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238B1 -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238B1
KR101686238B1 KR1020140138336A KR20140138336A KR101686238B1 KR 101686238 B1 KR101686238 B1 KR 101686238B1 KR 1020140138336 A KR1020140138336 A KR 1020140138336A KR 20140138336 A KR20140138336 A KR 20140138336A KR 101686238 B1 KR101686238 B1 KR 10168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air tube
loading
ga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743A (ko
Inventor
김승모
정성용
권구포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4013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38B1/ko
Priority to PCT/KR2015/010823 priority patent/WO2016060460A1/en
Publication of KR2016004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을 하역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재함 내 구비된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여 부피를 증가시키고, 상기 에어튜브가 팽창하는 힘을 이용해 적재함 내 적재물을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및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USING AIR-TUBE}
본 발명은 적재물을 하역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재함 내 구비된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여 부피를 증가시키고, 상기 에어튜브가 팽창하는 힘을 이용해 적재함 내 적재물을 밀어냄으로써 하역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및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업이 크게 발달하면서 택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택배물품을 운송수단에 싣는 과정 및 내리는 과정은 전체 운송 프로세스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과정으로 많은 운송 서비스 주체들은 해당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적재물을 하차하는 과정을 개선하고자 많은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적재물을 하차할 때에 적재함의 입구와 외부 컨베이어 사이에 경사면을 만들어 적재물이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차되도록 구현하는 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10-2010-0018824 등을 통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하역 장치는 적재함 입구와 컨베이어 사이 구간에서만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적재함 내부에서는 여전히 인력을 투입하여 적재함 입구까지 적재물을 밀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적재물 하차 작업을 더 쉽게 하기 위하여는 적재함 내부에서부터 적재물을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재물 하차 방식에 비해 인력 및 시간을 덜 요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및 하역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 내벽에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를 설치하고 기체를 주입시킴으로써 에어튜브가 팽창하는 힘을 이용해 적재물을 적재함의 입구까지 밀어낼 수 있도록 한 적재물 하역 장치 및 하역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적재물의 하역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벽에 기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부피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에어튜브를 구비시키고 위 에어튜브 팽창시 팽창된 에어튜브가 적재물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이 적재함 입구 및 외부로 하역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에어튜브를 적재함 내 일면 이상의 내벽, 바람직하게는 적재함의 전면(前面) 및 하면(下面)을 포함한 내벽에 구비시킴으로써 적재함 내 적재물들을 빠짐없이 하역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내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튜브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두어 적재물의 적재 위치에 따라 적절한 에어튜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하역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물이 적재함 내에 배치된 위치, 즉 적재높이 또는 적재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위 센서부에 의해 획득한 적재물의 위치를 기초로 적절한 에어튜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함으로써 해당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하역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기제 주입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되고, 팽창시 적재함 내 적재물을 밀어내며, 상기 적재함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거나 에어튜브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중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고자 하는 에어튜브를 결정하고, 상기 펌프의 기체 주입속도, 주입량 또는 주입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 내벽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의 적재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재높이에 구비된 에어튜브를 탐색하고,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탐색된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하면(下面)에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의 적재깊이를 감지하는 깊이센서;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재함 하면(下面)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중 깊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에 구비된 에어튜브를 탐색하고,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탐색된 에어튜브 및 상기 위치로부터 적재함 입구에 이르는 직선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기체가 주입된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들은 계단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이 적재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는 적재함 내벽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의 적재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와 대응되는 에어튜브를 탐색하고,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탐색된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물 하역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적재함 내벽의 후방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컨베잉 장치와 연결된 컨베이어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수작업을 통해 적재물을 적재함 입구까지 옮기던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어 본 작업에 투입되던 인력,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 내 적재물이 배치된 위치, 쌓인 높이에 관계 없이 모두 하차시킬 수 있어 인력없이 하역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중 적재함 내 적재물들이 에어튜브에 의해 충격완화 효과를 얻게 되어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 하면에 구비된 에어튜브를 이용하여 계단형의 경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적재함 입구까지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튜브에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과 팽창에 따른 물리적인 힘만을 이용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유통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에 추가 에어튜브가 구비된 하역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하역 장치를 이용해 적재함 내부에 경사를 만들고, 경사를 활용해 적재물을 하역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운송단계에서 적재물이 에어튜브에 의해 충격완화의 효과를 얻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 펌프(150), 센서(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우선 적재함(1000)은 다수의 물건이 적재될 수 있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적재함(1000)의 각 내벽면을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으로 구별하여 칭하기로 한다.
