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119B1 - 골재 선적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선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119B1
KR101341119B1 KR1020120052526A KR20120052526A KR101341119B1 KR 101341119 B1 KR101341119 B1 KR 101341119B1 KR 1020120052526 A KR1020120052526 A KR 1020120052526A KR 20120052526 A KR20120052526 A KR 20120052526A KR 101341119 B1 KR101341119 B1 KR 10134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ggregate
discharged
stationary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652A (ko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대명크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크라샤 filed Critical (주)대명크라샤
Priority to KR102012005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1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골재를 운반용 바지선에 빠르게 선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적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골재 선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덤프트럭으로 옮겨진 골재를 호퍼가 구비된 진동피더에서 콘베이어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골재 배출구가 형성되는 임시 야적장에 적재시키되 임시 야적장에 쌓인 골재가 흘러내리지 않게 스톡 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의 바닥에는 골재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골재는 진동피더를 통하여 콘베이어를 타고 배출캡으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배출캡으로 배출된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캡으로 배출되거나 정역 콘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를 받아 바지선으로 선적되게 하는 한편 레일을 타고 정역 콘베이어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선적 콘베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골재 선적장치{Aggregate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건축용 골재를 운반용 바지선에 빠르게 선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적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골재 선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두에서 골재를 운반용 바지선에 선적하기 위해서는 호퍼가 구비된 진동피더를 설치한 후 상기 진동피더에서 바지선으로 골재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운반된 골재를 호퍼에 채우게 되면 골재는 컨베이어를 타고 바지선에 선적되게 되며, 이 같은 방식으로 연속해서 선적을 하기 위해서는 진동 피더의 호퍼에 지속적으로 골재를 투입해주어야 한다.
상기 방식은 부두에 골재를 임시 적재할 필요 없이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계속 골재를 운반한 후 호퍼에 투입하면 되므로, 골재의 임시 저장장소를 별도로 필요치 않는 이점이 있으나, 30,000 톤 정도의 골재를 바지선에 선적하기 위해서는 25톤 트럭 1200대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골재 생산 장소에서 부두까지의 운반이 쉽지 않음은 물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한편 부두의 임시 적재 장소에 다량의 골재를 운반시킨 후 페이로더나 불도저 등을 이용하여 적재된 골재를 콘베이어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량의 골재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은 임시 적재 장소에서 자동으로 콘베이어에 탑재시켜 선적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선적 시간이 오래 걸림은 물론 임시 적재 장소에 30,000 톤을 적재시켜 보관할 경우 부두의 적재 공간 부족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이 같이 골재의 바지선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바지선의 이동시간과 하역시간은 현실적으로 줄이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므로, 골재의 선적시간을 줄여야만 경제적으로 골재를 선적하여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으나, 기존의 방식은 골재의 선적시간을 단축시키기가 곤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재를 바지선에 선적함에 있어서, 덤프트럭으로 골재를 이동시켜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임시 적재 장소에 골재를 적재시킨 후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덤프트럭으로 골재를 운반하여 콘베이어로 선적을 하는 방식은 골재의 량에 따라 수많은 덤프트럭의 이동을 필요로 하여 현실적으로는 실현이 어렵고, 임시 적재 장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부두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한편 임시 적재 장소에서 콘베이어로 이동하는데 따른 작업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관계로 골재의 선적시간을 줄여주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골재를 바지선에 실을 때 균형을 맞추어가며 선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덤프트럭으로 옮겨진 골재를 호퍼가 구비된 진동피더에서 콘베이어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골재 배출구가 형성되는 임시 야적장에 적재시키되 임시 야적장에 쌓인 골재가 흘러내리지 않게 스톡 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의 바닥에는 골재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골재는 진동피더를 통하여 콘베이어를 타고 배출캡으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배출캡으로 배출된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캡으로 배출되거나 정역 콘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를 받아 바지선으로 선적되게 하는 한편 레일을 타고 정역 콘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적 콘베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골재를 바지선에 선적시킴에 있어서, 부두에 임시 야적장을 구비하여 덤프트럭으로 운송되는 골재가 임시 야적장에 쌓이도록 하되 상기 임시 야적장에 쌓인 골재는 임시 야적장의 바닥에 형성된 골재 배출구로 배출되어 임시 야적장의 바닥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에서 