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89A -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89A
KR20190082589A KR1020180000372A KR20180000372A KR20190082589A KR 20190082589 A KR20190082589 A KR 20190082589A KR 1020180000372 A KR1020180000372 A KR 1020180000372A KR 20180000372 A KR20180000372 A KR 20180000372A KR 20190082589 A KR20190082589 A KR 2019008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veyor
cargo
loading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946B1 (ko
Inventor
김승모
서도찬
송영윤
박현아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800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바닥에 측면으로 인,입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밴드부와; 상기 배출밴드부에 결합되어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밴드부가 인,입출되도록 물류터미널의 접안도크에 구비된 배출구동부와; 상기 배출구동부에 구비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접안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이송컨베이어와 유격차를 줄여 화물간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배출측에 구비된 경사컨베이어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의 출구측에 구비된 호퍼형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밴드부의 구동을 기점으로 화물량 또는 후행 속도에 따라 화물 하차량이 조절되는 하차량 조절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WING BODY AUTOMOBILE GETTING OFF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내의 화물이 배출밴드부에 의하여 적재함 측면으로 배출되는 가운데 배출된 화물이 배출컨베이어와 경사컨베이어 및 호퍼형 컨베이어에 의하여 물류터미널의 내부에 구비된 연계형 컨베이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의 이동속도가 화물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윙바디 차량은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방안으로 적재함의 측부에서 도어가 개폐되어 화물의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은 크기와 수량에 따라 최적 상태를 갖도록 적재되고, 적재된 화물의 하적은 물류터미널의 도크에 차량이 접안되기 전에 적재함의 하부도어를 오픈 시키고, 도크에 접안된 상태에서 적재함 상부 윙을 개방 시킨 후 적재함의 바닥 또는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소화물일 경우, 수작업을 통해 하적시키고, 대화물일 경우, 별도의 지게 차량을 이용하여 하적을 시키게 된다.
수작업이나 지게 차량을 이용하여 화물을 하적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로봇팔을 활용하거나 적재함 내부에 별도의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소화물 및 대화물 하적이 자동 또는 무인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로봇팔 및 이송장치를 이용할 경우, 보수와 유지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가 필요 이상으로 지출되는 가운데 하적된 화물이 적재함의 전면만을 통해 하적됨에 따라 하역율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재함의 전면만을 통해 화물이 하적됨으로서 취급 가능한 화물 즉, 벌크 타입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1.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390호(2005.01.06.)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697호(2009.11.26)
본 발명은 택배 물류 처리 과정 중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최소한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하적할 수 있도록 하여 하적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적재함의 측면을 이용하여 화물이 하적될 수 있도록 하여 벌크 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물류 터미널 도크에 종속적이지 않아 추가 설치 비용이나 배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에 측면으로 인,입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밴드부와;상기 배출밴드부에 결합되어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밴드부가 인,입출되도록 물류터미널의 접안도크에 구비된 배출구동부와; 상기 배출구동부에 구비된 배출컨베이어와;상기 접안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이송컨베이어와 유격차를 줄여 화물간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배출측에 구비된 경사컨베이어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의 출구측에 구비된 호퍼형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밴드부의 구동을 기점으로 화물량 또는 후행 속도에 따라 화물 하차량이 조절되는 하차량 조절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밴드부는 적재함의 바닥에 안착된 배출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밴드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하부도어에 일측단부가 근접되게 위치되며, 타측단부가 적재함의 타측 하부도어 상단의 윙도어 내측 하단까지 연장된 밴드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저면 또는 외측면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배출구동부에 연결되는 구동결합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결합부는 밸크로 테이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밴드부재는 적재함의 바닥과 접촉되는 밑면은 미끄러운 표면부가 형성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윗면은 마찰방지 표면부가 형성된 양면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배출구동부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배출밴드부재가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구비된 로울러 및 상기 로울러에 감겨진 마중벨트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구동모터는 회전량 감지부가 구비됨으로서 마중벨트에 의하여 배출밴드부재가 적재함의 바닥으로부터 인출되어 로울러에 감겨진 후 다시 적재함의 바닥으로 인입되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마중벨트는 일측 단부가 로울러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중벨트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내측으로 브러시형태를 갖는 이물질 제거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제2프레임과; 상기 배출밴드부에 의하여 적재함의 외부로 배출되는 화물이 경사컨베이어를 향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된 무한벨트; 및 상기 무한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한벨트는 하부에 완충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외측에 소정 높이를 갖는 휀스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형 컨베이어는 제3프레임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되어짐으로서 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컨베이어와 연계되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재함내의 화물이 배출밴드부에 의하여 적재함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택배 물류 처리 과정 