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137B1 -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137B1
KR102239137B1 KR1020200156569A KR20200156569A KR102239137B1 KR 102239137 B1 KR102239137 B1 KR 102239137B1 KR 1020200156569 A KR1020200156569 A KR 1020200156569A KR 20200156569 A KR20200156569 A KR 20200156569A KR 102239137 B1 KR102239137 B1 KR 10223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wing
hydraulic cylinders
loading floo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특장
Priority to KR102020015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은,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한 적재 플로어와, 적재 플로어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한 벽 형태의 프론트 판넬과, 적재 플로어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구는 한 쌍의 리어 게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리어 프레임과, 적재 플로어 양측을 개폐하는 사이드 게이트를 가지는 적재부; 및 프론트 판넬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승강 플레이트와, 리어 프레임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승강 플레이트 및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크로스 빔을 가지는 승강부재와, 크로스 빔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이드 게이트와 함께 적재 플로어의 양측면을 개폐하되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윙을 가지는 윙바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WING-BODY FOR CARGO VEHICLES}
본 발명(Disclosure)은,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윙바디 적재함은 통상적인 카고 트럭과는 달리 상차된 화물을 고정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고정고리 또는 홈을 적재함의 바닥면에 형성하고, 라쳇 자동바와 고정끈을 이용하여 상차된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윙바디 적재함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차된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및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물을 고정시키기 않은 상태 하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일이 빈번한 실정이다.
그리고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화물이 윙바디 적재함의 리어 게이트 하부 측으로 쏠려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차된 화물이 중량물일 경우 리어 게이트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221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162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1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9477호.
본 발명(Disclosure)은, 화물 상하차 편의를 위해 개방된 윙(덮개)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화물 운송 시 급정거에 의해 화물이 리어 게이트 측으로 쏠리더라도 화물이 리어 게이트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은,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한 적재 플로어와, 적재 플로어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한 벽 형태의 프론트 판넬과, 적재 플로어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구는 한 쌍의 리어 게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리어 프레임과, 적재 플로어 양측을 개폐하는 사이드 게이트를 가지는 적재부; 및 프론트 판넬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승강 플레이트와, 리어 프레임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승강 플레이트 및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크로스 빔을 가지는 승강부재와, 크로스 빔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이드 게이트와 함께 적재 플로어의 양측면을 개폐하되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윙을 가지는 윙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에서, 승강부재는, 제 1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와, 제 2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들은 프론트 판넬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1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들은 리어 프레임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2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들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들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각각 제 1 포스트 빔 및 제 2 포스트 빔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작동되되, 제 1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수직한 제 1 연결 로드를 매개로 제 1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며, 제 2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수직한 제 2 연결 로드를 매개로 제 2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에서, 제 1 윙은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 2 윙은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윙은 한 쌍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고, 제 2 윙은 한 쌍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들은 크로스 빔의 일측에 인접한 제 1 승강 플레이트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들은 크로스 빔의 타측에 인접한 제 1 승강 플레이트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들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들의 연장단은 제 1 윙의 상단에 인접한 제 1 윙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들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들의 연장단은 제 2 윙의 상단에 인접한 제 2 윙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은, 적재부에 상차된 화물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상기 화물이 상기 리어 게이트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가드부;를 더 포함하며, 가드부는, 수직하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제공되며, 리어 프레임의 양단을 형성하는 제 2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하단이 각각의 제 2 포스트 빔의 바닥을 마감하는 적재 플로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 로드; 적재 플로어를 관통한 승강 로드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크로스 바; 및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 측이 이격된 장착되는, 수직한 봉 형상의 다수의 가드;을 포함하되, 가드들은 제 2 연결 로드와 연동하는 승강 로드들의 승강 작동에 의해 적재 플로어를 관통해 리어 프레임이 형성하는 개구로 상승 및 적재 플로어 하부 외측으로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은, 승강 로드와 인접한 제 2 연결 로드는 제 2 포스트 