배출된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에서 정역 콘베이어의 양쪽으로 분배된 후 이동되는 선적 콘베이어를 타고 바지선에 균형 있게 선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량을 임시 야적장에 쌓은 후 선적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임시 야적장에 골재가 쌓이도록 함으로써 덤프트럭만으로 골재를 운반하여 선적하는 방식에 비하여 덤프트럭의 운용이 손쉬워 도로가 막히거나 많은 수의 덤프트럭을 운행하는 불편을 없애게 되고, 임시야적장에 쌓인 골재는 바닥에서 배출되어 선적 콘베이어를 타고 선적이 이루어지되 선적 콘베이어는 좌우로 이동되어 균형 있게 선적이 이루어지면서 바지선의 선적이 빠르고 균형 있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시 야적장에 쌓인 골재가 흘러내리지 않게 스톡파일을 설치하는 한편 임시 야적장으로 덤프트럭이나 페이로더 등이 쉽게 이동하도록 하여, 임시 야적장에 골재를 쌓거나 골재가 골재 배출구로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시 야적장에서 배출된 골재가 바지선에 실릴 때 균형 있게 선적이 이루어지도록 선적 콘베이어가 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골재가 선적될 때 무게에 균형을 맞추어 선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적 콘베이어는 바지선의 마스트나 선교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적 콘베이어의 상단부가 부교처럼 들어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선적 콘베이어의 하측으로 바지선이 이동할 때 선적 콘베이어가 바지선의 마스트나 선교 등에 부딪히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적 컨베이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임시 야적장 하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역 컨베이어 설치 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적 컨베이어 이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배출캡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적 컨베이어 하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배출구 상부 이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골재를 바지선에 선적하기 위한 것으로, 부두의 임시 야적장에 골재를 야적시킨 후 임시 야적장의 바닥으로 골재를 배출시켜 선적 콘베이어에서 바지선의 무게 균형을 맞추어가며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골재의 선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석산이나 골재 채취장에서 생산된 골재는 바지선에 선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덤프트럭을 이용한 운반과, 임시 야적장에서의 임시 야적, 그리고 선적 콘베이어를 이용한 선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부두에 임시 야적장을 설치하되 상기 임시 야적장의 하측에 설치된 골재 배출구를 통하여 야적된 골재가 배출되게 한 후 이를 전후로 이동하는 콘베이어로 바지선에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골재를 덤프트럭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기존과 같으나, 본 발명은 임시 야적장을 구비하여 골재의 야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덤프트럭의 운행시간을 조절하여 교통체증이 걸리지 않으면서도 최소한의 차량으로 임시 야적이 이루어지게 하고, 임시 야적장에서는 야적된 골재를 골재 배출구로 배출하여 진동피더에서 이동되게 한 후 이를 정역회전하는 콘베이어와 상기 콘베이어에 직교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적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바지선에 선적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임시 야적장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바닥으로 골재 배출구를 형성하여 야적된 골재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고, 골재 배출구로 배출된 골재는 진동 피더에서 콘베이어를 타고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며, 임시 야적장에서 배출되는 골재는 정역회전하는 콘베이어로 이동하되 배출캡을 통하여 정역 콘베이어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정역 콘베이어가 움직이면 배출캡을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를 타고 정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정역 콘베이어가 정지하면 골재는 배출캡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어 선적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한다.
본 발명의 선적 콘베이어는 정역 콘베이어와 직교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정역 콘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역 콘베이어의 양쪽으로 배출되는 골재 또는 정역 콘베이어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배출되는 골재를 받아 바지선으로 선적되게 하며, 선적 콘베이어는 정역 콘베이어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바지선에 선적되는 골재가 균형 있게 선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임시 야적장에는 스톡 파일을 설치하여 야적된 골재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임시 야적장으로 덤프트럭이나 페이로더가 진입하여 직접 골재를 투입하거나 골재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선적 콘베이어의 선단에는 회전 배출구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 배출구는 좌우로 회동되게 하거나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재의 선적시에는 회전 배출구를 수평으로 회동시키면서 골재가 균형있게 펼쳐지면서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고, 바지선의 진출입시에는 회전 배출구를 상부로 들어 올려 선교나 마스트가 높아서 선적 콘베이어와 닿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부두에 임시 야적장(40)을 설치하되 상기 임시 야적장(40)은 바닥으로 골재 배출구(41)를 구비하는 한편 측면으로 스톡 파일(42)을 설치하여 일정량의 골재가 임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40)의 하부는 공간을 두고 진동피더(50)와 콘베이어(60)를 설치하여 골재 배출구(41)로 배출되는 골재가 진동피더(50)에서 콘베이어(60)를 타고 임시 야적장(4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임시 야적장(40)에는 지상에서 직접 덤프트럭이나 페이로더 등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임시야적장(40)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콘베이어(30)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이어(30)는 진동피더(20)에서 공급되는 골재를 싣고 임시 야적장(40)에 골재를 쌓도록 한다.
