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680Y1 -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680Y1
KR200441680Y1 KR2020070012948U KR20070012948U KR200441680Y1 KR 200441680 Y1 KR200441680 Y1 KR 200441680Y1 KR 2020070012948 U KR2020070012948 U KR 2020070012948U KR 20070012948 U KR20070012948 U KR 20070012948U KR 200441680 Y1 KR200441680 Y1 KR 200441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hicle
load
loa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2020070012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ree side tip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사료, 시멘트 등의 적재물을 내리는 경우, 컨테이너 바닥에 남아 있는 적재물의 잔량을 깨끗하게 모두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되어서 적재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110),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에 재치되어서 적재물(S1)을 적재하는 적재시트(120) 및 상기 적재시트(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량을 컨테이너(110)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시트(120)를 차량의 운전석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컨테이너 바닥에 남아 있는 적재물의 잔량을 깨끗하게 모두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재물, 곡물, 배출, 잔량, 암롤차량, 컨테이너

Description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A Unloading Apparatus of Remaining Load for Container Mounting on Vehicle}
본 고안은 곡물, 시멘트, 사료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 시멘트, 음식물쓰레기 등의 적재물을 내리는 경우, 컨테이너 바닥에 남아 있는 적재물의 잔량을 깨끗하게 모두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시멘트, 사료 등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에 실어서 운반한 뒤, 목적지에 도달하면 다시 컨테이너에 실린 적재물을 하역한다.
도 1a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4)를 탑재한 차량(1)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컨테이너(4)는 예컨대, 사료를 운반하기 위한 사료운반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로서, 이 컨테이너(4)의 경우 예컨대 사료와 같은 적재물을 원활하게 하역하기 위해서 컨테이너(4)의 바닥 중앙부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고, 이송스크류로 적재물이 집중될 수 있도록 측면부(4a)를 경사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을 하 역하고 있다.
도 1b에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4')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컨테이너(4')는 컨테이너의 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의 하역홀(4b')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역홀(4b')을 통해서 직하방으로 바로 곡물과 같은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수입 곡물을 운반 하역하는 데 사용한다.
그리고, 하역홀(4b')을 통한 직하방으로의 하역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하역홀(4b')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산(4c')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산(4c')을 타고 곡물 등의 적재물이 원활하게 직하방으로 하역될 수 있게 된다.
도 1c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암롤차량 적재물 컨테이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암롤차량에 장착된 유압실린더(2)에 의해 작동되는 암(3)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서 암롤차량(1')에 탑재된 컨테이너(4'')에 적재물을 싣은 뒤, 유압실린더(2)의 작동에 의하여 컨테이너(4'')를 상승시키면 적재된 시멘트, 음식물쓰레기 등의 적재물이 하역된다.
그리고, 종래의 암롤차량에 구비된 적재물 컨테이너(4)의 경우에는 잔량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서,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컨테이너의 측면부(4a'')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기술을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4', 4'')의 측면부(4a, 4a'')를 경사지게 형성하더라도, 컨테이너(4) 바닥에는 잔량이 남아 있는 경우가 대분분이었다. 특히, 점성이 있는 적재물인 음식물쓰레기나 곡물 등의 경우에는 바닥에 남는 잔량이 꽤 되었다.
둘째, 종래기술과 같이 컨테이너의 측면부(4a, 4a'')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동일 공간을 차지하는 콘테이너의 경우에도 컨테이너에 싣을 수 있는 적재물의 양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운송 및 물류 비용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특히, 도 1b에 도시된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복수의 산(4b')이 점유하는 영역은 적재물을 싣을 수 없는 공간으로 되므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물의 양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운송 및 물류 비용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셋째,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측면부(4a, 4a'')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커브길을 고속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차량 전복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목적은, 콘테이너의 측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고도 곡물, 시멘트, 음식물쓰레기 등의 적재물을 내 리는 경우, 컨테이너 바닥에 남아 있는 적재물의 잔량을 깨끗하게 모두 배출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서 적재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재치되어서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시트 및 상기 적재시트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량을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시트를 차량의 운전석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과 적재시트 사이에 개재되어서, 공기주입구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하여 상기 적재시트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에 에어공급관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을 팽창시커거나,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을 수축시키는 에어컴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된 경우의 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 의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이, 차량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모터,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연동되어서 회전하는 롤러 및 일단이 상기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시트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가 회전하는 경우 롤러에 감겨져서 상기 적재시트의 전단을 컨테이너의 바닥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시트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앞판에 고정설치되어서 차량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적재시트구동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적재시트가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적재시트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하는 '적재시트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차량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암이 장착된 암롤차량이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암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적재시트의 후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서처럼 콘테이너의 측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고도 곡 물, 시멘트, 음식물쓰레기 등의 적재물을 하역하는 경우, 컨테이너 바닥에 남아 있는 적재물의 잔량을 깨끗하게 모두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적재물의 잔량을 하역하기 위한 구성으로 에어백을 채용하는 경우, 에어백의 형상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고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중력에 의해서 적재물의 잔량이 더욱 더 원활하게 하역 또는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종래기술과는 달리,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싣을 수 있는 적재물의 양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결과 컨테이너에 싣을 수 있는 적재물의 양을 종래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운송 및 물류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넷째, 