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587A -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 Google Patents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587A
KR20200122587A KR1020190045463A KR20190045463A KR20200122587A KR 20200122587 A KR20200122587 A KR 20200122587A KR 1020190045463 A KR1020190045463 A KR 1020190045463A KR 20190045463 A KR20190045463 A KR 20190045463A KR 20200122587 A KR20200122587 A KR 2020012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scraper
bearing hous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746B1 (ko
Inventor
조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4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746B1/ko
Priority to US16/796,647 priority patent/US11260438B2/en
Publication of KR2020012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 B21B31/24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는, 일정 간격이 벌어져 통과하는 선재를 압연하는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를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와 면접촉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저어널베어링(140),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120)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200)가 더 구비되되; 스크레이퍼(200)는, 상,하부롤러 주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구비된 축받침(220)과, 축받침(220)에 형성된 통공에 나사결합된 나사축(210)과, 원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나사축(210)의 일측끝단에 구비되어, 롤러(110a,110b)의 성형홈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는 칼날(250)과, 나사축(210)의 타측끝단에 구비된 핸들(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wire-rolled roller with scraper and clearance control}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압연롤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웜축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성형홈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의 생산공정은 단면적 160x160 mm인 빌렛(billet)을 가열로에서 압연 가능한 9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사상압연 및 최종 압연(사이징 압연) 등의 일련의 압연 공정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압연된 소재는 권취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직경이 대략 55~42 mm의 선재로 생산된다.
도 1은 종래 선재 압연롤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스탠드(1)에 세워져 설치된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며 외주에 띠 모양으로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압연롤러(4)과, 이 압연롤러(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a,4b,4c)와, 압연롤러(4)의 전 후방측에 설치되어 이형선재(W)의 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a,5b)가 구비된 가이딩장치(5)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압연장치에서는, 이형선재(W)를 받아 한 쌍의 압연롤러(4)에 의해 선재 압연을 수행하게 되는데, 반복적인 압연에 의해 압연롤러의 마모가 발생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선재를 제작할 때,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이 요구하는 선재의 직경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성형홈의 내면에 빌렛에서 발생하는 불똥 등이 고착되어 제조되는 선재의 외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089호(2010.02.03.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연롤러의 상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선재압연 작업에서 압연롤러의 마모가 발생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선재를 제작할 때,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성형홈의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할 수 있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는, 일정 간격이 벌어져 통과하는 선재를 압연하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샤프트 및 하부 구동샤프트, 상부 구동샤프트 및 하부 구동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 구동샤프트 및 하부 구동샤프트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하우징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 상부 베어링하우징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 구동샤프트 및 하부 구동샤프트와 면접촉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저어널베어링,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가 더 구비되되; 스크레이퍼는, 상,하부롤러 주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구비된 축받침과, 축받침에 형성된 통공에 나사결합된 나사축과, 원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나사축의 일측끝단에 구비되어, 롤러의 성형홈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는 칼날과, 나사축의 타측끝단에 구비된 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격조절장치는, 상부베어링하우징의 저면에 돌출되며, 외면에는 관통홈의 구비된 상부몸체와, 하부베어링하우징의 상면에 돌출되며, 외면에는 관통홈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나사결합된 웜축과, 웜축의 외면에 치합된 웜휠로 이루어지되;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의 나사방향은 반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베어링하우징의 저면에는 센서송신부가 구비되며, 하부 베어링하우징의 상면에는 센서수신부가 구비되고, 센서송신부에서 송신된 레이저를 센서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이격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격거리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이격거리와 상이하면, 제어부에서는 제어신호를 모터에 송신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풀림방지장치가 더 구비되되; 풀림방지장치는, 하부몸체의 외면에 함몰된 형태로 구비된 결합홈과, 상부몸체의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에는 암나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너트가 구비된 지지브라켓과,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에는 힌지가 구비된 고정바와, 상부는 힌지에 의하여 고정바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결합돌기는 하부몸체에 구비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회동바로 이루어지되; 고정바의 상부에는 경사통공이 형성되고, 경사통공에는 경사핀이 억지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어널베어링은 소결제조된 함유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어널베어링의 내면에는 수평홈과 교차하는 수직홈이 형성되어, 저어널베어링의 내면 전체에 그리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마찰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부 압연롤러의 상하 높이 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압연롤러에 마모가 발생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선재를 제작할 때,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성형홈의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여 선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재 압연롤러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선재 압연롤러 간격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3은 간격조절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풀림방지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저어널베어링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스크레이퍼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선재 압연롤러 간격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간격조절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압연롤러 간격조절장치는, 상,하부롤러(110a)(110b), 상,하부 구동샤프트(S1)(S2), 상,하부 베어링하우징(130a)(130b), 저어널베어링(140), 간격조절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하부롤러(110a)(110b)의, 상부롤러(110a)와 하부롤러(110b)는 일정 간격이 벌어져 있어, 상부롤러(110a)와 하부롤러(110b)의 사이를 통과하는 선재를 압연하는 기능을 한다.