상기 진동피더(20)는 덤프트럭으로 운반되어 호퍼(10)에 채워진 골재를 콘베이어(30)에 실어주는 것으로, 골재를 적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호퍼(10), 진동피더(20), 콘베이어(30)이다.
본 발명은 덤프트럭으로 운반된 골재를 호퍼(10)에 쏟게 되면 진동피더(20)에서 콘베이어(30)로 이동시킴으로써 임시 야적장(40)에 야적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임시 야적장(40)에는 스톡 파일(42)을 설치함으로써 일정량의 골재가 쌓여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콘베이어(60)로 배출되는 골재는 배출캡(61)을 통하여 정역 콘베이어(70) 또는 선적 콘베이어(8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배출캡(61)은 정역 콘베이어(70)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콘베이어(60)로 운반된 골재가 배출캡(61)에서 선적 콘베이어(80)로 배출되게 하고, 정역 콘베이어(7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골재를 하부로 배출시켜 정역 콘베이어(7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정역 콘베이어(70)의 길이 방향 측면으로 레일(81)을 따라 전후진 하는 한편 경사지게 설치되어 부두에 정박시킨 바지선(100)에 골재를 실을 수 있도록 선적 콘베이어(80)를 설치하여, 바지선(100)에 선적되는 골재가 편중되지 않고 골고루 실리도록 하되 상기 선적 콘베이어(80)는 콘베이어(60)와 같은 방향으로 골재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콘베이어(60)와 선적 콘베이어(80)는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고, 정역 콘베이어(70)는 상기 콘베이어(60)와 선적 콘베이어(80) 사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평면에서 보면 콘베이어(60)와 정역 콘베이어(70) 및 선적 콘베이어(80)가 +자 형태를 갖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선적 콘베이어(80)는 부두의 바닥에 고정된 레일(81)을 타고 정역 콘베이어(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정역 콘베이어(70)의 일측 끝에서 타측 끝까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선적 콘베이어(80)를 타고 이동되는 골재가 바지선(100)에 선적되는 것이다.
여기서, 선적 콘베이어(80)는 정역 콘베이어(70)의 길이 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캡(61)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골재를 선적하거나, 정역 콘베이어(70)의 양쪽 끝단에 위치하여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이동하는 골재를 선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선적 콘베이어(80)에는 상측으로 회전 배출구(90)를 설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골재를 펼쳐가며 선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 배출구(90)는 리트트 장치(91)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지선(100)이 정박할 때 선교나 마스트 등의 높은 구조물이 선적 콘베이어(80)의 회전 배출구(90)에 닿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먼저, 작업 가능한 시간에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골재를 운반하여 호퍼(10)에 채움으로써 골재는 진동피더(20)에서 콘베이어(30)를 타고 임시 야적장(40)의 골재 배출구(41) 상측으로 쌓이게 되며, 임시 야적장(40)에 쌓이는 골재는 스톡 파일(42)에 의하여 일정량이 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임시 야적장(40)에 쌓인 일정량의 골재를 선적하게 되므로, 골재의 선적이 이루어질 때 지속적으로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선적을 하게 되는 방식에 비하여 여유 있게 덤프트럭을 운전하여 골재를 쌓을 수 있고, 골재 운반시간 등을 조절하여 교통체증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임시 야적장(40)에 골재를 쌓을 수 있다.
임시 야적장(40)은 바지선(100)에 선적할 수 있는 용량을 갖도록 하고, 선적이 시작된 후에 임시 야적장(40)에 쌓인 골재가 바지선(100)의 선적 가능량 보다 적을 경우에는 덤프트럭이 직접 임시 야적장으로 이동하여 골재를 임시 야적장(40)에 쌓음으로써 충분한 량의 골재를 선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임시 야적장(40)으로 직접 덤프트럭을 운행하여 골재를 쌓도록 함으로써 골재의 선적 중에 필요한 골재를 빠르게 쌓도록 한다.
