 센서 150: 갭조정 장치
151: 이동 샤프트 152: 랙기어부
153: 피니언 기어부 154: 웜휠
155: 웜샤프트 156: 구동부
157: 연결 샤프트 160: 댐퍼부
161: 고정 가이드 163: 이동 블록
165: 탄성부재 170: 조인트부
171: 부싱 173: 축부
175: 고정 리브

Claims (8)

  1.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상부 핀치 롤러;
    상기 상부 핀치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와 함께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하부 핀치 롤러;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하부 핀치 롤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핀치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 소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하부 핀치 롤러와 상기 상부 핀치 롤러 사이의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조정 장치는,
    상기 하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연결되고,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 샤프트;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부;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축결합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연결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의 상기 웜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핀치 롤러가 결합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가이드에 끼워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로드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싱;
    상기 부싱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양측이 끼워지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 롤러 장치.
KR1020150115934A 2015-08-18 2015-08-18 핀치 롤러 장치 KR2017002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934A KR20170021503A (ko) 2015-08-18 2015-08-18 핀치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934A KR20170021503A (ko) 2015-08-18 2015-08-18 핀치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03A true KR20170021503A (ko) 2017-02-28

Family

ID=5854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934A KR20170021503A (ko) 2015-08-18 2015-08-18 핀치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5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88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선재 압연롤러의 간격 조절장치
KR20200122587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US11260438B2 (en) 2019-04-18 2022-03-01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Wire rod rolling roller and gap adjustment device thereof
KR102452277B1 (ko) * 2022-07-12 2022-10-06 김영학 유압원을 이용한 열간압연 스탠드부의 압연 갭 자동 조절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88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선재 압연롤러의 간격 조절장치
KR20200122587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US11260438B2 (en) 2019-04-18 2022-03-01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Wire rod rolling roller and gap adjustment device thereof
KR102452277B1 (ko) * 2022-07-12 2022-10-06 김영학 유압원을 이용한 열간압연 스탠드부의 압연 갭 자동 조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1503A (ko) 핀치 롤러 장치
KR101629229B1 (ko) 평철 자동절단장치
CN102699224B (zh) 夹送辊机构
CN203494962U (zh) 数控弯弧机
CN210029439U (zh) 一种面料自动压辊纠偏机构
KR101411877B1 (ko) 압연기용 균열 감지장치
CN105364659B (zh) 自动跟踪型柔性砂轮倒棱机
KR101391609B1 (ko) 열간 교정기의 롤 연마장치
KR101411873B1 (ko) 소재 에지부 형상 측정장치
KR101330544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20140064459A (ko) 코밍 부재 벤딩 장치
KR101411875B1 (ko) 슬라브용 측정장치
KR20150076021A (ko) 소재 이송장치
KR101330547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CN104722607A (zh) 一种整平机
KR101344327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257466B1 (ko) 압연기용 편심감지장치
JP4461051B2 (ja) 圧延機の下水平ロールの零点調整方法
CN209886446U (zh) 冷弯机的压入模量调节装置
JP2018531800A5 (ko)
CN212682197U (zh) 一种万能折弯模具
KR101490615B1 (ko) 선재 연연속압연 가이드장치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KR101246320B1 (ko) 압연제품용 요철 측정장치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