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697A -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 Google Patents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697A
KR20090121697A KR1020080047723A KR20080047723A KR20090121697A KR 20090121697 A KR20090121697 A KR 20090121697A KR 1020080047723 A KR1020080047723 A KR 1020080047723A KR 20080047723 A KR20080047723 A KR 20080047723A KR 20090121697 A KR20090121697 A KR 2009012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ttom plate
cargo
gea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241B1 (ko
Inventor
이상호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상호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08004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2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4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cars or linked car-trains with individual load-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를 이용하여 적재된 경량의 장재화물을 하적시키기 위해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판에 적용될 수 있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바닥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운동을 하는 승강장치, 그 승강장치와 적재된 화물 사이에 삽입되어 화물을 적재함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을 탑재하여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와 같은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적용한 적재함을 구비하되, 적재함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백도어는 적재함의 후단 중간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적재함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47723
윙바디 차량, 승강장치, 이송장치, 트롤리, 하강수단, 백도어

Description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SYSTEM FOR LIFTING CARGO AND WING BODY VEHICLE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하적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되, 장재화물의 측면 적재가 가능하도록 백도어 구조를 개선한 윙바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자재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샌드위치 판넬은 길이가 대략 13m에서 15m이고, 무게는 한 묶음에 1톤 정도이다. 이는 비교적 가벼운 화물에 속하는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으로부터 하적할 경우에는 주로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면, 지게차 또는 크레인의 용역비, 연료비 등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여러 대의 화물차가 대기하고 있을 때에는 한정된 수의 지게차 또는 크레인이 모든 하적 작업을 하게 되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각종 건축자재가 산재해 있는 공사현장에서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샌드위치 판넬을 이동시키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계속하여, 종래에는 샌드위치 판넬의 수송에 일반적인 화물차나 탑차를 이용하였으나, 종래의 화물차, 특히, 탑차의 백도어는 양 사이드에 설치된 지지축에 결합되어 적재함의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백도어 구조는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장재화물의 적재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재화물의 경우에는 차량의 측면에서 적재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고 신속하나 상기와 같이 양 사이드에 설치된 지지축으로 인하여 측면 적재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장재화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팔레트를 이용하여 적재된 경량의 장재화물을 하적시키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판에 적용될 수 있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닥판을 전후좌우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각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상면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그 안내홈의 일단에는 기어 노출공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회전 가능한 로울러가 설치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케이싱;
상기 로울러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을 승강시키는 캠; 및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상기 기어 노출공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톱니기어;
상기 톱니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케이싱과 팔레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이 상승된 상태에서 적재된 장재화물을 바닥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중간에 상기 톱니기어와 치합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트롤리;로 구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톱니기어의 회전에 의해 바닥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를 탑재하여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2) 상기 하강수단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 2 프레임; 상기 제1, 2 프레임의 내측에서 직선운동을 하고, 외주부에는 두 개의 와이어 고리부가 형성된 환봉; 상기 환봉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 일단은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2 프레임의 외측에서 직선운동을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환봉, 및 연결봉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공간 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판넬;로 구성되는 하강 구조물과,
상기 환봉 및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일단은 상기 환봉의 와이어 고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화물 승하강 시스템.
(3) 상기 환봉과 제3 프레임이 최대한 이격된 상태의 제1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기재의 화물 승하강 시스템.
(4) 상기 (1) 내지 (3) 기재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적용한 바닥판, 그 바닥판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축, 그 지지축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도어,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 도어, 상기 전면판과 상기 지지축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그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개폐가 가능한 윙,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재함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바닥판의 후단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백도어는 이와 같은 지지축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내측으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화물 하적작업 시간의 단축으로 효율적인 차량운행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 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경량화물의 수송에 사용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용될 수 있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승강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케이싱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은 화물차의 적재함(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승강장치(10), 이송장치(40), 및 하강 구조물(60)로 구성된다.