상,하부 구동샤프트(S1)(S2)는, 상,하부롤러(110a)(110b)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상,하부롤러(110a)(110b)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하부 베어링하우징(130a)(130b)은, 상,하부 구동샤프트(S1)(S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후술하는 저어널베어링(140)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하부 구동샤프트(S1)(S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의 저면에는 센서송신부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의 상면에는 센서수신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서송신부에서 레이저를 송신하면 센서수신부에서 레이저를 수신하여 이격거리를 검출한다. 검출된 이격거리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이격거리와 상이하면, 제어부에서는 제어신호를 모터에 송신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저어널베어링(140)은, 상,하부 베어링하우징(130a)(130b)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하부 구동샤프트(S1)(S2)와 면접촉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간격조절장치(120)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구성으로서, 상부몸체(123a). 하부몸체(123b), 관통공(124), 웜축(121), 웜휠(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몸체(123a)는, 상부베어링하우징(130a)의 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관통홈(124)의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몸체(123b)는, 하부베어링하우징(130b)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관통홈(124)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123a) 및 하부몸체(123b)에 형성된 관통공(124)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몸체(123a)의 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와 하부몸체(123b)의 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의 나사방향은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 등으로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축(121)은, 상부몸체(123a) 및 하부몸체(123b)에 형성된 관통공(124)의 내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웜휠(122)은, 웜축(121)의 외면에 치합되어 있으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웜휠은 모터와 연동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반복적인 압연에 의해 상,하부롤러의 마모가 발생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선재를 제작할 때,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간격조절장치(120)를 구동하는데, 모터에 의하여 웜휠(122)이 회전하면, 웜휠과 치합되어 있는 웜축(121)이 회전하게 된다. 웜축이 회전하면 웜축은 상,하부몸체의 관통공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에 의하여 상,하부몸체(123a,123b)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하부구동샤프트(S1,S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결국 상,하부구동샤프트와 결합되어 있는 상,하부롤러(110a,110b)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간격조절장치에 의하여 상,하부 압연롤러의 상하 높이 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압연롤러에 마모가 발생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선재를 제작할 때,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풀림방지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위에서 살펴본 간격조절장치의 웜축(121)은 상,하부몸체의 관통공(124)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롤러의 구동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웜축(121)이 암나사부에서 이완되는 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하부롤러의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웜축이 암나사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풀림방지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방지장치(150)는, 결합홈(151), 지지브라켓(152), 힌지(153), 고정바(155a), 회동바(155b), 경사핀(157)을 포함하고 있다.
결합홈(151)은, 하부몸체(123b)의 외면에 함몰된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브라켓(152)은, 상부몸체(123a)의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는 암나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브라켓의 상면에는 너트가 구비된다.
고정바(155a)는,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지지브라켓(152)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힌지(15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회동바(155b)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155a)의 상부에는 경사통공(156)의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회동바(155b)는, 상부는 힌지(153)에 의하여 고정바(155a)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합돌기(154)가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돌기(154)는 하부몸체(123b)에 구비된 결합홈(151)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된다.
경사핀(157)은, 고정바(155a)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통공(156)에 억지끼움의 형태로 끼움,고정된다.
이와 같은 풀림방지장치(15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간격조절장치(120)에 의하여, 상,하부롤러의 간격을 조절한 후, 회동바(155b)를 회전시켜, 결합돌기(154)를 결합홈(151)에 삽입한다. 그 다음 지지브라켓(152)의 관통공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고정바(155a)의 상단부에 구비된 너트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지지브라켓(152)과 하부몸체(123b)사이의 간격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 다음 고정바(155a)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통공(156)에 경사핀(157)을 때려 박음으로서, 지지브라켓과 하부몸체의 사이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므로, 간격조절장치의 나사풀림형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저어널베어링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저어널베어링(140)은, 소결제조된 함유 베어링이며, 이와 같은 저어널베어링(140)은 지지해야 할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따라 내부에 함침된 그리스가 샤프트와 접촉되는 슬라이딩면에서 삼출되어 윤활막을 형성하고, 이 유활막을 통해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므로, 높은 베어링 성능과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도 5는 저어널베어링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어널베어링(140)의 내면에는 수평홈(141)과 교차하는 수직홈(142)이 형성되어 있어, 저어널베어링의 내면 전체에 그리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어널베어링(140)은, 기공률이 15~30%이고, 기공 내에, 혼화 조도(稠度)가 400∼475 인 그리스가 함침되며, 기공을 제외한 기지 부분이 Cu 100 중량부에 대하여, Sn, Zn, Ni,P 중 적어도 1종의 5∼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저어널베어링(140)은,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높은 면압 조건에서도 베어링과 샤프트의 금속 접촉이 일어나기 어려운 높은 윤활막 강도를 가지며, 또한, 저속 조건에 있어서도 베어링에 함침한 그리스가 슬라이딩면에 충분히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스크레이퍼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스크레이퍼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200)는 나사축(210), 축받침(220), 핸들(230), 보조핸들(240), 칼날(250)을 포함한다.