임시 야적장(40)에 쌓인 골재는 하측에 형성된 골재 배출구(41)로 배출되어 진동피더(50)에서 콘베이어(60)를 타고 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임시 야적장(40)에 쌓인 대부분의 골재는 골재 배출구(41)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나, 임시 야적장(40)에 많은 량의 골재가 쌓인 상태에서 골재 배출구(41)로 골재를 배출하면 골재의 내부에서 동굴이 형성되어 골재가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임시 야적장(40)으로 페이로더 등을 진입시켜 골재를 골재 배출구(41)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임시 야적장(40)의 골재 배출구(41)로 배출되는 골재는 콘베이어(60)를 타고 배출되어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콘베이어(60)에는 배출캡(61)을 설치하여 콘베이어(60)로 이동하는 골재가 배출캡(61)의 하부로 이동하거나 배출캡(61)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배출캡(61)은 하부에 위치한 정역 콘베이어(70)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배출캡(61)으로 들어온 골재는 하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쌓이게 되며, 배출캡(61)에 골재가 쌓이면 골재는 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배출캡(61)으로 골재가 투입될 때 정역 콘베이어(7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 골재는 배출캡(61)의 하부로 배출되어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즉, 정역 콘베이어(70)가 회전하지 않으면 골재는 배출캡(61)에 채워지면서 전방으로 배출되고, 정역 콘베이어(70)가 회전하면 정역방향으로 골재가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 정역 콘베이어(70)의 측면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선적 콘베이어(80)가 설치되어 레일(81)을 타고 전후진 하면서 정역 콘베이어(70)로 배출되는 골재를 받아 바지선(100)에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선적 콘베이어(80)가 정역 콘베이어(70)의 중앙에 위치하면 정역 콘베이어(70)를 정지시켜 골재가 배출캡(61)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선적 콘베이어(80)를 통하여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고, 선적 콘베이어(80)를 이동시켜 정역 콘베이어(70)의 끝 쪽에 위치하면 정역 콘베이어(70)를 구동시켜 골재가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후 선적 콘베이어(80)를 타고 선적이 이루어지게 한다.
선적 콘베이어(80)를 타고 이동하는 골재는 선적 콘베이어(80)의 골재가 배출되는 선단에 설치된 회전 배출구(90)를 통하여 바지선(100)으로 배출되게 되고, 회전 배출구(90)는 수평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하면서 골재를 골고루 뿌려가면서 선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회전배출구(90)의 하측에 기어를 이용하여 좌우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선적 콘베이어(80)가 레일(81)을 타고 이동하는 것은 바지선(100)에 선적되는 골재의 균형 있는 선적을 위한 것으로, 선적 콘베이어(80)가 정역 콘베이어(70)의 끝 쪽에 위치하여 골재를 선적하게 되면, 골재는 폭넓게 선적이 이루어져 균형 있게 실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선적 콘베이어(80)에는 회전 배출구(9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리프트 장치(91)를 설치하여 도 9와 같이 회전 배출구(90)를 들어 올림으로써 회전 배출구(90)를 높게 들어 줄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배출구(90)는 골재의 선적을 위하여 하측을 향한 상태로 설치되나, 바지선(100)의 마스트나 선교가 높을 경우 회전 배출구(90)에 닿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배출구(90)를 상부로 들어 올려 바지선(100)이 접안하고 빠질 때 회전 배출구(9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10 : 호퍼 20 : 진동피더
30 : 콘베이어 40 : 임시 야적장
41 : 골재 배출구 50 : 진동피더
60 : 콘베이어 61 : 배출캡
70 : 정역 콘베이어 80 : 선적 콘베이어
81 : 레일 90 : 회전 배출구
100 : 바지선

Claims (3)

  1. 부두에 골재가 야적되는 임시 야적장(40)을 설치하되 상기 임시 야적장(40)의 바닥은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측면으로 스톡 파일(42)을 설치하여 야적된 골재가 흩어지지 않게 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40)의 바닥에는 골재를 하부로 배출하는 골재 배출구(4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골재 배출구(41)로 배출되는 골재를 진동 피더(50)에서 콘베이어(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임시 야적장(40)에는 덤프트럭으로 이동된 골재를 호퍼(10)가 구비된 진동 피더(20)에서 콘베이어(30)를 통하여 야적되게 하고,