위 적재함(1000)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것이거나 또는 독립된 구조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택배물을 운송하는 트럭에 탑재된 적재함(1000)과 같이 복수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에어튜브(100)는 기체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는 신축성의 재질로 된 것으로, 상기 에어튜브(100)는 기체의 주입에 따른 팽창시 적재물을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에어튜브(100)는 세부적으로 기체주입/배출부, 몸통부, 압면부로 나뉠 수 있다.
기체주입/배출부는 에어튜브(100)에 기체를 주입하거나 에어튜브(100)로부터 기체를 빼 낼 수 있는 부분을 일컫는 것으로 뒤이어 설명할 펌프(150)와 연결된다.
몸통부는 실질적으로 에어튜브(100)의 팽창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 몸통부는 최대한으로 팽창이 이루어졌을 때 최소한 적재함(1000)의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는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압면부는 위 몸통부가 팽창될 때에 직접 적재물의 외면에 닿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압면부는 바람직하게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압면부를 최소직경 10cm 이상의 반구(半球) 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 몸통부의 팽창이 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더라도 적재물과 닿을 때에 충격을 흡수하여 물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면부는 앞서 설명한 반구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도형 또는 입체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펌프(150)를 더 포함한다. 펌프(150)는 상기 에어튜브(100)에 기체를 주입하거나 에어튜브(100)로부터 기체를 배출해 내는 장치를 일컫는다.
상기 펌프(150)는 적재함(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기압 차이에 따라 물질이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게 된다.
위 에어튜브(100)를 팽창시키는 데에 활용되는 기체로는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시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산소, 헬륨 등의 기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체를 저장해 둘 수 있는 저장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상기 펌프(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위 펌프(150)가 에어튜브(100)에 기체를 주입하는 속도(압력), 주입량, 주입시간 등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에어튜브(100)의 팽창속도, 부피 등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적재물이 파손이 쉽게 되는 물건인 경우 제어부(400)는 펌프(150)로 하여금 낮은 압력으로 기체를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에어튜브가 느린 속도로 팽창되도록 하고, 이렇듯 느린 속도로 팽창하는 에어튜브로 하여금 천천히 적재물을 밀어내게 하여 상기 적재물이 파손이나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하차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내벽면 중 어느 일면, 바람직하게는 전면(前面)에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를 구비하여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는 높이에 맞추어 적절한 에어튜브(100)를 팽창시켜 해당 적재물을 하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는 각각 고유의 식별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상기 식별자를 활용하여 팽창시키고자 하는 에어튜브(100)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에 따라 적재함(1000) 전면에 다섯 개의 에어튜브(10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400)로서는 각 에어튜브(100) 별로 부여된 F01 내지 F05까지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특정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적재물을 밀어낼 수 있다.
한편 이 때,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하면(下面)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튜브(100)들을 팽창시켜 적재물이 적정 높이에 이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보기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등과 같이 정형으로 된 적재물뿐만 아니라,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진 비정형의 적재물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차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재함(1000)의 내벽면에 구비된 에어튜브(100)를 팽창시켜 적재물을 밀어내는 것인 이상, 상기 에어튜브(100) 팽창시 적재함 내 닿을 수 있는 영역에 있는 정형 또는 비정형의 적재물들은 모두 상기 에어튜브(100)에 의해 하차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에 기체를 주입하거나 에어튜브(100)들로부터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150)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물 하역 장치는 구비된 에어튜브(100)의 개수에 맞추어 각각 하나의 펌프(150)를 둘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에어튜브(100)를 집합으로 묶어 하나의 펌프(150)에 의해 기체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 내벽 중 어느 일면뿐 아니라 둘 이상의 내벽에 복수개의 에어튜브(100)를 구비할 수 있는바 도 3는 비단 전면뿐 아니라 하면에도 복수의 에어튜브(100a, 100b)가 구비된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적재물 하역 장치는 하면에도 복수개의 에어튜브(100a, 100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중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들을 선택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하차 시킬 수 있다. 특히, 하면의 에어튜브(100b)들은 일종의 리프트와 동일한 기능, 즉 적재물의 높이를 하차하기에 적절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함(1000)의 입구에 연결되는 외부 컨베잉 장치(500)의 구조, 또는 적재물 하차가 이루어지는 장소의 지형적 특수성(경사면) 등에 따라 하면의 에어튜브(100b)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는 경우 보다 효과적인 하차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도 4와 같은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적재함(1000)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튜브(100)들을 이용하여 적재물이 적재함(1000) 입구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이와 같이 적재함(1000) 내부에 에어튜브(100b)를 계단형상으로 만들고 적재함(1000) 전면에 구비된 에어튜브(100a)들로 하여금 적재물을 밀어내도록 제어하는 경우 적재물 입구에 경사면이 구비된 컨베잉 장치(500)가 없는 환경에서도 적재물의 파손 없이 하역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센서의 종류에는 센서 표면에 전자계를 형성하고 감지거리 이내의 물체의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유도형 센서, 전극판에 고주파 전계를 발생시켜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용량형 센서,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 또는 광학적 센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센서(300)는 적재함(1000) 내벽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적재물이 적재함(1000)의 하면으로부터 얼마나 상면에 가까이 쌓여있는지(높이) 또는 적재물이 적재함(1000)의 후면으로부터 얼마나 전면에 가까이 위치하는지(깊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300)로부터 수신한 적재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전면 또는 하면 에어튜브(100a, 100b)와 연결된 펌프(150)를 제어하여 팽창의 정도(기체 주입속도, 주입량 등) 를 조절하여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운송수단에 구비된 하역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운송수단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는 에어튜브(100), 펌프(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펌프(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앞서 제1실시예에서도 언급했듯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리프트(200)를 더 포함한다.