승강장치(10)는 화물(도면 미도시)을 바닥판(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고, 이송장치(40)는 바닥판(2)으로부터 이격된 화물을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하강 구조물(60)은 이동된 화물을 지면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승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의 바닥판(2)을 전후좌우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각 영역에는 가이드공(29)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29)에는 승강장치(10)가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이와 같은 승강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29)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케이싱(11),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싱(11)을 상하운동 시키는 캠(14, 14’), 상기 캠(14, 14’)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1)은 상승운동에 의해 적재된 화물을 밀어 올리는 부재로서, 샌드위치 판넬의 폭과 동일한 약 1m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판과, 그 수평판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의 상면 중간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22)이 형성되고 그 안내홈(22)의 일단부에는 기어 노출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가운데 부분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캠축(13)에 방해받지 않고 케이싱(11)의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싱(11)의 수직판과 차량의 측면부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30)가 설치됨으로써 상하운동으로 인한 케이싱(1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고할 때, 상기 케이싱(11)의 상하운동은 적재함 바닥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캠(14, 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캠축(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14, 14)은 케이싱(11)의 수평판 하면에 설치된 로울러(12, 12)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싱(11)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울러(12, 12)는, 캠(14, 14)이 케이싱(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장치와 적재된 화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승된 화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 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트롤리의 하면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재된 화물과 와이어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송장치(40)는, 케이싱(11)과 적재된 화물 사이에 삽입되어 화물을 이동시키는 트롤리(46), 상기 트롤리(46)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41)에 치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트롤리(46)를 직선운동시키는 톱니기어(15), 상기 톱니기어(15)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3)와 꼬리부재(44)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43)와 꼬리부재(44)는 경첩(45)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몸체(43)는 승강장치의 상승으로 화물의 하부에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화물을 안전하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의 수평판 길이와 동일하게 약 1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43)의 하면 양쪽에는 다수의 로울러 휠(4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로울러 휠(42)은 트롤리(46)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폭이 넓고,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몸체(43)의 하면 양쪽에 설치된 로울러 휠(42) 사이에는 톱니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요철부(4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요철부(41)는 트롤리(46)의 몸체(43)뿐만 아니라 꼬리부재(44)에도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 휠(42)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요철부(41)가 로울러 휠(42)보다 더 돌출됨으로써, 트롤 리(46)는 케이싱(11)의 상면 중간부에 형성된 안내홈(22)을 따라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고, 기어 노출공(23)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톱니기어(15)와도 용이하게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꼬리부재(44)는 트롤리(46)의 몸체(43)를 차체로부터 완전하게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43)의 후단에 상면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경첩(45)에 의해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46)의 몸체(43)에 꼬리부재(44)가 결합되어 있지 않다면, 톱니기어(15)의 회전으로 트롤리(46)가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대략 a의 절반만큼은 케이싱(11)에 위치하게 되어 화물의 하강을 시작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a와 대략 동일한 a'길이의 꼬리부재(44)를 몸체(43)의 후단에 결합시킴으로써, 트롤리(46)의 몸체(43)가 케이싱(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꼬리부재(44)의 하면에도 요철부(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톱니기어(15)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의 a부분은 케이싱(11)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 하강구조물(6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화물이 적재된 트롤리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이어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6을 참고하면, 꼬리부재(44)는 상면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몸체(43)와 경첩(45)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트롤리(46)의 하강이 시작되면 꼬리부 재(44)는 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접히게 된다. 이에 따라 꼬리부재(44)는 화물의 하강 작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화물이 승강장치에 의해 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톱니기어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 위에는 팔레트(8)와 화물(9)이 차례로 적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2)과 팔레트(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케이싱(11)과 나란하게 트롤리(46)가 삽입된다.
이 경우, 트롤리(46)에는 요철부(41)가 로울러 휠(42)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1)의 수평판에 형성된 안내홈(22)에 의해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트롤리(46)가 삽입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바닥판(2)의 하부에 설치된 캠(14)을 회전시키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수평판 하부에 설치된 로울러(12)가 회전함과 동시에 케이싱(11)이 상승하게 된다.