중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최소한의 노동력을 이용하게 하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화물의 하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벌크 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구동부가 물류 터미널 도크에 송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추가 설치 비용이나 배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된 화물이 배출컨베이어와 경사컨베이어 및 호퍼형 컨베이어에 의하여 물류터미널의 내부에 구비된 연계형 컨베이어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의 이동속도가 화물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적재함에 설치된 밴드배출부재의 밴드연장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적재함의 측면으로 화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화물의 수동 하차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적재함에 설치된 밴드배출부재의 밴드연장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적재함의 측면으로 화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화물의 수동 하차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은 적재함내의 화물이 적재함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노동력을 이용하게 화물을 하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벌크 타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하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류 터미널 도크에 송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추가 설치 비용이나 배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밴드부(100), 배출구동부(200), 배출컨베이어(300), 경사컨베이어(400), 호퍼형 이송컨베이어(500) 및 하차량 조절부(600)가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밴드부(100)는 적재함(CB)의 바닥에 구비되어 배출구동부(200)에 의한 구동력으로 적재함(CB)의 측면으로 인,입출이 반복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적재함(CD)의 바닥에 안착된 배출밴드부재(110)가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밴드부재(110)는 적재함(CD)의 바닥면에 밑면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면적은 적재함(CD)의 하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거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배출밴드부재(110)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이 배출밴드부재(110)에 의하여 같이 이송되면서 적재함(CB)의 외부로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밴드부재(110)는 일측단부가 적재함(CD)의 일측 하부도어(DR)에 근접된 형태를 갖도록 위치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적재함(CD)의 타측에 형성된 하부도어(DR')의 상단 즉, 윙도어(WD)의 하단 내측에 걸리는 곳 까지 연장된 밴드연장부(120)가 일체 또는 분리되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는 적재함(CB)에 적재된 화물을 하적하기 위해 하부도어(DR')를 오픈 시키는 순간 배출밴드부재(110)의 상부로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일부가 적재함(CB) 바닥의 외측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연장된 길이 만큼 적재함(CB)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후술하는 배출구동부(200)의 마중벨트(24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밴드연장부(120)의 저면 또는 외측면에 별도의 손잡이(130)가 구비되어 화물의 하차 작업시 작업자가 손잡이부(130)를 잡아 당겨 끝부분을 마중벨트(24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하차 작업 이 후 마중벨트(240)로부터 결합된 부분을 분리하여 적재함(CB)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밴드연장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구동부(200)에 연결되는 구동결합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결합부(140)는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밸크로 테이프(BT)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크로 테이프(BT) 이외에 밴드연장부(120)와 마중벨트(240)를 착탈식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하는 버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밴드부재(110)는 배출구동부(200)에 의하여 인,입출되는 과정에서 적재함(CB) 바닥과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재함(CD)의 바닥과 접촉되는 밑면은 표면 강도가 높은 미끄러운 표면부(111)가 형성되도록 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배출밴드부재(110)의 윗면은 배출밴드부재(1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윗면에 적재된 화물이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방지 표면부(112)가 형성된 양면이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찰방지 표면부(112)는 표면에 수많은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즉, 표면이 거칠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동부(200)는 배출밴드부(100)에 결합되어 적재함(CB)으로부터 배출밴드부(100)가 인,입출되도록 물류터미널(PT)의 접안도크(CD)에 구비된 것으로 제1프레임(210), 구동모터(220), 로울러(230) 및 마중벨트(240)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프레임(210)은 구동모터(220), 로울러(230) 및 마중벨트(24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략 사각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구동모터(220), 로울러(230) 및 마중벨트(24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20)는 하차량 조절부(600)로부터 구동신호 또는 구동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구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로울러(230)를 회전시켜 마중벨트(240)가 배출밴드부재(110)에 형성된 밴드연장부(120)를 당기면서 로울러(230)에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즉, 로울러(230)에 배출밴드부재(110)의 일측이 감겨짐에 따라 적재함(CB)의 바닥에 있는 배출밴드부재(110)의 타측이 외부로 인출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배출밴드부재(110)의 상부에 적재된 화물이 같이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모터(220)는 제1프레임(210)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있고, 엔코더 또는 구동모터(220)의 모터축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인 회전량 감지부(221)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량 감지부(221)는 마중벨트(240)에 의하여 배출밴드부재(100)가 적재함(CD)의 바닥으로부터 인출되어 로울러(230)에 감겨진 후 다시 적재함(CD)의 바닥으로 인입되는 것이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는 로울러(230)에 감겨진 배출밴드부재(110)의 감겨진 길이 만큼 화물의 하차 또는 하적이 완료된 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겨진 배출밴드부재(110)가 적재함(CB)의 바닥으로 인출된 만큼 다시 역으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량 