리프트(200)는 적재물의 높이를 상기 에어튜브(100)가 설치된 위치에 맞추기 위해 적재함(1000) 내에 구비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적재함(1000)의 하면(下面)에 리프트(200) 구조물을 설치하여 적재물 불출과 함께 낮아지는 적재물의 적재높이를 유지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함(1000)의 전면 내벽에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2m인 지점에 에어튜브(100)가 설치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바닥면에 구비된 리프트(200)를 이용하여 적재물이 하역됨에 따라 적재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적재물이 상기 에어튜브(100)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0)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 내벽에 상기 에어튜브(100)가 체결되어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에어튜브(10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재함(1000)의 전면에 상하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위로 에어튜브(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경우, 별도로 리프트(200)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적재물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에어튜브(1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물을 적절한 높이에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용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로는 앞서도 언급하였듯 센서 표면에 전자계를 형성하고 감지거리 이내의 물체의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유도형 센서, 전극판에 고주파 전계를 발생시켜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용량형 센서,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 또는 광학적 센서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센서(300)는 적재함(1000) 내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적재물이 적재함(1000)의 하면부터 얼마나 상면에 가까이 쌓여있는지(높이) 또는 적재물이 적재함(1000)의 후면으로부터 얼마나 전면에 가까이 위치하는지(깊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300)로부터 수신한 적재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리프트(20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가이드레일에 체결된 에어튜브(100)를 이동시켜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살핀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부가 구성으로서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함(1000)의 입구와 외부 컨베잉(conveying)장치를 연장하여 연결하기 위한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계부는 적재함(1000)의 입구와 밀착되어 적재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연장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일단이 적재함(1000) 내벽의 후면, 즉 적재함(1000)의 입구와 연장될 수 있는 연장수단을 구비하여 타단이 컨베잉 장치(500)와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위 연계부는 상기 적재함(1000)으로부터 컨베잉 장치(500)까지 적재물이 이동될 수 있는 연장로를 제공하는 한 연계부가 적재함(1000)과 컨베잉 장치(500)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은 제한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위 연계부는 적재함(1000) 후면에 설치된 특정 축과 일단이 체결되는 방식, 독립된 하나의 장치로서 위 적재물 하역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적재함(1000)과 일체를 이룬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위 연계부는 추가부재를 더 구비시키거나 연계부 자체의 모양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적재물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도울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부의 이동경로 측면에 측면부재를 더 구비시키는 경우 상기 적재물들이 연계부를 통해 이동할 때에 옆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위 연계부는 그 모양을 호퍼(hopper)형상으로 구현하여 에어튜브(100)에 의해 밀려나는 적재물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올바른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호퍼란 한 쪽의 입이 다른 쪽보다 큰 깔대기 모양의 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호퍼형 연계부를 적재함(1000)의 입구에 연장 연결하는 경우 적재물이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하는 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가 운송과정 중 적재물을 보호하는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적재물 하차 작업뿐만 아니라 적재물 운송 과정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바, 적재함(1000)의 각 내벽에 구비된 에어튜브들(100a, 100b, 100c)을 적재물이 쌓인 형태, 배치 형태에 따라 팽창시킴으로써 적재물들로 하여금 고정된 채로 안전하게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7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하역 장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를 팽창시켜 적재물들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축이 된 상태에서도 상기 적재물들이 적재함(1000)의 내벽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고가의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100)를 팽창시켜 상기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바, 특히 이 때 적재함(1000) 내 구비된 센서(300)들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적절한 에어튜브(100, 100b, 100c)들을 팽창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에어튜브
150: 펌프
200: 리프트
300: 센서
400: 제어부
500: 컨베잉 장치
1000: 적재함

Claims (14)

