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137B1 - 수화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수화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37B1
KR101211137B1 KR1020100031456A KR20100031456A KR101211137B1 KR 101211137 B1 KR101211137 B1 KR 101211137B1 KR 1020100031456 A KR1020100031456 A KR 1020100031456A KR 20100031456 A KR20100031456 A KR 20100031456A KR 101211137 B1 KR101211137 B1 KR 101211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transfer means
luggage
conveyor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060A (ko
Inventor
이용안
문호경
신현철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 측이 제1운송차량의 화물칸에 삽입되는 제1수화물 이송수단; 일 측이 제2운송차량의 화물칸에 삽입되는 제2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의 타 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을 통해 이동된 수화물이 합류(合流)되어 이동하는 제3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과 연결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제4수화물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화물 이송수단을 받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화물 이송장치{The transferring apparatus for packages}
본 발명은 수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화물 운송차량의 적재용량에 따른 적재함 단차를 극복하고, 수화물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수화물의 이동속도를 일정토록 유지하여 수화물끼리의 충돌에 의한 수화물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물 운송회사는 발송자의 수화물을 해당 영업소의 직원이 수집하여 이를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1차 물류센터(또는 서브 터미널)로 수송하고, 상기 1차 물류센터에 수집된 수화물들은 다시 이를 2차 물류센터(또는 허브 터미널)고 수송하며 이를 다시 수령자의 지역을 관할하는 또 다른 1차 물류센터로 운송하고 다시 이를 해당 영업소 직원들이 수령자의 주소지로 배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이때, 상기 물류센터로 이동되는 운송차량은 수화물의 양이 대량인 관계로 적재함이 큰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물류센터에서는 상기 대형 트럭에 의해 운송된 수화물을 하역시 이송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 이송장치의 경우 상기 이송장치는 그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수화물의 하역시 적재함에 실린 수화물을 적재함의 개폐문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트럭과 지면 또는 대형 트럭과 수령자에게 수화물 전달을 위한 소형 트럭 간에는 단차가 있어 부득이하게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물품의 무게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낙하속도가 달라 수화물끼리 충돌하여 수화물의 훼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이송장치는 해당 연결되는 부분이 끝단과 끝단끼리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송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대량의 수화물을 하역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는 수화물 이송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화물 이송장치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적재 및 하역 작업이 가능한 수화물 이송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수화물 이송장치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 되는 수화물들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수화물끼리의 충돌에 의한 수화물 파손 내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화물 이송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측이 제1 화물칸에 삽입되는 제1수화물 이송수단; 일 측이 제2 화물칸에 삽입되는 제2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3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과 연결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제4수화물 이송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화물 이송수단을 받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의 타 측에서 중앙 쪽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되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은 일정길이로 신축(伸縮)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며, 상기 컨베이어는 롤러식, 벨트식 및 체인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제1수화물 이송수단과 결합 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수화물 이송수단과 결합 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와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를 따라 이동되는 수화물이 합류(合流)되는 합류부; 및 상기 합류부 및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과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과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단차로 인하여 일정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수화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동식 컨베이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은 롤러식 컨베이어, 벨트식 컨베이어 및 체인식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대량의 수화물을 하역과 동시에 적재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이송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대형 트럭의 적재함 개폐문까지 수화물을 이동시킬 필요 없어 적재 및 하역작업의 작업능률, 작업속도의 향상 및 노동력 절감과 이에 따른 경제적 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화물 이송장치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적재 및 하역 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화물 이송장치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 되는 수화물들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수화물끼리의 충돌에 의한 수화물 파손 내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100)의 전체 구성도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수화물 이송수단(110)은 일 측이 제1 화물칸(또는 적재함)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수화물 이송수단(110)을 따라 상기 제1화물칸의 수화물을 적재함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수화물 이송수단(110)은 신축(伸縮)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이용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롤러식, 벨트식 및 체인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를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하는 이유는 종래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칸에 일부만을 삽입시킴으로써 수화물의 하역작업시 상기 적재함 안쪽의 일정 중량을 갖는 수화물을 화물칸 개폐문 쪽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단순히 상기 제1수화물 이동수단(110)을 화물칸에 적재된 수화물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속도를 향상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수화물 이송수단(120)은 제2 화물칸에 삽입되며, 상기 제2수화물 이송수단(120)에 대한 구성 내지 기능은 상술한 제1수화물 이송수단(110)과 동일하다 할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결과적으로 2개의 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을 이용하여 2대의 운송차량의 화물칸에 적재된 수화물을 동시에 하역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150)에 의해 받쳐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150)는 다양한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50)의 상부 면과 상기 제1 및 제2 화물칸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의 신축시 상기 제1 및 제2 화물칸 바닥에 걸리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100)는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장치(110)(120)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은 상기 제1수화물 이송수단과 결합 되는 제1연결부(130a), 상기 제2수화물 이송수단(120)과 결합 되는 제2연결부(130b),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30a)(130b)와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30a)(130b)를 따라 이동되는 수화물이 합류(合流)되는 합류부(130c) 및 상기 합류부(130c) 및 후술할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과 연결되는 제3연결부(130d)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30a)(130b)는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과 다양한 방식 내지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의 일정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30a)(130b)는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의 타 측에서 중앙 쪽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30a)(130b)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인 수화물 이송장치(100)의 길이를 상기 중앙 쪽으로 이동된 일정길이만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상기 수화물 이송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송사업자의 토지 임대료 등을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은 다양한 방식의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수화물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동식 컨베이어로 구비하였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은 일정길이를 갖는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과 연결된다.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에서 합류된 수화물이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수화물 배송 직원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차량을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을 따라 접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배송 직원들은 자신의 운송차량을 접안 후,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을 통해 이동되는 수화물 중 자신의 배송 지역에 해당하는 수화물을 선별 및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은 다양한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롤러식 컨베이어, 벨트식 컨베이어 및 체인식 컨베이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100)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과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은 단차 즉 높이의 차이를 두도록 형성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이 삽입되는 운송차량은 지역별로 집하(集荷) 된 다량의 수화물을 이송하는 차량으로 수화물 적재용량이 비교적 큰 차량이라 할 것이나,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에 접안되는 운송차량은 수화물을 수령자의 주소로 배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적재용량이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이 삽입되는 운송차량에 비해 적다 할 것이므로 차량의 적재용량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110)(120)의 바닥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운송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되며,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의 상부면 높이는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140)에 접안되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단차를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은 상기 단차에 의해 지면과 일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화물은 그 중량에 따라 각기 다른 이동속도를 보이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수화물들끼리의 충돌로 인해 수화물의 훼손 내지 파손의 염려가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130)은 수화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 수화물들의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동식 컨베이어로 구비되나, 다양한 이송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화물 이송장치(100)는 대량의 수화물을 하역과 동시에 적재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이송수단(110)(120)을 구비함으로써 대형 트럭의 적재함 개폐문까지 수화물을 이동시킬 필요 없어 적재 및 하역작업의 작업능률, 작업속도의 향상 및 노동력 절감과 이에 따른 경제적 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화물 이송장치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적재 및 하역 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화물 이송장치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 되는 수화물들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수화물끼리의 충돌에 의한 수화물 파손 내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수화물 이송장치 110:제1수화물 이송수단 120:제2수화물 이송수단
130:제3수화물 이송수단 130a:제1연결부 130b:제2연결부 130c:합류부
130d:제3연결부 140:제4수화물 이송수단 150:지지대