축받침(220)은, 상,하부롤러 주변의 일정위치에 고정된 지지대의 상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구비되어 있어, 나사축(210)과 결합되어 있다.
나사축(210)은, 축받침(220)에 형성된 통공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칼날(250)은, 원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나사축(210)의 일측끝단에 구비되며, 롤러(110a,110b)의 성형홈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핸들(230)은, 나사축(210)의 타측끝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나사축(210)을 이동시킴으로서, 나사축(210)의 일측끝단에 구비된 칼날(250)을 성형홈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조핸들(240)은,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핸들을 신속하게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스크레이퍼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압연되어 나오는 선재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면, 사용자는 압연롤러의 가동을 중단하고 핸들을 회전시킨다.
핸들이 회전되면, 나사축은 축받침의 통공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직진하게 된다.
나사축이 이동하여 롤러의 성형홈 내면에 나사축의 일측끝단에 구비된 칼날이 접촉하게 되면, 롤러를 공회전 시켜, 성형홈 내부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고, 핸들을 역회전시켜 성형홈 내부에서 칼날을 제거한 다음, 다시 압연을 진행함으로써, 압연되는 선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선재압연롤러 110a:상부롤러
110b:하부롤러 120:간격조절장치
121:웜축 122:웜휠
123a:상부몸체 123b:하부몸체
130a:상부베어링하우징 130b:하부베어링하우징
140:저어널베어링 141:수평홈
142:수직홈 150:풀림방지장치
151:결합홈 152:지지브라켓
153:힌지 154:결합돌기
155a:고정바 155b:회동바
156:경사통공 157:경사핀
200:스크레이퍼 210:나사축
220:축받침 230:핸들
240:보조핸들 250:칼날
S1:상부구동샤프트 S2:하부구동샤프트

Claims (5)

  1. 일정 간격이 벌어져 통과하는 선재를 압연하는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를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 및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 구동샤프트(S1) 및 하부 구동샤프트(S2)와 면접촉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는 저어널베어링(140),
    상부롤러(110a) 및 하부롤러(110b)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120)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200)가 더 구비되되;
    스크레이퍼(200)는,
    상,하부롤러 주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공이 구비된 축받침(220)과,
    축받침(220)에 형성된 통공에 나사결합된 나사축(210)과,
    원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나사축(210)의 일측끝단에 구비되어, 롤러(110a,110b)의 성형홈 내면에 고착된 불똥을 제거하는 칼날(250)과,
    나사축(210)의 타측끝단에 구비된 핸들(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간격조절장치(120)는,
    상부베어링하우징(130a)의 저면에 돌출되며, 외면에는 관통홈이 구비된 상부몸체(123a)와,
    하부베어링하우징(130b)의 상면에 돌출되며, 외면에는 관통홈의 구비된 하부몸체(123b)와,
    상부몸체(123a) 및 하부몸체(123b)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나사결합된 웜축(121)과,
    웜축(121)의 외면에 치합된 웜휠(122)로 이루어지되;
    상부몸체(123a) 및 하부몸체(123b)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의 나사방향은 반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베어링하우징(130a)의 저면에는 센서송신부가 구비되며,
    하부 베어링하우징(130b)의 상면에는 센서수신부가 구비되고,
    센서송신부에서 송신된 레이저를 센서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이격거리를 검출하며, 검출된 이격거리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이격거리와 상이하면, 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모터에 송신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풀림방지장치(150)가 더 구비되되;
    풀림방지장치(150)는,
    하부몸체(123b)의 외면에 함몰된 형태로 구비된 결합홈(151)과,
    상부몸체(123a)의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에는 암나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너트가 구비된 지지브라켓(152)과,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브라켓(152)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에는 힌지(153)가 구비된 고정바(155a)와,
    상부는 힌지(153)에 의하여 고정바(155a)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는 결합돌기(154)가 구비되며, 결합돌기(154)는 하부몸체(123b)에 구비된 결합홈(151)에 끼움,결합되는 회동바(155b)로 이루어지되;