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되, 승강 로드에는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 1 랙 기어가 승강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 2 연결 로드에는 피니언 기어가 맞물리는 제 2 랙 기어가 제 2 연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승강 로드는 제 2 연결 로드 상승 시 하강하며, 승강 로드는 제 2 연결 로드 하강 시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은, 리어 프레임이 형성하는 개구와 마주하는 적재 플로어에는 가드들이 승강하는 승강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된 제 1 및 제 2 윙들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게차에 의한 화물 상하차 시 화물이 제 1 및 제 2 윙들에 부딪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 운송 시 리어 게이트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화물 상하차 시 침강되는 가드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화물이 리어 게이트의 하부 측으로 쏠려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윙바디 적재함이 장착된 화물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개방된 윙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윙바디 적재함을 바라 본 도면으로, 리어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판넬의 제 1 포스트 빔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프레임의 제 2 포스트 빔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윙의 하강 작동에 따른 가드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윙바디 적재함(100)은 화물차량의 캐빈(C; cabin)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윙바디 적재함(100)은 화물이 상하차되는 적재부(110)와, 화물 상하차 시 적재부(110)의 사이드 게이트(124)와 함께 적재부(110)의 측면을 개폐하는 윙바디부(130) 및 상차된 화물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화물이 적재부(110)의 리어 게이트(118)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가드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적재부(110)는 캐빈(C)의 후방으로 노출된 차대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수평한 판 형태의 적재 플로어(112)와, 캐빈(C)에 인접한 적재 플로어(112)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한 벽 형태의 프론트 판넬(114) 및 적재 플로어(11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118)을 포함한다.
리어 프레임(1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윙바디 적재함(100)을 후방에서 봤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태로 제공되어 내부에 개구(開口)를 형성한다.
이때, 리어 프레임(118)의 개구는 리어 프레임(118)의 외측면 일측 및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리어 게이트(12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렇게 설치된 한 쌍의 리어 게이트(122)는 리어 프레임(118)의 개구를 폐쇄하여 적재 플로어(112)의 후방 측을 폐쇄하며, 개방 시 적재 플로어(112)의 후방 측으로 화물을 상하차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 즉 적재 플로어(11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프론트 판넬(114)의 일단과 리어 프레임(118)의 일단 및 프론트 판넬(114)의 타단과 리어 프레임(118)의 타단 사이는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게이트(124)에 의해 개폐된다.
이렇게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 게이트(124)는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 측을 폐쇄하며, 개방 시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으로 화물을 상하차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한 쌍의 리어 게이트(122)와 리어 프레임(118)의 연결 관계 및 한 쌍의 사이드 게이트(124)와 적재 플로어(112)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프론트 판넬(114) 및 리어 프레임(118)의 상단은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을 폐쇄한 사이드 게이트(124)들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윙바디부(130)는 승강부재(132)와, 승강부재 (132)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부재(132)와 함께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을 포함한다.
승강부재(132)는 프론트 판넬(114)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와, 리어 프레임(118)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를 포함한다.
제 1 승강 플레이트(134)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판넬(114) 및 리어 프레임(118)의 수평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마주하는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와 제 2 승강 플레이트(136)의 중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플로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크로스 빔(138)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부재(132)는 제 1 승강 플레이트(134)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140a)와,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를 더 포함한다.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140a)들은 프론트 판넬(114)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1 포스트 빔(116)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들은 리어 프레임(118)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2 포스트 빔(120)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140a)들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들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b)들은 제 1 포스트 빔(116) 및 제 2 포스트 빔(12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데,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들은 수직한 제 1 연결 로드(144a)를 매개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고, 제 2 승강 플레이트(136)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b)들은 수직한 제 2 연결 로드(144b)를 매개로 제 2 승강 플레이트(136)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된다.
즉,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140a)가 각각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를 상승시키고 동시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가 각각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b)를 상승시키면 각각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 및 각각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와 연결된 제 1 연결 로드(144a)들 및 제 2 연결 로드(144b)들도 상승하는데, 이에 의해 크로스 빔(138)에 의해 연결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와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는 프론트 판넬(114) 및 리어 프레임(118)의 상단에서 상승하며 이격된다.