감지부(221)는 하차량 조절부(600)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서 정,역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20)가 정,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울러(230)는 제1프레임(210)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나 이상으로 배열됨으로서 감겨지는 배출밴드부재(110)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는 가운데 감김량 즉, 권취량이 증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로울러(230)는 별도의 구동력이 필요치 않은 상태 즉, 양측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220)와 로울러(230)의 연결은 감속기를 이용할 경우, 직결로 연결, 즉, 구동모터(220)의 구동축에 로울러(230)의 로울러축이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220)의 구동축과 로울러(230)의 로울러축에 각각 풀리가 구비되도록 하고, 각각의 풀리가 벨트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중벨트(240)는 로울러(230)에 일측이 감져지며 타측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제1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것으로 적재함(CB)의 내부로 구비된 배출밴드부재(110)의 밴드연장부(120)의 끝을 연결하여 당김으로서 로울러(230)에 감겨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즉, 적재함(CB)의 내부로 구비된 배출밴드부재(110)가 로울러(230)에 직접 감겨지는 것이 아니라 마중벨트(240)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감겨지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중벨트(240)는 일측 단부가 로울러(230)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BT)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 테이프(BT)에 의하여 밴드연장부(12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중벨트(240)는 벨크로 테이프(BT)가 구비된 내측으로 브러시형태를 갖는 이물질 제거부(250)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는 화물이 상부에 적재된 배출밴드부재(110)가 로울러(230)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박스 조각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배출밴드부재(110)에 붙어 같이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컨베이어(300)는 배출구동부(200)에 구비된 것으로 적재함(CB)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가운데 접안도크(CD)에 대해서는 거의 직각이 되는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경우, 적재함(CB)이 배출컨베이어(300)사이로 접안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어려움이 있으나, 접안 이후 이루어지는 일련에 작업 즉, 밴드연장부(120)에 마중벨트(240)를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출컨베이어(300)를 이동식으로 할 경우, 적재함(CB)이 접안도크(CD)에 근접되도록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한 후 적재함(CB)에 근접되도록 배출컨베이어(300)를 이동시켜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300)는 제2프레임(310)과, 무한벨트(320) 및 벨트 구동부(330)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2프레임(310)은 적재함(CB)의 측면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2프레임(310)에 무한벨트(320)의 일측과 타측이 구비되어 벨트 구동부(330)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서 상기 배출밴드부(100)에 의하여 적재함(CD)의 외부로 배출되는 화물이 경사컨베이어(400)의 입구측을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벨트 구동부(330)는 벨트구동모터(220)와 구동풀리(332) 및 종동풀리(333) 등이 연동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풀리(333)에 무한벨트(320)를 구동시키는 벨트구동 로울러(334)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벨트 구동부(330)의 제어는 하차량 조절부(600)에 의하여 배출되는 화물량이 조절되는 가운데 이송처리량을 고려하여 설정된 가동시간에 따라 가동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화물량 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스탑 엔 고 방식으로 연동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무한벨트(320)는 하부 즉, 제2프레임(310)에 완충부(340)가 구비되어 배출밴드부재(110)를 통해 배출되는 화물이 무한벨트(320)의 위로 실리는 과정에서 충격을 방지하여 화물의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화물의 안전한 하적(하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340)는 소정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코일 스프링 또는 스폰지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310)은 무한벨트(32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배출밴드부재(110)에 의하여 배출된 화물이 무한벨트(320)의 위로 실리는 과정에서 외측 즉, 무한벨트(320)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측에 소정 높이를 갖는 휀스(350)가 더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경사컨베이어(400)는 배출컨베이어(300)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안도크(CD)내에 설치된 연계형 이송컨베이어(CC)와 유격차를 줄이게 함으로서 화물간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컨베이어(400)는 화물간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 슬립소재가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물의 하적작업이 이루어지 않을 경우, 도크의 내부로 설치된 연계형 컨베이어(CC)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도크의 내부로 운영중인 다른 신축 또는 연계형 컨베이어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형 이송컨베이어(500)는 경사컨베이어(40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경사컨베이어(400)를 경유한 화물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하여 연계형 컨베이어(CC)로 원활하게 실려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호퍼형 이송컨베이어(500)는 제3프레임(510)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부(520)가 구비되어짐으로서 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컨베이어(CC)와 연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부(520)은 나사식으로 사용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차량 조절부(600)는 상기 배출밴드부(100)의 구동을 기점으로 화물량 또는 후행 속도에 따라 전체적으로 화물 하차량이 자동으로 연동제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화물량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동부(20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여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내에 적재된 화물이 접안도크의 내부로 하적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이 하적될 장소인 택배 터미널에 도착한 윙바디 차량은 하적 예정인 접안도크(CD)에 접안 하기 전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CB)에 구비된 하부도어(DR')를 개방시킨 후 접안 도크(CD)에 접안되도록 한다.