    상기 임시 야적장(40)의 바닥에서 콘베이어(60)를 타고 배출되는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70)의 작동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캡(61)을 통하여 정역 콘베이어(70)로 이동시키되 상기 정역 콘베이어(70)는 콘베이어(6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정역 콘베이어(70)의 측면으로 콘베이어(60)와 반대쪽으로 선적 콘베이어(80)를 설치하되 상기 선적 콘베이어(80)는 콘베이어(60)와 같은 방향으로 골재를 이동시키게 설치하여 골재를 바지선(100)에 선적시키는 한편 상기 선적 콘베이어(80)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81)을 타고 정역 콘베이어(70)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임시 야적장(40)의 바닥에서 콘베이어(60)를 타고 배출되는 골재는 배출캡(61)을 통하여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이동되게 하되 상기 콘베이어(60)와 정역 콘베이어(70)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정역 콘베이어(70)가 회전하면 배출캡(61)로 배출되는 골재는 하부로 배출되어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배출되며,
    상기 정역 콘베이어(70)가 정지하면 배출캡(61)로 배출되는 골재는 정역 콘베이어(70)의 측면에서 콘베이어(60)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선적 콘베이어(80)로 배출되고,
    상기 정역 콘베이어(70)를 타고 배출되거나 정역 콘베이어(70)로 배출되지 않고 콘베이어(60)에서 배출되는 골재는 레일(81)을 타고 정역 콘베이어(70)의 측면에서 정역 콘베이어(7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선적 콘베이어(80)를 타고 바지선(100)에 선적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적 콘베이어(80)의 골재가 배출되는 선단에는 좌우로 회동되며 골재를 선적하는 회전 배출구(9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배출구(90)는 리프트 장치(91)에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적 장치.
KR1020120052526A 2012-05-17 2012-05-17 골재 선적장치 KR10134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26A KR101341119B1 (ko) 2012-05-17 2012-05-17 골재 선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26A KR101341119B1 (ko) 2012-05-17 2012-05-17 골재 선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52A KR20130128652A (ko) 2013-11-27
KR101341119B1 true KR101341119B1 (ko) 2013-12-12

Family

ID=4985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26A KR101341119B1 (ko) 2012-05-17 2012-05-17 골재 선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3123B (zh) * 2024-02-06 2024-04-26 亿川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连续卸料装置、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41Y1 (ko) 2000-02-28 2000-08-16 고영옥 해상 모래 채취 적하장치
KR20010068176A (ko) * 2000-03-30 2001-07-23 김장선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41Y1 (ko) 2000-02-28 2000-08-16 고영옥 해상 모래 채취 적하장치
KR20010068176A (ko) * 2000-03-30 2001-07-23 김장선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52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58B1 (ko) 컨테이너
CN103449204B (zh) 一种链斗式连续卸船机
CN103523545A (zh) 一种门式侧堆侧取堆取料机
CN105836483A (zh) 流动式尾部供料链式散货堆装机
CN103523461A (zh) 一种刮板收集装置及其制作的散货船船载料自卸设备
CN107278197B (zh) 用于露天采矿的输送系统
JPS6249955A (ja) 少なくとも1台のクラツシヤ−のための装入装置
KR101341119B1 (ko) 골재 선적장치
CN214827440U (zh) 全移动地表装船布料机
CN204150732U (zh) 一种集装船、卸船、运输于一体的多功能船
CN204078016U (zh) 一种过驳装卸运输散货船
CN210082107U (zh) 一种地仓式自动供料系统
CN112141743A (zh) 单通道进料顶部伸缩式刮料的矩形料库
CN106494905A (zh) 一种多仓格原料车间连续取料的桥式链斗取料机
CN104291128B (zh) 集装船、卸船、运输于一体的多功能船
CN205802503U (zh) 流动式侧边供料链式散料堆装机
CN203529276U (zh) 一种刮板收集装置及其制作的散货船船载料自卸设备
JP6192592B2 (ja) ヤード積付量の増加装置
CN204056248U (zh) 一种过驳装卸运输船的转载系统及具有该系统的运输船
CN105129621B (zh) 抓斗桥式起重机仓库
RU1957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автомобиля-самосвала
RU2718510C1 (ru)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автомобиля - самосвала в приемный бункер
CN202039629U (zh) 半拱式全封闭储煤仓
CN218433878U (zh) 一种装船机
CN205240797U (zh) 一种自卸车用码头物料装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