종래기술과는 달리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높지 않고 따라서 커브길을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도 전복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인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 고, 도 4에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에서 에어가 주입된 경우의 동작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a에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변형예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가 암롤차량에 장착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서 적재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110),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에 재치되어서 적재물(S1)을 적재하는 적재시트(120)와, 적재시트(120)를 차량의 운전석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적재시트(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량을 차량(10)의 운전석 방향의 반대방향인 컨테이너(110)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과 적재시트(120) 사이에 개재되고 공기주입구(132a)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하여 적재시트(12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에어백(132)과, 차량(10)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에어백(132)에 에어공급관(133)을 통해서 연결되고 에어백(132)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132)을 팽창시커거나, 에어백(13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132)을 수축시키는 에어컴프레서(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시트(120)의 후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후방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에 의해서 팽창된 경우 아랫변이 높이보다 긴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이다.
또한, 에어백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에어백(13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컴프레서(134)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된 경우의 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컨테이너(1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132')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적재물의 잔량을 매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에어백(132'')은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방으로 곡물을 하역하기 위한 컨테이너(1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산 형상의 복수의 에어백(132'')으로 구성된다.
물론, 적재시트는 곡물이 직하방으로 내려가는 하역홀 부분을 제외하고 에어백(132'')만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차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작동되는 암(24)이 장착된 암롤차량(20)이고, 상기 컨테이너(110)는 상기 암(24)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 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요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적재시트를 경사형성하게 하기 위한수단으로, 차량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모터(146)와, 상기 컨테이너(110)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146)의 작동에 연동되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144)와, 일단이 상기 롤러(1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44)가 회전하는 경우 롤러(144)에 감겨지면서 상승하여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을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시트(12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로프(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146)의 회전력을 롤러(144)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봉(145)과, 적재시트(120)의 전단에 감겨서 고정되고 로프(142)에 연결된 수평바(14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시트(120)의 후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 후방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10)은,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작동되는 암(24)이 장착된 암롤차량(20)이고, 상기 컨테이너(110)는 상기 암(24)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 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도 12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는, 상기 적재시트를 경사형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앞판(110a)에 고정설치되어서 차량(10)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적재시트구동실린더(162) 및 일단이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적재시트구동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하는 '적재시트 홀더'(1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10)은,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작동되는 암(24)이 장착된 암롤차량(20)이고, 상기 컨테이너(110)는 상기 암(24)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의한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에어컴프레서(134)를 통해서 에어를 에어백(132, 132')에 주입하면, 에어백(132, 132', 132'')이 도 5a, 도 5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팽창하고, 이와 같은 에어백(132, 132', 132'')의 팽창에 의해서 적재시트(12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적재시트(120)가 상승하게 되면, 적재시트(120)에 남아 있던 곡물 등의 적재물 잔량이 중력에 의해서 미끄러져서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적재시트(120)가 마찰력이 작은 비닐 소재 재질라면, 적재시트(120)와 적재물 잔량과의 점성이 적어서 더욱 더 원활하게 적재물 잔량이 배출될 수 있고, 또한 적재시트(120)가 상승하다가 멈추게 되면 관성력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적재물 잔량이 적재시트(120)와 분리되는 순간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적재물 잔량이 적재시트(120)와 순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에 의해서 적재물 잔량과 적재시트(120)와의 점성에 의한 결합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적재물 잔량은 더욱 더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의한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1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인데, 모터(146)를 구동하여 롤러(146)를 회전시키면, 로프(142)가 상승하고, 상승하는 로프(142)에 의해서 적재시트(120)가 위로 상승하여서 적재물 잔량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유압에 의해서 적재시트구동실린더(162)를 작동시키면 '적재시트 홀더'(164)이 상승하여 적재시트(120)가 위로 상승하여서 적재물 잔량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서 배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가 탑재되는 예컨대, 트럭이나 암롤차량 등의 차량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적재물을 운송하고 하역하는 다른 운송수단(예컨대, 화물 열차)에 있어서도 본원고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가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도 본원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상기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를 탑재한 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1b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암롤차량 적재물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에서 에어가 주입된 경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변형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b는,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가 암롤차량에 장착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장착 사용상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의한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의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컨테이너 110a; 컨테이너의 앞판
110c; 컨테이너의 바닥 120 ; 적재시트
132a; 공기주입구 132,132',132'' ; 에어백
133 ; 에어공급관 134 ; 에어콤프레서
142 ; 로프 143 ; 수평바
144 ; 롤러 145 ; 회전봉
146 ; 모터 162 ; 적재시트구동실린더
164 ; 적재시트 홀더 10 ; 차량
20 ; 암롤차량 22 ; 유압실린더
24 ; 암 S1 ; 적재물