케이싱(11)의 상승에 의해 상기 트롤리(46)가 팔레트(8)를 밀어 올림으로써, 화물(9)은 바닥판(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이 경우, 화물이 바닥판(2)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는 트롤리(46)의 이동이 가능한 정도이면 충분하며, 대략 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화물을 적재한 트롤리를 케이싱으로부터 이탈시켜 지면으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하강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강수단은, 하강 구조물, 상기 하강 구조물에 연결되어 서서히 풀어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롤, 상기 와이어롤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하강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하강 구조물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하강 구조물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판넬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구조물(60)은 다수의 프레임과 환봉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 2 프레임(61, 61’); 상기 제1, 2 프레임(61, 61’)의 내측에서 직선운동을 하고, 외주부에는 두 개의 와이어 고리부(68, 68’)가 형성된 환봉(64’); 상기 환봉(64’)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62, 62’); 상기 상부 프레임(62, 6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64); 일단은 상기 연결봉(64)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2 프레임(61, 61’)의 외측에서 직선운동을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63, 63’); 및 양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63, 63’)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프레임(67’);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고리부(68, 68’)에는 제2 와이어(69, 69’)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69, 69’)의 타단은 차체의 하부에 장착된 와이어 드럼에 감기게 된다.
또한, 제1, 2 프레임(61, 61’)의 일단에는 고정걸이(65, 65’)이 형성됨으 로써, 차체의 측부에 형성된 홈(도면 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물의 하강시에도 흔들림이 없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하여, 화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환봉(64’)과 제3 프레임(67’)은 제1 와이어(66, 6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2 프레임(61, 6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67)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하강 구조물에 사용되는 프레임이나 환봉의 소재는 설치의 편의 및 지지력의 확보를 위해 가벼우면서도 잘 휘어지지 않는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강 구조물의 설치 및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강 구조물(60)은, 상기 상부 프레임(62, 62’)이 지면과 평행을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구조물(60)은, 상부 프레임(62, 62’), 하부 프레임(63, 63’), 및 제1 와이어(66, 66’)로 이루어지는 측단면이 정삼각형 형상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봉(64’)과 제3 프레임(67’)을 제1 와이어(66, 66’)로 연결하되, 상기 환봉(64’)과 제3 프레임(67’)이 최대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와이어(66, 66’)의 길이는 상부 프레임(62, 62’) 및 하부 프레임(63, 63’)의 길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측단면이 정삼각형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화물의 하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롤(도면 미도시)에 감겨있는 제2 와이어(69, 69’)가 서서히 풀어지면, 상기 환봉(64’) 및 제3 프레임(67’)은 각각 제1, 2 프레임(61, 61’)의 내측과 외측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지면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제1, 2 프레임(61, 61’)의 내측에는 전영역에 걸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환봉(64’)의 양단에는 로울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2 프레임(61, 61’)의 외측에는 가이드부가 하단에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하부 프레임(63, 63’) 및 제3 프레임(67’)은 제1, 2 프레임(61, 61’)의 상단으로 올라오지 않고 하단에서만 직선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 환봉(64’) 및 제3 프레임(67’)의 하강이 계속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레임(67’)이 지면에 접하여 안착되고, 환봉(64’)은 더 하강되어 최종적으로 지면에 접하여 안착된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62, 62’)은 제1, 2 프레임(61, 6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63, 63’)은 제1, 2 프레임(61, 6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62, 62’)과 하부 프레임(63, 63’)의 길이는 서로 같기 때문에,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2 프레임(61, 61’)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하강 운동을 하는 하강 구조물(60)에서, 상부 프레임(62, 62’), 환봉(64’), 및 연결봉(64)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공간 위에는 트롤리를 탑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넬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넬(70)의 중간부에는 가이드부(71)가 형성되어 트롤리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적재판넬(70)의 일단에는 스토퍼(72)가 형성되어 트롤리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재판넬(70)의 타단에는 걸이부(74)가 형성되어 환봉에 걸리도록 하였다.