  1. 기체 주입 및 배출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되고, 팽창시 적재함 내 적재물을 밀어내며, 상기 적재함의 전면 내벽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거나 에어튜브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중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고자 하는 에어튜브를 결정하고, 상기 펌프의 기체 주입속도, 주입량 및 주입시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의 적재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재높이에 구비된 에어튜브를 탐색하고,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탐색된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하면(下面)에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적재물이 적재함의 후면으로부터 얼마나 전면에 가까이 위치하는지에 대한 적재깊이를 감지하는 깊이센서;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재함 하면(下面)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 중 깊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에 구비된 에어튜브를 탐색하고,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탐색된 에어튜브 및 상기 위치로부터 적재함 입구에 이르는 직선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에 기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주입된 하나 이상의 에어튜브들은 계단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적재물이 적재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트;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는 적재함 내벽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적재물의 적재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적재함 내벽의 후방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컨베잉 장치와 연결된 컨베이어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적재물 하역 장치.
KR1020140138336A 2014-10-14 2014-10-14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KR10168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36A KR101686238B1 (ko) 2014-10-14 2014-10-14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PCT/KR2015/010823 WO2016060460A1 (en) 2014-10-14 2015-10-14 Unloading device using air tube in carry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336A KR101686238B1 (ko) 2014-10-14 2014-10-14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43A KR20160043743A (ko) 2016-04-22
KR101686238B1 true KR101686238B1 (ko) 2016-12-13

Family

ID=5574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336A KR101686238B1 (ko) 2014-10-14 2014-10-14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6238B1 (ko)
WO (1) WO20160604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628A (ko) 2022-10-19 2024-04-26 한선규 트럭의 적재물 지지 및 자동 하역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510A (ja) 2001-05-29 2002-12-04 Ashimori Ind Co Ltd 荷崩れ防止装置
KR200441680Y1 (ko) 2007-08-01 2008-09-01 이상근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774A (en) * 1989-03-17 1991-11-26 Marketmont Pty, Ltd. Cone shaped inflatable bag for lifting a load
JPH092139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電動運搬車の制御装置
KR101211137B1 (ko) * 2010-04-06 2012-12-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수화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510A (ja) 2001-05-29 2002-12-04 Ashimori Ind Co Ltd 荷崩れ防止装置
KR200441680Y1 (ko) 2007-08-01 2008-09-01 이상근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628A (ko) 2022-10-19 2024-04-26 한선규 트럭의 적재물 지지 및 자동 하역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460A1 (en) 2016-04-21
KR20160043743A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6162B (zh) 一种托盘自动卸车装置
KR101640649B1 (ko) 적재공간에서 적재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기구 및 방법
CN101263057B (zh) 用于塑料预制件在纸板箱中的整齐装箱的方法和自动系统
JP5831641B2 (ja) 移載装置
US3964619A (en) Arrangement for storage of goods in packages in an upright depository
US20160068357A1 (en) Robotic trailer loading device with telescoping robot
CN107161703B (zh) 容器搬运设备
KR101686238B1 (ko)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N110091886A (zh) 一种基于agv叉车的高铁物流站台货物装卸系统
CN107128685B (zh) Led支架离线检测上料装置及方法
CN110422656B (zh) 一种物流用卸货转运平台
CN206255558U (zh) 一种可移动升降式输送机
CN206985643U (zh) 一种无托盘装车装置及其可分离式托盘组件
KR102571717B1 (ko) 적재물 다중 하역 매니퓰레이터
US7455169B2 (en) Discharge point in a commissioning system
JP4301172B2 (ja) 流体注入装置
JP5561990B2 (ja) ニューマチックアンローダの先端ノズル用荷役促進装置
JP5509833B2 (ja) 搬出入装置
CN113636244B (zh) 自动装卸箱、垃圾桶转运车及垃圾桶装卸控制方法
JP6677153B2 (ja) 搬送台車
CN211641970U (zh) 一种货物装卸系统
CN209834677U (zh) 物流全自动立体仓库用货物码垛装置
KR101624329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CN107336969A (zh) 一种木包装盒卸料装置
US20210163234A1 (en) Transport device and furna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