Claims (8)

  1. 차량에 탑재되어서 적재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110);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에 재치되어서 적재물(S1)을 적재하는 적재시트(120); 및
    상기 적재시트(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잔량을 컨테이너(110)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시트(120)를 차량의 운전석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과 적재시트(120) 사이에 개재되어서, 공기주입구(132a)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하여 상기 적재시트(12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에어백(132); 및
    상기 에어백(132)에 에어공급관(133)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132)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132)을 팽창시커거나, 에어백(13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132)을 수축시키는 에어컴프레서(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32')은,
    상기 에어컴프레서(134)를 통해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된 경우의 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트(120)의 후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후방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은,
    차량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모터(146);
    상기 컨테이너(110)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146)의 작동에 연동되어서 회전하는 롤러(144); 및
    일단이 상기 롤러(1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44)가 회전하는 경우 롤러(144)에 감겨져서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을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시트(12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로프(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트(120)의 후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110c) 후방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시트경사형성수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앞판(110a)에 고정설치되어서 차량에 구비된 구동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적재시트구동실린더(162); 및
    일단이 상기 적재시트(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적재시트구동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하는 '적재시트 홀더'(1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작동되는 암(24)이 장착된 암롤차량(20)이고,
    상기 컨테이너(110)는 상기 암(24)에 승강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KR2020070012948U 2007-08-01 2007-08-01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KR200441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948U KR200441680Y1 (ko) 2007-08-01 2007-08-01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948U KR200441680Y1 (ko) 2007-08-01 2007-08-01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680Y1 true KR200441680Y1 (ko) 2008-09-01

Family

ID=4164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948U KR200441680Y1 (ko) 2007-08-01 2007-08-01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6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60A1 (en) * 2014-10-14 2016-04-21 Cj Korea Express Corporation Unloading device using air tube in carrying box
CN108001331A (zh) * 2017-12-21 2018-05-08 湖南汽车制造有限责任公司 吹气式防积料货箱及自卸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60A1 (en) * 2014-10-14 2016-04-21 Cj Korea Express Corporation Unloading device using air tube in carrying box
KR20160043743A (ko) * 2014-10-14 2016-04-22 씨제이대한통운 (주)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KR101686238B1 (ko) 2014-10-14 2016-12-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적재함 내 에어튜브를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N108001331A (zh) * 2017-12-21 2018-05-08 湖南汽车制造有限责任公司 吹气式防积料货箱及自卸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07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EP2774849A2 (en) System for moving loads
CN102548798A (zh) 可变拖车
CN104875659B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US86684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KR200441680Y1 (ko) 차량 탑재 컨테이너 적재물 잔량 하역장치
JPS6249955A (ja) 少なくとも1台のクラツシヤ−のための装入装置
CN111801246B (zh) 载荷保持系统
CN201439433U (zh) 一种多绞龙出料散料集装箱
CN105346432B (zh) 一种轿运车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CN105905609A (zh) 一种重型及易碎快递件传送运输装置
CN115535654A (zh) 一种嵌入式集装箱自动装卸车系统
CN211252339U (zh) 一种可自动整体装卸货厢
CN101397074B (zh) 一种汽车运输托盘
RU2782878C2 (ru) Система удерживания груза
KR101341119B1 (ko) 골재 선적장치
CN218805445U (zh) 一种运输车装卸系统
US8417425B2 (en) Mechanism for stabilizing granular material on a vehicle bed
US20220274772A1 (en) Liner and method for unloading bulk cargo
JP3758946B2 (ja) 搬送装置を搭載した自走式車両
KR200312573Y1 (ko) 블록 성형장치용 팔레트 공급장치
CN108367701A (zh) 用于集装箱的运输车辆
JPH0461939A (ja) 破砕装置
CN106427731A (zh) 一种用于袋装水泥自卸车的后门锁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