이 경우, 상기 걸이부(74)는 도8에 도시된 환봉(64’)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환봉(64’)의 고리부(68, 68’)에 대응되는 위치를 절단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캠, 톱니기어, 및 하강 구조물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구동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톱니기어와 와이어 로울러가 기어축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구동수단은 적재함 바닥판(도면 미도시)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캠축(13)은 구동축(26)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그 캠축(13)에는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 로울러(12)에 접하도록 캠(14)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축(26)과 캠축(13)은 브라켓(27)에 의해 결합되고, 구동축(26)의 일단에는 유압실린더(2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25)의 유압에 의해 구동축(26)이 전후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면, 캠축(13)과 캠(14)이 회전하게 되어 케이싱은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26)의 전후방향 운동이 가능하 도록 브라켓(27)에 형성되는 연결공은 구동축(26)의 단면적보다 다소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21)에는 톱니기어(15)가 결합되고, 그 양쪽으로 와이어 로울러(2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로울러(20)는 상기 기어축(21)과 베어링(28)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21)의 회전에 상관없이 별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와이어 로울러(20)에 걸려있는 제2 와이어(69, 69’)는 상기 기어축(21)의 회전과 무관하게 서서히 풀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톱니기어(15)의 양쪽에 와이어 로울러(2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2 와이어(69, 69’)가 날카로운 톱니기어(15)에 방해받거나 접촉되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드럼(17)과 톱니기어(15)는 각각 별도로 유압모터(31) 및 감속기(24, 24’)에 연결되어, 동력이 인가됨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24, 24’)는 와이어 드럼(17) 및 톱니기어(15)를 서서히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을 하강, 이동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동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동수단의 종류, 개수, 및 형성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는 구동수단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좌측과 우측의 구동수단을 하나로 통합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은 적재함을 구비하는 윙바디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이 적용된 윙바디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200)은, 전술한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적용한 바닥판(2), 그 바닥판(2)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고정 설치된 전면판(1), 상기 바닥판(2)의 후단 중간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는 T자형의 지지축(89), 상기 지지축(89)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안쪽으로 개폐가 가능한 백도어(81, 81’), 상기 바닥판(2)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 도어(91), 상기 전면판(1)과 지지축(89)의 상단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4), 그 지지 프레임(4)의 양측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88)에 의해 상하로 개폐가 가능한 윙(3)을 포함하는 적재함(10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은 변형된 백도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백도어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200)은 바닥판(2)의 후단 중앙에 지지축(8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좌우측 백도어(81, 81’)는 상기 지지축(89)를 중심으로 적재함의 안쪽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설계 됨으로써 장재화물의 측면적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지지축(89)을 하나만 형성함에 따른 부족한 지지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에서는 좌우측의 윙 중에서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경우에는 다른 윙은 폐쇄되도록 유압실린더(88)가 제어된다. 즉, 폐쇄된 윙은 지지력을 보강한다.
예컨대, 우측 윙과 백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 윙과 백도어는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이후, 바닥판의 우측에 화물을 적재하고 우측 윙을 폐쇄시켜 지지력을 확보하면, 좌측 윙과 백도어를 개방시켜 화물을 적재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지지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예컨대, 지지 프레임(4)의 후단부에는 윙(3)과 별도로 상하개폐가 가능한 ㄷ자 단면 형상의 프레임(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5)에는 통상적인 탈착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윙(3)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적재함보다 긴 장재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5)을 윙(3)에 부착시켜 같이 개방되도록 하고, 적재함의 길이보다 짧은 일반 팔레트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윙(3)만 개방시키고 프레임(5)은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지지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2)의 좌우 모든 영역에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백도어(81, 81’)는 모두 적재함의 안쪽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백도어(81, 81’) 자체가 지지력을 더 보충할 수 있다. 즉, 좌우측 백도어(81, 81’)가 개방되어 서로 접하게 되면, 상기 지지 프레임(4)의 하부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어 지지력이 보 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5)은 고정수단(7)으로 바닥판(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5)과 바닥판(2)에는 고정홈(90, 6)이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홈(90, 6)에 고정수단(7)을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프레임(5)을 개방하지 않을 때에는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강수단으로써 저렴한 생산 비용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프레임 및 환봉으로 구성된 하강 구조물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하강수단은 화물을 하강시킬 수 있다면 유압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승강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케이싱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트롤리의 하면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화물이 적재된 트롤리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화물이 승강장치에 의해 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하강 구조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하강 구조물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하강 구조물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판넬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의 구동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에서 톱니기어와 와이어 로울러가 기어축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백도어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바닥판 3 : 윙