반대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140a)가 각각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를 하강시키고 동시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가 각각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b)를 하강시키면 각각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 및 각각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와 연결된 제 1 연결 로드(144a)들 및 제 2 연결 로드(144b)들도 하강하는데, 이에 의해 크로스 빔(138)에 의해 연결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와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는 하강하면서 프론트 판넬(114) 및 리어 프레임(118)에 안착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은 사이드 게이트(124)와 함께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을 개폐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되되,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은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 폐쇄 시 상차된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 1 윙(146a)은 대략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 2 윙(146b)은 대략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제 1 윙(146a)의 상단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크로스 빔(138)의 일측에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제 2 윙(146b)의 상단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크로스 빔(138)의 타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윙(146a)은 한 쌍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고, 제 2 윙(146b)은 한 쌍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된다.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빔(138)을 기준으로 크로스 빔(138)의 일측에 인접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136)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빔(138)을 기준으로 크로스 빔(138)의 타측에 인접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136)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들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a)들의 연장단은 제 1 윙(146a)의 상단에 인접한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들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b)들의 연장단은 제 2 윙(146b)의 상단에 인접한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가 각각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a)를 신장시키고 동시에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가 각각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b)를 신장시키면, 제 1 윙(146a) 및 제 2 윙(146b)은 크로스 빔(138)의 상부 측으로 선회하면서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가 각각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a)를 복귀시키고 동시에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가 각각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150b)를 복귀시키면, 제 1 윙(146a) 및 제 2 윙(146b)은 크로스 빔(138)의 하부 측으로 선회하면서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을 폐쇄시킨다.
여기서,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148a)들과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148b)들은 따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재 플로어(112)의 일측 또는 타측만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1 윙(146a) 및 제 2 윙(146b)과 크로스 빔(138)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드부(160)는 수직한 봉 형상의 가드(170)들과, 가드(170)들을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승강 로드(162)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승강 로드(162)들은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b)들에 간섭되지 않게 리어 프레임(118)의 양단을 형성하는 제 2 포스트 빔(120)들 내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승강 로드(162)들은 제 2 연결 로드(144b)들과 마찬가지로 수직하게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제공되되, 각각의 승강 로드(162)들의 하단은 각각의 제 2 포스트 빔(120)의 바닥을 마감하는 적재 플로어(112)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각각의 승강 로드(162)들은 인접 배치된 제 2 연결 로드(144b)의 승강 작동과 연동하여 승강 작동된다.
이를 위해서, 승강 로드(162)와 인접한 제 2 연결 로드(144b)는 제 2 포스트 빔(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164)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승강 로드(162)에는 피니언 기어(164)에 맞물리는 제 1 랙 기어(166)가 승강 로드(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 2 연결 로드(144b)에는 피니언 기어(164)가 맞물리는 제 2 랙 기어(168)가 제 2 연결 로드(14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가드(170)들은 적재 플로어(112)를 관통한 승강 로드(162)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크로스 바(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 측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장착된다.
그리고 크로스 바(172)에 장착된 가드(170)들은 승강 로드(162)들 따라 승강 작동되는데, 가드(170)들은 상승 시 리어 게이트(122)에 간섭되지 않게 적재 플로어(112)을 관통해 리어 프레임(118)의 개구로 상승하며, 가드(170)들은 하강 시 적재 플로어(112)의 하부로 침강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프레임(118)이 형성하는 개구와 마주하는 적재 플로어(112)에는 가드(170)들이 승강 할 수 있도록 승강공(174)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가드부(160)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차된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을 개방 시킨 상태 하에서 한 쌍의 제 1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a, 140b)를 작동시켜 제 1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 142b)를 상승시키면, 제 1 및 제 2 연결 로드(144a, 144b)들도 상승하면서 승강부재(132)와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은 상승시킨다.
이때, 제 2 연결 로드(144b)들이 상승함에 따라 제 2 연결 로드(144b)의 제 2 랙 기어(168)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164)는 적재 플로어(112) 측으로 회전되고, 피니언 기어(164)가 적재 플로어(112)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164)와 제 1 랙 기어(166)를 매개로 연결된 승강 로드(162)들은 하강되는데, 이에 의해 승강 로드(162)들의 하단에 연결된 크로스 바(172)는 적재 플로어(112)의 하부 외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크로스 바(172)에 장착된 가드(170)들은 하차되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게 승강공(174)을 통해 적재 플로어(112)의 하부 측으로 침강된다.