이때, 적재함(CB)의 내부로 위치된 밴드연장부(120)의 상단이 윙도어(WD)의 하단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밴드연장부(120)과 외측으로 젖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그 상부에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CB)의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접안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접 도크의 하차 작업에 간섭이 없는 범위 내에서 적재함(CB)의 윙도어(WD)를 개방시킨 후 밴드연장부(120)의 외측으로 구비된 손잡이부(130)를 잡아당겨 밴드연장부(120)가 펼쳐지도록 한 후 밴드연장부(120)를 당겨 구동결합부(140)가 배출구동부(200)의 마중벨트(240)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BT)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하적량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출구동부(200)의 구동모터(220)가 구동됨과 동시에 로울러(230)에 마중벨트(240)가 감겨지고, 이어 마중벨트(240)에 의하여 밴드연장부(120)가 당겨지면서 감겨짐으로서 감겨진 량 만큼 적재함(CB)의 바닥에 있던 배출밴드부재(110)가 적재함(CB)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배출밴드부재(110)가 적재함(CB)의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배출밴드부재(1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이 같이 이동됨과 동시에 배출컨베이어(300)의 상부에 실려지게 된다. 이때, 배출컨베이어(300)의 높이가 배출밴드부재(110) 즉, 적재함(CB) 바닥의 높이 보다 낮음으로서 배출밴드부재(11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은 배출컨베이어(300)의 상부로 낙하되듯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배출컨베이어(300)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340)에 의하여 그 충격이 완화됨에 따라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밴드부재(110)의 이송속도에 따라 간혹 화물이 배출컨베이어(300)의 상부로 실리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넘어져 바닥으로 떨어지려고 하나, 이때 배출컨베이어(300)에 구비된 휀스(350)에 의하여 이러한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구동부(200)의 구동모터(220)는 구동되는 또는 회전되는 회전량은 회전량 감지부(221)에 의하여 감지되고, 감지된 값은 하적량 제어부(600)로 전송됨으로서 화물 하적 작업이 마무리된 후 로울러(230)에 감겨진 배출밴드부재(110)가 적재함(CB)의 바닥을 향하여 인입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배출컨베이어(300)의 무한벨트(320)의 상부로 얹혀진 화물은 벨트구동모터(331), 구동풀리(332), 종동풀리(333) 및 벨트구동 로울러(334)에 의하여 구동됨에 따라 경사컨베이어(400)의 입구측으로 이송 된다.
다음, 배출컨베이어(300)의 출구측으로 배출된 화물은 경사컨베이어(400)에 의하여 이송되어진 후 호퍼형 이송컨베이어(5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정렬되고, 이어 연계형 컨베이어(CC)를 통해 하적 장소로 이송되어 적재되어지게 된다. 이때, 적재함(CB)의 내부로부터 연계형 컨베이어(CC)를 통해 하적장소로 화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화물량 또는 화물이송속도는 배출밴드부(100)의 구동을 기점으로 전체적으로 하차량 조절부(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연동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하적량 또는 하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물의 하적이 마무리된 상태에서는 배출구동부(200)의 역구동으로 인하여 배출밴드부재(110)가 적재함(CB)의 바닥으로 인입되도록 한 후 오픈되었던 윙도어(WD)를 닫고, 적재함(CB)의 외측으로 노출된 밴드연장부(120)의 손잡이부(130)를 이용하여 밴드연장부(120)의 상단이 닫혀진 윙도어(WD)의 하부 내측에 걸려지도록 한다.
다음, 차량을 접안 도크(CD)에서 진출되도록 한 후 적재함(CB)의 하부 도어(DR')를 닫는 것으로 하적 작업이 마무리된다.