10 : 승강장치 11 : 케이싱
15 : 톱니기어 20 : 와이어 로울러
22 : 안내홈 23 : 기어 노출공
24, 24’ : 감속기 28 : 베어링
29 : 가이드공 30 : 로울러
40 : 이송장치 41 : 요철부
42 : 로울러 휠 43 : 몸체
44 : 꼬리부재 45 : 경첩
46 : 트롤리 60 : 하강 구조물
70 : 적재판넬 71 : 가이드부
72 : 스토퍼 81, 81’ : 백도어
89 : 지지축 100 : 적재함
200 : 윙바디 차량

Claims (4)

  1. 팔레트를 이용하여 적재된 경량의 장재화물을 하적시키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판에 적용될 수 있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으로서,
    상기 바닥판을 전후좌우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각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상면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그 안내홈의 일단에는 기어 노출공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회전 가능한 로울러가 설치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케이싱;
    상기 로울러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을 승강시키는 캠; 및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상기 기어 노출공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톱니기어;
    상기 톱니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케이싱과 팔레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이 상승된 상태에서 적재된 장재화물을 바닥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중간에 상기 톱니기어와 치합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트롤리;로 구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톱니기어의 회전에 의해 바닥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를 탑재하여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수단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 2 프레임; 상기 제1, 2 프레임의 내측에서 직선운동을 하고, 외주부에는 두 개의 와이어 고리부가 형성된 환봉; 상기 환봉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 일단은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2 프레임의 외측에서 직선운동을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환봉, 및 연결봉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공간 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판넬;로 구성되는 하강 구조물과,
    상기 환봉 및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일단은 상기 환봉의 와이어 고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과 제3 프레임이 최대한 이격된 상태의 제1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승하강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물 승하강 시스템을 적용한 바닥판, 그 바닥판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축, 그 지지축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도어,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 도어, 상기 전면판과 상기 지지축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그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개폐가 가능한 윙,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재함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바닥판의 후단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백도어는 이와 같은 지지축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내측으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
KR1020080047723A 2008-05-22 2008-05-22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10096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23A KR100967241B1 (ko) 2008-05-22 2008-05-22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23A KR100967241B1 (ko) 2008-05-22 2008-05-22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97A true KR20090121697A (ko) 2009-11-26
KR100967241B1 KR100967241B1 (ko) 2010-06-30

Family

ID=4160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723A KR100967241B1 (ko) 2008-05-22 2008-05-22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589A (ko)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KR102239137B1 (ko) * 2020-11-20 2021-04-12 주식회사 한국특장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CN117088150A (zh) * 2023-10-20 2023-11-21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托盘垛装货物的自动装车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006B1 (ko) 2019-07-15 2021-01-26 씨제이대한통운(주) 화물 차량용 모듈형 팔레트 자동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473B (en) * 1993-04-07 1996-11-27 Ashimori Ind Co Ltd Self-driven liftup conveyor, vehicular liftup conveyor,truck freight loader/unloader,and truck freight loading system
US7524159B2 (en) * 2006-04-10 2009-04-28 U Box It Inc. Method of receiving and transporting solid was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589A (ko)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KR102239137B1 (ko) * 2020-11-20 2021-04-12 주식회사 한국특장 화물차량용 상승 윙바디 적재함
CN117088150A (zh) * 2023-10-20 2023-11-21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托盘垛装货物的自动装车设备及其控制方法
CN117088150B (zh) * 2023-10-20 2024-01-12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托盘垛装货物的自动装车设备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241B1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880B2 (en) Motorcycle lift
JP2006517493A (ja) 可動耐荷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込んだ車両及びトレーラ
KR100967241B1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JP2012167468A (ja) 荷降ろし装置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JP6486113B2 (ja) 収納庫付平面デッキ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CN102514518A (zh) 车用装货卸货器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101036730B1 (ko) 화물의 승·하차 장치
CN110329132B (zh) 混合式多层物流运输车
CN209872261U (zh) 一种无爬坡式手动液压车上货提升机
KR200457846Y1 (ko) 트럭장착형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 시스템의 수평유지 후방리프트장치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US20130084152A1 (en) Container Loading System
CN211664588U (zh) 一种铁路车辆内部安装的吊装装置
CN116477506B (zh) 一种塔式起重机失电保护装置
CN214189832U (zh) 一种可调装货空间的货车
US3952886A (en) Arrangement for stabilizing an aircraft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CN213083000U (zh) 一种隐藏式车载电动垂直升降货物装卸平台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JP5364536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114715811B (zh) 一种四向车联合叉车货物转运平台
CN211496770U (zh) 一种物流车辆用随车升降装置
CN111688564B (zh) 一种自卸装填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