반대로, 화물 상차 완료 또는 화물 하차 완료 후 화물차량 주행을 위해서 한 쌍의 제 1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140a, 140b)를 작동시켜 제 1 및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142a, 142b)를 하강시키면, 제 1 및 제 2 연결 로드(144a, 144b)들도 하강하면서 승강부재(132)와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은 하강시켜 제 1 승강 플레이트(134)와 제 2 승강 플레이트(136)를 프론트 판넬(114) 및 리어 프레임(118)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적재 플로어(112)의 양측이 폐쇄되도록 제 1 및 제 2 윙(146a, 146b)을 작동시킨다.
이때, 제 2 연결 로드(144b)들이 하강함에 따라 제 2 연결 로드(144b)의 제 2 랙 기어(168)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164)는 제 1 및 제 2 윙(146a, 146b) 측으로 회전되고, 피니언 기어(164)가 제 1 및 제 2 윙(146a, 146b)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164)와 제 1 랙 기어(166)를 매개로 연결된 승강 로드(162)들은 상승하는데, 이에 의해 승강 로드(162)들의 하단에 연결된 크로스 바(172)는 적재 플로어(112) 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크로스 바(172)에 장착된 가드(170)들은 리어 게이트(122)들에 간섭되지 않게 승강공(174)을 통해 적재 플로어(112)의 상부 측으로 상승하면서 리어 프레임(118)의 개구 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리어 프레임(118)의 개구 측으로 노출된 가드(170)들은 화물차량 주행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리어 게이트(122)의 하부 측으로 쏠리는 화물이 리어 게이트(122)들에 부딪히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100)은 개방된 제 1 및 제 2 윙(146a, 146b)들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게차에 의한 화물 상하차 시 화물이 제 1 및 제 2 윙(146a, 146b)들에 부딪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100)은 화물 운송 시 리어 게이트(122)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화물 상하차 시 침강되는 가드(170)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화물이 리어 게이트(122)의 하부 측으로 쏠려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한 적재 플로어와, 상기 적재 플로어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한 벽 형태의 프론트 판넬과, 상기 적재 플로어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구는 한 쌍의 리어 게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리어 프레임과, 상기 적재 플로어 양측을 개폐하는 사이드 게이트를 가지는 적재부;
    상기 프론트 판넬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상단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승강 플레이트 및 마주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크로스 빔을 가지는 승강부재와, 상기 크로스 빔의 일측 및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함께 상기 적재 플로어의 양측면을 개폐하되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윙을 가지는 윙바디부; 및
    상기 적재부에 상차된 화물 운송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한 급정거 시 상기 화물이 상기 리어 게이트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 1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2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프론트 판넬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1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제 2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들의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 및 상기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들의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각각 상기 제 1 포스트 빔 및 상기 제 2 포스트 빔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작동되되,
    상기 제 1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 1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수직한 제 1 연결 로드를 매개로 상기 제 1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 2 승강 유압 실린더 로드들은 수직한 제 2 연결 로드를 매개로 상기 제 2 승강 플레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드부는,
    수직하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리어 프레임의 양단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포스트 빔들 내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하단이 각각의 상기 제 2 포스트 빔의 바닥을 마감하는 상기 적재 플로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 로드;
    상기 적재 플로어를 관통한 상기 승강 로드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 측이 이격된 장착되는, 수직한 봉 형상의 다수의 가드;을 포함하되,
    상기 가드들은 상기 제 2 연결 로드와 연동하는 상기 승강 로드들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적재 플로어를 관통해 상기 리어 프레임이 형성하는 개구로 상승 및 상기 적재 플로어 하부 외측으로 하강하고,
    상기 승강 로드와 인접한 상기 제 2 연결 로드는 상기 제 2 포스트 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승강 로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 1 랙 기어가 상기 승강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 로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가 맞물리는 제 2 랙 기어가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 로드는 상기 제 2 연결 로드 상승 시 하강하며, 상기 승강 로드는 상기 제 2 연결 로드 하강 시 상승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윙은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윙은 "┐"자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윙은 한 쌍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고, 상기 제 2 윙은 한 쌍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되,