100:배출밴드부 110:배출밴드부재
120:밴드연장부 130:손잡이
140:구동결합부 200:배출구동부
210:제1프레임 220:구동모터
230:로울러 240:마중벨트
300:배출컨베이어 400:경사컨베이어
500:호퍼형 이송컨베이어 600:하차량 조절부

Claims (12)

  1. 적재함의 바닥에 측면으로 인,입출되도록 구비된 배출밴드부와;
    상기 배출밴드부에 결합되어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밴드부가 인,입출되도록 물류터미널의 접안도크에 구비된 배출구동부와;
    상기 배출구동부에 구비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접안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이송컨베이어와 유격차를 줄여 화물간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배출측에 구비된 경사컨베이어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의 출구측에 구비된 호퍼형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밴드부의 구동을 기점으로 화물량 또는 후행 속도에 따라 화물 하차량이 조절되는 하차량 조절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밴드부는
    적재함의 바닥에 안착된 배출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밴드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하부도어에 일측단부가 근접되게 위치되며, 타측단부가 적재함의 타측 하부도어 상단의 윙도어 하단 내측까지 연장된 밴드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저면 또는 외측면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배출구동부에 연결되는 구동결합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결합부는
    밸크로 테이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밴드부재는
    적재함의 바닥과 접촉되는 밑면은 미끄러운 표면부가 형성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윗면은 마찰방지 표면부가 형성된 양면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부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배출밴드부재가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구비된 로울러 및
    상기 로울러에 감겨진 마중벨트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량 감지부가 구비됨으로서 마중벨트에 의하여 배출밴드부재가 적재함의 바닥으로부터 인출되어 로울러에 감겨진 후 다시 적재함의 바닥으로 인입되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중벨트는
    일측 단부가 로울러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중벨트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내측으로 브러시형태를 갖는 이물질 제거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제2프레임과;
    상기 배출밴드부에 의하여 적재함의 외부로 배출되는 화물이 경사컨베이어를 향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된 무한벨트; 및
    상기 무한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벨트는
    하부에 완충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외측에 소정 높이를 갖는 휀스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형 컨베이어는
    제3프레임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되어짐으로서 도크내에 설치된 연계형 컨베이어와 연계되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KR1020180000372A 2018-01-02 2018-01-02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KR10204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72A KR102046946B1 (ko) 2018-01-02 2018-01-02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72A KR102046946B1 (ko) 2018-01-02 2018-01-02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89A true KR20190082589A (ko) 2019-07-10
KR102046946B1 KR102046946B1 (ko) 2019-12-04

Family

ID=6725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372A KR102046946B1 (ko) 2018-01-02 2018-01-02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95B1 (ko) 2019-11-08 2020-04-27 유휘영 화물 적재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7A (ja) * 1995-06-20 1997-01-07 Hitachi Ltd 自動荷降装置および方法
KR200373390Y1 (ko) 2004-10-25 2005-01-15 한국특장차주식회사 대화물 적재가 용이하도록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윙바디트레일러
KR20090121697A (ko) 2008-05-22 2009-11-26 이상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101211137B1 (ko) * 2010-04-06 2012-12-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수화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7A (ja) * 1995-06-20 1997-01-07 Hitachi Ltd 自動荷降装置および方法
KR200373390Y1 (ko) 2004-10-25 2005-01-15 한국특장차주식회사 대화물 적재가 용이하도록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윙바디트레일러
KR20090121697A (ko) 2008-05-22 2009-11-26 이상호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101211137B1 (ko) * 2010-04-06 2012-12-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수화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95B1 (ko) 2019-11-08 2020-04-27 유휘영 화물 적재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46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0894B (zh) 一种装车机头和自动装车设备
US10807812B2 (en) Grain cart with automatic unloading of a predetermined weight of crop material
US20040033126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compartment of an aircraft
CN109649660B (zh) 一种无人机装卸系统、无人机以及装卸平台
JP2009534737A (ja) 飼料移動用無人自律走行車
JP2000509691A (ja) 高速傾斜ベルト仕分け機
KR20190082589A (ko)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CA2922978C (en) 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CN213619506U (zh) 一种推送式自卸散装粮食运输半挂车
CN111532682B (zh) 一种货物装载车以及机场托运行李自动载运系统
KR20230023995A (ko) 물류 이송 워킹플로어
JP3626939B2 (ja) 荷積み装置および荷積み方法
US20100181429A1 (en) Device for moving objects, intended in particular for luggage in a hold of an aircraft
EP3061648B1 (en) Unloading system for unit load
JP6706292B2 (ja) 物品供給方法
KR101885866B1 (ko)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US7686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cessing of bulk containers
JP5472140B2 (ja) 物品移載装置および物品移載方法
US4832172A (en)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KR102609256B1 (ko) 트롤리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CN210337694U (zh) 一种运粮车专用车斗结构
CN211140324U (zh) 一种快递货物分拣装卸装置
CA2959257C (en) Grain cart with automatic unloading of a predetermined weight of crop material
KR102609255B1 (ko) 플로어 컨베이어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CN212442094U (zh) 物料输送分选装置及物料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