    고정바(155a)의 상부에는 경사통공(156)이 형성되고, 경사통공(156)에는 경사핀(157)이 억지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저어널베어링(140)은 소결제조된 함유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저어널베어링(140)의 내면에는 수평홈(141)과 교차하는 수직홈(142)이 형성되어, 저어널베어링의 내면 전체에 그리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샤프트와의 마찰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KR1020190045463A 2019-04-18 2019-04-18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KR10221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63A KR102213746B1 (ko) 2019-04-18 2019-04-18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US16/796,647 US11260438B2 (en) 2019-04-18 2020-02-20 Wire rod rolling roller and gap adjustment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63A KR102213746B1 (ko) 2019-04-18 2019-04-18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87A true KR20200122587A (ko) 2020-10-28
KR102213746B1 KR102213746B1 (ko) 2021-02-08

Family

ID=7301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463A KR102213746B1 (ko) 2019-04-18 2019-04-18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74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13A (ja) * 1993-12-23 1996-01-16 Morgan Constr Co ハウジング無しロールスタンドのロール分離調節装置
JPH1110205A (ja) * 1997-06-27 1999-01-19 Fujikura Ltd 金属パイプの伸管装置
JPH11123483A (ja) * 1997-10-21 1999-05-11 Ykk Corp 線材圧延装置
JP2001079607A (ja) * 1999-08-06 2001-03-27 Muhr & Bender Kg 金属帯材をフレキシブル圧延する方法
KR200247996Y1 (ko) * 2001-06-29 2001-10-26 주식회사 3국산업 철판 이송용 롤러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14939Y1 (ko) * 2006-01-25 2006-04-28 김오수 압연기의 롤러 스크레이퍼
KR20100011089A (ko) 2008-07-24 2010-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압연롤
KR20170021503A (ko) * 2015-08-18 2017-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핀치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13A (ja) * 1993-12-23 1996-01-16 Morgan Constr Co ハウジング無しロールスタンドのロール分離調節装置
JPH1110205A (ja) * 1997-06-27 1999-01-19 Fujikura Ltd 金属パイプの伸管装置
JPH11123483A (ja) * 1997-10-21 1999-05-11 Ykk Corp 線材圧延装置
JP2001079607A (ja) * 1999-08-06 2001-03-27 Muhr & Bender Kg 金属帯材をフレキシブル圧延する方法
KR200247996Y1 (ko) * 2001-06-29 2001-10-26 주식회사 3국산업 철판 이송용 롤러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14939Y1 (ko) * 2006-01-25 2006-04-28 김오수 압연기의 롤러 스크레이퍼
KR20100011089A (ko) 2008-07-24 2010-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압연롤
KR20170021503A (ko) * 2015-08-18 2017-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핀치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746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438B2 (en) Wire rod rolling roller and gap adjustment device thereof
CN111112398A (zh) 三辊卷板机
KR102213746B1 (ko) 스크레이퍼 및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 선재압연롤러
KR102213747B1 (ko) 선재 압연롤러의 간격 조절장치
CN201969756U (zh) 可避免型材磨损的卷圆设备
CN213887599U (zh) 一种铝板轧制装置
CN113263056A (zh) 一种适用于建材机械的轧辊间距调节机构及其操作方法
CN210907482U (zh) 钢管成型纠偏装置
CN217912240U (zh) 一种用于冷轧带钢加工的平整装置
CN218252162U (zh) 高性能铸轧黄铜薄带加工装置
KR200181437Y1 (ko) 핀치롤 압하력 조정장치
CN217223080U (zh) 卷板机
SU1145917A3 (ru) Станок дл чист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рофилей зубьев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зубчатых колес
RU159468U1 (ru) Роликовый центрователь
US5220819A (en) Entry guide for strip mill
KR100352323B1 (ko) 압연시스템의 턱스헤드
CN220216245U (zh) 一种冰箱横梁成型滚轧机
EP0542832A1 (en) Twin roll casting
KR100387373B1 (ko) 압연시스템의 턱스헤드
CN219254654U (zh) 一种直缝钢管焊接工装
CN214519502U (zh) 一种不锈钢钢带抛光装置
CN218460487U (zh) 一种钢材加工平整装置
CN210305041U (zh) 一种汽车配件金属压延机用支撑装置
CN112605124B (zh) 一种连续变截面薄钢板的轧制设备及成型方法
CN217647158U (zh) 一种适用于力学用层状复合板的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