    상기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크로스 빔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승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크로스 빔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승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들의 제 1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들의 연장단은 상기 제 1 윙의 상단에 인접한 상기 제 1 윙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들의 제 2 개폐 유압 실린더 로드들의 연장단은 상기 제 2 윙의 상단에 인접한 상기 제 2 윙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이 형성하는 개구와 마주하는 상기 적재 플로어에는 상기 가드들이 승강하는 승강공들이 형성되는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KR1020200156569A 2020-11-20 2020-11-20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KR102239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69A KR102239137B1 (ko) 2020-11-20 2020-11-20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69A KR102239137B1 (ko) 2020-11-20 2020-11-20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137B1 true KR102239137B1 (ko) 2021-04-12

Family

ID=7543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569A KR102239137B1 (ko) 2020-11-20 2020-11-20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1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84B1 (ko) * 2021-07-21 2021-11-23 (주)한중특장 다양한 형태로 적재함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윙바디 트레일러
KR102366511B1 (ko) 2021-07-01 2022-02-24 주식회사 세종특장 윙바디 적재함의 승강식 윙도어 연동형 방수장치
KR102368981B1 (ko) * 2022-02-08 2022-02-28 김인범 윙바디 트럭
CN115367001A (zh) * 2022-08-17 2022-11-22 山东三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翼展式货厢
KR102606614B1 (ko) * 2023-06-01 2023-11-29 신제일정공 주식회사 승강식 윙바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92U (ko) * 1996-01-12 1997-08-12 천정승강식 윙바디트럭
KR20090121697A (ko) * 2008-05-22 2009-11-26 이상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200479477Y1 (ko) 2014-08-21 2016-02-01 배흥수 화물 이탈방지 윙바디 트럭
KR101842213B1 (ko) 2017-11-16 2018-03-26 최시남 적재 화물의 쓰러짐이 방지되는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
KR101961627B1 (ko) 2019-01-31 2019-03-25 오세덕 화물 결속장치를 구비하는 윙바디 특장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92U (ko) * 1996-01-12 1997-08-12 천정승강식 윙바디트럭
KR20090121697A (ko) * 2008-05-22 2009-11-26 이상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200479477Y1 (ko) 2014-08-21 2016-02-01 배흥수 화물 이탈방지 윙바디 트럭
KR101842213B1 (ko) 2017-11-16 2018-03-26 최시남 적재 화물의 쓰러짐이 방지되는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
KR101961627B1 (ko) 2019-01-31 2019-03-25 오세덕 화물 결속장치를 구비하는 윙바디 특장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19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511B1 (ko) 2021-07-01 2022-02-24 주식회사 세종특장 윙바디 적재함의 승강식 윙도어 연동형 방수장치
KR102329784B1 (ko) * 2021-07-21 2021-11-23 (주)한중특장 다양한 형태로 적재함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윙바디 트레일러
KR102368981B1 (ko) * 2022-02-08 2022-02-28 김인범 윙바디 트럭
CN115367001A (zh) * 2022-08-17 2022-11-22 山东三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翼展式货厢
KR102606614B1 (ko) * 2023-06-01 2023-11-29 신제일정공 주식회사 승강식 윙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137B1 (ko)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RU2500553C2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267822A (en) Automatic automobile parking garage
US9221501B2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KR102182983B1 (ko) 화물용 및 고하중용 초대형 승강기의 안티크리핑 장치
KR100905484B1 (ko) 화물차용 적재함
CN201410904Y (zh) 自卸车车厢底板双侧倾斜机构
CN217374283U (zh) 一种带固定底架和边梁的活动底板式车厢结构
AU2009100038A4 (en) Load Apparatus for a Vehicle
CN210417783U (zh) 一种摆渡式货仓
CN204774861U (zh) 厢式挂车尾板升降机构
JPH04361977A (ja)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KR101934576B1 (ko) 화물운송 차량용 무빙 윙바디
KR20220035555A (ko)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CN211844213U (zh) 车辆运输车
CN214611036U (zh) 一种井道施工升降机用安全防护门结构
CN216038448U (zh) 一种用于无人车的液压控制系统
JP5025516B2 (ja) 立体駐車装置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CN220595038U (zh) 一种货运车车厢
KR102356421B1 (ko) 차량의 스텝 겸용 후방 게이트 시스템
CN217867950U (zh) 一种可调节的铁路货车检修用升降装置
KR102606614B1 (ko) 승강식 윙바디
KR101847819B1 (ko) 개선된 차량 적재 데크 승강구조를 구비한 차량 운송 트레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