Claims (8)

  1. 일정길이로 신축(伸縮)되는 컨베이어로 구비되고, 운송차량의 화물칸인 제1 화물칸의 내부로 일 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화물칸의 수화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1수화물 이송수단;
    일정길이로 신축되는 컨베이어로 구비되고, 다른 운송차량의 화물칸인 제2 화물칸의 내부로 일 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2 화물칸의 수화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2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의 타 측과 연결되고, 일정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수화물을 합류시켜 이송하는 제3수화물 이송수단;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 3수화물 이송수단에 연결되며, 또 다른 운송차량들이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수화물을 선별 및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제4수화물 이송수단; 및
    상부 면의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화물칸의 바닥면과 동일하거나 높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화물 이송수단이 신축 시 상기 제1 및 제2 화물칸의 바닥면에 걸리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수화물 이송수단의 타 측에서 중앙 쪽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이송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롤러식, 벨트식 및 체인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상기 제1수화물 이송수단과 결합 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수화물 이송수단과 결합 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와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를 따라 이동되는 수화물이 합류(合流)되는 합류부; 및
    상기 합류부 및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과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화물 이송수단은 수화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동식 컨베이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이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화물 이송수단은 롤러식 컨베이어, 벨트식 컨베이어 및 체인식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이송장치.
KR1020100031456A 2010-04-06 2010-04-06 수화물 이송장치 KR101211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56A KR101211137B1 (ko) 2010-04-06 2010-04-06 수화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56A KR101211137B1 (ko) 2010-04-06 2010-04-06 수화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60A KR20110112060A (ko) 2011-10-12
KR101211137B1 true KR101211137B1 (ko) 2012-12-12

Family

ID=4502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56A KR101211137B1 (ko) 2010-04-06 2010-04-06 수화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349A1 (en) * 2017-06-15 2018-12-20 Laitram, L.L.C. Building expansion module for parcel sortation
KR20190082589A (ko) *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238B1 (ko) * 2014-10-14 2016-12-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KR101686237B1 (ko) 2014-10-14 2016-12-13 씨제이대한통운 (주)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N109095059B (zh) * 2018-07-06 2021-06-22 青岛智能产业技术研究院 无人装车系统及其装车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349A1 (en) * 2017-06-15 2018-12-20 Laitram, L.L.C. Building expansion module for parcel sortation
KR20190082589A (ko) *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KR102046946B1 (ko) * 2018-01-02 2019-12-04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60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678B2 (ja) 保管設備からの運搬ユニッ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5880991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システムでの物品の一時保管方法
TWI513641B (zh) Handling system and handling method
KR101211137B1 (ko) 수화물 이송장치
TWI314542B (ko)
JP6521063B2 (ja)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TW201311530A (zh) 物品搬運設備
CN103459270A (zh) 集装箱
CN101221919A (zh) 物品供给装置
CN108569529A (zh) 用于运输货物部件的输送系统和方法
US8978871B1 (en) Conveyor system
CN207932427U (zh) 一种物流搬运设备
RU238197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вещей,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метов багажа
CN105480564A (zh) 一种易于装卸及运输的管件包装固定支架组件
CN211520589U (zh) 复式升降座椅发货平台
JP2011246223A (ja) 自動倉庫
TW510870B (en) Rail-truck system
CN206797215U (zh) 实现自动化运输的厢式货车
CN104444452A (zh) 快运棚车装卸货作业工装
CN205328281U (zh) 货物转移设备
CN205327768U (zh) 一种易于装卸及运输的管件包装固定支架组件
TW201838895A (zh) 暫留裝置
JPH01261103A (ja) 倉庫設備
CN106080701A (zh) 一种推车
CN109153518A (zh) 用于运输集装箱的支架和鞍座转移装置及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